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642A - 복실용기 - Google Patents
복실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6642A KR20060126642A KR20067011320A KR20067011320A KR20060126642A KR 20060126642 A KR20060126642 A KR 20060126642A KR 20067011320 A KR20067011320 A KR 20067011320A KR 20067011320 A KR20067011320 A KR 20067011320A KR 20060126642 A KR20060126642 A KR 200601266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component
- heat
- container
- ma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박리 가능하게 히트실링 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3)에 의해 용기 내부가 구획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각각 격리되어 수용되는 복실용기(1)로서, 히트실링층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의 2종류(성분 A 및 성분 B)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히트실링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링 강도의 변화가 작은 영역이 넓은 온도범위로 되고,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REF법(온도: 0∼140℃, 용매: ODCB)에 의한 용출분의 전체 용출량에 대한 비율(질량%)이,
성분 A에 대해: 온도 0℃에서, 15 이상 50 이하
온도 60-90℃에서, 5 이상 15 미만
성분 B에 대해: 온도 0℃에서, 0 이상 25 이하
온도 60-90℃에서, 15 이상 70 이하
박리, 히트실링, 용기, 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실링, TREF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弱) 실링부(격리부)에 의해 서로 격리하여 형성된 복수의 방(실)을 갖고, 이들 각 방에 수용되는 복수의 내용물을, 사용시에는 격리부를 파괴함으로써 밀봉 상태로 혼합가능한 복실용기로서,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게다가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는, 복수의 약제성분을 분리수납한 용기를 사용하여 보존·유통시키고, 투여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IVH용의 수액제제로서는, 영양원인 당질 및 아미노산과 전해질을 함유한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포도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액은 메일러드 반응에 의한 변질이 일어나 쉽기 때문에, 투여하기 직전까지는 별개의 용기에 수용해 두고, 투여 직전에 혼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져 있다.
이러한 혼합을 밀봉 용기내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내부가 복수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의 방을 갖는 복실용기가 다수 출원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6750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267504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성 제5-513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평8-22909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개평8-229100호 공보 참조). 이것들은, 용기의 일부에 약 실링부를 설치하여 용기 내부를 복실화하고, 사용시에는 약 실링부를 손이나 지그를 사용하여 파괴함(연통시킴)으로써, 밀봉상태하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복실용기는, 약 실링부에 관여하는 실링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행하면 실링층이 연화되거나, 파열이나 용기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약 실링 가능한 테이프(시트)를 용기의 내부에 삽입하여 복실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되어 있는 테이프의 조성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조성이며, 상기 특허문헌 1, 2의 경우와 같이, 121℃에서의 멸균처리에는 접합하지 않다.
상기 특허문헌 4나 특허문헌 5에는, 폴리에틸렌과 올레핀 블록 코폴리머의 중합체 조성물,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머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의 중합체 조성물에 의해 히트실링층을 구성한 복실용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중합체 조성물에는 모두 α-올레핀이나 일래스토머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부족하여, 역시 121℃에서의 멸균 적성이 결여되는 것이다.
한편, 포장용기에 대해서는 낙하시의 충격에 충분히 견디는 것, 예를 들면 식품 위생법에 정하는 낙하 시험에 합격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이 낙하 시험에서 요구되는 실링 강도는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이것은, 예 를 들면 500ml의 액체를 수용한 용기와 1L의 액체를 수용한 용기에서는 낙하시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히트실링 강도가 다르기 때문인데, 이것은 복실용기의 약 실링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복실용기에서의 약 실링부(격리부)를 염두에 둔 경우, 예를 들면 내용량이 500ml 미만인 경우에는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는 비교적 낮은 강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용기가 작으므로 파열 방지를 위한 약 실링부의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고, 반대로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약 실링부의 박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한편, 예를 들면 내용량이 500ml 이상인 경우에는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는 비교적 높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용기가 크므로 수송시나 낙하시 등에 약 실링부에 걸리는 하중이 커,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낮으면 자중에 의해 약 실링부가 연통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복실용기에서는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히트실링 온도의 폭이 20℃ 정도에 지나지 않아(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일본 특개2003-52791호 공보참조), 복실용기의 내용물의 중량 등도 감안하면서,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를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보다 넓은 온도범위에서 약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는 복실용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로서 변형되지 않고 121℃ 이상에서의 멸균처리에 견디고 이 멸균처리 후도 안정적인 약 실링성을 보유 할 뿐만 아니라, 투명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로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상기 용기의 내벽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의 일부를 박리 가능하게 히트실링 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가 구획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각각 격리되어 수용되는 복실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실링층을, 특정한 저결정성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과 특정한 고결정성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을 배합하여 얻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121℃에서의 멸균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갖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한 복실용기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실링 온도의 변화에 대한 히트실링 강도의 변화가 비교적 작은 영역이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서 발현되기 때문에, 특히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복실용기를 제공한다.
[1]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로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상기 용기의 내벽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의 일부를 박리 가능하게 히트실링 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가 구획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각각 격리되어 수용되는 복실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하기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A)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5질량% 이상 15질량% 미만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B)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0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II] 상기 약 실링부가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갖는 이지필용 테이프를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당해 개소를 히트실링 함으로써 설치된 [I]기재의 복실용기.
[III] 상기 용기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포트부를 갖는 [I] 또는 [II] 기재의 복실용기.
[IV]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배합비가 (A)성분:(B)성분 98:2∼50:50(질량비)인 [I], [II] 또는 [III] 기재의 복실용기.
[V]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스티렌 함유율 25질량% 이하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를 1∼1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I]∼[IV]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VI] 상기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히트실링층, 중간층, 및 최외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성을 갖는 [I]∼[V]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VII] 상기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에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체 광선투과율이 80% 이상, 헤이즈가 25% 이하인 [I]∼[VI]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VIII] JIS-Z0238 에 준거하여 측정한 히트실링 강도(180˚ 박리강도)의 값으로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1∼6N/15mm이며, 또한 상기 약 실링부 이외의 히트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25N/15mm 이상인 [I]∼[VII]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IX] 상기 용기가 500ml 미만의 내용량을 수용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1∼3N/15mm인 [XIII] 기재의 복실용기.
[X] 상기 용기가 500ml 이상의 내용량을 수용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3∼6N/15mm인 [XIII] 기재의 복실용기.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적용 가능하고, 또한 투명성 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용량에 따라 최적이고 또한 안정적인 실링 강도를 실현할 수 있고, 낙하강도가 우수하고, 포트부(내용물의 주입/토출구) 등의 실링성도 우수한 복실용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복실용기의 X-X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1 예를 도시하는 복실용기 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복실용기 1의 X-X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복실용기 1'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복실용기 1는 히트실링층(13)을 편면에 구비한 2장의 수지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히트실링층(13)이 내벽면을 구성하고, 둘레 가장자리부에 강 실링부(21)를 설치함과 동시에 용기 내부를 2개로 구획하는 약 실링부(3)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획된 각각의 실(5a, 5b)에는 적당하게 포트부(4)가 배열 설치되고, 이 포트부를 통하여 내용물의 복실용기에의 주입, 복실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포트부로서는 내용물을 각 실 내에 충전한 후 폐색하는 것, 또는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포트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에서, 복실용기 1의 양측 가장자리 및 상하 가장자리에는, 상하 가장자리 중앙부를 제외하고 견고하게 열 실링 되어서 강 실링부(21)가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부 중앙부는 내용물을 충전 후에 견고하게 열 실링 되어서 강 실링부(22)가 형성된다. 또, 하측 가장자리부 중앙에는 포트부(4)가 삽입되고, 포트부(4)의 외주면과 복실용기 1의 하측 가장자리부 중앙부가 견고하게 열 실링 되어서 강 실링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복실용기 1을 구성하는 수지 시트는 최외층(11)과 중간층(12)과 최내층(13)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갖고 있고, 복실용기 1에서 각 실의 격리는, 대향하는 최내층(13)의 일부를 약 실링 하여 약 실링부(3)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되고, 사용시의 각 실의 연통은, 5a 또는 5b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약 실링부(3)를 박리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실을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지필용 테이프(3a)를 대향하는 내벽면(13, 13) 사이에 삽입하여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 함으로써 약 실링부(3')를 형성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복실용기 1은 2장의 다층수지 시트를 겹쳐서 히트실링 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형성시에는 원료수지를 인플레이션 성형함으로써 미리 수지의 원통체(단층 구성, 다층 구성 어느쪽도 가능하다.)를 제작하고, 그 후 상변과 하변의 강 실링부, 약 실링부, 및 포트부를 적당하게 배열설치 함으로써 복실용기를 형성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복실용기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의 층 구성으로서는 3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실용기의 요구 특성 등을 감안하여, 적당하게, 단층 구성, 2층 구성, 또는 4층 구성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 능하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로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상기 용기의 내벽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의 일부를 박리 가능하게 히트실링 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가 구획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각각 격리되어 수용되는 복실용기이며, 상기 히트실링층이 하기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이다.
(A)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5질량% 이상 15질량% 미만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B)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0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여기에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TREF)은 폴리머의 조성분포를 분석하는 공지의 방법으로서, 원리적으로는 개개의 폴리머 성분이 상이한 결정구조를 갖기 때문에 용매중에서의 석출 속도 또는 용해속도가 개개의 폴리머 마다 상이한 것을 이용하여, 폴리머의 조성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고온에서 폴리머를 용매에 완전하게 용해시킨 후에 불활성 담체의 존재하에서 서서히 냉각하면, 우선 결정화 하기 쉬운 고결정성의 폴리머 성분이 상기 불활성 담체의 표면에 먼저 석출하여 폴리머층이 형성되고, 그 후에 결정화 하기 어려운 저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의 폴리머 성분이 석출하여 폴리머층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이렇게 폴리머층을 형성후,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승온하면, 이번에는 저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의 폴리머 성분부터 용출하고, 최후에 고결정성 폴리머 성분이 용출 하게 된다. 즉, 이 각 온도에서의 용출량과 용출온도에 의해 그려지는 용출곡선으로부터, 폴리머의 조성분포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에 사용하는 용매로서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하고, 온도범위로서 0∼140℃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성분의 0℃에서의 용출량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1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8질량% 이상, 상한으로서 5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히트실링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링 강도의 변화가 작은 영역이 거의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복실용기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어,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되지 않는 동시에, 유연성이 뒤떨어져, 작성된 복실용기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고, 낙하강도가 뒤떨어지는 경향이 된다. 한편,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실시한 경우에 복실용기의 내면이 블로킹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A)성분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량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 상한으로서 15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투명성이 뒤떨어지고, 한편,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내열성이 뒤떨어져, 얻어진 복실용기가 121℃에서의 멸균처리시에 변형되어버린다.
본 발명에서, 상기 (B)성분의 0℃에서의 용출량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상한으로서 2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다.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실시한 경우에 용기의 내면이 블로킹 하여, 내용물을 배출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B)성분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량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1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상한으로서 7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이다.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약 실링부를 안정적으로 히트실링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한편, 당해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내열성이 뒤떨어져, 작성된 용기가 121℃ 멸균시에 변형되는 경향이 있고, 또 약 실링부를 안정적으로 히트실링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지만, (A)성분은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를 제어하는 히트실링 온 도의 폭은 20℃ 정도로 좁지만, 필름끼리의 열용착성이 우수하고, (B)성분은 유연성이 풍부하여 내열성이나 낙하강도의 향상이 우수하고, (A)성분에 배합함으로써 약 실링부를 얻기 위한 히트실링 온도범위가 25℃ 이상으로 넓어진다고 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고, 또, 필름과 포트부의 용착 강도향상이 우수하다. 양자의 배합비로서는 통상 (A)성분:(B)성분=98:2∼50:50(질량비), 바람직하게는 95:5∼60:40(질량비)이다. 양자의 배합비가 상기 범위를 일탈하면, 히트실링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링 강도의 변화가 작은 영역이 거의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복실용기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어,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이다.
여기에서, 상기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부텐-1, 3-메틸부텐-1, 펜틴-1, 4-메틸펜틴-1, 헥센-1, 옥텐-1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성분,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서는 부텐-1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는, 상기 조건, 즉 o-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한 온도 0∼140℃ 사이의 온도 상승 용리 분별에서의 0℃에서의 용출분 및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각각 상기 범위인 것을 만족시키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이면, 달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제조방법으로서도 여러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i)∼(iii)의 방법,
(i) 적어도 2단 이상의 축차 중합을 행할 때, 1단째 중합시에 있어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을 도입하여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2단째 이후의 중합시에 있어서, 전단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ii)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과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블렌딩하는 방법,
(iii)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블렌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경제성의 관점에서 상기 (i)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의 축차 중합에 사용하는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과, 티탄 원자, 마그네슘 원자, 할로겐 원자, 및 전자공여성 화합물을 필수로 하는 고체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 R1 mAlX(3-m)(식중, R1은 탄소원자수 1∼l2의 탄화수소 잔기,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m은 1∼3의 수임)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트리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의 트리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메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세스퀴할라이드, 메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디할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티탄 원자, 마그네슘 원자, 할로겐 원자, 및 전자공여성 화합물을 필수로 하는 고체 성분으로서는, 역시 이 종류의 중합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티탄 원자의 공급원이 되는 티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 Ti(OR2)(4-n)Xn(식중, R2는 탄소원자수 1∼10의 탄화수소 잔기,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0∼4의 수임)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사염화티탄, 테트라에톡시티탄, 테트라부톡시티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원자의 공급원이 되는 마그네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킬 마그네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디알콕시 마그네슘, 알콕시마그네슘 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염소가 바람직하다. 할로겐 원자는, 통상, 상기의 티탄 화합물이나 마그네슘 화합물로부터 공급되는데, 알루미늄의 할로겐화물, 규소의 할로겐화물, 텅스텐의 할로겐화물 등의 다른 할로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자공여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알콜류, 페놀류, 케톤류, 알데히드류, 카르복실산류, 유기산 또는 무기산 및 그 유도체 등의 함산소 화합물, 암모니아, 아민류, 니트릴류, 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의 함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무기산 에스테르, 유기산 에스테르, 유기산 할라이드가 적합하고, 특히 규산 에스테르, 프탈산 에스테르, 아세트산 셀로솔브에스테르, 프탈산 할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의 규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 R3R4 (3-p)Si(OR5)p(식중, R3는 탄소원자수 3∼20(바람직하게는 4∼10)의 분기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 또는 탄소원자수 5∼20(바람직하게는 6∼10)의 환상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태고, R4는 탄소원자수 1∼20(바람직하게는 1∼10)의 분기 또는 직쇄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원자수 1∼10(바람직하게는 1∼4)의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p는 1∼3의 수임)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 규소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t-부틸-메틸-디메톡시실란, t-부틸-메틸-디에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 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을 제조할 때 상기 (i)의 제조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1단째 중합시에 있어서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을 공급하고, 상기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온도 50∼150℃, 바람직하게는 50∼100℃, 프로필렌의 분압 0.5∼4.5MPa, 바람직하게는 1.0∼3.5MPa의 조건으로 중합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2단째 중합시에 있어서, 1단째 중합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을 공급하고, 상기 촉매의 존재하에 온도 50∼150℃, 바람직하게는 50∼100℃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분압 각 0.3∼4.5MPa, 바람직하게는 0.5∼3.5MPa의 조건으로 하여, 공중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그때의 중합방식으로서는 회분식, 연속식, 반회분식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1단째 및 2단째의 중합은 기상 또는 액상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단계의 체류 시간은 통상 각각 0.5∼10시간, 바람직하게는 1∼5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의 분체입자에 달라붙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분체입자에 유동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1단째 중합 후이고 2단째 중합의 개시전 또는 2단째 중합의 중합 도중에, 촉매의 고체 성분중의 티탄 원자에 대해 100∼1000배 몰에서, 또한 촉매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에 대해 2∼5배 몰의 범위에서 활성수소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성수소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물, 알콜류, 페놀류, 알데히드류, 카르복 실산류, 산 아미드류, 암모니아,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A)성분 및 (B)성분으로서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은, o-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한 온도 0∼140℃ 사이의 온도상승 용리 분별에 있어서의 0℃에서의 용출분 및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각각 특정 범위가 되도록 조정된 것인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폴리머의 용출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프로필렌 이외의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을 다단공중합 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결정성을 컨트롤 하는 방법이나, 촉매를 선택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입체규칙성을 컨트롤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에는, 약 실링 강도를 얻는 히트실링 온도범위를 넓게 하는 관점에서, 스티렌 함유율 25질량% 이하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배합량으로서는,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중에 차지하는 비율로서 통상 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상한으로서 통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이다. 당해 스티렌계 일래스토머가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1질량% 미만이면, 약 실링 강도를 얻는 히트실링 온도범위를 넓히는데 충분한 효과가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10질량%를 초과하면 블로킹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는, 또한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중화제, α결정핵제, β결정핵제, 안티블로킹제, 윤활제 등 의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배합해도 좋다.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배합비로서는, 통상 (A)성분:(B)성분 98:2∼50:50(질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60:40(질량비)의 비율이며, (A)성분이 상기 범위 초과이고 또한 (B)성분이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약 실링부를 안정적으로 히트실링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A)성분이 상기 범위 미만이고 또한 (B)성분이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도, 약 실링부를 안정적으로 히트실링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또, 용기 작성시에 포트부와의 실링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용기인데,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로서는, 121℃의 멸균 적성, 낙하강도,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히트실링층, 중간층, 및 최외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 및 최외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하기 (w)∼(z)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w) 최외층을 상기 (A)성분:프로필렌 단독중합체=5:95∼95:5(질량비)로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형성하고, 중간층을 상기 (A)성분: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인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95:5∼70:40(질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한다. 여기에서,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혼폴리켐(주)제 "커넬"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라고 기재할 때와 동일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인장탄성율」이란 JIS-K7127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탄성율이다.
(x) 최외층을 상기 (A)성분 5∼90질량부와, 상기 (B)성분 5∼90질량부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5∼9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하고, 중간층을 상기 (A)성분 5∼90질량부와, 상기 (B)성분 5∼90질량부와,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 5∼4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한다.
(y) 최외층을 상기 (A)성분: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5:95∼95:5(질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하고, 중간층을 (A)성분:열가소성 일래스토머=95:5∼70:40(질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한다. 여기에서,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계 일래스토머 미쓰이카가쿠(주)제 "타프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JSR(주)제 "다이나론"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라고 기재할 때와 동일하다.
(z) 최외층을 상기 (A)성분 5∼90질량부와, 상기 (B)성분 5∼90질량부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5∼9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하고, 중간층을 상기 (A)성분 5∼90질량부와, 상기 (B)성분 5∼90질량부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5∼4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한다.
상기 (w)∼(z)의 구성에서, 최외층을 (A)성분과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를 5:95∼95:5(질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A)성분 5∼90질량부와 (B) 성분 5∼90질량부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5∼9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하면,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표면 내열성이 향상되고, 용기 외면의 달라붙는 느낌이 없어, 백의 제작 적성·인쇄 적성이 우수한 복실용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중간층을 (A)성분과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를 95:5∼70:40(질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A)성분 5∼90질량부와 (B)성분 5∼90질량부와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 5∼4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하면,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121℃ 멸균 후의 투명성 및 유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낙하충격강도에 대단히 우수한 복실용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을 (A)성분과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를 95:5∼70:40(질량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A)성분 5∼90질량부와 (B)성분 5∼90질량부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5∼4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하거나 함(단,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서는 스티렌 함유량 20% 이하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으로써도,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121℃ 멸균후의 투명성 및 유연성 이 우수한 동시에, 낙하충격강도가 대단히 우수한 복실용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로서는, 내열성과 유연성의 관점에서, 190℃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5∼10g/10분이며, 또한 밀도가 0.87∼0.94g/cm3인 인장탄성율이 200MPa 이하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서는, 멸균후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스티렌 함유량 25질량% 이하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상기와 같은 3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경우, 그 적층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압출 라미네이션법, 다층 공압출법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내벽면을 구성하는 히트실링층을, 상술 한 바와 같은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구성함으로써,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 멸균처리 후도 안정적인 약 실링성을 보유하고, 용기의 변형도 없어 투명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히트실링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링 강도의 변화가 작은 영역이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발현되기 때문에, 특히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기 용량에 따라 최적이고 또한 안정적인 실링 강도를 실현하여, 낙하충격강도가 우수하고, 포트부 등과의 실링성도 우수한 복실용기로 만든 것이다.
여기에서, 약 실링부를 적절한 실링 강도범위로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안전율을 생각하면,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의 히트실링 온도 조건으로서, 25℃ 이상, 특히 30∼40℃의 온도폭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폭이란, 후술하는 실링 강도의 약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는 최저온도와 최고온도와의 차를 의미하는 것이다.
복실용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가령 상기 히트실링층을 (A)성분만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121℃에서의 멸균처리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약 실링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지만, 이러한 넓은 실링 온도폭을 확보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서, (A)성분과 (B)성분을 모두 히트실링층에 배합함으로써 비로소, 121℃ 멸균 적성을 갖고, 또한 약 실링부 형성시에는 25℃ 이상이라는 광범위한 실링 온도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이렇게 히트실링층을 형성하면, 복실용기에 포트부를 설치할 때에 저온에서 히트실링층과 포트부의 실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고온에서의 히트실링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포트 실링부로부터의 내용액의 리크가 발생할 위험성이 저감되어, 포트부와의 안정한 실링성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총량이, 히트실링층을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중에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통상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이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약 실링부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실링 온도범위가 좁아져, 약 실링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약 실링부란, 히트실링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실링부를 의미하며, 실링 강도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서 의 약 실링부의 JIS-Z0238에 준거하여 측정한 히트실링 강도(180°박리강도)로서는 1∼6N/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를 실현하기 위한 히트실링 조건으로서는, 상기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편면에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의 소재구성이나 층 두께 등을 감안하여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후술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링 압력 0.2MPa, 실링 시간 2초사이에, 실링 온도를 145∼180℃로 할 수 있다. 즉, 약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는 히트실링 온도범위를 25℃ 이상으로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히트실링 강도는 히트실링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점증하기 때문에,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를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 실링부 형성시의 실링 압력으로서는 0.1∼0.6MPa, 실링 시간으로서는 1∼8초의 조건을 채용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 그 실링 강도를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컨트롤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복실용기를 사용하면, 수용되는 내용물의 용적이나 중량 등에 따른 히트실링 강도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내용량의 합계가 500ml 미만인 경우에는, 용기의 약 실링 강도를 1∼3N/15mm로 하고, 내용량의 합계가 500ml 이상인 경우에는, 용기의 약 실링 강도를 3∼6N/15mm로 설정한다, 라고 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기의 내용량에 따라 최적인 약 실링 강도범위로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용량의 합계가 500ml 미만의 용기에 대해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3N/15mm를 초 과하면, 가압에 의한 약 실링부의 박리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복실용기의 약 실링부 이외의 부분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내용량의 합계가 500ml 이상의 용기에 대해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3N/15mm 미만이면, 수송시나 낙하시에 약 실링부의 연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서는, 소용량부터 대용량까지의 광범위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는 관점에서,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를 1∼6N/15mm, 또한 이 약 실링부 이외의 히트실링부, 즉 복실용기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하는 강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를 통상 20N/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5N/1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 실링부를 실현하는 히트실링 조건으로서는, 사용하는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의 소재구성이나 층 두께 등을 감안하여 적당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200℃(압력 0.2MPa, 시간 2초)의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강 실링부를 형성할 때의 히트실링 조건으로서는, 상기 약 실링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엄밀한 실링 조건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통상은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으로 온도를 설정하면 통상 사용되는 압력조건 및 시간 조건하에서 강 실링부의 형성이 가능하다. 강 실링부 형성시의 실링 압력으로서는 0.1∼0.6MPa, 실링 시간으로서는 0.5∼8초의 조건을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히트실링을 행할 때는, 소정의 온도로 조절한 한쌍의 발열체에 목적으로 하는 실링 개소를 끼워넣고 압착하는 통상의 히트실링법 이외에, 임펄스 실링법 등의, 히트실링층의 발열을 유기하여 실링하는 방법이나 고주파 실링법 등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약 실링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갖는 이지필용 테이프를,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당해 개소를 히트실링 함으로써 설치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약 실링부를 설치함으로써, 이지필용 테이프를 삽입하는 공정이 가해져, 공정이 번잡하게 되는 결점을 갖지만, 안정적인 약 실링 강도구역을 설치하는 실링 공정의 관리를 간략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편면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편면이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이지필용 테이프의 경우, 히트실링 조건에 차이를 두지 않아도, 약 실링부와 강 실링부를 동일한 히트실링 조건하에 형성할 수 있고, 양면이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이지필용 테이프인 경우,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약 실링부의 실링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또는 시트는,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이 80% 이상, 헤이즈가 25% 이하, 인장탄성율이 4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체 광선투과율」 및 「헤이즈」란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체 광선투과율 및 헤이즈를 의미하고, 「인장탄성율」이란 JIS-K7127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탄성율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면층 원료로서 하기 (a)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9: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하기 (a)성분과 인장탄성율이 100MPa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니혼폴리켐(주)제 "커넬")를 8: 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하기 (a)성분과 하기 (b)성분을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고,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1을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a)성분]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의 o-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한 온도 0℃부터 140℃ 사이의 온도상승 용리 분별에서의 0℃에서의 용출분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 23질량% 이며,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 8질량% 인 미쓰비시카가쿠(주)제 중합형 폴리프로필렌계 TPO.
[(B)성분]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의 o-디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한 온도 0℃부터 140℃ 사이의 온도상승 용리 분별에서의 0℃에서의 용출분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 7질량%이며,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 50질량%인 미쓰비시카가쿠(주)제 중합형 폴리프로필렌계 TPO.
이 시트 1을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4초간 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0℃,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1를 제작했다. 복실용기 1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5N/15mm이고, 약 실링부 히트실링 강도는 3.2N/15mm였다. 또, 온도조건만을 변경하여 히트실링 강도가 1∼6N/15mm이 되도록 약 실링부를 형성한 바, 온도범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45∼180℃였다. 약 실링부를 형성가능한 온도범위의 폭으로서, 35℃의 폭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링온도(℃) | 실링강도(N/15mm)*) |
145 | 1 |
155 | 2.5 |
165 | 4 |
175 | 5 |
180 | 6 |
*)JIS-ZO238에 준거하여 측정한 히트실링 강도(180°박리강도). 실링 조건: 압력 0.2MPa, 실링 시간 2초간. 실시예 1∼6에서는 실링 강도가 6N/15mm 이하일 경우, 약 실링부라고 인정했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1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주사용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 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통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0%, 헤이즈는 13%, 인장탄성율은 220MPa 이었다.
[실시예 2]
표면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스티렌 함유량이 20%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주)쿠라레제 "하이브라")를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2를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이 시트 2를 사용하고,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4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0℃,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2를 제작했다. 복실용기 1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4N/15mm이고, 약 실링부 히트실링 강도는 3.5N/15mm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30℃였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2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통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0%, 헤이즈는 15%, 인장탄성율은 200MPa이었다.
[실시예 3]
표면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8: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인장탄성율이 80MPa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니혼폴리켐(주)제 "커넬")를 6:2: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50㎛의 시트 3을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80㎛, 히트실링층 두께는 50㎛였다.
이 시트 3을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10℃, 압력 0.5MPa, 4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70℃,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3을 제작했다. 복실용기 3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0N/15mm이고, 약 실링부 히트실링 강도는 4.2N/15mm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30℃였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3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동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0%, 헤이즈는 14%, 인장탄성율은 200MPa이었다.
[실시예 4]
표면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8: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스티렌 함유량 20%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주)쿠라레제 "하이브라")를 7: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4를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이 시트 4를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3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0℃,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4를 제작했다. 복실용기 4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5N/15mm이고,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는 3.5N/15mm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35℃였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4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주사용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통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1%, 헤이즈는 16%, 인장탄성율은 200MPa이었다.
[실시예 5]
표면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인장탄성율이 100MPa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니혼폴리켐(주)제 "커넬")를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스티렌 함량10%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주)쿠라레제 "하이브라")를 70:2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5를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이 시트 5를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4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5℃,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5를 제작했다. 복실용기 5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2N/15mm이고, 약 실링부 히트실링 강도는 2.5N/15mm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40℃였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5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통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0%, 헤이즈는 16%, 인장탄성율은 200MPa이었다.
[실시예 6]
우선,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을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플레이션 성막법을 사용하여 두께 40㎛의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제1층(최외층)으로서 1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세키(주)제 "에스테르 E5102"), 제2층으로서 12㎛의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스테르 테레프탈레이트(도판인사츠(주)제 "GL필름"), 제3층으로서 15㎛의 나일론 필름(유니치카(주)제 "엠블렘"), 제4층으로서 상기 40㎛ 두께 필름을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4층 구성의 다층 필름 6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 6을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4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5℃,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6을 제작했다. 복실용기 6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2N/15mm이고, 약 실링부 히트실링 강도는 2.5N/15mm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30℃였다.
2실로 나뉘어진 복실용기 6의 각 실에 각각 1리터의 증류수를 충전하고 밀봉후에, 121℃에서의 멸균처리를 30분간 행했다. 약 실링부는 이 멸균처리에 의해 연통되지 않고,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연통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용기의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의 전체 광선투과율은 90%, 헤이즈는 16%였다.
[비교예 1]
표면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중간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과 인장탄성율이 100MPa의 메탈로센계 플라스토머(니혼폴리켐(주)제 "커넬")을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조성물,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만을 사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제막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1'을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이 시트 1'을 사용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를 200℃, 압력 0.5MPa, 4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하고, 그 후에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를 160℃, 압력 0.2MPa, 2초간의 조건으로 히트실링을 행함으로써 설치하고, 복실용기 1'을 제작했다. 복실용기 1'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0N/15mm였지만,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은 20℃ 미만으로 좁고, 강도는 2N/15mm로 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실링 온도범위가 좁아 복실용기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히트실링층 원료로서 상기 (a)성분만을 사용한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총두께 200㎛의 시트 2'을 제작했다. 표면층 두께는 20㎛, 중간층 두께는 140㎛, 히트실링층 두께는 40㎛였다.
이 시트 2'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외주부 및 포트 실링부와 용기 내를 구획하는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을 행하고, 복실용기 2'을 제작했다. 복실용기 2'의 외주부 히트실링 강도는 30N/15mm 였지만, 약 실링부 형성가능 온도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약 실링부를 형성할 수는 없었다.
Claims (10)
- 적어도 편면에 히트실링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로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상기 용기의 내벽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의 일부를 박리 가능하게 히트실링 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가 구획되고, 복수의 내용물이 각각 격리되어 수용되는 복실용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실링층이 하기 (A)성분과 (B)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A)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5질량% 이상 15질량% 미만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B)성분: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온도상승 용리 분별법(온도: 0∼140℃, 용매: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경우에, 0℃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0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60℃ 이상 90℃ 이하에서의 용출분의 비율이 전체 용출량에 대해 1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성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 실링부가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로 이 루어지는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갖는 이지필용 테이프를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당해 개소를 히트실링 함으로써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포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배합비가 (A)성분:(B)성분=98:2∼50:5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이 스티렌 함유율 25질량% 이하의 스티렌계 일래스토머를 1∼1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히트실링층, 중간층, 및 최외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 또는 시트가 121℃에서 30분간의 멸균처리를 행한 직후에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한 전체 광선투과율이 80% 이상, 헤이즈가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Z0238에 준거하여 측정한 히트실링 강도(180°박리강도)의 값으로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1∼6N/15mm이고, 또한 상기 약 실링부 이외의 히트실부의 실링 강도가 25N/1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500ml 미만의 내용량을 수용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1∼3N/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500ml 이상의 내용량을 수용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가 3∼6N/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413200A JP4412463B2 (ja) | 2003-12-11 | 2003-12-11 | 複室容器 |
JPJP-P-2003-00413200 | 2003-1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6642A true KR20060126642A (ko) | 2006-12-08 |
KR101065836B1 KR101065836B1 (ko) | 2011-09-19 |
Family
ID=3467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67011320A KR101065836B1 (ko) | 2003-12-11 | 2004-12-10 | 복실용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976917B2 (ko) |
EP (1) | EP1693044B1 (ko) |
JP (1) | JP4412463B2 (ko) |
KR (1) | KR101065836B1 (ko) |
CN (1) | CN100425221C (ko) |
ES (1) | ES2560445T3 (ko) |
WO (1) | WO20050559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94851B1 (en) * | 2005-06-15 | 2012-02-01 | Fujimori Kogyo Co., Ltd. | Duplex-chamber package |
KR101310177B1 (ko) * | 2005-09-12 | 2013-09-23 |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 복실 용기 |
EP2033615B1 (en) * | 2006-06-28 | 2017-05-10 | Fujimori Kogyo Co., Ltd. | Liquid container |
JP2008049513A (ja) * | 2006-08-23 | 2008-03-06 | Fujimori Kogyo Co Ltd | インクジェット装置用インク袋又はインクカートリッジ |
US7681732B2 (en) | 2008-01-11 | 2010-03-23 | Cryovac, Inc. | Laminated lidstock |
WO2010056317A2 (en) * | 2008-11-12 | 2010-05-20 | Teventi, Llc | Beverage pouch and method of use |
US8409645B2 (en) | 2008-11-18 | 2013-04-02 |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 Food package for segregating ingredients of a multi-component food product |
US8551545B2 (en) | 2008-11-18 | 2013-10-08 |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 Food package for segregating ingredients of a multi-component food product |
US8541038B2 (en) | 2008-11-18 | 2013-09-24 |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 Food package for segregating ingredients of a multi-component food product |
IT1393524B1 (it) * | 2009-01-30 | 2012-04-27 | Altergon Sa | Contenitore per uso farmaceutico atto al rilascio quantitativo di una monodose per somministrazione orale di ormoni tiroidei t3 e t4 in soluzione |
US20110027508A1 (en) * | 2009-07-29 | 2011-02-03 | Mileti Robert J | Multi-Layer Product With Sealing Areas Of Varying Sealing Affinities |
US8622618B2 (en) * | 2009-08-14 | 2014-01-07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screte laminate having panel section with easy-open sealant |
US8646975B2 (en) * | 2009-08-14 | 2014-02-11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screte tape and die-cut web |
US9221591B2 (en) * | 2009-08-14 | 2015-12-29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screte laminate with die-cut |
ES2386044B1 (es) * | 2011-01-10 | 2013-06-14 | Mixpaksystem, S.L. | Envase multiproducto |
US8979370B2 (en) | 2011-01-28 | 2015-03-17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screte laminate with die-cut |
EP2682091B1 (en) * | 2011-03-03 | 2017-07-05 | Nipro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uble-chamber container |
US8727621B2 (en) * | 2012-02-13 | 2014-05-20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e-cut web and reclosure mechanism |
WO2013156808A1 (en) * | 2012-04-19 | 2013-10-24 | Jean Jacques Jaouen | Reusable or one time use multi-compartment mixing and dispensing applicator tube or special spouted pouch with a sliding clamp |
WO2014099305A1 (en) * | 2012-12-19 | 2014-06-26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Flexible film composition forheat seals and container with same |
GB2516695A (en) * | 2013-07-30 | 2015-02-04 | Parkside Flexibles Europ Ltd | Package |
US9586724B2 (en) | 2014-06-10 | 2017-03-07 | Cryovac, Inc. | Easy open and reclosable gusseted package with die-cut web and reclosure mechanism |
EP3193812B1 (en) | 2014-08-26 | 2018-06-27 | Muffin Incorporated | Multi-cell sealed container |
TW201637643A (zh) | 2015-03-25 | 2016-11-01 | Terumo Corp | 醫療用袋 |
US10011399B1 (en) * | 2015-05-15 | 2018-07-03 | Loren S. Adell | Fabrication of polymeric dental devices and aids |
US20200276796A1 (en) * | 2017-09-12 | 2020-09-03 | Idemitsu Unitech Co.,Ltd. | Laminate,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
CN109987321A (zh) * | 2017-12-29 | 2019-07-09 | 山东园元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多室包装袋和固液分装组合物 |
CN108557270A (zh) * | 2018-05-08 | 2018-09-21 | 晋江双龙制罐有限公司 | 一种多物料混合加热即食的食品罐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 |
WO2019222673A2 (en) | 2018-05-18 | 2019-11-21 | Baxter International Inc. |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method of making and drug product using same |
USD900311S1 (en) | 2018-05-18 | 2020-10-27 | Baxter International Inc. |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
CN109334106A (zh) * | 2018-10-30 | 2019-02-15 | 贵州永聚恒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封孔袋及其生产工艺 |
US11198549B2 (en) * | 2019-04-04 | 2021-12-14 | Kao Corporation | Sheet for container |
US11667459B2 (en) | 2020-06-12 | 2023-06-06 | Sonia Gonzales | Infant formula receptacle with pliable pouch, and infant feeding systems |
JP2022083825A (ja) * | 2020-11-25 | 2022-06-06 | 住友化学株式会社 |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75049B2 (ja) | 1988-03-17 | 1997-11-12 |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 内容物入り容器 |
JP2675075B2 (ja) | 1988-06-10 | 1997-11-12 |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 内容物入り容器 |
JPH085708Y2 (ja) | 1990-11-20 | 1996-02-21 |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 輸液バッグ |
JPH08229099A (ja) * | 1995-02-27 | 1996-09-10 | Terumo Corp | 医療用複室容器 |
JP3949739B2 (ja) | 1995-02-27 | 2007-07-25 | テルモ株式会社 | 医療用複室容器 |
JP3613836B2 (ja) | 1995-05-12 | 2005-01-2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レスト装置 |
DE19618700C2 (de) | 1995-05-12 | 2002-12-05 | Aisin Seiki | Sitz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
AT403266B (de) * | 1995-09-28 | 1997-12-29 | Danubia Petrochem Polymere | Mehrschichtige verpackungsfolie auf polypropylenbasis, sowie deren verwendung |
JPH0999037A (ja) * | 1995-10-05 | 1997-04-15 | Terumo Corp | 医療用複室容器 |
JP2000007050A (ja) * | 1998-06-16 | 2000-01-11 |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 複室容器 |
JP2000005276A (ja) * | 1998-06-19 | 2000-01-11 | Material Eng Tech Lab Inc | 医療用容器 |
US6287705B1 (en) | 1998-09-01 | 2001-09-11 |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 Propylene random copolymer, 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f these, and multilayered propylene resin laminate |
JP4514248B2 (ja) * | 1998-11-26 | 2010-07-28 |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
US6270911B1 (en) | 1998-10-06 | 2001-08-07 |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 Propylene-based random copolymers and 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s, films thereof and propylene-based resin laminates |
WO2000063010A2 (en) * | 1999-04-16 | 2000-10-26 |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 Polypropylene multi-layer sealant films for retort packaging |
JP2003052791A (ja) | 2001-06-07 | 2003-02-25 | Q P Corp | 複室容器 |
EP1394071B1 (en) * | 2001-06-07 | 2012-12-26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Duplex container |
US7141300B2 (en) * | 2001-06-27 | 2006-11-28 | Nitto Denko Corporation | Adhesive sheet for dicing |
US20060093765A1 (en) * | 2004-10-29 | 2006-05-04 | Sealed Air Corporation (Us) | Multi-compartment pouch having a frangible seal |
-
2003
- 2003-12-11 JP JP2003413200A patent/JP441246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12-10 US US10/582,100 patent/US7976917B2/en active Active
- 2004-12-10 WO PCT/JP2004/018852 patent/WO200505591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12-10 CN CNB200480039975XA patent/CN100425221C/zh active Active
- 2004-12-10 ES ES04807210.2T patent/ES2560445T3/es active Active
- 2004-12-10 KR KR20067011320A patent/KR1010658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10 EP EP04807210.2A patent/EP169304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93044A1 (en) | 2006-08-23 |
JP4412463B2 (ja) | 2010-02-10 |
CN100425221C (zh) | 2008-10-15 |
JP2005168810A (ja) | 2005-06-30 |
ES2560445T3 (es) | 2016-02-19 |
EP1693044A4 (en) | 2009-07-08 |
US7976917B2 (en) | 2011-07-12 |
CN1901873A (zh) | 2007-01-24 |
KR101065836B1 (ko) | 2011-09-19 |
WO2005055918A1 (ja) | 2005-06-23 |
US20070114144A1 (en) | 2007-05-24 |
EP1693044B1 (en) | 2015-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5836B1 (ko) | 복실용기 | |
JP4596124B2 (ja) | 医療用容器 | |
JP4855447B2 (ja) |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容器 | |
EP2231775B1 (en) | Use of a multilayer film for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
US5478617A (en) |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 |
EP1323803B1 (en) | 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films and use thereof | |
CZ302820B6 (cs) | Vícevrstvá termoplastická struktura | |
WO2007026893A1 (ja) |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 |
JP4460372B2 (ja) | 複室輸液バッグ | |
JP4905643B2 (ja) | 複室容器 | |
AU2012281624A1 (en) | Plastic film and infusion solution bag | |
JP4420195B2 (ja) | ヒートシール構造及び複室容器 | |
KR20060060729A (ko) | 폴리프로필렌계 성형품 및 용기 | |
JPH06286087A (ja) |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 |
JP6434844B2 (ja) | 医療用複室容器 | |
JP2001046473A (ja) | 耐熱性医療容器 | |
JP4037951B2 (ja) | 食品包装用積層袋 | |
JP4036726B2 (ja) | 積層フィルム | |
JP4447240B2 (ja) |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容器 | |
JP6574333B2 (ja) | 医療用複室容器 | |
JP2016189835A (ja) | 医療用容器 | |
JPH0956778A (ja) | 医療用複室容器 | |
JPH08131515A (ja) | 医療用複室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