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119A -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2119A KR20100102119A KR1020107013392A KR20107013392A KR20100102119A KR 20100102119 A KR20100102119 A KR 20100102119A KR 1020107013392 A KR1020107013392 A KR 1020107013392A KR 20107013392 A KR20107013392 A KR 20107013392A KR 20100102119 A KR20100102119 A KR 20100102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oil spring
- frame
- support
- drive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6—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 F03G7/06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61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using shape memory elements
- F03G7/06143—Wi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고온 환경하에서도 양호한 구동을 행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그 때문에 구동 모듈(1)은, 가이드 돌기(4D)가 설치된 렌즈틀(4)과, 렌즈틀(4)을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모듈 하판(8)과, 렌즈틀(4)을 이동 자유롭게 수용하는 모듈 틀(5)을 가지는 지지체와, 렌즈틀(4)과 이 지지체의 사이에서 구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되며, 무부하 상태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과, 모듈 틀(5)의 통외주부에 당겨져 설치됨과 더불어, 중간부가 가이드 돌기(4D)에 걸려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10)와, 가이드 돌기(4D)에 일단에서 맞닿고,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10)에 통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4D)를 모듈 하판(8)에 맞대어 예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40)과,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타단을 지지하는 커버(1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광학계나 가동 부재를 구동하여, 초점 위치 조정을 행하거나, 액추에이터로서 이용하거나 하는데 적합하게 되는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부착 휴대전화 등의 소형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촬영 렌즈 유닛 등의 피구동체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모듈을 이용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모듈 및 전자 기기로서, 특허문헌 1에는, 렌즈군을 부착한 제1의 거울틀과, 제1의 거울틀을 고정함과 더불어 구동 방향을 따르는 가이드 축에 이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2의 거울틀과, 제2의 거울틀에 걸려 전류가 통전되면 수축하여 제2의 거울틀을 구동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와, 제2의 거울틀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밀기 위해 가이드 축을 따라 탄성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동 모듈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가이드 축을 이용해 제2의 거울틀을 구동하기 때문에, 접동 부하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합초(合焦) 속도를 높이는 등 양호한 구동 특성을 얻으려면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구동 부하의 증대에 연결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 가압력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무통전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가 약간량 신장된 상태, 혹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가 약간의 느슨함을 가지는 상태로 하여, 제2의 거울틀의 돌기부가, 나사의 머리부에 맞닿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전 개시시에는,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이 매우 작거나, 탄성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가이드 축의 부하가 어느 정도이어도 원활한 구동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형상 기억 합금은, 온도에 대한 변형량에 관해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한 구동을 행하기 위해서는, 1회의 구동을 행할 때마다 변태 개시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구동의 기준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한방향으로 구동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환경 온도가 형상 기억 합금의 변태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문제없이 동작하지만, 환경 온도가 형상 기억 합금의 변태 영역 내의 온도로 되면, 자연 방열에서는 변태 개시 온도 이하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전을 정지해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가 구동 개시시의 길이까지 신장하지 않게 된다.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어느 정도,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지만, 구동의 기준 위치 근방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이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완전하게 신장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온 환경하에서는, 구동의 기준 위치의 위치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구동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온 환경하에서도 양호한 구동을 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해지는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축선이 구동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기둥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 형상체의 측방에 돌출되는 돌기부가 설치된 피구동체와, 상기 피구동체를 상기 구동 방향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맞댐 지지부와, 상기 피구동체를 상기 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수용하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피구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무부하 상태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평행 판 스프링쌍과, 상기 지지체의 통외주부에 당겨져 설치됨과 더불어, 중간부가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걸려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와,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일단에서 맞닿고,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통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지지체의 맞댐 지지부에 맞대어 예압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와,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피구동체가, 지지체에 대해서, 무부하 상태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평행 판 스프링쌍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접동 가이드 등의 접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이용하는 일 없이, 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피구동체는,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통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 지지부에서 타단이 지지된 코일 스프링 부재에 의해, 돌기부의 일단이 예압된 상태로 맞댐 지지부에 맞대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환경 온도가 변태 개시 온도 이상이 됨으로써,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통전을 정지해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가 신장될 수 없는 경우이어도, 예압의 크기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해 놓음으로써,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신장시키게 하는 돌기부가 맞댐 지지부에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피구동체를 평행 판 스프링쌍에 의해 예압하는 일 없이, 코일 스프링 부재만에 의해 예압함으로써, 평행 판 스프링쌍만으로 피구동체를 예압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의 구동 방향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평행 판 스프링쌍의 제조나 조립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피구동체의 기둥 형상체는, 외형이 대략 기둥 형상인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중실(中實)의 기둥 형상체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심에 관통구멍 등이 설치된 통형상체 등도 포함된다. 또, 외형이 대략 기둥 형상인 한, 렌즈 조립체 등의 조립체 등도 포함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동 모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는, 상기 구동 방향을 따라 압축하여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단이, 상기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걸림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맞닿아진 구성으로 한다.
코일 스프링 부재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걸림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맞닿게 되므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합력과 코일 스프링 부재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이, 대략 일직선 상에 서로 작용하기 때문에,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구동력에 의한 피구동체로의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코일 스프링 부재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코일 스프링 부재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동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자연 길이의 1/3 이상의 상기 코일 스프링 지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조립시에 코일 스프링 부재의 넘어짐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모듈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듈을 구비하므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구비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듈을 구비하므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기판에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시 평면도, 및 그 모식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피구동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D시의 평면도, 및 E시의 이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틀의 모식적인 사시도, 및 그 F시의 이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판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하판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급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3(a)의 B-B선을 따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의 표면, 이면의 사시 외관도, 및 그 G-G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시 평면도, 및 그 모식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피구동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D시의 평면도, 및 E시의 이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틀의 모식적인 사시도, 및 그 F시의 이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판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하판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급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3(a)의 B-B선을 따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의 표면, 이면의 사시 외관도, 및 그 G-G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가 상이한 경우여도,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기판에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A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모식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피구동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b)는, 각각, 도 6에 있어서의 D시의 평면도, 및 E시의 이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틀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F시의 이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판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모듈 하판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급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에 이용하는 커버의 이면도이다.
또한, 일부의 도면에서는 보기 쉬움을 위해, 예를 들면, 렌즈 유닛(12) 등의 구성 부재를 적절히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모듈(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 모듈(1)은, 조립하여 완성된 것이, 전자 기기 등에 설치되고, 구동 모듈(1)에 제어 신호나 전력을 공급하는 기판(2) 상에 끼워넣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고정할 수 있다.
기판(2)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구동 모듈(1)의 급전 부재와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한 쌍의 랜드부(3), 및 촬상 소자(3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듈(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틀(4)(피구동체), 렌즈 유닛(12)(피구동체), 모듈 틀(5)(지지체), 평행 판 스프링쌍을 이루는 상판 스프링(6) 및 하판 스프링(7), 모듈 하판(8)(지지체), 급전 부재(9),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 이하, SMA로 약칭한다) 와이어(10), 커버(11), 및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주된 구성 부재로 하는 것이며, 이들 구성 부재가 일체로 적층됨으로써 1개의 액추에이터를 구성한다.
이들의 구성 부재의 조립 상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12)이 나사식 결합된 렌즈틀(4)은, 모듈 틀(5)의 안쪽에 삽입되고,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은, 이들 렌즈틀(4)과 모듈 틀(5)을 도시 상하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코킹에 의해 고정되며, 이들의 도시 하방측부터 모듈 하판(8), 급전 부재(9)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모듈 틀(5)의 하방부터, 코킹에 의해 각각 모두 고정되며, 이들의 적층체를 상방측에서 덮는 커버(11)가, 모듈 하판(8)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커버(11)와 렌즈틀(4)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M은, 렌즈 유닛(12)의 광축에 일치하는 구동 모듈(1)의 가상적인 축선이며, 렌즈틀(4)의 구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단을 위해, 분해된 각 구성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도, 조립시의 축선 M과의 위치 관계에 의거해, 위치나 방향을 참조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구성 부재에 명확한 원, 원통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오해의 우려가 없는 한, 축선 M을 따르는 방향을, 단순히 축방향, 축선 M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직경 방향, 둘레방향을, 단순히 직경 방향, 둘레방향, 혹은 축선 M에 대한 직경 방향, 둘레방향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하 방향은,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축선 M을 연직 방향으로 배치하고, 구동 모듈(1)의 장착면이 연직 하방이 되는 경우의 배치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들 구성 부재 중에서, 렌즈틀(4)은, 도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중앙을 관통하여, 축선 M에 동일 축에 형성된 통형상의 수용부(4A)의 내주면(4F)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4A)에는, 적절한 렌즈 또는 렌즈군을, 외주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거울통에 유지한 렌즈 유닛(12)(도 3(b), 도 5 참조)을 나사식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렌즈 유닛(12)이 렌즈틀(4)에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 유닛(12) 및 렌즈틀(4)은, 기둥 형상체의 피구동체를 구성하고 있다.
렌즈틀(4)의 외벽면(4B)에는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를 두고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4C)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이들 각 돌출부(4C)의 상단부, 하단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축선 M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단면(4a, 4b)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4a, 4b) 상에는, 축선 M을 따르는 상방 및 하방을 향해 각각 돌출하는 상측 고정핀(13A), 하측 고정핀(13B)이, 각각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측 고정핀(13A)은 상판 스프링(6)을, 하판 고정핀(13B)은 하판 스프링(7)을, 각각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측 고정핀(13A) 및 하측 고정핀(13B)의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는, 각각 상이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 M에 평행한 4개의 축선에 각각 동일 축이 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에 있어서의, 상측 고정핀(13A), 하측 고정핀(13B)의 삽입 통과 위치는, 각각 공통화되어 있다.
또, 상측 고정핀(13A) 및 하측 고정핀(13B)의 직경 방향의 각 중심 위치는, 축선 M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중심 위치는 정방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7(a), (b) 참조).
렌즈틀(4)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1개의 돌출부(4C)의 근방의 하단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 돌기(4D)(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D)의 돌출 방향은, 각 상측 고정핀(13A) 및 각 하측 고정핀(13B)의 축선 M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의 각도 위치는, 90도의 정수배로부터 각도 θ(단, θ는 예각)만큼 어긋나게 된 위치 관계로 설정된다. 즉, 가이드 돌기(4D)가, 정방형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었을 때, 각 상측 고정핀(13A) 및 각 하측 고정핀(13B)은, 모두 정방형의 대각선으로부터 일정 각도 θ만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D)의 선단에는, 평면에서 볼 때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선단 열쇠부(4D1)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커버(11)의 내측의 각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b),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4D)의 하면에는, SMA 와이어(10)가 하방으로부터 걸려져 있다.
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4D)의 상면인 돌기 상면(4d)의 선단측에는, 걸림 돌기(4f)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돌기(4f)의 위치는, SMA 와이어(10)의 걸림 위치에 대해서 축선 M에 대한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SMA 와이어(10)의 걸림 위치와 대략 일치되어 있다.
걸림 돌기(4f)의 외경은,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내주부에 삽입 가능하고, 기단부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내주부에 대략 내접하는 것과 같은 크기가 된다. 이것에 의해, 걸림 돌기(4f)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단부를 돌기 상면(4d) 상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축선 M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 돌기(4f)의 높이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자연 길이의 1/3 이상의 높이로 한다. 이것에 의해, 조립시,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타단이 지지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넘어지는 일 없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6, 도 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틀(4)의 외벽면(4B)의 하부를 따라, 각 돌출부(4C)의 측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돌기형상의 접촉부(4E)가 설치되어 있다. 단, 가이드 돌기(4D)를 근방에 가지는 돌출부(4C)의 접촉부(4E)는, 가이드 돌기(4D)의 기단부를 겸하고 있다.
각 접촉부(4E)는 그 상면에 평활한 접촉면(4e)을 가지며, 접촉면(4e)의 축방향의 위치는, 렌즈틀(4)이 축선 M을 따라, 상방(도 3(b) 및 도 5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에, 후술하는 모듈 틀(5)의 접촉 받침부(5E)(도 8 (b) 참조)에 맞닿는 위치로 설정된다.
또, 렌즈틀(4)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 코킹 또는 초음파 코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액정 폴리머(LCP)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모듈 틀(5)은, 도 2,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중앙부에, 축선 M에 동일 축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5A)(통형상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이며, 이 수용부(5A) 내에 렌즈틀(4)이 수용된다.
모듈 틀(5)의 상부 및 하부의 네 귀퉁이에는, 축선 M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단면(5a, 5b)이 형성되고, 단면(5a)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상측 고정핀(14A)이, 또 단면(5b)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하측 고정핀(14B)이, 각각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측 고정핀(14A)은 상판 스프링(6)을, 하측 고정핀(14B)은 하판 스프링(7), 모듈 하판(8), 급전 부재(9)를, 각각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면(5a, 5b) 사이의 거리는, 렌즈틀(4)의 단면(4a, 4b) 사이의 거리와 동일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모듈 틀(5)의 한 귀퉁이의 하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의 홈 폭이 렌즈틀(4)의 가이드 돌기(4D)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는 크기를 가지는 절결(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5B)은, 렌즈틀(4)을 모듈 틀(5) 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수용한 상태에서, 렌즈틀(4)의 가이드 돌기(4D)를 관통시켜, 가이드 돌기(4D)의 선단 열쇠부(4D1)를 모듈 틀(5)의 직경 방향 외부에 돌출시킴과 더불어, 렌즈틀(4)의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위치에 절결(5B)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5B) 근방의 하측 고정핀(14B)은, 절결(5B)을 피해 축선 M과 외형의 귀퉁이부의 교점인 점 Q1, Q2를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다른 3개의 하측 고정핀(14B)은, 각각 축선 M과 외형의 귀퉁이부의 교점을 연결하는 선 상, 혹은 이 선에 의해 근접하여 설치되고, 모듈 틀(5)의 외형을 따르는 L자 형상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하측 고정핀(14B)은, 평면에서 볼 때 비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측 고정핀(14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는, 하측 고정핀(14B)의 배치와 상이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축선 M에 평행한 4개의 축선에 각각 동일 축이 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에 있어서의, 상측 고정핀(14A), 하측 고정핀(14B)의 삽입 통과 위치는, 각각 공통화되어 있다.
그리고,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모듈 틀(5)의 측면의 교점을 Q1, Q2, Q3, Q4로 하면, 각 상측 고정핀(14A), 각 하측 고정핀(14B)의 축 중심은, 각각 점 Q1, Q2, Q3, Q4의 근방에 있으며, 또한, 점 Q1, Q2, Q3, Q4와 축선 M을 연결하는 선분 K1, K2, K3, K4의 선 상 또는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상측 고정핀(14A), 각 하측 고정핀(14B)의 축 중심과 축선 M을 연결하는 선분 k1, k2, k3, k4는, 선분 K1, K2, K3, K4와 겹치거나, 30도 이하 정도의 얕은 각도로 교차되어 있다.
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틀(5)의 절결(5B)에 인접하는 2개의 귀퉁이부에는, 절결(5B)이 설치된 귀퉁이부와 동일 방향측의 측면에 있어서, SMA 와이어(10)를 유지하는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도 2, 4 참조)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 홈(5C)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유지 부재(15A)는, 구동 모듈(1)로부터 급전 부재(9)의 한 쌍의 단자부(9C)가 돌출되는 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와이어 유지 부재(15B)는, 구동 모듈(1)로부터 급전 부재(9)의 한 쌍의 단자부(9C)가 돌출되지 않은 쪽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는, 단부에 SMA 와이어(10)의 단부를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열쇠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 등의 도전성 부재이며, 걸림 홈(5C)에 측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SMA 와이어(10)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MA 와이어(10)의 코킹 위치와 반대측에 편형상의 단자부(15a)를 구비하고, 모듈 틀(5)에 대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단자부(15a)가 모듈 틀(5)의 하방에 적층된 모듈 하판(8)의 하방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에 의해 양단이 유지된 SMA 와이어(10)는, 모듈 틀의 절결(5B)로부터 돌출된 렌즈틀(4)의 가이드 돌기(4D)의 선단 열쇠부(4D1)에 하방으로부터 걸리고, SMA 와이어(10)의 장력에 의해, 선단 열쇠부(4D1)를 개재하여, 렌즈틀(4)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모듈 틀(5)의 수용부(5A) 내에는,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면(5D)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고, 축방향에는 하단측부터 상단측의 중간부까지 형성된 오목부인 접촉 받침부(5E)가, 렌즈틀(4)의 각 접촉부(4E)를 하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단, 가이드 돌기(4D)를 겸하는 접촉부(4E)에 대한 접촉 받침부(5E)는, 절결(5B)의 홈저부에 의해 겸용되어 있다.
접촉 받침부(5E)는, 축방향의 하방측에, 접촉부(4E)의 접촉면(4e)을 맞닿음 가능한 받침면(5E1)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렌즈틀(4)이 그 축선 M을 따라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각 접촉 받침부(5E)의 받침면(5E1)이, 각각 각 접촉부(4E)의 접촉면(4e)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렌즈틀(4)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접촉 받침부(5E)는, 렌즈틀(4)의 상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구성하고, 접촉부(4E)는, 모듈 틀(5)의 위치 규제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설치된 피위치 규제부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받침부(5E)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성 위치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5A)의 중심(축선 M)으로부터, 모듈 틀(5)의 직사각형 형상 외형의 귀퉁이부를 향하는 선분 K1, K2, K3, K4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구동 모듈을 낙하시키는 등 하여,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더해졌다고 해도, 렌즈틀(4)은, 접촉 받침부(5E)의 받침면(5E1)의 위치를 초과하는 상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규제 위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틀(4)이 커버(11)에 충돌하지 않고, 또한,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변형이, 예를 들면, 탄성 한계나 코일의 밀착 길이 등의 변형 한계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접촉 받침부(5E)가, 수용부(5A)의 중심으로부터, 모듈 틀(5)의 직사각형 형상 외형의 귀퉁이부를 향하는 선분 K1, K2, K3, K4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 틀(5)에 있어서, 수용부(5A)부터 직사각형 형상 외형의 귀퉁이부까지의 직경 방향의 영역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촉 받침부(5E)를 모듈 틀(5)의 내측에 설치해도, 모듈 틀(5)의 외형을 증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 모듈 틀(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틀(4)과 마찬가지로, 열 코킹 또는 초음파 코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액정 폴리머(LCP)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모듈 틀(5) 및 모듈 틀(5) 내에 삽입된 렌즈틀(4)의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틀(5)의 단면(5a), 렌즈틀(4)의 단면(4a)에는, 상판 스프링(6)이, 모듈 틀(5)의 단면(5b), 렌즈틀(4)의 단면(4b)에는, 하판 스프링(7)이,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 스프링(6) 및 하판 스프링(7)은 동일 형상으로 펀칭된 평판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이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SUS) 강판 등의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판 스프링(6)(하판 스프링(7))의 형상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모듈 틀(5)의 상측(하측)의 단부와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중앙부에 축선 M과 동일한 축에서, 렌즈틀(4)의 내주면(4F)보다 조금 큰 원형상의 개구(6C(7C))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판 스프링(6)(하판 스프링(7))의 3개의 귀퉁이부 및 1개의 귀퉁이부 근방에는, 모듈 틀(5)의 귀퉁이부 및 1개의 귀퉁이부 근방에 형성된 상측 고정핀(14A)(하측 고정핀(14B))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각 상측 고정핀(14A)(하측 고정핀(14B))에 각각 삽입 통과 가능한 4개의 관통구멍(6B(7B))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b)에 있어서의 점 Q2, Q4에 대응하는 귀퉁이부에 형성된 상측 고정핀(14A)(하측 고정핀(14B))을 삽입 통과하는 관통구멍(6B(7B)) 중, 한쪽이 기준원 구멍, 다른쪽이 소판 구멍이 되고, 모듈 틀(5)에 대한 축선 M에 직교하는 평면 내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판 스프링(6)(하판 스프링(7))에는, 렌즈틀(4)에 형성된 상측 고정핀(13A)(하측 고정핀(13B))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각 상측 고정핀(13A)(하측 고정핀(13B))에 각각 삽압 통과 가능한 4개의 관통구멍(6A(7A))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관통구멍(6A(7A))은, 도 8(b)에 있어서의 선분 K1에 대응하는 직선 L1에 대해서, 90도의 정수배로부터 각도 θ만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관통구멍(6A(7A))이 설치된 부분은, 개구(6C(7C))를 따르는 원환부(6F(7F))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배치로서 각도 θ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관통구멍(6A(7A))이 위치하는 축선 M을 중심으로 한 원의 원 직경과, 관통구멍(6B(7B))이 배치되는 축선 M을 중심으로 한 원의 원 직경과의 직경의 차가, 각도 θ가 0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작아지도록 각각의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 개구(6C(7C))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축선 M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 방향으로 대향하는 관통구멍(6A(7A))의 근방 위치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슬릿(6D(7D))이 원환부(6F(7F))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각각, 대략 4분 원호씩 직경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판 스프링(6)(하판 스프링(7))의 외측의 직사각형 형상 틀로부터, 대략 4분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4개의 스프링부(6E(7E))가, 각각 1개씩 관통구멍(6A(7A)) 근방에 연장된 판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직사각형 형상의 틀에 대해서, 원환부(6F(7F))가, 4개의 스프링부(6E(7F))에 의해, 4개소에서 균등하게 탄성 지지되는 판 스프링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 하판(8)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틀(5)의 각 하측 고정핀(14B)을 하판 스프링(7)의 관통구멍(7B)에 관통시킴과 더불어, 모듈 틀(5) 내에 수용한 렌즈틀(4)의 각 하측 고정핀(13B)을 하판 스프링(7)의 관통구멍(7A)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모듈 틀(5)과의 사이에서, 하판 스프링(7)을 하방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적층하고, 하판 스프링(7)의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틀을 모듈 틀(5)의 단면(5b)에 대해서 밀착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모듈 하판(8)의 형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틀(5)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 외형을 가지는 판 형상 부재이며, 중앙부에 축선 M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 형상의 개구(8A)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8A)에는, 렌즈틀(4)의 각 하측 고정핀(13B)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하판 스프링(7)을 적층시키는 상면(8a)으로부터 이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4개의 U자 형상의 릴리프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렌즈 틀(4)의 코킹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구(8A)의 원형부의 내경은, 하판 스프링(7)의 개구(7C)의 내경과 동등 혹은 보다 작은 직경이 되고, 상면(8a)은, 하판 스프링(7)의 스프링부(7E), 원환부(7F)도 맞댐 가능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돌기(4D)가, 하판 스프링(7)을 개재하여, 맞대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듈 하판(8)은 맞댐 지지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모듈 틀(5)과 함께 지지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 모듈 하판(8)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각 귀퉁이부에는 모듈 틀(5)의 각 하측 고정핀(14B)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이들 하측 고정핀(14B)을 각각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모듈 하판(8)의 하면(8b)에는, 개구(8A)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볼록부(8D)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D)의 단면(8c)은, 기판(2)에 맞닿게 하는 장착면을 구성하고 있고, 기판(2)에 대한 축선 M 방향, 즉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스페이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볼록부(8D)의 단면(8c)과 하면(8b)의 사이의 단차는, 하면(8b)에 급전 부재(9)를 코킹하여 조립했을 때에, 이 코킹부보다 하방측에 돌출되는 것과 같은 높이로 설정된다.
모듈 하판(8)의 재질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듈 하판(8)은, 급전 부재(9)를 하판 스프링(7)에 대해서 전기적 절연 상태로 고정하는 절연 부재가 되어 있다. 또, 단면(8c)이 맞닿는 기판(2)에 대해서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도 되어 있다.
급전 부재(9)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판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9a, 9b)으로 이루어진다.
전극(9a, 9b)은, 모두, 모듈 하판(8)의 외형을 따르는 대략 L자 형상의 배선부(9B)와, 배선부의 단부로부터 모듈 하판(8)의 외형의 외측에 돌출하는 단자부(9C)를 구비하는 접힌 선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배선부(9B)에는, 모듈 하판(8)의 하면(8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모듈 틀(5)의 하측 고정핀(14B) 중, 모듈 하판(8)의 외형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하측 고정핀(14B)을, 각각 삽입 통과시켜, 전극(9a, 9b)을 모듈 틀(5)에 대해서 위치 결정을 행하는 2개의 관통구멍(9A)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9a, 9b)의 단자부(9C)는, 모듈 틀(5)에 있어서, 와이어 유지 부재(15A)가 장착된 측의 측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병렬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9a)에는, 관통구멍(9A)과 단자부(9C) 사이의 배선부(9B) 상의 측면에, 와이어 유지 부재(15A)의 단자부(15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절결된 도전 접속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극(9b)에는, 2개의 관통구멍(9A) 사이의 배선부(9B) 상의 측면에, 와이어 유지 부재(15B)의 단자부(15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절결된 도전 접속부(9D)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도전 접속부(9D)를, 단자부(15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납땜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채용할 수 있다.
커버(11)는, 도 1,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11E)의 외연부로부터 하방측에, 모듈 틀(5)을 밖에서 끼움 가능하게 덮는 측벽부(11D)가 연장되고, 하방측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1C)가 형성된 부재이며, 상면(11E)의 중앙부에 축선 M을 중심으로 한 원형상의 개구(11A)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11A)의 크기는, 렌즈 유닛(12)을 출납 가능한 크기가 된다.
또, 상면(11E)의 이면측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1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렌즈틀(4)의 각 상측 고정핀(13A)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코킹부(1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4개의 U자 형상의 오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B)의 깊이는, 접촉면(4e)과 받침면(5E1)이, 맞닿은 위치에서도, 코킹부(16)와 커버(11)가 접촉하지 않는 깊이로 설정한다. 오목부(11B)는, 상면(11E)의 상방에 장출하는 오목부라고 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1B)의 두께를 얇은 두께로 하여, 상면(11E)의 외표면을 평면으로 하고 있다.
상면(11E)의 이면측의 1개의 귀퉁이부에는, 조립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틀(5)에 장착된 상판 스프링(6)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형상의 코일 스프링 지지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면(11a) 상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렌즈틀(4)의 걸림 돌기(4f)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구멍(11b)의 내경은,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내부에 삽입 가능하고, 기단부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외주부에 대략 내접하는 것과 같은 크기가 된다. 이것에 의해, 걸림구멍(11b)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하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단부를 코일 스프링 지지부(11a)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축선 M에 대한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가이드 돌기(4D)의 걸림 돌기(4f)를, 내주부에 삽입 가능한 내경과 걸림구멍(11b)의 내주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가지고 있고, 걸림 돌기(4f), 걸림구멍(11b)이 양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D)의 돌기 상면(4d)과, 커버(11)의 코일 스프링 지지부(11a)에, 축선 M을 따르는 방향으로 맞닿아지며, 압축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렌즈틀(4)이 구동되는 모든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권취 수로 제작되어 있으며, 돌기 상면(4d)과 코일 스프링 지지부(11b)의 사이의 거리에 따른 탄성력이, 돌기 상면(4d), 코일 스프링 지지부(11ba)에 각각 탄성 가압된다.
걸림 돌기(4f)는, SMA 와이어(10)의 걸림 위치와 겹쳐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으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점은, SMA 와이어(10)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점에 대해서, 축선 M에 평행한 대략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부착시의 길이는, Hmax(도 3(b) 참조)~Hmin(도 13 참조)이 된다. 이것에 의해, 돌기 상면(4d)에 Fmin~Fmax의 하중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중 Fmin의 크기는, SMA 와이어(10)가 무통전 상태로 냉각되는 과정에 있어서, 온도 Te에 대응하는 수축 상태의 SMA 와이어(10)를, SMA 와이어(10)의 초기 길이로까지 신장 가능한 하중이며, 또한, SMA 와이어(10)에 통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4D)를 하판 스프링(7)이 장착된 모듈 하판(8)에 맞대어 예압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한다. 여기서, 온도 Te는, 구동 모듈(1)이 사용 조건에 있어서의 최대의 허용 환경 온도이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스프링 정수 kc는, △F=(Fmax-Fmin)의 크기가, Fmin 에 대해서 충분히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0.1≤△F/F min≤1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 모듈(1)은, 이하의 절차로 조립된다.
우선, 모듈 틀(5)의 수용부(5A) 내에 하방으로부터 렌즈틀(4)을 삽입하고, 모듈 틀(5)의 각 단면(5a)과, 렌즈틀(4)의 단면(4a)을 동일 높이로 가지런히 한다. 그리고, 모듈 틀(5)의 각 상측 고정핀(14A)과 렌즈틀(4)의 각 상측 고정핀(13A)에, 상판 스프링(6)의 각 관통구멍(6A, 6B)을 각각 삽입 통과시킨다.
그 후, 상판 스프링(6)의 각 관통구멍(6A, 6B)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각 상측 고정핀(14A, 13A)의 선단부를, 도시하지 않는 히터 칩에 의해 열 코킹하여, 각각 코킹부(16, 17)(도 3(b), 도 4, 도 5 참조)를 형성한다. 또한, 초음파 코킹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히터 칩을 대신해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다(이하의 열 코킹도 마찬가지).
다음으로, 렌즈틀(4)의 각 하측 고정핀(13B)에, 하판 스프링(7)의 각 관통구멍(7A)을 각각 삽입 통과시킨다. 이 때, 동시에 모듈 틀(5)의 각 하측 고정핀(14B)에, 하판 스프링(7)의 각 관통구멍(7B), 모듈 하판(8)의 각 관통구멍(8C), 급전 부재(9)의 각 관통구멍(9A)을 삽입 통과시킨다. 그 후, 하판 스프링(7)의 각 관통구멍(7A)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각 하측 고정핀(13B)의 선단부를, 히터 칩에 의해 열 코킹하여, 코킹부(18)(도 5 참조)를 형성한다. 모듈 하판(8)에는, 릴리프부(8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킹부(18)는, 모듈 하판(8)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들 관통구멍(7B, 8C, 9A)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각 하측 고정핀(14B)의 하단부를, 히터 칩에 의해 열 코킹하여, 코킹부(19)(도 3(b) 참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틀(4)과 모듈 틀(5)의 양단부에,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 모듈 하판(8), 급전 부재(9)가 적층 고정된다. 이 때, 무부하 상태에서는,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의 각 스프링부(6E, 7E)는, 각각 단면(4a, 4b)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평행이 되어 있다. 그리고, 단면(4b)에 밀착된 하판 스프링(7)의 원환부(7F)는, 모듈 하판(8)의 상면(8a)에 밀착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SMA 와이어(10)가 선단에 장착된 한 쌍의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를, 모듈 틀(5)의 2개소의 걸림 홈(5C)에 각각 걸고, 예를 들면, 끼워 맞춤이나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모듈 틀(5)에 유지, 고정한다. 그 때, SMA 와이어(10)의 중앙부를, 가이드 돌기(4D)의 선단 열쇠부(4D1)에 걸고, 또한 이 선단 열쇠부(4D1)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걸친다.
이 때,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의 각 단자부(15a)는, 모듈 하판(8)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각각, 모듈 하판(8)에 고정된 급전 부재(9)인 전극(9a, 9b)의 도전 접속부(9D)에 걸리거나, 혹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납땜이나 도전성 접착제 등을 이용해, 각 단자부(15a)를, 각각 도전 접속부(9D)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다음으로, 돌기 상면(4d)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외부 삽입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일단을 돌기 상면(4d)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모듈 틀(5)의 상방으로부터, 커버(11)를 씌운다. 이것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타단이 걸림구멍(11b)의 내주측에 삽입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걸려진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압축되며, 돌기 상면(4d)과 코일 스프링 지지부(11b)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따라서, 다음으로, 측벽부(11D)와 모듈 하판(8)을 접합한다. 예를 들면, 측벽부(11D)에 걸어맞춤 손톱 등을 설치하여 박아넣음에 의해 접합하거나, 측벽부(11D)와 모듈 하판(8)을 접착, 또는 용착(溶着)하여 접합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자연 길이 HO로부터 길이 Hmax로 압축되며, 가이드 돌기(4D)를, 원환부(7F)를 개재하여, 모듈 하판(8)의 상면(8a)에, 하중 Fmin으로 예압하는 상태로 부착된다.
이 때, 코킹부(16, 17)는, 각각 커버(11)의 상면(11E)의 이면에 대해서, 이간된 상태에 있다.
이상으로, 구동 모듈(1)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서, 구동 모듈(1)의 단자부(9C)를, 기판(2) 상의 랜드부(3)(도 1 참조)에 위치 맞춤하여, 구동 모듈(1)을 기판(2) 상에 장착한다. 그리고, 납땜 또는 도전성 접착재 등의 수단에 의해, 단자부(9C)를 랜드부(3)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 코킹부(19)는, 모듈 하판(8)의 볼록부(8D)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기판(2)과는 이간되어 있다.
구동 모듈(1)의 기판(2) 상에의 장착은, 접착, 끼워 넣기 등의 고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기판(2)은, 구동 모듈(1)에 부속되는 독립한 부재여도 되고, 전자 기기 등에 접속, 배치된 부재여도 된다.
다음으로, 커버(11)의 개구(11A)를 통해서 렌즈틀(4) 내에 렌즈 유닛(12)을 나사식 결합하여 장착한다.
이와 같이, 렌즈 유닛(12)을 마지막으로 장착하고 있는 것은, 조립 작업에 의해, 렌즈 유닛(12)의 렌즈가 더러워지거나, 쓰레기 등이 부착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예를 들면, 구동 모듈(1)을 렌즈 유닛(12)이 장착된 제품 상태로 출하하는 경우나, 커버(11)의 개구(11A)를 렌즈 유닛(12)의 외형보다 작게 하고 싶은 경우, 예를 들면 개구 조임을 겸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등에는, 미리 렌즈틀(4)에 나사식 결합하여 놓고, 상기의 조립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동 모듈(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3(a)의 B-B선을 따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구동 모듈(1)은, 단자부(9C)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예압되어 있기 때문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12)이 장착된 렌즈틀(4)의 단면(4b)이, 원환부(7F)를 개재하여, 모듈 하판(8)의 상면(8a)에 맞대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렌즈틀(4)이, 구동의 기준 위치에 위치 놓여진다. 이 기준 위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촬상 소자(30)에 대한 렌즈 유닛(12)의 초점 위치가 무한원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자부(9C)로부터 급전 부재(9)에 전력을 공급하면, 전극(9a), 와이어 유지 부재(15A), SMA 와이어(10), 와이어 유지부(15b), 전극(9b)은, 각각 도통되어 있기 때문에, SMA 와이어(10)에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SMA 와이어(10)에 줄열이 발생하여, SMA 와이어(10)의 온도가 상승하고, SMA 와이어(10)의 변태 개시 온도를 초과하면, SMA 와이어(10)가 가열시의 온도 변형 특성에 따른 길이로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렌즈틀(4)이, 상방(도면 중의 (가)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의 스프링부(6E, 7E)가, 각각 변형하고, 변형량에 따른 탄성 복원력이, 원환부(6F, 7F)를 개재하여, 렌즈틀(4)에 탄성 가압된다. 이 때,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은, 무부하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되고, 각 스프링부(6E, 7E)가 축선 M 방향으로 등거리를 유지하여 변형하기 때문에, 평행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으며, 렌즈틀(4)은, 축선 M을 따라 평행 이동하게 된다.
또, 가이드 돌기(4D)의 이동에 수반해,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압축되고, 압축량에 따른 탄성 복원력이, 가이드 돌기(4D)에 탄성 가압된다. 이 때, 압축 코일 스프링(40)으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점과, SMA 와이어(10)로부터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점은, 축선 M에 평행한 대략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렌즈틀(4)에 대한 힘의 모멘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에 의한 힘에 비해 큰 힘이 작용해도, 렌즈틀(4)의 이동 자세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틀(4)이, 축선 M을 따라 평행 이동하고, 이들의 탄성 복원력이 SMA 와이어(10)의 장력과 균형이 잡히는 위치에서, 렌즈틀(4)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에 의해, 접동 부하가 발생하는 축방향의 가이드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렌즈틀(4)을 정확하게 축선 M 상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면, SMA 와이어(10)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SMA의 냉각시의 온도 변형 특성에 따라, 신장 변형해 가고, 렌즈틀(4)은, 하방(도면 중의 (나)방향)의 균형 위치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기준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하여, 전력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렌즈틀(4)을 축선 M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 상이한 위치에 구동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렌즈틀(4)을 기준 위치에 되돌리고 나서, 재차, 구동량에 따른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SMA 와이어(10)가 가열시와 냉각시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것임에도 관계없이, 상이한 위치에 정확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구동 모듈(1)이, 변태 개시 온도 이상의 환경 온도 T의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준 위치에서 피구동체를 예압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서는, 통전을 정지해도, SMA 와이어(10)의 온도가, 온도 T보다 낮게 되지 않기 때문에, 자연 방열에서는, 렌즈틀(4)을 기준 위치에 되돌릴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반복하여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 정확한 구동을 행할 수 없어진다. 물론 환경 온도 T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통전에 의한 구동 그 자체가 곤란하게 되지만, SMA의 온도 변형 특성은, 가열시와 냉각시에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열시의 구동에는 지장이 없는 환경 온도 T여도, 냉각시의 복귀 위치가 기준 위치에 대해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어긋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반복 구동 동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40)에 의한 예압 하중 Fmin가, SMA 와이어(10)의 냉각시의 온도 Te에 대응하는 수축량의 SMA 와이어(10)를 기준 위치의 길이로까지 신장 가능한 크기로 하고 있으므로, 환경 온도 T가 Te보다 작은 한, 렌즈틀(4)을 확실히 기준 위치까지 되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고온의 환경하에서, 구동 모듈(1)을 이용했다고 해도, 양호한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렌즈틀(4)을 기준 위치에 예압하기 위한 탄성 가압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은, 렌즈틀(4)의 이동 방향, 이동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판 스프링(6), 하판 스프링(7)에, 예압 기능을 갖게 하려고 하면, 기준 위치에서, 어느 것을 휘게 해 둘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축선 M 방향으로 변형하게 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구동 모듈(1)의 두께가 증대한다. 또, 판두께나 스프링 길이는 코일 스프링에 비해 변경의 자유도가 적기 때문에, 예압 하중이나 스프링 정수를 불균일 없이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선 직경, 권취 수, 스프링 길이 등의 조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예압 하중이나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구동 모듈(1)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b)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의 표면, 이면의 사시 외관도이다. 도 14(c)는, 도 14(b)에 있어서의 G-G 단면도이다.
도 14(a), (b)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20)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구동 모듈(1)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일례이다.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20)는, 수화부(22a), 송화부(22b), 조작부(22c), 액정 표시부(22d), 안테나부(22e),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부 등의 주지의 휴대전화의 장치 구성을 커버(22) 내외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22d)가 설치된 측의 이면측인 커버(22)에, 외광을 투과시키는 창(22A)이 설치되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듈(1)의 개구(11A)가 커버(22)의 창(22A)을 임하고, 창(22A)의 법선 방향으로 축선 M이 따르도록,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구동 모듈(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듈(1)은, 기판(2)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판(2)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부에 접속되며, 구동 모듈(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창(22A)을 투과한 광을 구동 모듈(1)의 도시하지 않는 렌즈 유닛(12)에서 집광하여, 촬상 소자(30) 상에 결상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모듈(1)에 제어 회로부로부터 적절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렌즈 유닛(12)을 축선 M 방향으로 구동하고, 초점 위치 조정을 행하여,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20)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구동 모듈(1)을 구비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조가 용이한 장치가 됨과 더불어, 고온 환경에서 사용해도, 정확한 합초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이용했을 경우의 예로 설명했지만, 인장 코일 스프링을 이용해, 가이드 돌기(4D)를 모듈 하판(8)측에 인장하여, 예압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구동 모듈의 조립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의 구동 모듈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대신해, 선단측에 가요성을 가지는 인장 와이어(41a)가 설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41)(코일 스프링 부재)을 구비한다. 또, 렌즈틀(4)의 걸림 돌기(4f)를 대신해, 인장 와이어(41a)의 선단을 거는 와이어 걸림부(42a)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 가이드 돌기(4D)와 겹치는 위치의 모듈 하판(8)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에 인장 와이어(41a)를 접동 가능하게 둘러 걸고, 인장 와이어(41a)의 인장 방향을 바꾸기 위한 걸림 돌기(8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모듈 틀(5)을 대신해, 모듈 틀(5)의 측면에 SMA 와이어(10)가 당겨져 설치된 측면에 스프링 수납 홈(50a)을 설치한 모듈 틀(50)(지지체)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인장 와이어(41a)의 선단을 걸림 돌기(4f)에 걸고, 이 인장 와이어(41a)가 가이드 돌기(4D)의 측면의 가이드 홈에 안내되어, 걸림 돌기(80)에 둘러 걸어져 모듈 틀(5)의 측면측에 인장 방향이 변경된 상태에서, 모듈 틀(50)의 스프링 수납 홈(50a)에 신축 가능하게 수납되며, 인장 와이어(41a)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모듈 틀(50)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구성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41)은, 모듈 틀(50)의 측방의 스프링 수납 홈(50a)에 컴팩트하게 수납된 상태에서 도시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되고, 인장 와이어(41a)를 개재하여, 가이드 돌기(4D)를 모듈 하판(8)측에 도시 하방측으로 인장하여 예압하고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모듈 하판(8), 급전 부재(9)를 구비하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삭제한 구성이라고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모듈 틀(5)에 맞댐 지지부를 일체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모듈 하판(8)은 삭제해도 된다.
또, 와이어 유지 부재(15A, 15B)에 직접 배선하거나, 적절한 급전 부재를 모듈 틀(5)의 측면에 설치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급전 부재(9)는 생략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급전 부재(9)를 모듈 하판(8)에 적층시키지 않는 경우 등, 전기 절연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듈 하판(8)은, 전기 절연체가 아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조립에 열 코킹 또는 초음파 코킹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지만, 상측 고정핀(13A, 14A), 하측 고정핀(13B, 14B) 등을, 나사부에 옮겨놓아 나사 고정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하여 조립해도 된다. 이 경우, 피구동체, 지지체의 재질은, 코킹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모듈 틀(5)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로서 설명했지만, 대략 직사각형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직사각형 형상의 귀퉁이부는, 다각형상의 귀퉁이부에 옮겨놓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급전 부재는, 전극(9a, 9b)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지만, 급전 부재는, 2계통의 배선이 형성된, 1개의 프린트 기판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구동 모듈을 렌즈 유닛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에 이용하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지만, 구동 모듈의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구동체를 목표 위치에 이동시키는 적절한 액추에이터로서 다른 부분에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렌즈 유닛(12)을 대신해, 로드 부재 등을 나사식 결합하거나, 렌즈틀(4)을 다른 형상으로 바꾸거나 하여, 적절한 액추에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구동 모듈을 이용한 전자 기기로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의 예로 설명했지만, 전자 기기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PC 내장의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이용해도 되고, 정보 독취 기억 장치나 프린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피구동체를 목표 위치에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설명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 축선이 구동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기둥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 형상체의 측방에 돌출하는 돌기부가 설치된 피구동체와,
상기 피구동체를 상기 구동 방향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맞댐 지지부와, 상기 피구동체를 상기 구동 방향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수용하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피구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무부하 상태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평행 판 스프링쌍과,
상기 지지체의 통외주부에 당겨져 설치됨과 더불어, 중간부가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걸려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와,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일단에서 맞닿고,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통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지지체의 맞댐 지지부에 맞대어 예압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와,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는,
상기 구동 방향을 따라 압축하여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단이, 상기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걸림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맞닿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체의 상기 돌기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자연 길이의 1/3 이상의 상기 코일 스프링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018952 | 2008-01-30 | ||
JPJP-P-2008-018952 | 2008-0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2119A true KR20100102119A (ko) | 2010-09-20 |
Family
ID=4091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3392A KR20100102119A (ko) | 2008-01-30 | 2009-01-08 |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204746A1 (ko) |
EP (1) | EP2239610A1 (ko) |
JP (1) | JPWO2009096207A1 (ko) |
KR (1) | KR20100102119A (ko) |
CN (1) | CN101932965B (ko) |
WO (1) | WO200909620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76414A (zh) * | 2012-07-31 | 2014-02-12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影像稳定器及取像装置 |
KR20190035742A (ko) * | 2016-08-09 | 2019-04-03 |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 전기 부품용 소켓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50544B2 (ja) | 2006-03-30 | 2013-07-31 | ケンブリッジ メカトロニクス リミテッド | カメラレンズ駆動装置 |
EP2261507A1 (en) | 2007-02-12 | 2010-12-15 |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
ATE508277T1 (de) | 2007-10-30 | 2011-05-15 | Cambridge Mechatronics Ltd | Gedächtnislegierungsbetätigungsvorrichtung |
WO2010012991A2 (en) | 2008-07-30 | 2010-02-04 |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
CN102150073A (zh) | 2008-09-12 | 2011-08-10 | 剑桥机电有限公司 | 包括形状记忆合金致动器的光学图像稳定 |
WO2010058177A2 (en) | 2008-11-20 | 2010-05-27 |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
JP2010151007A (ja) * | 2008-12-25 | 2010-07-08 | Seiko Instruments Inc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WO2010089526A2 (en) | 2009-02-09 | 2010-08-12 |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
JP5056984B2 (ja) * | 2009-09-29 | 2012-10-24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
JP2011209467A (ja) * | 2010-03-29 | 2011-10-20 | Seiko Instruments Inc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GB201019532D0 (en) | 2010-11-18 | 2010-12-29 | Cambridge Mechatronics Ltd | Optical image stablisation drive |
US8248701B1 (en) * | 2011-02-25 | 2012-08-21 | GEM Weltronics TWN Corporation | Optical lens assembly having fluorescent layer |
CN104335101B (zh) * | 2012-05-25 | 2017-04-19 | 剑桥机电有限公司 | 形状记忆合金致动装置 |
US9219851B2 (en) * | 2012-10-12 | 2015-12-22 | Sharp Kabushiki Kaisha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a lens barrel including a local maximum outer diameter section |
TWI507759B (zh) * | 2013-11-13 | 2015-11-11 | Tdk Taiwan Corp | 鏡頭止動結構 |
JP2015118331A (ja) * | 2013-12-19 | 2015-06-25 |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 レンズ駆動装置 |
JP6385067B2 (ja) * | 2014-02-01 | 2018-09-05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 |
US10114272B2 (en) | 2014-11-12 | 2018-10-30 | Actuator Solutions GmbH | Camera module autofocus actu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9215708U (zh) * | 2017-05-17 | 2019-08-06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驱动机构 |
CN109425948B (zh) * | 2017-09-01 | 2021-07-27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镜头模块 |
CN107979259A (zh) * | 2018-01-12 | 2018-05-01 | 河南省皓泽电子有限公司 | 一种记忆合金驱动的微型电机 |
USD902980S1 (en) * | 2018-01-12 | 2020-11-24 | Tdk Taiwan Corp. |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
CN108508566B (zh) * | 2018-03-27 | 2021-07-30 |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 镜头驱动装置 |
JP6814245B2 (ja) * | 2019-04-12 | 2021-01-13 |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クス (チャンジョウ)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及び携帯電子機器 |
JP7097664B2 (ja) * | 2019-06-01 | 2022-07-08 |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オートフォーカスレンズユニット |
CN212379629U (zh) * | 2019-07-26 | 2021-01-19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光学元件驱动机构及光学装置 |
GB201917543D0 (en) * | 2019-12-02 | 2020-01-15 | Cambridge Mechatronics Ltd | Actuator assembly |
CN113530774B (zh) * | 2020-03-31 | 2022-09-06 | 斯玛特技研有限公司 | 使用sma线的三轴对焦马达 |
JP6970488B1 (ja) * | 2020-09-29 | 2021-11-24 |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光学部品駆動装置、撮像装置及び携帯式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30114A (ja) * | 2000-10-20 | 2002-05-09 | Toshiba Corp | アクチュエータ装置 |
WO2005001539A1 (ja) * | 2003-06-27 | 2005-01-06 | Nokia Corporation |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カメラレンズの位置決め装置及びこの位置決め装置を用いたカメラ |
US7295389B2 (en) * | 2004-11-22 | 2007-11-13 | Konica Minolta Opto, Inc. | Lens barrel, image-pickup unit having the lens barr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JP2007104288A (ja) * | 2005-10-04 | 2007-04-19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
JP2007047266A (ja) * | 2005-08-08 | 2007-02-22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装置 |
JP2007046561A (ja) * | 2005-08-11 | 2007-02-22 | Konica Minolta Opto Inc |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駆動装置及び駆動装置に用いられる形状記憶合金の製造方法 |
JP4858808B2 (ja) | 2005-08-22 | 2012-01-18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レンズ駆動方法 |
JP2007078954A (ja) * | 2005-09-13 | 2007-03-29 | Konica Minolta Opto Inc | レンズ鏡胴及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撮像装置 |
JP2007078748A (ja) * | 2005-09-12 | 2007-03-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フォーカスアクチュエータ |
JP2007155801A (ja) * | 2005-11-30 | 2007-06-21 | Mitsumi Electric Co Ltd | カメラモジュール |
JP5250544B2 (ja) * | 2006-03-30 | 2013-07-31 | ケンブリッジ メカトロニクス リミテッド | カメラレンズ駆動装置 |
JP2007292864A (ja) * | 2006-04-21 | 2007-11-08 | Fujifilm Corp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撮影装置 |
-
2009
- 2009-01-08 KR KR1020107013392A patent/KR201001021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1-08 US US12/735,567 patent/US201102047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1-08 CN CN2009801042954A patent/CN10193296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1-08 WO PCT/JP2009/050106 patent/WO200909620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1-08 JP JP2009551446A patent/JPWO2009096207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9-01-08 EP EP09705740A patent/EP2239610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76414A (zh) * | 2012-07-31 | 2014-02-12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影像稳定器及取像装置 |
CN108181774A (zh) * | 2012-07-31 | 2018-06-19 | 泉州市泉港凯威信息技术咨询有限公司 | 一种手机 |
CN108181774B (zh) * | 2012-07-31 | 2020-08-11 | 泉州台商投资区中栓机械技术有限公司 | 一种手机 |
KR20190035742A (ko) * | 2016-08-09 | 2019-04-03 |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 전기 부품용 소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39610A1 (en) | 2010-10-13 |
CN101932965A (zh) | 2010-12-29 |
JPWO2009096207A1 (ja) | 2011-05-26 |
WO2009096207A1 (ja) | 2009-08-06 |
US20110204746A1 (en) | 2011-08-25 |
CN101932965B (zh)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02119A (ko) | 구동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JP5107682B2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KR20100082794A (ko) | 구동 모듈 및 이것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 |
US20110107758A1 (en) | Drive module,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110109874A (ko) | 구동 모듈 및 전자기기 | |
WO2010073906A1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JP5181208B2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JP2012105201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WO2011007689A1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KR20120022657A (ko) | 구동 모듈, 전자 기기 및 구동 모듈의 제어 방법 | |
JP2009134292A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09134291A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12047908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JP2009239993A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13178457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JP2011127585A (ja) | 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駆動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JP4995752B2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12133227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WO2009060937A9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10020177A (ja) | 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JP2012103607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JP2012103606A (ja) | 駆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