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436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361A
KR20040104361A KR1020040030281A KR20040030281A KR20040104361A KR 20040104361 A KR20040104361 A KR 20040104361A KR 1020040030281 A KR1020040030281 A KR 1020040030281A KR 20040030281 A KR20040030281 A KR 20040030281A KR 20040104361 A KR20040104361 A KR 2004010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pin contact
shel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321B1 (ko
Inventor
다구찌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동일축 케이블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착탈되는 리셉터클을 갖는다. 플러그는 원통 형상의 쉘과, 핀 콘택트와, 쉘의 내부에 설치되어 핀 콘택트를 쉘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다. 리셉터클은 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과, 이 쉘 삽입 구멍 내부에 설치되어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한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제1 볼록부를 끼워 맞추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자세에 관계없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에 이용되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용 외부 안테나가 접속되는 안테나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무선 LAN을 채용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이후, 노트북 PC라 함)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가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따르면, 브로드밴드루터에 임의의 장소에서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상의 전자 기기에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에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내부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에는 스위치 기구가 달린 동일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안테나로 전파의 송수신이 곤란한 경우에는, 동일축 커넥터에 외부 안테나를 접속하여 내부 안테나와 외부 안테나를 절환함으로써 외부 안테나로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LAN은 IEEE(미국 전기 전자 학회)에 의한 IEEE 802.1la로 규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국 통신 위원회)에 의해 고속 무선 LAN용 5.2 ㎓ 주변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각 메이커의 무선 LAN용 커넥터는 커스터마이즈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즉, 안테나용 커넥터는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를 접속할 수 없도록 각 메이커 독자의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내부 안테나에 대해서는 상술한 FCC에 의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지만, 외부 안테나가 접속되는 안테나용 커넥터에 대해서는 상술한 FCC의 규정이 적용되므로 커스터마이즈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키와 키 홈을 갖는 커넥터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9-306603호 공보 참조). 즉, 커넥터는 외부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리셉터클을 갖는다. 여기서, 플러그의 선단부에는 키가 설치되고, 리셉터클의 삽입구에는 키 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의 키를 리셉터클의 키 홈에 끼워 맞춤으로써 다른 메이커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접속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에 보유 지지되는 커플링 주머니 너트와, 리셉터클의 외주에 형성된 수형 나사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이 사용자로부터 찾기 힘든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키 홈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최근 노트북 PC의 하우징의 박육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커넥터도 소형화되고 있어 키 홈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더욱 곤란해졌다. 그로 인해, 플러그를 쉽게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동일축 케이블이 플러그의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즉 플러그의 삽입 방향과 동일축 케이블의 연장 돌출 방향이 직교하는, 이른바 라이트앵글 커넥터(L형 커넥터라고도 불리움)인 경우, 키 및 키 홈을 마련함으로써 삽입할 때의 플러그의 자세가 한정된다. 따라서, 동일축 케이블의 연장 돌출 방향도 한정되어 버려 양호한 사용 편의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FCC의 규정은 메이커 독자의 구조로서 키 및 키 홈의 조합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를 접속할 수 없고, 또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1) 동일축 케이블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착탈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이며, 상기 동일축 케이블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와, 이 내부 도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형상의 쉘과,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된 핀 콘택트와, 상기 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쉘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의 쉘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과, 이 쉘 삽입 구멍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가 삽입되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볼록부를 끼워 맞추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이 커넥터는 무선 LAN이 채용된 소형 기기에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커넥터에는 외부 안테나가 접속되어 IEEE 802.11a로 규격된 고속 무선 LAN에 이용되어도 좋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커넥터가 설치된 기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안테나라도 좋다. 이 안테나는, 예를 들어 선형 안테나라도 좋고, 휩(whip) 안테나라도 좋다. 이 안테나의 송수신 단자는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되고, 그랜드 단자는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예를 들어 심선이고, 핀 콘택트의 기단부측에 땜납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는, 예를 들어 편조선이고, 원통 형상의 쉘의 기단부측에 협지됨으로써 고정되어도 좋다.
플러그와 동일축 케이블과의 접속 부분은 절연성의 보호 커버로 덮여져도 좋다. 이 경우, 이 보호 커버를 파지함으로써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착탈해도 좋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측 및 기단부측의 외주에 각각 절결홈을 형성하고, 이들 절결홈이 원통 형상의 쉘에 계지됨으로써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원통 형상의 쉘에 보유 지지해도 좋다.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내부에는 고정 콘택트와, 이 고정 콘택트를 향해 압박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콘택트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핀 콘택트를 핀 콘택트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핀 콘택트의 선단부는 가동 콘택트와 고정 콘택트 사이로 인입하여 가동 콘택트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격리시킨다. 한편, 핀 콘택트를 핀 콘택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빼냄으로써, 가동 콘택트는 고정 콘택트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에 스위치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을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하여 프린트 기판의 그랜드 패턴에땜납으로 고정해도 좋다.
(1)의 발명에 따르면,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제1 볼록부를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제1 오목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속된다. 따라서,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키 및 키 홈을 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러그의 자세에 관계없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2) 동일축 케이블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착탈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이며, 상기 동일축 케이블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와, 이 내부 도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형상의 쉘과,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된 핀 콘택트와, 상기 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쉘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의 쉘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과, 이 쉘 삽입 구멍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가 삽입되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이 커넥터는 무선 LAN이 채용된 소형 기기에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커넥터에는 외부 안테나가 접속되어 IEEE 802.11a로 규격된 고속 무선 LAN에 이용되어도 좋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커넥터가 설치된 기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안테나라도 좋다. 이 안테나는, 예를 들어 선형 안테나라도 좋고, 휩 안테나라도 좋다. 이 안테나의 송수신 단자는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되고, 그랜드 단자는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예를 들어 심선이고, 핀 콘택트의 기단부측에 땜납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는, 예를 들어 편조선이고, 원통 형상의 쉘의 기단부측에 협지됨으로써 고정되어도 좋다.
플러그와 동일축 케이블과의 접속 부분은 절연성의 보호 커버로 덮여져도 좋다. 이 경우, 이 보호 커버를 파지함으로써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착탈해도 좋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측 및 기단부측의 외주에 각각 절결홈이 형성되고, 이들 절결홈이 원통 형상의 쉘에 계지됨으로써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원통 형상의 쉘에 보유 지지해도 좋다.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내부에는 고정 콘택트와, 이 고정 콘택트를 향해 압박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콘택트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핀 콘택트를 핀 콘택트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핀 콘택트의 선단부는 가동 콘택트와 고정 콘택트 사이로 인입하여 가동 콘택트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킨다. 한편, 핀 콘택트를 핀 콘택트 삽입 구멍으로부터 빼냄으로써, 가동 콘택트는 고정콘택트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에 스위치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을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하여 프린트 기판의 그랜드 패턴에 땜납으로 고정해도 좋다.
(2)의 발명에 따르면,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제1 오목부를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제1 볼록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속된다. 따라서,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키 및 키 홈을 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러그의 자세에 관계없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의 쉘 삽입 구멍 내주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의 쉘 외주면에는 환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의 제1 압박 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의 홈부에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의 발명에 따르면, 제1 압박 부재를 환형의 홈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보유 지지하는 하프로크 구조로 하였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삽입 발출할 수 있다.
(4) (3)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 부재는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협지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협지하도록 제1 압박 부재를 배치하였으므로, 플러그를 보다 확실하게 리셉터클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5) (4)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의 제2 압박 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의 쉘을 내측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고정 콘택트와, 이 콘택트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핀 콘택트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핀 콘택트는 상기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콘택트를 압박하고, 이 탄성 콘택트를 상기 고체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무선 LAN용 외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IEEE 802.11a로 규격되는 고속 무선 LAN용 외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2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상면도.
도2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종단면도.
도2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하면도.
도2d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횡단면도.
도2e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종단면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을 구성하는 주요한 부품의 조립 사시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외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6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상면도.
도6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종단면도.
도6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하면도.
도6d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횡단면도.
도6e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2 : 리셉터클
3 : 비스
4 : 측면 패널
10 : 케이블
10A : 심선
10B : 절연체
10C : 편조선
11 : 핀 콘택트
12 : 쉘
21 : 제1 리셉터클 하우징
22 : 핀 콘택트 삽입구
24 : 제1 그랜드 쉘
25 : 제2 그랜드 쉘
26 :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커넥터는 동일축 케이블(10)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1)와, 이 플러그(1)가 착탈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리셉터클(2)을 갖는다.
리셉터클(2)은 도시하지 않은 노트북 PC의 측면에 실장되고, 플러그(1)는 IEEE 802.11a로 규격되는 고속 무선 LAN용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접속함으로써 외부 안테나로 무선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일축 케이블(1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로서의 심선(10A)과, 이 심선(10A)을 피복하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형성된 절연체(10B)와, 이 절연체(10B)의 외측에 설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도체로서의 편조선(10C)과, 이 편조선(10C)을 피복하는 절연체(10D)를 구비한다.
도2a는 플러그(1)의 상면도이고, 도2b는 플러그(1)의 종단면도이고, 도2c는 플러그(1)의 하면도이다.
플러그(1)는 동일축 케이블(10)에 접속된 외경(d)을 갖는 원통 형상의 쉘(12)과, 동일축 케이블(10)의 심선(10A)에 접속된 핀 콘택트(11)와, 쉘(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핀 콘택트(11)를 쉘(12)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를 구비한다. 즉, 쉘(12)과 핀 콘택트(11)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핀 콘택트(11)는 선단부측이 외경이 작은 원기둥 형상이고, 기단부측이 외경이 큰 원기둥 형상이다. 즉, 핀 콘택트(11)의 선단부측과 기단부측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핀 콘택트(11)의 선단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 콘택트(11)의 기단부측에는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동일축 케이블(10)의 심선(10A)이 땜납으로 고정된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에는 핀 콘택트(11)가 삽통되는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 구멍은 선단부측이 큰 내경이고, 기단부측이 작은 내경으로 되어 있다. 즉, 삽통 구멍의 선단부측과 기단부측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의 삽통 구멍의 기단부측으로부터 핀 콘택트(1l)를 삽통하면, 핀 콘택트(11)의 단차가 삽통 구멍의 단차에 계지되어 보유 지지된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의 선단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볼록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쉘(12)의 선단부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홈부(1B)가 형성되어 있다.
쉘(12)의 대략 중앙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절결부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 중 한 쪽은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부재(1C)로 되어 있고, 절결부 중 다른 쪽은 절곡 가능한 절곡 부재(1D)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를 쉘(12)의 기단부측으로부터 돌출 부재(1C)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고, 그 후 절곡 부재(1D)를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이 절곡 부재(1D)를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에 계지한다. 이에 의해,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는 쉘(12)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쉘(12)의 기단부측에는 동일축 케이블(10)이 삽입되어 있다. 이 동일축 케이블(10)의 선단부측은 절연체(10D)가 박리되어 편조선(10C)이 노출되어 있다. 이 편조선(10C)이 노출된 부분 중 최선단부측은 편조선(10C) 및 편조선(10C)이 박리되어 심선(10A)이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심선(10A)은 핀 콘택트(11)의 기단부측에 고정된다. 또한, 노출된 편조선(10C)과 절연체(10B) 사이에는 통형이고 절연성의 페룰(15)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쉘(12)의 기단부측을 이 노출된 편조선(10C)을 클램프함으로써, 노출된 편조선(10C)은 원통 형상의 쉘(12)의 기단부측에 협지되어 쉘(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의 플러그(1)와 동일축 케이블(10)의 접속 부분은 절연성의 보호 커버인 부츠(10E)로 덮여져 있다. 이에 의해, 이 부츠(10E)를 파지함으로써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착탈한다.
도2d는 리셉터클(2)의 횡단면도이고, 도2e는 리셉터클(2)의 종단면도이다.
리셉터클(2)은 플러그(1)의 쉘(12)이 삽입되는 쉘 삽입 구멍(2B)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21)과, 이 쉘 삽입 구멍(2B) 내부에 설치되어 핀 콘택트(11)가 삽입되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26)을 구비한다.
제1 리셉터클 하우징(21)의 쉘 삽입 구멍(2B)은 내경(D)을 갖고 있고, 쉘(12)의 외경(d)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쉘 삽입 구멍(2B)과 핀 콘택트 삽입부(22) 사이에는 환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의 홈과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은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다.
쉘 삽입 구멍(2B)의 내주면에는 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그랜드 쉘(24)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리셉터클 하우징(26)은 쉘 삽입 구멍(2B)의 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제2 그랜드 쉘(25)과, 이 제2 그랜드 쉘(25)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이 형성된 핀 콘택트 삽입부(22)를 구비한다.
핀 콘택트 삽입부(22)의 선단부면에는 제1 볼록부(13A)를 끼워 맞추는 제1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오목부(21A)의 중심에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랜드 쉘(25)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압박 부재(25C, 25D)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그랜드 쉘(25)의 내부에는 이 제2 그랜드 쉘(25)의 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고정 콘택트(23B)와, 이 고정 콘택트(23B)를 향해 압박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콘택트(23A)가 설치되어 있다.
도3은 리셉터클(2)을 구성하는 제1 그랜드 쉘(24), 제2 그랜드 쉘(25), 고정 콘택트(23B) 및 가동 콘택트(23A)의 조립 사시도이다.
고정 콘택트(23B)는 평판형으로,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땜납 등으로 고정된 기단부(235)와,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의 절곡 부재(233)가 접촉하는 선단부(234)를 구비한다.
가동 콘택트(23A)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땜납 등으로 고정된 기단부(232)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고정 콘택트(23B)에 접근하도록 굴곡된 선단부(231)를 구비한다.
가동 콘택트(23A)의 선단부(231)는 핀 콘택트(11)가 통과하는 통로 상에 위치하고 있다. 선단부(231)의 선단부는 고정 콘택트(23B)를 향해 절곡되어 고정 콘택트(23B)에 접촉하는 절곡 부재(233)로 되어 있다.
제2 그랜드 쉘(25)은 도통성을 갖고 있어 선단부측이 원통형이고, 기단부측이 단면 U자 형상이다. 제2 그랜드 쉘(25)의 선단부측에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2 압박 부재(25C, 25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 압박 부재(25C, 25D)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2 그랜드 쉘(25)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그랜드 쉘(25)의 기단부측은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땜납 등으로 고정되어 접지하고 있다.
상술한 제1 그랜드 쉘(24)은 도통성을 갖고 있고, 단면 U자 형상이다. 제1 그랜드 쉘(24)의 기단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땜납 등으로 고정되어 접지하고 있다.
또한, 제1 그랜드 쉘(24)에는 제2 리셉터클 하우징(26)을 협지하도록 한 쌍의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압박 부재(24A, 2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압박 부재(24A, 24B)는 굴곡부(241, 242)로 굴곡되어 있고, 이들 굴곡부(241, 242)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2 참조).
이들 가동 콘택트(23A)와 고정 콘택트(23B)와 제2 그랜드 쉘(25)과 제1 그랜드 쉘(24)은 제1 리셉터클 하우징(21)에 압입되어 일체화된다. 즉, 가동 콘택트(23A) 및 고정 콘택트(23B)는 제2 그랜드 쉘(25)에 기단부측으로부터 압입되고, 이 제2 그랜드 쉘(25)은 제1 그랜드 쉘(24)에 선단부측으로부터 압입된다.
도4는 리셉터클(2)의 외관 사시도이다.
리셉터클(2)의 제1 리셉터클 하우징(21)에는 쉘 삽입 구멍(2B)의 양측에 2개의 삽통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리셉터클 하우징(21)의 내측에는 사각 너트(20B)가 설치되어 있다. 삽통 구멍(20A)에 체결구로서의 비스(3)를 삽통하여 사각 너트(20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리셉터클(2)을 PC의 측면 패널(4)에 고정한다.
다음에,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1)의 쉘(12)의 선단부를 리셉터클(2)의 쉘 삽입 구멍(2B)에 맞추어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삽입한다. 그러면, 플러그(1)의 핀 콘택트(11)는 리셉터클(2)의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으로 안내된다. 그 상태에서 플러그(1)를 다시 삽입하면,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3)의 제1 볼록부(13A)가 핀 콘택트 삽입부(22)의 제1 오목부(21A)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이 접속된다.
또한, 리셉터클(2)의 제1 압박 부재(24A, 24B)의 굴곡부(241, 242)는 탄성 변형되어 플러그(1)의 홈부에 계지된다. 동시에, 리셉터클(2)의 제2 압박 부재(25C, 25D)는 탄성 변형되어 플러그(1)의 쉘(12)을 내측으로부터 압박한다.
또한, 핀 콘택트(11)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핀 콘택트(11)의 선단부는 가동 콘택트(23A)와 고정 콘택트(23B) 사이로 인입하여,가동 콘택트(23A)를 압박하여 고정 콘택트(23B)로부터 이격시킨다. 한편, 핀 콘택트(11)를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으로부터 빼냄으로써, 가동 콘택트(23A)는 고정 콘택트(23B)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에 스위치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록부(13A) 및 제1 오목부(21A)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키 및 키 홈을 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러그(1)의 자세에 관계없이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측 및 기단부측의 외주에는 각각 절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결홈이 원통 형상의 쉘에 계지됨으로써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는 원통 형상의 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4) 및 핀 콘택트 삽입부(22)의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6a는 플러그(1)의 상면도이고, 도6b는 플러그(1)의 종단면도이고, 도6c는 플러그(1)의 하면도이다. 도6d는 리셉터클(2)의 횡단면도이고, 도6e는 리셉터클(2)의 종단면도이다.
핀 콘택트 삽입부(22)의 선단부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2 볼록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볼록부(22A)의 중심에 핀 콘택트 삽입 구멍(2A)이 위치하고 있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4)의 선단부면에는 제2 볼록부(22A)를 끼워 맞추는 제2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14)의 제2 오목부(14A)를 핀 콘택트 삽입부(22)의 제2 볼록부(22A)에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이 접속된다. 따라서, 제2 오목부(14A) 및 제2 볼록부(22A)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2)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커넥터는 무선 LAN의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 안테나와 내부 안테나를 절환 가능한 노트북 PC 또는 PDA에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제1 볼록부를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제1 오목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속된다. 따라서,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의 형상을 특정하였으므로, 다른 메이커의 외부 안테나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키 및 키 홈을 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러그의 자세에관계없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Claims (8)

  1. 동일축 케이블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착탈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이며,
    상기 동일축 케이블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와, 이 내부 도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형상의 쉘과,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된 핀 콘택트와, 상기 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쉘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의 쉘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과, 이 쉘 삽입 구멍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가 삽입되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볼록부를 끼워 맞추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동일축 케이블을 거쳐서 안테나에 접속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착탈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이며,
    상기 동일축 케이블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와, 이 내부 도체의외측에 설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 원통 형상의 쉘과, 상기 동일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접속된 핀 콘택트와, 상기 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쉘의 중심축 상에 보유 지지하는 절연성의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의 쉘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과, 이 쉘 삽입 구멍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 콘택트가 삽입되는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 보유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의 쉘 삽입 구멍 내주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의 쉘 외주면에는 환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의 제1 압박 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의 홈부에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 부재는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을 협지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의 제2 압박 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플러그의 쉘을 내측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고정 콘택트와, 이 콘택트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핀 콘택트를 상기 핀 콘택트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핀 콘택트는 상기 핀 콘택트 삽입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콘택트를 압박하고, 이 탄성 콘택트를 상기 고체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무선 LAN용 외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IEEE 802.11a로 규격되는 고속 무선 LAN용 외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30281A 2003-05-30 2004-04-30 커넥터 KR101013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5693 2003-05-30
JP2003155693A JP4199597B2 (ja) 2003-05-30 2003-05-30 アンテナ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361A true KR20040104361A (ko) 2004-12-10
KR101013321B1 KR101013321B1 (ko) 2011-02-09

Family

ID=3312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281A KR101013321B1 (ko) 2003-05-30 2004-04-30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76873B2 (ko)
EP (1) EP1482599A3 (ko)
JP (1) JP4199597B2 (ko)
KR (1) KR101013321B1 (ko)
CN (1) CN100367575C (ko)
TW (1) TWI2929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500B1 (ko) * 2005-11-23 2006-06-30 (주)기가레인 고주파 코넥터용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1586B2 (ja) * 2003-12-25 2009-09-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TWI246809B (en) * 2005-03-10 2006-01-01 Avision Inc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interrupting an ESD path
CN100420101C (zh) * 2005-04-15 2008-09-17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可阻绝静电放电路径的电连接器
KR100809054B1 (ko) 2006-09-07 2008-03-03 (주)기가레인 전기 절연성이 강화된 고주파 전송용 코넥터
GB2469023B (en) * 2009-03-30 2013-01-02 Tyco Electronics Ltd Uk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ne
JP5286190B2 (ja) * 2009-08-03 2013-09-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201667463U (zh) * 2009-11-10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及与其相配合的插头
TWI425719B (zh) * 2010-11-16 2014-02-01 Compal Electronics Inc 連接埠
CN103427189A (zh) * 2012-05-18 2013-12-04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4218298B (zh) * 2013-05-29 2017-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nfc天线组件
CN103904487A (zh) * 2014-03-18 2014-07-02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106532258A (zh) * 2017-01-12 2017-03-22 成都天锐通科技有限公司 干扰压制天线
EP3767750B1 (de) * 2019-07-16 2022-03-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solierschutzelement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CN112563721B (zh) * 2020-12-09 2024-05-07 安徽恒诺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天线架设的防触电接线护套
JP7569504B2 (ja) 2022-01-31 2024-10-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7964U (de) * 1974-08-17 1975-01-30 Bosch R Gmbh Koaxialer Steckverbinder
US4593464A (en) * 1983-08-15 1986-06-10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triaxial electrical connector
JPS6139381A (ja) * 1984-07-30 1986-02-25 株式会社東芝 ワンタツチ式シ−ルコネクタ
US4895521A (en) * 1989-01-13 1990-01-23 Amp Incorporated Multi-port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5037328A (en) * 1990-05-31 1991-08-06 Amp Incorporated Foldable dielectric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JP2626281B2 (ja) * 1991-03-18 1997-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604286B2 (ja) 1991-04-26 1997-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回転式アンテナ
JPH0583025A (ja) * 1991-09-20 1993-04-02 Ocean Cable Co Ltd 金属管スロツトアレーアンテナ
JPH05144526A (ja) 1991-11-25 1993-06-11 Sony Corp アンテナコネクタ
JPH06140105A (ja) 1992-10-27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テレビターミナル
JPH06310337A (ja) 1993-04-23 1994-11-04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コネクタ
FR2716039B1 (fr) * 1994-02-04 1996-04-26 Radiall Sa Connecteur électrique coaxial réalisant également une fonction de commutation.
WO1996032763A2 (en) * 1995-04-12 1996-10-17 Itt Industr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H0992409A (ja) * 1995-09-25 1997-04-04 Hosiden Corp 多極ジャック
JP3470249B2 (ja) 1995-12-06 2003-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接栓保持装置
US5730621A (en) * 1996-04-10 1998-03-24 Insert Enterprise Co., Ltd. Dual-jack electrical connector
JPH09306603A (ja) 1996-05-08 1997-11-28 Dai Ichi Denshi Kogyo Kk 同軸コネクタ
JP3267890B2 (ja) 1997-03-06 2002-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切換用同軸コネクタ
JP3684803B2 (ja) * 1997-12-19 2005-08-17 松下電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H11251001A (ja)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同軸コネクタ組立体
JPH11329611A (ja) 1998-05-08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プラグ
DE19929672B4 (de) * 1999-06-28 2004-07-29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Verbinderanordnung für Koaxialleitungen
JP3293806B2 (ja) 1999-09-28 2002-06-17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のレセプタクル
JP4158877B2 (ja) * 2001-07-04 2008-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6733336B1 (en) * 2003-04-03 2004-05-1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mpression-type hard-lin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500B1 (ko) * 2005-11-23 2006-06-30 (주)기가레인 고주파 코넥터용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6067A (ja) 2004-12-16
KR101013321B1 (ko) 2011-02-09
EP1482599A3 (en) 2006-01-25
EP1482599A2 (en) 2004-12-01
TW200511663A (en) 2005-03-16
JP4199597B2 (ja) 2008-12-17
CN1574505A (zh) 2005-02-02
US20040242073A1 (en) 2004-12-02
US6976873B2 (en) 2005-12-20
CN100367575C (zh) 2008-02-06
TWI292970B (en)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321B1 (ko) 커넥터
EP2301118B1 (en) Connector arrangement
JP5808043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7819680B2 (e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JP6135834B1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部材
WO2010008516A1 (en) Low-profile mounted push-on connector
EP3667828B1 (e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EP4059098A1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947011B2 (en) Connector unit
US119295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KR20180028386A (ko) 전기 커넥터
EP0794596B1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US12100905B2 (en) Multiple coaxial cable connector
US20220302616A1 (en) Unitary rf connector with ground contact tabs arranged in crown, for a board-to-board connection and a ganged conn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unitary connector, for a multiple board-to-board connection
US7399206B2 (en) Coaxial connector
US7193570B2 (en) Cable antenna assembly having slots in grounding sleeve
US20070228839A1 (en) Connector
US20190148867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0097823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TWI673918B (zh) 電連接器
CN113783016A (zh) 一种板间射频连接器
CN110994286A (zh) 一种射频连接装置及电子设备
US20240022020A1 (en) Cable Connector
KR20220100498A (ko) 기판 커넥터
JP2005158535A (ja) 同軸コネクタのレセプタクルおよび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