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966A -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2966A KR20080042966A KR1020060111356A KR20060111356A KR20080042966A KR 20080042966 A KR20080042966 A KR 20080042966A KR 1020060111356 A KR1020060111356 A KR 1020060111356A KR 20060111356 A KR20060111356 A KR 20060111356A KR 20080042966 A KR20080042966 A KR 200800429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plate
- indentation
- hole
- fine
- rectangu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각형 전지에 사용되는 탑 캡의 하단면에 대한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top cap used in a square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에 사용되는 탑 캡의 하단면에 대한 평면도와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top cap used in a square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단계별 단면 모식도들이다;3A to 3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manufacturing ste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의 조립 과정의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ssembly process of a squar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 캔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하고, 탑 캡의 미세 관통구가 천공 되어 있는 만입부 상에 금속 플레이트를 가결합하고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후, 1차 활성화를 위한 충전을 수행하고 발생한 가스를 배출한 뒤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며, 2차 활성화를 위한 만충전/만방전과 고온 숙성을 수행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발생한 가스를 배출한 뒤, 미세 관통구에 금속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rectangular can.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can, and a metal plate is placed on an indentation where the fine through hole of the top cap is perforated. After coupling and injecting the electrolyte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the filling is performed for the first activation, the gas generated is discharged and the electrolyte inlet is sealed, and the full charge / full discharge and high temperature aging are performed for the second activ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rocess of welding a metal plate to a fine through hole afte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by punching the metal plat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on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재료면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고 높은 집적도로 적층되어 제조되는 전지모듈의 전지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Typically, there is a high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lithium ion polymer battery in terms of battery material. There is a high demand for square batteries and pouch-type batteries that can also be used as batteries of stacked battery modules.
이차전지에서 전지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 및 분리막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는 그것의 구조에 따라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와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로 구분된다. 따라서, 각형 전지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나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각형 금속 케이스에 수납함으로써 제조된다.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battery reaction occurs in a secondary battery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lyte solution is impregnated into a cathode plate coated with a cathode active material, an anode plate coated with an anode active material, and a separator.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jelly-roll type (wound) electrode assembly and a stacked type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its structure. Thus, a rectangular battery is produced by storing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or a stacked type electrode assembly in a rectangular metal case.
일반적으로 각형 전지는 각형 금속 캔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고 그것 의 개방 상단에 상부 절연체를 탑재한 후, 그 위에 다시 탑 캡을 용접한 뒤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봉하는 조립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전해액을 소정량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지의 활성화를 위해 1 차 충전(1차 활성화: Pre-Formation)을 행하고, 1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전해액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한 후 재차 전해액을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한다. 그런 다음, 만충전/만방전 및 고온 숙성에 의한 2 차 충전(2차 활성화)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rectangular battery is assembled with an electrode assembly inside a rectangular metal can, an upper insulator mounted on an open top thereof, and then welded with a top cap on it, and then injected with an electrolyte to seal it.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amount of electrolyte is injected and the primary filling (pre-formation) is performed to activate the battery without sealing the electrolyte inlet,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gain, the electrolyte inlet is sealed. Then, secondary charging (secondary activation) by full charge / full discharge and high temperature aging is performed.
상기 제조과정에서 1차 활성화 과정 중에 다량으로 발생한 가스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2차 활성화 과정 중에 전지셀의 충방전 및 고온에의 노출을 거치면서 추가적으로 발생한 가스는 탑 캡의 전해액 주입구가 밀봉된 상태이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가압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이렇게 증가된 전지셀의 내부 압력은 전지 캔을 외부로 밀어내어 전지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Gas generated in a large amount during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However, the additional gas generated throug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cell and the exposure to the high temperature during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is sealed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of the top cap, and thu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in a pressurized stat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causes a problem of pushing the battery can outwar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0615155호는 전해액 주입구 이외의 가스배출구를 각형 캔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하고 가스배출구 부위를 금속 박판으로 막은 상태에서, 전지셀의 충방전 테스트를 실시한 후, 가스배출구의 금속 박판을 파단하여 내부 가스를 배출시키고, 파단된 구멍에 플러그를 삽입 및 용접하여 밀봉시키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15155 has a gas discharge port other tha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body, and after performing the charge / discharge test of the battery cell in a state where the gas discharge port is closed with a metal sheet.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sealing the metal thin plate of the gas outlet by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and inserting and welding the plug into the broken hole is sealed.
그러나, 각형 캔의 본체 두께는 일반적으로 탑 캡 부위보다 현저히 얇기 때문에, 금속박판을 캔의 본체의 가스배출구에 용접하거나 또는 충방전 테스트 후 파 단된 구멍에 플러그를 용접하는 경우, 각형 캔에 주름이 지는 현상 등과 같은 변형 가능성이 높고, 조립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ody thickness of the rectangular can is generally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e top cap area, when the metal sheet is welded to the gas outlet of the body of the can, or when the plug is welded to the hole which is broken after the charge / discharge test, the rectangular can is wrinkl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formation such as losing phenomenon,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0319111호에는 조립된 이차전지의 최초 충전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전지의 부피 팽창을 막기 위하여, 캡 플레이트 상에 가스 배출구를 형성하고 절연체로부터 상향 연장된 흡입관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구성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0319111, in order to prevent the volume expansion of the battery due to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initial charging of the assembled secondary battery, a gas outlet is formed on the cap plate and an inlet tube extending upward from the insulator is connected to the gas outlet. It suggests a technology configured to communicate.
그러나, 상기 특허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절연체의 제조가 필요하고 전지의 조립과정에서 작은 크기의 흡입관을 가스 배출구에 정밀하게 일치시켜야 하는 등 전지의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높은 난이도의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patent requires a manufacturing of an insulator including a suction pipe, and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is very complicated and requires a high level of difficulty, such that a small suction pipe must be precisely matched to a gas outlet during the assembly of the battery. Have
또한, 상기 특허들은 전지 제조 후 최초 충전 단계인 1차 전지 활성화 과정에서만 언급하고 있으며, 전지 제조공정 중 마지막 단계인 전지를 활성화하고 불량품을 선별하기 위한 2차 전지 활성화 과정에서의 내부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들은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atents refer only to the primary battery activation process, which is the initial charging stage after battery manufacture, and to remove the internal gas during the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process for activating the battery, which is the final stage of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screening out defective products. The method is silent. That is, the patents do not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discharge the gas generated in the second activation process.
최근 고용량 전극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내부 가스 생성량이 기존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지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 충전 과정인 1차 활성화 과정 뿐만 아니라, 2차 활성화 과정인 고온 숙성 단계에서도 셀 내부 가스를 제거하여 셀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As the use of high-capacity electrodes has increased recently, the amount of internal gas generated is higher than before, and the gas inside the cell is removed during the high temperature ripening step as well as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which is the initial charging process for battery activation. 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cell thickn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탑 캡의 일측에 가스 배출을 위한 미세 관통구를 천공한 상태에서 단조하여 작은 단차를 가진 만입부를 형성하고, 2차 활성화 과정까지는 그러한 만입부에 금속 플레이트를 밀봉하여 두었다가, 2차 활성화 과정 후 금속 플레이트 부위를 펀칭하여 가스를 배출한 뒤 용접하여 미세 관통구를 밀봉함으로써, 1차 활성화 과정 뿐만 아니라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까지도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전지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fter ex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ge in a state in which a fine through hole for exhausting ga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cap to form an indentation having a small step, and until the second activation process. After the metal plate is sealed in the indentation part, the metal plate part is punched out after the second activation process, the gas is discharged, and then welded to seal the fine through hole, so that not only the primary activation process but also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can be eff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harge can be significantly prevented from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ca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incorporated in a rectangular can,
(a) 각형 캔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하고, 미세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만입부와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을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결합하는 과정;(a) inserting an electrode assembly into the rectangular can, and coupling a top cap having an indentation in which a fin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to an open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can;
(b) 상기 미세 관통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만입부 상에 금속 플레이트를 가결합하는 과정;(b) temporarily attaching a metal plate on the indentation to seal the fine through hole;
(c)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고, 1차 활성화(Pre-Formation)를 위한 충전을 수행하는 과정;(c) injecting electrolyte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performing charging for pre-formation;
(d) 상기 1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한 후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고, 2차 활성화를 위한 만충전/만방전과 고온 숙성을 수행하는 과정; (d) sealing the electrolyte inlet afte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in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and performing full charge / full discharge and high temperature aging for the second activation;
(e)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미세 관통구에 금속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과정; (e) punching the metal plate to discharge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second activation process and welding the metal plate to the fine through hole;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지의 제조시 최초 충전 단계인 1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는 탑 캡의 만입부 상부에 가결합되어 있는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만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스에 의한 전지셀의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전지셀 최초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which is the initial charging step in manufacturing the batter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is located above the indentation of the top cap. By punching out the metal plate is bon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ne through-hole formed in the indenta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due to gas, thereby reducing the initial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Can be greatly reduced.
상기 '활성화' 과정은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실시하는 충전으로서, 상기 각형 이차 전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기 화학적 에너지로 변경시키는 공정을 의미하며, '1차 활성화' 과정은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실시하는 충전 단계이고, '2차 활성화' 과정은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실시하는 충방전 과정으로서, 만충전, 만방전 및 고온 숙성(에이징: Aging)의 방법으로 진행한다.The 'activation' process is charging per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and means a process of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to change the electrochemical energy, and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In the first charging step,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is a charge and discharge process performed in the last step in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ceeds by the method of full charge, full discharge and high temperature aging (aging: Aging).
또한, 2차 활성화 단계의 충방전은 전지셀의 활성화와 함께 전지의 용량 체크 및 불량품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며, 고온 숙성은 실질적으로 불량품을 선별할 목적으로 시행한다.In addition,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activation step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sorting out defective products together with activation of the battery cell, and high temperature aging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ly selecting the defective products.
예를 들어, 고온 숙성 과정은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전지셀을 24 시간 유지한 후 전지셀의 전압을 체크하고, 다시 상온에서 일주일 정도 유지한 후 전지셀의 전압을 체크함으로써, 저전압 전지셀의 불량을 확인한다. 즉,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미세한 쇼트가 존재하는 경우, 전지셀을 고온 상태로 만들어 상기 미세 쇼트의 진행을 촉진시킴으로써 단시간내에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igh temperature aging process maintains a battery cell at a temperature of 50 to 60 ° C. for 24 hours, and then checks the voltage of the battery cell. Check for defects. That is, when a minute short is pres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the battery cell is brought to a high temperature state and the defect can be confirmed within a short time by promoting the progress of the minute short.
상기 과정(a)에서 탑 캡을 각형 캔의 개방 상단에 결합하기 이전에 탑 캡의 만입부에 미리 금속 플레이트를 가결합시키는 경우, 과정(b)를 생략하고 과정(c)를 수행함으로써, 과정(a)와 과정(b)의 두 단계를 한 단계로 줄여서 제조할 수 있다. 즉, 금속 플레이트가 미리 가결합되어 있는 탑 캡을 각형 캔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제조공정의 수를 상기 5단계에서 4단계로 절감할 수 있다.In the step (a), if the metal plate is preliminarily bonded to the indentation of the top cap before the top cap is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rectangular can, the step (b) is omitted and the step (c) is performed. It can be prepared by reducing the two steps (a) and (b) into one step. That is, by coupling the top cap to which the metal plate is preliminarily coupl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can,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reduced from the above five steps to four steps.
미세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만입부상에 금속 플레이트를 가결합하는 것은 1차 및 2차 활성화 과정에서 상기 미세 관통구를 통해 전해액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금속 플레이트의 가결합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또는 기계적 체결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temporary bonding of the metal plate on the indentation in which the fine through holes are drilled is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being ejected through the fine through holes in the first and second activation processes. For this purpose, the temporary coupling method of the metal plate may vary,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a bonding, welding or mechanical fastening method.
상기 각형 캔과 금속 플레이트는 가공상의 용이성과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고려할 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quare can and the metal plate are preferably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ocessing and mechanical strength of a certain lev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탑 캡의 만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 관통구의 직경은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크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내지 0.5 mm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관통구의 직경이 0.1 mm 보다 작으면 단시간 내 에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고, 0.5 mm 보다 크면 용접 부위가 커져 밀봉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diameter of the fi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dentation portion of the top ca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battery cell, but preferably has a size of 0.1 to 0.5 mm. If the diameter of the fine through hole is smaller than 0.1 mm, it may not be easy to discharge the gas within a short time. If the diameter of the fine through hole is larger than 0.5 mm, the welding area may become large and the sealability may be reduced.
탑 캡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는 탑 캡의 강도 저하를 실질적으로 유발하지 않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만입부의 직경은 미세 관통구의 직경보다는 큰 범위인 0.5 내지 5 mm의 크기이고, 만입부의 깊이는 탑 캡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0.2 내지 0.6 mm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만입부의 직경이 너무 작거나 깊이가 너무 얕으면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파단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파단 과정에서 가스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만입부의 직경이 너무 크거나 깊이가 너무 깊으면 탑 캡의 강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indenta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cap is preferably formed in a small size so as not to substantially cause a decrease in strength of the top cap.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diameter of the indentation may be in the range of 0.5 to 5 mm, whic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ne through hole, and the depth of the indentation may be formed to a depth of 0.2 to 0.6 mm ba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ap. . If the indentation is too small or the depth is too shallow, it may not be easy to break by punching the metal plate, and the gas may not be easily released during the breaking process. On the contrary, if the indentation is too large or too deep, the top cap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cause a decrease in strength.
이러한 만입부는, 예를 들어, 탑 캡의 하부 방향으로 해당하는 부위만큼 단조 가공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조 가공법'은 고체인 금속재료를 다이 등과 같은 부재로 가압하는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재료를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조작방법을 의미한다.Such indentation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 forging method b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cap, where the 'forging method' is performed by using a mechanical method of pressing a solid metal material with a member such as a die. It means the operation method to make material into a certain shape.
상기 만입부는 금속 플레이트의 가결합에 의해 활성화 과정에서 그것의 미세 관통구가 밀봉되어 있다가, 2차 활성화 과정 이후에 펀칭되면서 가압 가스를 배출하는 통로로 활용된 후, 용접에 의해 상기 미세 밀봉부가 밀봉된다. The indentation part is sealed in its fine through hole during activation by the temporary coupling of the metal plate, and is utilize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pressurized gas while punching after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and then the fine sealing part is welded. Is sealed.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부의 외경이 만입부의 내경보다 크고, 하부가 만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단면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 플레이트가 만입부 상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면은 만입부의 상단면으로부터 펀칭이 가능한 높이로 이격되어 있어서, 펀칭 작업시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 부위가 파단되어 만입부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생긴 공간을 통해 탑 캡의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metal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role, and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dentation portion, and the step is vertically crossed so that the low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metal plate is temporarily coupled on the indentation portion,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to a height that allows punching,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metal plate is broken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ap through a space form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결과적으로, 상기 구조에서, 금속 플레이트는 큰 외경의 상부가 만입부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고 하단면이 만입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가결합 상태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펀칭 작업시에는 작은 외경의 하부가 잘리면서 만입부의 상단면 상으로 낙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이격 공간을 통해 가압 가스가 미세 관통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가스의 배출을 위한 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금속 플레이트의 하부는 만입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s a result, in the above structure, the metal plate forms a tentatively coupled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large outer diameter is coup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ent and the low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dent. Then,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mall outer diameter is cut off and falls onto the top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and the pressurized ga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ne through hole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of the metal plate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dentation portion so that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pressurized gas can be secured.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는 0.1 내지 1 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가결합시키기 용이하지 않고 추후 용접 과정에서 소망하는 밀봉성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펀칭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0.1 to 1 mm.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it may not be easy to be temporarily bond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desired sealability in the subsequent welding process, and if too thick, punching This may not be easy, so it is not preferred.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하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어서, 펀칭 작업시 상기 노치를 따라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predetermined not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etal plate, so that it can be easily cut along the notch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상기 미세 관통구에 대한 금속 플레이트의 용접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레이저 용접'은 레이저 광선으로 소망하는 해당 부위의 금속을 가열하여 녹여서 붙이는 용접방법을 의미한다.The welding of the metal plate to the fine through hole may be preferably performed by laser welding, and 'laser welding' refers to a welding method of heating and melting and attaching a metal of a desired part with a laser beam.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전지의 활성화 공정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차 활성화 공정에서 양극과 음극 활물질은 낮은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므로, 활성화 충전 시에는 낮은 전류를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공급하여 전지에 무리가 없이 안정하게 충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낮은 C-rate 및/또는 다단계 과정으로 충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battery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in the first activation process, since the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change from a low state to a high energy state, In order to supply a low current for a relatively long time so that the battery can be stably charged without difficulty, it may be performed by charging in a low C-rate and / or a multi-step process.
상기'C-rate'는 전지의 용량을 1 시간 만에 모두 방출할 때 흐르는 전류이고, '낮은 C-rate 및 다단계 과정'은 고속 충전방식이 아닌 저속 충전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용량을 늘리면서 충전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C-rate' is a current flowing when the battery capacity is released in one hour, the 'low C-rate and multi-step process' is to charge while increasing the capacity sequentially in a slow charging method, not a fast charging method it mean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각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각형 캔의 개방 상단부에 결합되는 탑 캡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가스 배출을 위한 미세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 관통구는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만입부 상에 가결합된 후 펀칭되어 용접된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rectangular can,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op cap coupled to an open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can,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discharge gas. An indentation through which the micro through hole is perforated is formed, and the micro through ho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 through hole is sealed by a metal plate which is punched and welded after being bonded to the indentation in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지셀의 종류 및 외형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and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 and may be preferab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이러한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극조립체 등의 기타 구성요소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Since other components, such as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ar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각형 전지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탑 캡의 하단면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각형 전지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의 하단면에 대한 평면도와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lan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top c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d in a square battery, and FIG. 2 is a plan view and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a top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quar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section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탑 캡(10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돌출단자용 접속부재(110)가 절연성 소재의 가스켓(1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접속부재(110)는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음극에 용접되며, 전극조립체의 양극은 탑 캡(100) 자체에 용접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탑 캡(100)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구(130)가 천공되어 있고, 탑 캡(100)이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각형 캔(도시하지 않음)의 개방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해액 주입구(130)를 통해 전해액이 주입된다. One 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탑 캡(1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130)의 대향 부위에 그것의 상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만입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만입부(200)에는 미세 관통구(2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 활성화 및 불량품 선별을 위한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In the
만입부(200)에는 소정 형태의 금속 플레이트((210)가 가결합되어 있으며, 만입부(200)의 미세 관통구(220)는 가결합된 금속 플레이트(210)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봉되어 있다. A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른 단계별 단면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3A to 3C ar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s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각형 캔(도시하지 않음)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미세 관통구(220)가 천공되어 있는 만입부(200)와 전해액 주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100)을 각형 캔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한 다음, 만입부(200) 상에 금속 플레이트(210)를 용접하여 가결합시킴으로써, 미세 관통구(220)를 밀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만입부(220) 상에 금속 플레이트(210)를 가결합한 후에 탑 캡(100)을 각형 캔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A,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can (not shown), and the
금속 플레이트(210)는 상부(212)의 외경(R1)이 만입부(200)의 내경(r1)보다 크고, 하부(214)의 외경(R2)이 만입부(200)의 내경(r1)보다 작은 단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부(212)가 탑 캡(100)의 상단면에 걸치면서 하부(214)가 만입부(200) 안으로 도입되는 구조로 가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가결합 상태에서 미세 관통구(220)를 금속 플레이트(210)에 의해 밀봉된다. The
또한, 금속 플레이트(210)의 하단면(216)이 만입부(200)의 상단면(202)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있고, 금속 플레이트(210)의 상부(212)에는 하부(214)의 외경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21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210)의 상부에 강한 압력을 가하면서, 노치(218)를 따라 하부(214)가 절단되면서 만입부(200)의 상단면(202) 쪽으로, 즉, 미세 관통구(220) 상으로 낙하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과정은 도 3b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2차 활성화 과정에서 만충전, 만방전 및 고온숙성을 수행한 후, 소정의 다이(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 상단을 가압하여 펀칭하면, 상부의 외주면 부위에 대응하는 측면부(212a)와 하부에 대응하는 중앙부(214a)가 파단되면서 가스 배출을 위한 통로가 순간적으로 확보된다. 즉, 중앙부(214)가 낙하되어 미세 관통구(220) 상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짧은 시간이나마 만들어지고, 가압 가스는 그러한 통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is process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3B. After performing full charge, full discharge and high temperature aging in the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a predetermined die (not shown) is used to cover the center top of the metal plate. When pressurized and punched, the
그런 다음, 도 3c에서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면, 도 3b의 측면부(212a)와 중앙부(214a)가 용융되면서 일부 용융물이 미세 관통구(220)로 주입된 후 고화되어 밀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융 고화된 금속 플레이트(210a)에 의해 미세 관통구(220)가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Then, as shown in FIG. 3C,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some of the melt is injected into the fine through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의 조립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4 schematically shows an assembly process of a squar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각형의 금속 캔(400)의 내부에는 양극(412)과 음극(414)이 상향 돌출된 형태로 전극조립체(410)가 삽입되어 있다. 전극조립체(410)는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를 분리막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둥글게 권취한 후 각형의 형태로 압축하여 만들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전극조립체(410)의 상단에는 양측 돌출 지지부(320)가 상부로 향한 상태로 상부 절연부재(300)가 탑재된다. 이러한 탑재 과정에서 전극조립체(410)의 양 극(412)과 음극(414)은 개구(330)에 삽입되어 절연부재(300)로부터 돌출된다.The upper insulating
상부 절연부재(300)가 탑재된 상태에서 탑 캡(100)이 금속 캔(400)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탑 캡(100)의 만입부(200)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210)가 가결합되어 있어서, 그것의 미세 관통구(220)는 밀봉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이러한 조립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해액 주입구(130)를 통해 전해액을 소정량 주입하고 1차 활성화를 행한 후 내부 가스를 전해액 주입구(130)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After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다시 전해액을 보충하고 전해액 주입구(130)를 밀봉한 뒤 2차 활성화를 수행한다. Afte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and sealing the
그런 다음, 도 3b에서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210)를 펀칭하여 전극조립체(410) 내부에서 다량으로 발생한 가스를 만입부(200)의 미세 관통구(220)를 통해 탑 캡(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Then, as shown in FIG. 3b, the gas generated in a large amount inside the
최종적으로, 도 3c에서와 같이, 레이저 용접을 행하여 미세 관통구(220)를 밀봉함으로써 각형 전지를 완성한다. Finally, as shown in FIG. 3C, the rectangular battery is completed by laser welding to seal the fine through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이차전지는 탑 캡의 내면에 가스 배출을 위한 미세 관통구를 천공한 상태에서 단조하여 작은 단차를 가진 만입부를 형성하고, 2차 활성화 과정까지는 그러한 만입부에 금속 플레이트를 밀봉하여 두었다가, 2차 활성화 과정 후 펀칭하여 가스를 배출한 후 만입부 상단부에 레이저 용접을 인가하여 미세 관통구를 밀봉함으로써, 전지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indentation having a small step by forging in the perforated state through the fine through-hole for gas discharg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cap, and until such a secondary activation process After the metal plate is sealed and punched out after the second activation process to discharge the gas, laser welding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dentation to seal the fine through hole, thereby preventing the battery cell from increasing in thickness. There i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1356A KR101029841B1 (en) | 2006-11-13 | 2006-11-13 |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1356A KR101029841B1 (en) | 2006-11-13 | 2006-11-13 |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2966A true KR20080042966A (en) | 2008-05-16 |
KR101029841B1 KR101029841B1 (en) | 2011-04-15 |
Family
ID=3966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1356A KR101029841B1 (en) | 2006-11-13 | 2006-11-13 |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984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8970A1 (en) * | 2012-02-07 | 2013-08-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cells having novel structure |
CN104064703A (en) * | 2013-03-22 | 2014-09-24 | 株式会社东芝 |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ed secondary battery |
WO2015016497A1 (en) * | 2013-07-29 | 2015-02-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comprising gas discharging member and electrolyte injection member |
KR20150028739A (en) * | 2013-09-06 | 2015-03-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Cell |
KR20150038932A (en) * | 2013-10-01 | 2015-04-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ing Protective Case |
WO2019013574A1 (en) * | 2017-07-13 | 2019-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CN113875056A (en) * | 2020-02-06 | 2021-12-31 | 株式会社Lg新能源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WO2022255638A1 (en) * | 2021-06-02 | 2022-12-0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Method for activat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athode additiv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126B1 (en) | 2010-07-20 | 2014-10-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for fabricating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fabricated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95218A (en) * | 1995-01-20 | 1996-07-30 | Toshiba Battery Co Ltd | Manufacture of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
JPH11329505A (en) | 1998-05-19 | 1999-11-30 | Fuji Elelctrochem Co Ltd | Manufactur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KR100615155B1 (en) | 1999-09-09 | 2006-08-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KR20060125276A (en) * | 2005-06-02 | 2006-12-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
2006
- 2006-11-13 KR KR1020060111356A patent/KR10102984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8970A1 (en) * | 2012-02-07 | 2013-08-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cells having novel structure |
US9774060B2 (en) | 2012-02-07 | 2017-09-26 | Lg Chem,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
US9537172B2 (en) | 2013-03-22 | 2017-01-03 | Kabushiki Kaisha Toshiba |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ed secondary battery |
CN104064703A (en) * | 2013-03-22 | 2014-09-24 | 株式会社东芝 |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ed secondary battery |
US10211447B2 (en) | 2013-07-29 | 2019-02-19 | Lg Chem, Ltd. | Battery including gas discharging member and electrolyte injection member |
WO2015016497A1 (en) * | 2013-07-29 | 2015-02-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comprising gas discharging member and electrolyte injection member |
KR20150028739A (en) * | 2013-09-06 | 2015-03-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Cell |
KR20150038932A (en) * | 2013-10-01 | 2015-04-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ing Protective Case |
WO2019013574A1 (en) * | 2017-07-13 | 2019-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KR20190007710A (en) * | 2017-07-13 | 2019-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fore |
US11056749B2 (en) | 2017-07-13 | 2021-07-06 | Lg Chem, Ltd.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3875056A (en) * | 2020-02-06 | 2021-12-31 | 株式会社Lg新能源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US11757152B2 (en) | 2020-02-06 | 2023-09-12 | Lg Energy Solution,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CN113875056B (en) * | 2020-02-06 | 2024-05-17 | 株式会社Lg新能源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
WO2022255638A1 (en) * | 2021-06-02 | 2022-12-0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Method for activat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athode additi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9841B1 (en) | 2011-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9841B1 (en) |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 |
KR100997043B1 (en) | Cap Assembly of Improved Safety by Preventing Leakage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Employed with the Same | |
US8642195B2 (en) | Modular CID assembly for a lithium ion battery | |
US20210210813A1 (en) | Top Plate for Laser Welded Lithium-Ion Button Cell Battery | |
KR100329855B1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95764B1 (en) | Cylindrical Battery of Increased Capacity | |
EP2384519A1 (en) | Modular cid assembly for a lithium ion battery | |
KR101416520B1 (en) | Cap plate for secondary batteries having v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athod of it | |
US20090029244A1 (en) |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
JP200227014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ylinder sealing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 |
US7276092B2 (en) | Electrochemical element in the form of a button ce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 element | |
KR100998847B1 (en) | Wrapping Member of Beading Portion and Cylindrical Battery Employed with the Same | |
JP4222820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safety mechanism | |
JPH11111244A (en) | Sealed storage battery | |
US20220384925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cell | |
KR20180119375A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40144309A (en) |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 |
KR20240144310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for energy storage | |
KR20240144307A (en) |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 |
JPH11238499A (en) | Storage battery and its manufacture | |
KR20070067776A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20240144308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for energy storage | |
WO2023148546A1 (en) | Method to produce a battery for energy storage | |
JPH0950799A (en) | Safety valve devic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
KR101049853B1 (en) | Secondary battery easy to inject electroly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