KR20120013909A -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3909A KR20120013909A KR1020110078137A KR20110078137A KR20120013909A KR 20120013909 A KR20120013909 A KR 20120013909A KR 1020110078137 A KR1020110078137 A KR 1020110078137A KR 20110078137 A KR20110078137 A KR 20110078137A KR 20120013909 A KR20120013909 A KR 20120013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leg
- support
- lock
- leg
- resp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과제)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절첩 상태의 차체(2)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20)로서, 후륜(9)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후방 다리부(4)에 고정된 베이스부(21)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21)에 설치되고, 베이스부(21)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일방향에 연장되는 지지 다리(22)와, 지지 다리(22)에 설치되어 차체(2)가 기립 자세로 유지될 때에 접지하는 족부(23)와, 베이스부(21)와 지지 다리(22)의 사이에 개재하여 차체(2)가 기립 자세인 경우에 지지 다리(22)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되는 지지 위치에서 지지 다리(22)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24)를 구비한다.
(해결 수단) 절첩 상태의 차체(2)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20)로서, 후륜(9)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후방 다리부(4)에 고정된 베이스부(21)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21)에 설치되고, 베이스부(21)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일방향에 연장되는 지지 다리(22)와, 지지 다리(22)에 설치되어 차체(2)가 기립 자세로 유지될 때에 접지하는 족부(23)와, 베이스부(21)와 지지 다리(22)의 사이에 개재하여 차체(2)가 기립 자세인 경우에 지지 다리(22)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되는 지지 위치에서 지지 다리(22)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첩식 베이비 카에 적용되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체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베이비 카는 주지이다. 이와 같은 베이비 카를 기립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서 차륜이 설치된 다리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파이프 형상의 지지 다리를 소정 위치에서 로크하는 스탠드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스탠드 장치는 베이비 카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때에는 다리부에 고정된 단면 C자 형상의 수지제 홀더에 의해 지지 다리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 다리를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여 로크한다. 이 로크의 해방은 수지제 홀더가 탄성 변형하여 그 개구폭이 지지 다리보다도 넓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 스탠드 장치에 의해 베이비 카가 기립 자세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 다리가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여 투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다리를 위를 향하여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작용한다.
기립 자세의 유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수지제 홀더를 변형하기 어렵게 하여 지지 다리의 로크를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지제 홀더가 변형하기 어려워지면 수지제 홀더로부터 지지 다리가 용이하게 벗겨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로크의 해방이 어려워져서 스탠드 장치의 조작성이 악화한다. 따라서, 로크를 해방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에는 지지 다리의 로크를 그다지 강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베이비 카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타협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이 스탠드 장치는 지지 다리의 로크 및 해방의 각각에서 수지제 홀더의 탄성 변형이 수반함과 함께 지지 다리와 수지제 홀더가 강하게 마찰하기 때문에 내구성에 불안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탄성 계수는 온도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동계의 조작성이 하계에 비해 악화하는 등의 계절에 따라 조작성이 변화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 안에 부기하지만, 그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는 차륜(9)이 설치된 다리부(4)를 포함하는 차체(2)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베이비 카(1)에 적용되고, 상기 절첩 상태의 상기 차체를 상기 차륜이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가 위를 향한 기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와, 상기 차체의 좌우 방향에 연장되는 축선(Ax)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일방향에 연장되는 지지 다리(22)와,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로 유지될 때에 접지하는 족부(23)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 다리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경우에 상기 지지 다리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되는 지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24, 64, 80)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 방향과 상이한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로크 부재(30, 65, 81)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경우에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위를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로크 부재와 맞부딪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대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와 이격하는 로크벽(35, 67)을 갖는 것이다.
이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는 로크 기구가 지지 다리를 지지 위치에서 로크할 때에 지지 다리에 설치된 로크 부재와 베이스부에 설치된 로크벽이 맞부딪치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한 지지 다리가 위를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로크 부재가 로크벽에 맞부딪침으로써 지지 다리가 기계적으로 로크된다. 그리고, 로크 부재가 소정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로크 부재가 로크벽으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지지 다리의 로크가 해방된다. 따라서, 지지 다리의 로크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지지 다리의 로크의 강도와 로크를 해방하는 조작성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다리의 로크가 간단하게 해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 다리의 지면에 대한 기울기 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다리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아도 지면에 대한 기울기 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때에 차륜의 접지 위치로부터 족부의 접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다리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고 차체를 기립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회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됨과 함께,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벽이 맞부딪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대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46, 66)을 더 가져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로크를 해방할 때의 조작력을 압박 수단의 설정을 바꿈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 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해방 조작 부재(55, 61)와, 상기 해방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 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해방 조작 부재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로크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56, 62)을 더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해방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로크 부재를 이동시켜 로크의 해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해방 조작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 다리와 상기 해방 조작 부재가 상기 축선의 방향에 연장되는 공통의 지지축(2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해방 조작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지지 다리의 지지축과 공통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함과 함께 로크 기구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다리는 내부 공간(S2)을 갖는 중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소정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로크 부재를 압박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박 수단이 설치된 지지 수단(32)을 더 갖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압박 수단과 함께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지 다리의 내부 공간에 지지 수단과 압박 수단이 수납됨으로써 지지 수단 및 압박 수단의 각각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가 지지 수단 및 압박 수단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짐과 함께 미관도 향상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다리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지지 다리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상기 축선의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25)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각 기단 간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벽부(27)를 갖고,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단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벽부로 규정되는 공간(S1)을 메우는 스페이서(28)가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 다리의 단부, 한 쌍의 지지 부재 및 벽부로 규정되는 공간을 메울 수 있기 때문에 그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다리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축선의 방향에 상기 지지 다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소정 방향으로서의 상기 지지 다리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지 다리의 폭 방향에 로크 부재의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크 기구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지지 다리와 함께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지지 다리를 소정 방향에 움직이게 함으로써 로크 부재를 로크벽으로부터 이격시켜 로크를 해방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를 해방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다리가 길이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로크가 해방된다. 따라서, 지지 다리의 폭 방향에 로크 부재의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크 기구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족부가 접지하지 않는 자세로 상기 지지 다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에 맞물리는 제1 유지부(36)와,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족부가 상기 다리부에 접근하는 자세로 상기 지지 다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에 맞물리는 제2 유지부(37)를 더 가져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차체가 사용 상태일 때에 지지 다리가 제1 유지부로 유지됨으로써 족부가 접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비 카의 사용시에 지지 다리가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유지부로 지지 다리가 유지됨으로써 절첩 상태에서 지지 다리가 다리부에 접근하기 때문에, 절첩된 베이비 카를 눕힌 자세로 하였을 때에 지지 다리가 방해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차의 트렁크 등의 수납 스페이스에의 베이비 카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이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호부(31)를 갖고, 상기 원호부의 외주에는 상기 로크벽, 상기 제1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가 각각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로크벽,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가 원호부에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기구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족부는 상기 축선의 방향과 동일 방향에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지지 다리의 길이보다도 긴 족부가 축선의 방향과 동일 방향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 자세로 유지된 차체의 좌우 방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다리와 상기 족부는 1개의 막대 형상 부재가 L자형으로 구부려짐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막대 형상 부재로 지지 다리 및 족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을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에 따르면, 로크 부재가 로크벽에 맞부딪침으로써 지지 다리가 기계적으로 로크되고, 로크 부재가 소정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로크 부재가 로크벽으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지지 다리의 로크가 해방되기 때문에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다리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아도 지면에 대한 기울기 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립 자세로 유지할 때에 차륜의 접지 위치로부터 족부의 접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립 자세로 유지할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가 적용된 베이비 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절첩 상태의 차체가 스탠드 장치로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절첩 상태의 차체가 누운 자세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로크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로크 핀의 지지 등을 행하는 지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절첩 상태의 차체가 스탠드 장치로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형태와는 상이한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로크 기구의 다른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형태와는 상이한 로크 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절첩 상태의 차체가 스탠드 장치로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절첩 상태의 차체가 누운 자세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로크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로크 핀의 지지 등을 행하는 지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절첩 상태의 차체가 스탠드 장치로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형태와는 상이한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로크 기구의 다른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형태와는 상이한 로크 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가 적용된 베이비 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베이비 카(1)는 차체(2)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2)는 전방 다리부(3), 후방 다리부(4), 크로스 프레임(5) 및 손으로 미는 프레임(6)을 주체로 하여 구성된 링크 기구를 갖고 있다. 그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부품을 각각의 연결점의 주위에 회전시킴으로써 차체(2)는 사용 상태(도 1의 상태)와 절첩 상태(도 2 및 도 3의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좌우의 전방 다리부(3)는 연결 부재(7)로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 다리부(4)에 대해서도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 다리부(3)의 하단에는 전륜(8)이, 후방 다리부(4)의 하단에는 후륜(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방 다리부(3)는 그 상단에서 손으로 미는 프레임(6)과 지지핀(1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방 다리부(4)도 마찬가지로 그 상단에서 손으로 미는 프레임(6)과 지지핀(1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 프레임(5)은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연결 부재(1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연결 부재(12)의 각각의 양단부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3) 및 후방 다리부(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손으로 미는 프레임(6)은 차체(2)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백 프레임(13)과 각 백 프레임(13)의 상단부에는 핸들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비 카(1)의 시트부(15)는 백 프레임(13) 등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비 카(1)에는 시트부(15)의 상방을 덮을 수 있는 절첩 가능한 선 셰이드(1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륜(8)은 공통의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타이어(18)를 포함하고 있다. 각 후륜(9)도 마찬가지로 공통의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타이어(19)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비 카(1)에는 절첩 상태의 차체(2)를 후륜(9)이 접지한 상태에서 후방 다리부(4)가 위를 향한 기립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스탠드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절첩 상태의 차체(2)가 스탠드 장치(20)로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절첩 상태의 차체(2)가 누운 자세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탠드 장치(20)는 후륜(9)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후방 다리부(4)에 고정된 베이스부(21)와, 차체(2)의 좌우 방향에 연장되는 축선(Ax)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21)에 설치된 지지 다리(22)와, 지지 다리(22)의 선단부에 설치된 족부(23)와, 베이스부(21)와 지지 다리(22)의 사이에 개재하는 로크 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21)는 나사 고정되어 후방 다리부(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다리(22)는 베이스부(21)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일방향에 연장되어 있다. 족부(23)는 축선(Ax)의 방향과 동일 방향에 연장되어 있어서 지지 다리(22)보다도 길다. 이에 의해, 스탠드 장치(20)가 차체(2)를 기립 자세로 유지하였을 때에 차체(2)의 좌우 방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지지 다리(22) 및 족부(23)는 중공의 막대 형상 부재인 1개의 파이프재가 L자형으로 구부려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다리(22) 및 족부(23)를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후방 다리부(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지지 다리(22)의 단부(22a)를 끼워 넣는 한 쌍의 지지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25)와 지지 다리(22)의 단부(22a)는 축선(Ax)의 방향에 연장되는 지지축(26)으로 관통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다리(22)는 한 쌍의 지지 부재(25)에 의해 축선(Ax)의 주위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베이스부(21)에는 한 쌍의 지지 부재(25)의 각 기단 간에 위치하여 지지 다리(22)의 단부(22a)와 대향하는 벽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다리(22)에는 단부(22a), 한 쌍의 지지 부재(25) 및 벽부(27)로 규정되는 공간(S1)을 메우는 스페이서(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28)에 의해 공간(S1)을 메움으로써 공간(S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다리(22)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로크 기구(24)는 지지 다리(22)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가 기립 자세인 경우에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되는 지지 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음과 함께 차체(2)의 상태에 맞춰 지지 위치와는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 지지 다리(22)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로크 기구(24)는 지지 위치에 더하여 차체(2)가 사용 상태인 경우에 적합한 1 유지 위치(도 1 참조) 및 차체(2)가 절첩 상태에서 자동차의 트렁크 등의 수납 스페이스에 수납되는 경우에 적합한 제2 유지 위치(도 3 참조)에 지지 다리(22)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차체가 사용 상태시에 지지 다리(22)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족부(23)가 접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비 카(1)의 사용시에 지지 다리(22)가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됨으로써 절첩 상태에서 지지 다리(22)가 후방 다리부(4)에 접근하기 때문에, 절첩된 차체(2)를 눕힌 자세로 하였을 때에 지지 다리(22)가 방해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자동차의 트렁크 등의 수납 스페이스에의 베이비 카(1)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도 6은 로크 기구(24)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24)는 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핀(30)과, 로크 핀(30)을 전술한 지지 위치, 제1 유지 위치 및 제2 유지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 구속하기 위한 원호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핀(30)은 지지 다리(22)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로크 핀(30)은 지지 다리(22)의 회전 방향에 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그 회전 방향과는 상이한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지지 다리(22)에 설치되어 있다. 로크 핀(30)은 원호부(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고, 그 지지는 지지 다리(22)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지지 수단으로서의 지지 유닛(32)으로 행해진다. 지지 유닛(32)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원호부(31)는 한 쌍의 지지 부재(25)의 각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외주가 축선(Ax)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31)의 외주에는 지지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로크벽(35)과, 제1 유지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유지부로서의 제1 유지 홈(36)과, 제2 유지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2 유지부로서의 제2 유지 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벽(35), 제1 유지 홈(36) 및 제2 유지 홈(37)이 원호부(31)에 집약되기 때문에 로크 기구(24)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벽(35)은 원호부(31)의 반경 방향에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 위치에서 로크벽(35)이 로크 핀(30)과 맞부딪침으로써 지지 다리(22)는 지지 위치로부터 위를 향하여(도 5의 상향)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로크 핀(30)이 로크벽(35)에 맞부딪쳐 있는 한 지지 다리(22)에 모멘트를 부여하여도 로크 핀(30)이 로크벽(35)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즉, 로크 기구(24)는 셀프 로크 상태로 유지된다. 로크 핀(31)이 도 5의 위치로부터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호부(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이동하여 로크벽(35)으로부터 이격하면, 지지 다리(22)의 로크가 해방되어 지지 다리(22)의 회전이 허용된다.
각 유지 홈(36, 37)은 원호부(31)의 중심측에 후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다리(22)가 제1 유지 위치에 이동한 경우에는 로크 핀(30)이 제1 유지 홈(36)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지지 다리(22)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지지 다리(22)가 제2 유지 위치에 이동한 경우에는 로크 핀(30)이 제2 유지 홈(37)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지지 다리(22)가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각 유지 홈(36, 37)의 양 벽면은 셀프 로크 상태가 되지 않을 정도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각 유지 홈(36, 37)에 로크 핀(30)이 끼워 넣어진 상태로부터 어느 정도의 힘으로 지지 다리(22)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유지 홈(36, 37)으로부터 로크 핀(30)을 벗겨서 로크를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로크 핀(30)의 지지 등을 행하는 지지 유닛(32)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 유닛(32)은 도 7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다리(22)의 내부 공간(S2)에 삽입된다. 지지 다리(22)에 삽입된 지지 유닛(32)은 후단부에 형성된 설치 구멍(40)과 지지 다리(22)의 측면에 형성된 설치 구멍(41)이 일치한 상태에서 이들 설치 구멍(40, 41)에 도시하지 않은 리벳이 삽입됨으로써 지지 다리(22)에 고정된다.
지지 유닛(32)은 지지 다리(22)의 내경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본체부(43)와, 로크 핀(30)을 유지하면서 본체부(43)에 형성된 가이드(44)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4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3)와 슬라이더(45)의 사이에는 슬라이더(45)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6)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43)의 선단에는 전술한 스페이서(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3)에는 지지 유닛(32)이 지지 다리(22)에 삽입된 경우에 지지 다리(22)의 단면이 맞부딪침으로써 지지 유닛(32)을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다리(22)의 단면이 위치 결정부(47)에 맞부딪쳤을 때에는 본체부(43)에 형성된 축 지지 구멍(49)과 지지 다리(22)에 형성된 축 지지 구멍(50)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다리(22)가 베이스부(21)에 설치될 때에는 각 축 지지 구멍(49, 50)에 지지축(26)이 삽입된다.
슬라이더(45)는 실선의 위치로부터 상상선의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 중앙부에는 로크 핀(30)이 삽입되는 로크 핀 유지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핀 유지 구멍(51)은 지지 다리(22)에 형성된 긴 구멍(52)과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로크 핀 유지 구멍(51)에 삽입된 로크 핀(30)은 지지 유닛(32)이 지지 다리(22)에 장착되었을 때에 긴 구멍(52)으로부터 그 일부가 축선(Ax)의 방향에 돌출한 상태로 된다(도 6 참조). 긴 구멍(52)은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있어서 로크 핀(3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5)에 유지된 로크 핀(30)은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지지 다리(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됨과 함께 지지 다리(22)의 회전 방향(폭 방향)에 관하여 지지 다리(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로크 핀(30)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32)은 코일 스프링(46)과 함께 지지 다리(22)의 내부 공간(S2)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지지 유닛(32)이나 코일 스프링(46)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짐과 함께 미관도 향상된다. 또한, 로크 핀(30)은 축선(Ax)의 방향에 지지 다리(22)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또한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지지 다리(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지지 다리(22)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다리(22)의 폭 방향에 로크 핀(30)의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로크 기구(24)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24)에는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 다리(22)의 로크를 해방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해방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해방 조작 부재(55)는 지지축(2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원호부(31)를 덮도록 하여 베이스부(2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축(26)이 지지 다리(22) 및 해방 조작 부재(55)에서 공용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기구(24)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해방 조작 부재(55)에는 로크 핀(30)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으로서의 긴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56)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다리(22)에 형성된 긴 구멍(52)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해방 조작 부재(55)를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낸 위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로크 핀(30)은 긴 구멍(56)을 따라 안내되면서 코일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이동한다. 이에 의해, 로크 핀(30)이 로크벽(35)로부터 이격하여 로크가 해방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방 조작 부재(55)에는 축선(Ax)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조작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58)는 차체(2)가 절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에 변화될 때에 크로스 프레임(5)의 단부가 맞부딪친 상태에서 해방 조작 부재(55)가 위를 항하여 회전하도록 크로스 프레임(5)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다(도 1도 참조). 따라서, 절첩 상태의 차체(2)가 스탠드 장치(20)로 기립 자세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차체(2)를 사용 상태에 변화시키면, 크로스 프레임(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해방 조작 부재(55)가 위를 향하여 회전하여 로크가 해방된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해방 조작 부재(55)에는 로크가 해방될 때까지 회전한 경우에 지지 다리(22)의 측부에 맞부딪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해방 조작 부재(55)는 로크가 해방되고 나서 위를 향하여 더 회전하면 그 접촉부에 의해 지지 다리(22)를 위를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크 기구(24)는 차체(2)가 절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에 변화하는 과정에서 로크가 해방한 후에 지지 다리(22)가 더 회전하여 제1 유지 홈(36)에 로크 핀(30)을 끼워 넣어 지지 다리(22)를 제1 유지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체(2)를 절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에 변화시킬 때에 해방 조작 부재(55)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지지 다리(22)를 지지 위치로부터 제1 유지 위치에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탠드 장치(20)에 의하면, 로크 기구(24)의 로크 핀(30)이 로크벽(35)에 맞부딪침으로써 지지 다리(22)가 기계적으로 로크된다. 그리고, 로크 핀(30)이 코일 스프링(46)에 저항하여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로크 핀(30)이 로크벽(35)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지지 다리(22)의 로크가 해방된다. 따라서, 지지 다리(22)의 로크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지지 다리(22)의 로크의 강도와 로크를 해방하는 조작성이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1)의 기립 자세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장치(20)는 지지 다리(22)의 로크가 간단하게 해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 다리(22)의 지면(G)에 대한 기울기각(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다리(22)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아도 지면(G)에 대한 기울기각(α)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2)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때에 후륜(9)의 접지 위치(Xa)로부터 족부(23)의 접지 위치(Xb)까지의 거리(D)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다리(22)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고 차체(2)를 기립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는 후륜(9)이 본 발명에 관한 차륜에, 후방 다리부(4)가 본 발명에 관한 다리부에 각각 상당한다. 단, 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탠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베이비 카는 절첩 상태의 차체를 기립 자세로 한 경우에 전륜 또는 후륜의 어느 한쪽이 접지하는 것이면 되고, 반드시 후륜이 접지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로크 기구는 상기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 기구에 설치된 해방 조작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형태는 지지 다리(22)에 설치된 로크 핀(30)의 양단부에 해방 조작 부재(60)가 설치된 것이다. 해방 조작 부재(60)는 로크 핀(30)과 일체이기 때문에, 해방 조작 부재(60)를 도 9의 화살표로 나타낸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에 조작함으로써 로크 핀(30)이 길이 방향에 이동하기 때문에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도 9의 해방 조작 부재(60)는 로크 핀(3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로크 기구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형태와는 상이한 해방 조작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형태는 지지 다리(22)의 중심선(CL)의 주위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 다리(22)의 외주에 장착된 파이프 형상의 해방 조작 부재(61)를 갖고 있다. 해방 조작부(61)에는 이것을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로크 핀(30)을 지지 다리(22)의 길이 방향 아래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안내 수단으로서의 나선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 구멍(62)은 실제로는 로크 핀(30)의 양단부에 1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도시의 편의상 전방측의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해방 조작 부재(61)에는 그 길이 방향에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63)가 둘레 방향에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미끄럼 방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형태에 의하면, 파이프 형상의 해방 조작 부재(61)를 지지 다리의 중심선(CL)의 주위에 회전시킴으로써 로크의 해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다른 형태와 비교하여 스페이스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는 해방 조작 부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각 형태에 관한 해방 조작 부재를 생략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로크 부재로서는 축 형상의 로크 핀인 것은 필수는 아니고 로크 부재의 형상은 임의이다. 로크 부재의 이동 방향이 지지 다리의 길이 방향에 설정되어 있는 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다리(22)의 회전 중심인 축선(Ax)의 방향에 관하여 지지 다리(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로크 부재(65)와 로크 부재(65)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66)을 갖는 로크 기구(64)를 구비한 형태로서 스탠드 장치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의 형태의 경우에는 로크 부재(65)의 이동 경로 내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면 베이스부(21)의 소정 위치에 로크벽(67)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로크 부재가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크 부재가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형태로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형태와는 상이한 로크 기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로크 기구(80)는 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핀(81)이 지지 다리(22)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됨과 함께 지지 다리(22)가 축선(Ax)의 주위에 회전 가능 또한 그 길이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21)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다리(22)에는 지지축(26)이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고 또한 길이 방향에 연장되는 긴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그 긴 구멍(82)에 지지축(26)이 삽입되어 그 지지축(26)이 베이스부(21)에 고정됨으로써, 지지 다리(22)가 축선(Ax)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길이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21)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로크 핀(81)이 소정 방향인 길이 방향에 관하여 베이스부(21)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지지 다리(22)를 도 12의 화살표로 나타낸 길이 방향에 직접 움직이게 함으로써 로크 기구(80)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로크 기구(80)에는 차체를 기립 자세로 유지하고 있는 한, 도시한 지지 위치에서 로크 핀(81)과 로크벽(35)이 맞부딪친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지면으로부터의 반력으로서 가해진다. 그 때문에, 로크 기구(80)에 대하여 전술한 압박 수단을 굳이 설치하지 않아도 로크 기구로서의 기능은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80)는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개수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1: 베이비 카
2: 차체
4: 후방 다리부(다리부)
9: 후륜(차륜)
20: 스탠드 장치
21: 베이스부
22: 지지 다리
23: 족부
24: 로크 기구
25: 지지 부재
26: 지지축
27: 벽부
28: 스페이서
30: 로크 핀(로크 부재)
31: 원호부
32: 지지 유닛(지지 수단)
35: 로크벽
36: 제1 유지홈(제1 유지부)
37: 제2 유지홈(제2 유지부)
46: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
55: 해방 조작 부재
56: 긴 구멍(안내 수단)
60: 해방 조작 부재
61: 해방 조작 부재
62: 나선 구멍(안내 수단)
64: 로크 기구
65: 로크 부재
66: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
67: 로크벽
80: 로크 기구
81: 로크 핀(로크 부재)
Ax: 축선
CL: 중심선
S1: 공간
S2: 내부 공간
2: 차체
4: 후방 다리부(다리부)
9: 후륜(차륜)
20: 스탠드 장치
21: 베이스부
22: 지지 다리
23: 족부
24: 로크 기구
25: 지지 부재
26: 지지축
27: 벽부
28: 스페이서
30: 로크 핀(로크 부재)
31: 원호부
32: 지지 유닛(지지 수단)
35: 로크벽
36: 제1 유지홈(제1 유지부)
37: 제2 유지홈(제2 유지부)
46: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
55: 해방 조작 부재
56: 긴 구멍(안내 수단)
60: 해방 조작 부재
61: 해방 조작 부재
62: 나선 구멍(안내 수단)
64: 로크 기구
65: 로크 부재
66: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
67: 로크벽
80: 로크 기구
81: 로크 핀(로크 부재)
Ax: 축선
CL: 중심선
S1: 공간
S2: 내부 공간
Claims (13)
- 차륜이 설치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차체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베이비 카에 적용되고, 상기 절첩 상태의 상기 차체를 상기 차륜이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가 위를 향한 기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리부에 고정된 베이스부와, 상기 차체의 좌우 방향에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설치 위치로부터 일방향에 연장되는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로 유지될 때에 접지하는 족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 다리의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경우에 상기 지지 다리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게 되는 지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 방향과 상이한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로크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차체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경우에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위를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로크 부재와 맞부딪치고,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대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지지 다리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와 이격하는 로크벽을 갖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회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됨과 함께,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벽이 맞부딪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대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더 갖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 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해방 조작 부재와, 상기 해방 조작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지지 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해방 조작 부재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에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로크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더 갖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와 상기 해방 조작 부재가 상기 축선의 방향에 연장되는 공통의 지지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소정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로크 부재를 압박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박 수단이 설치된 지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압박 수단과 함께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다리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지지 다리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상기 축선의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각 기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지지 다리의 상기 단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벽부로 규정되는 공간을 메우는 스페이서가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축선의 방향에 상기 지지 다리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소정 방향으로서의 상기 지지 다리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한 상대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다리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지지 다리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지지 다리와 함께 상기 소정 방향에 관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으로서의 상기 지지 다리의 길이 방향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족부가 접지하지 않는 자세로 상기 지지 다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에 맞물리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족부가 상기 다리부에 접근하는 자세로 상기 지지 다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로크 부재에 맞물리는 제2 유지부를 더 갖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호부를 갖고, 상기 원호부의 외주에는 상기 로크벽, 상기 제1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부는 상기 축선의 방향과 동일 방향에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의 길이보다도 긴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와 상기 족부는 1개의 막대 형상 부재가 L자형으로 구부려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77590A JP5613492B2 (ja) | 2010-08-06 | 2010-08-06 | ベビーカー用スタンド装置 |
JPJP-P-2010-177590 | 2010-08-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909A true KR20120013909A (ko) | 2012-02-15 |
Family
ID=4579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8137A KR20120013909A (ko) | 2010-08-06 | 2011-08-05 |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613492B2 (ko) |
KR (1) | KR20120013909A (ko) |
CN (1) | CN102372018B (ko) |
HK (1) | HK1163623A1 (ko) |
TW (1) | TW20121317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30134B (zh) * | 2017-02-24 | 2018-07-21 | 信博國際有限公司 | Anti-backward device for stroller |
CN114348099B (zh) * | 2021-11-24 | 2024-10-29 | 上海乐瑞婴童用品有限公司 | 一种可换向座位360°旋转收车结构及儿童载具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13181U (ko) * | 1984-12-28 | 1986-07-17 | ||
CN1107110A (zh) * | 1993-10-19 | 1995-08-23 |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制作所 | 幼儿用座 |
JP4812948B2 (ja) * | 2001-03-05 | 2011-11-09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 |
JP3494630B2 (ja) * | 2001-05-18 | 2004-02-09 | 株式会社カトージ |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
CN102514607B (zh) * | 2004-04-30 | 2015-09-30 | 贝贝漫步有限责任公司 | 折叠式婴儿车 |
CN200939896Y (zh) * | 2006-08-17 | 2007-08-29 |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 一种婴儿车收折关节控制机构 |
JP4994926B2 (ja) * | 2007-04-09 | 2012-08-08 | コンビ株式会社 | ベビーカー |
ATE440017T1 (de) * | 2007-07-13 | 2009-09-15 | Ming-Tai Huang | Zusammenklappbarer spielzeugwagen |
DE102007045068B3 (de) * | 2007-09-19 | 2009-04-02 |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 Kinder-Sportkarre |
-
2010
- 2010-08-06 JP JP2010177590A patent/JP5613492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8-05 TW TW100127962A patent/TW201213179A/zh unknown
- 2011-08-05 KR KR1020110078137A patent/KR201200139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8-05 CN CN201110228886.1A patent/CN10237201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5-02 HK HK12104304.9A patent/HK1163623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13179A (en) | 2012-04-01 |
JP5613492B2 (ja) | 2014-10-22 |
CN102372018B (zh) | 2015-10-14 |
JP2012035751A (ja) | 2012-02-23 |
CN102372018A (zh) | 2012-03-14 |
HK1163623A1 (en) | 2012-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75213B1 (en) | Stroller | |
CN107128350B (zh) | 一种折叠婴儿推车 | |
KR100794038B1 (ko) | 차량의 폴딩 시트 고정 장치 | |
US8002356B2 (en) | Pivoting headrest assembly with cam release | |
JP4271691B2 (ja) | 自動車シートをスライド可能にする格納式装置 | |
JP2013527080A (ja) | ベビーカーのためのブレーキシステム | |
KR101315793B1 (ko) | 시트의 회전장치 | |
JP5341914B2 (ja) | 格納式車両用シート | |
KR101651296B1 (ko) |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 |
US10752281B1 (en) |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
KR20120013909A (ko) | 베이비 카용 스탠드 장치 | |
JP5889936B2 (ja) | 中間復帰スライドウォークインを備えた車両シート装置 | |
JP2023530726A (ja) |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側面衝撃保護機構 | |
WO2014069067A1 (ja) | ヘッドレスト用倒伏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 |
KR101537923B1 (ko) | 접이식 자전거 | |
KR20130048901A (ko) | 무릎 충격 흡수를 위한 틸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 |
KR101651297B1 (ko) |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 |
KR101983676B1 (ko) |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 |
JP4133794B2 (ja) | ストッパ付きキャスター | |
JP3150111U (ja) | 両脚型の自転車用スタンド | |
CN112441102A (zh) | 婴儿车车架和婴儿车 | |
KR101988744B1 (ko) | 차량용 암레스트 장치 | |
CN216467454U (zh) | 一种汽车及其座椅 | |
CN106218451B (zh) | 锁具机构、汽车座椅和汽车 | |
JP6234985B2 (ja) | 手押し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