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73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3732B1 KR102543732B1 KR1020210044971A KR20210044971A KR102543732B1 KR 102543732 B1 KR102543732 B1 KR 102543732B1 KR 1020210044971 A KR1020210044971 A KR 1020210044971A KR 20210044971 A KR20210044971 A KR 20210044971A KR 102543732 B1 KR102543732 B1 KR 102543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ress
- housing
- connector
- fit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커넥터에서 상대측 커넥터를 분리할 때의 컨택트의 이동을 적절히 규제하기 위해,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커넥터가 컨택트와 하우징을 구비하고, 컨택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에 압입되는 피압입부와, 피압입부로부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상승부에서 제 3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피압입부가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선단 부분이 상대측 커넥터측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부와 접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하고,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대측 커넥터와 상하로 감합하는 커넥터의 일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이하, 커넥터(1)이라 함)를 들 수 있다.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2)와 감합한다. 커넥터(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과, 하우징(3)에 고정된 컨택트(4)를 갖는다. 하우징(3)은 환상 벽(3A)의 내부에 형성된 저벽(3B)과, 저벽(3B)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승된 볼록부(3C)를 갖는다. 볼록부(3C)의 상단 부분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칼라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컨택트(4)는 탄성을 갖는 띠형상 도전 부재이며, 환상 벽(3A)에 마련된 홈에 감입(끼워넣음)되어 압입됨으로써 하우징(3)에 장착되어 있다. 컨택트(4)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에 접합되는 단자부(4A)와, 단자부(4A)의 일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유지부(4B)와, 유지부(4B)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접속부(4C)와, 접속부(4C)의 일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완만하게 수평 방향으로 만곡된 후에 위쪽으로 상승하여 형성된 만곡부(4D)를 갖는다. 만곡부(4D)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부(5)와, 정상부(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측부(6, 7)와, 측부(7)의 선단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8)를 갖는다.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2)와 감합할 때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를 향해 개구하도록 만곡된 컨택트(4)의 만곡부(4D)내에, 상대측 커넥터(2)의 컨택트(상대측 컨택트(9))가 삽입된다. 이 때,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부(4D)가 상대측 컨택트(9)에 의해서 밀어 확대되어 측부(7)가 볼록부(3C)에 근접하도록 탄성변형되고, 굴곡부(8)가, 칼라 형상으로 확대된 볼록부(3C)의 상단 부분의 하측에 잠입하여 계지(걸어고정)된다. 그 결과,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의 컨택트(4)의 위쪽으로 이동(즉, 컨택트(4)의 부상(떠오름))이 규제되게 된다.
커넥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4D)의 탄성변형시에 볼록부(3C)에 계지되도록 구성된 굴곡부(8)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굴곡부(8)의 위치는 커넥터(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2)의 착탈에 따라 변화한다. 그리고, 커넥터(1)에서 상대측 커넥터(2)를 분리하는(즉, 컨택트(4)에서 상대측 컨택트(9)를 빼는) 경우에는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부(8)가 볼록부(3C)의 상단부에 계지되지 않게 되고, 컨택트(4)의 부상이 규제되기 어려워진다.
또,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2)의 착탈의 반복에 수반하여 볼록부(3C)의 형상 또는 만곡부(4D)의 탄성 등이 변화하면, 커넥터 감합시에 있어서의 굴곡부(8)의 위치가 상하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굴곡부(8)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은 구성에서는 컨택트(4)가 의도하지 않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기인하여 컨택트(4)에 의해서 전송되는 신호의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목적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컨택트의 이동, 특히 커넥터에서 상대측 커넥터를 분리할 때의 컨택트의 부상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대측 커넥터가 구비하는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컨택트가 갑입되어 부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컨택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하우징에 압입되는 피압입부와, 피압입부로부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제 1 방향으로 상승한 상승부와, 상승부에서 제 3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피압입부가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선단 부분이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측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 돌출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의 피압입부가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컨택트의 연장부의 선단 부분이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측을 향하는 면(상면)에 있어서 하우징의 돌출부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가 하우징에 감입된 상태에서는 컨택트의 위쪽 이동, 즉 부상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컨택트가 하우징에 감입될 때에, 피압입부가 제 3 방향을 따라 하우징에 압입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의 감합 방향인 제 1 방향과, 컨택트의 압입 방향인 제 3 방향이 서로 교차하고, 양 방향을 서로 따르는 구성(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 비해, 더욱 적절하게 컨택트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과 제 3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접촉부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양단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탄성부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탄성부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의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해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할 때에 탄성변형되어 한 쌍의 탄성부 사이에 상대측 컨택트를 배치하면 좋다.
상기의 구성이면, 컨택트를 상대측 컨택트와 양호하게 접촉시키면서, 컨택트의 부상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컨택트는 제 3 방향에 있어서 연장부와는 반대측에서 피압입부로부터 연장된 접속부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접속부는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면 좋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연장부의 선단 부분에 마련된 돌출부와의 접촉면과, 돌출부에 마련된 연장부와의 접촉면은 제 2 방향 및 제 3 방향을 따르는 평면이면 좋다. 이 경우, 돌출부와 연장부의 선단 부분은 서로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면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돌출부에 의해서 컨택트의 부상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컨택트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가 마련된 커넥터에서는 상하의 위치 어긋남(부상)이 생긴 경우에 신호 특성에 영향이 미치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상 억제의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발휘되게 된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피압입부가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제 3 방향에 있어서 상승부가 연장부의 선단 부분과 인접하고, 돌출부는 상승부에 있어서의 연장부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가 상승부에 있어서의 연장부에 가까운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연장부의 선단 부분을 돌출부에 의해 간단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은 피압입부가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와는 반대측에서 연장부와 접촉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면 좋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킬 때, 즉 컨택트내에 상대측 컨택트가 삽입될 때에 컨택트의 아래쪽 이동(즉, 컨택트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에서 상대측 커넥터를 떼어낼 때의 컨택트의 이동, 특히 컨택트의 부상을 적절히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7은 상대측 커넥터를 위쪽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대측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컨택트가 부착된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컨택트가 부착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의 I-I 단면에 있어서의 컨택트 부근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컨택트가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컨택트와 상대측 컨택트의 감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감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컨택트와 상대측 컨택트의 감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감합 완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7은 상대측 커넥터를 위쪽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대측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컨택트가 부착된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컨택트가 부착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2의 I-I 단면에 있어서의 컨택트 부근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컨택트가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컨택트와 상대측 컨택트의 감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감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컨택트와 상대측 컨택트의 감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감합 완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 함)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부터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각 부품의 재질 및 설계 치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용도 및 본 발명의 실시 시점에서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당연히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이하,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고,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된다.
여기서,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100)에 감합하는 방향, 즉 커넥터(10)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100)의 착탈 방향은 본 발명의 「제 1 방향」에 상당하고, 커넥터(10)의 상하 방향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넥터(10)의 감합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하고, Z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0)에서 보아 상대측 커넥터(100)가 위치하는 측, 즉 커넥터(10)의 상측을 「+Z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 즉 커넥터(10)의 하측을 「-Z측」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는 Z방향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한다. 이들 3개의 방향은 서로 교차하고 있으며, 엄밀하게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는 커넥터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고, 엄밀한 직교에 대해 몇 도(예를 들면 2∼3°) 미만의 범위 내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은 커넥터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며, 엄밀한 평행에 대해 몇 도(예를 들면 2∼3°) 미만의 범위내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X방향은 본 발명의 「제 2 방향」에 상당하고, 커넥터(10)의 횡폭 방향에 해당한다. Y방향은 본 발명의 「제 3 방향」에 상당하며, 커넥터(10)의 전후 방향에 해당하고, 후술하는 하우징(20)에 대한 컨택트(30)의 압입 방향이다. 여기서, Y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방향(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프레임 후부(16)에서 보아 프레임 전부(15)가 위치하는 측)를 「+Y측」으로 하고, 그 반대의 방향을 「-Y측」으로 한다.
커넥터(10)는 도 3∼도 6에 나타내는 외관을 이루며,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틀의 외측 프레임(12)과, 외측 프레임(12)의 내측에 배치된 하우징(20, 22)과, 하우징(20, 22)에 부착된 컨택트(30, 32)를 갖는다.
상대측 커넥터(1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외관을 이루고,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상대측 프레임(102)과, 상대측 프레임(102)의 내측에 배치된 저벽(104)과, 저벽(104)의 Y방향 중앙부에서 상승한 볼록부(106)와, 저벽(104)의 +Y측 단부 및 -Y측 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융기한 융기부(108)를 갖는다. 볼록부(106) 및 융기부(108)의 각각에는 상대측 컨택트(110, 112)가 감입되어 있다. 상대측 컨택트(110)는 커넥터(10)의 컨택트(30)와 대응하고, 상대측 컨택트(112)는 커넥터(10)의 컨택트(32)와 대응한다. 커넥터(10)의 컨택트(30, 32)는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 컨택트(110, 112)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커넥터(10) 각 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외측 프레임(12)은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측부(13, 14)와, +Y측의 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전부(15)와, -Y측의 단에 위치하는 프레임 후부(16)를 갖는다. 외측 프레임(12)의 내측에는 오목부 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외측 프레임(12)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100)의 상대측 프레임(102)이 감입하여, 오목부 공간(17)내에 상대측 커넥터(100) 전체가 수용된다.
오목부 공간(17)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 토크 억제용의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이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Y측에 배치된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은 프레임 전부(15)에서 -Y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있고, -Y측에 배치된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은 프레임 후부(16)에서 +Y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은 X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100)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 토크 억제용의 상대측 실드편(114)이 커넥터(10)의 차폐 실드편(18)과 대응시켜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된 상태에서는 +Y측의 상대측 실드편(114)이 +Y측의 차폐 실드편(18)과 조합되어 차폐 실드를 구성하고, -Y측의 상대측 실드편(114)이 -Y측의 차폐 실드편(18)과 조합되어 차폐 실드를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Y측의 컨택트(32)와 -Y측의 컨택트(32) 사이에 차폐 실드가 구축되고, 컨택트 사이에서 신호(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를 차폐하고,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12)과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이 일체화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의 각각이 연결부(19)에 의해서 프레임 측부(13, 14)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20, 22)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이며, 오목부 공간(17)내에 배치되고, 외측 프레임(12)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오목부 공간(17)의 중앙 부분에 하나의 하우징(20)이 배치되어 있고, Y방향의 양단측에 하우징(22)이 1개씩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은 Y방향에 있어서, +Y측에 배치된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과, -Y측에 배치된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저부(20A)와, X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볼록부(20B)와, X방향에 있어서 중앙 볼록부(20B)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방 볼록부(20C)와, 중앙 볼록부(20B)와 측방 볼록부(20C)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0D)를 갖는다. 중앙 볼록부(20B)와 측방 볼록부(20C)는 각각, 하우징 저부(20A)에서 +Z측으로 돌출되고, Z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30)가 감입되는 감입홈(2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감입홈(21)은 중앙 볼록부(20B)에서 오목부(20D)를 타고 넘어 측방 볼록부(20C)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감입홈(21)은 하우징(20)의 X방향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해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쌍을 이루고, 또한, Y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복수 개소(도 3에서는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감입홈(21)에는 저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30), 혹은 급전용의 컨택트(30)가 감입된다.
하우징(22)은 본 발명의 「하우징」에 상당하고, Y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차폐 실드편(18)보다 외측(외측 프레임(12)에 더욱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지만, 2개의 하우징(22)은 서로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마찬가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Y측의 하우징(22)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22)은 커넥터(10)의 X방향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해서 대칭적인 구조이며(예를 들면, 도 14 참조), 도 3, 도 4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저부(22A)와, 하우징 저부(22A)의 Y방향 단과 인접하는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와, 하우징 저부(22A)의 +Z측의 면에서 +Z측으로 상승한 상승부(22C)를 갖는다.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는 도 3,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 하우징 단부(22B)는 +Z측으로 상승하고, 또한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승부(22C)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 사이에 마련되고, Y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단부(22B)보다 오목부 공간(17)의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바꿔 말하면 하우징(20)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22C)는 Y방향에 있어서 차폐 실드편(18)과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22C)의 +X측의 단부로부터는 교차부(22D)가 +X측의 하우징 단부(22B)를 향해 Y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승부(22C)의 -X측의 단부로부터는 교차부(22D)가 -X측의 하우징 단부(22B)를 향해 Y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와 상승부(22C)와 교차부(22D)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오목 형상의 공간(이하, 감입 공간(23))에는 도 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32)가 Y방향을 따라 감입되어 압입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의 각각에 있어서 X방향 내측의 면, 즉 감입 공간(23)을 향하는 측의 면에는 압입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 오목부(24)는 Y방향에 있어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이며, 하우징 단부(22B)의 -Z측의 단(하단)으로부터 약간의 높이를 갖도록 +Z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 단부(22B)의 Y방향 외측의 단으로부터 약간의 깊이를 갖도록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컨택트(32)는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의 각각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를 통해 하우징(22)에 압입된다.
또, 감입 공간(23)내에서는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22C)에 있어서 감입 공간(23)을 향하는 측의 면(바꿔 말하면, 후술하는 컨택트(32)의 연장부(34)를 향하는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부(25)가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25)는 Y방향 외측에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 저부(22A)보다 +Z측에 위치하고, 엄밀하게는 하우징 저부(22A)의 +Z측의 면에서 연장부(34)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돌출부(25)의 하면(-Z측의 면)은 평면이며, 엄밀하게는 XY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이다.
또한, 돌출부(25)의 돌출량은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할 때에 상대측 컨택트(112)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돌출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입 공간(23)내에서는 도 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저부(22A)에 있어서 감입 공간(23)을 향하는 측의 면, 상세하게는 X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 사이에 위치하는 면으로부터 규제부(26)가 돌출되어 있다. 규제부(26)는 Y방향 외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전술한 돌출부(25)보다 -Z측에 위치하고, 엄밀하게는 연장부(34)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돌출부(25)에서 내려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규제부(26)의 상면(+Z측의 면)은 평면이며, 엄밀하게는 XY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이다.
컨택트(32)는 본 발명의 「컨택트」에 상당하고, +Y측의 하우징(22) 및 -Y측의 하우징(22)의 각각에 1개씩 감입되어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컨택트(32)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 즉 RF(Radio Frequency)용의 단자이다. 여기서, 고주파는 예를 들면 6㎓이상의 주파수 대역이 해당하고, 구체적으로는 5G(5th Generation)에 이용되는 28㎓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컨택트(32)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저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컨택트(32)는 도 9∼도 13에 나타내는 외관을 이루도록 성형된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컨택트(32)의 X방향 중앙을 경계로 하여 대칭인 형상이다. 컨택트(32)는 X방향으로 연장된 피압입부(33)와, 피압입부(33)에서 Y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4)와, Y방향에 있어서 연장부(34)와는 반대측에서 피압입부(33)로부터 연장된 접속부(35)와, 접속부(35)의 양측 위치에서 Y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36)와, 연장부(34)에서 +Z측으로 연장된 접촉부(37)를 갖는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Y방향을 컨택트(32)의 전후 방향으로 하고, Y방향에 있어서 피압입부(33)에서 보아 연장부(34)가 연장되어 있는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접속부(35)가 연장되어 있는 측을 「후측」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피압입부(3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X방향으로 곧바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33A)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의 각부분이 모따기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압입부(33)의 폭(즉, X방향의 길이)은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의 각각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간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압입 오목부(24)간의 거리는 +X측의 하우징 단부(22B)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의 X방향 단면과 -X측의 하우징 단부(22B)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의 X방향 단면 사이의 거리이다.
그리고, 피압입부(33)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33A)가 하우징(22)에 대해 압입된다. 피압입부(33)의 양단부(33A)의 압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장부(3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압입부(33)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곧바로 연장되어 있고, 피압입부(33)와 직교하고 있다. 또한, 연장부(34)의 근원 부분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록해지고, 상세하게는 근원 부분의 X방향 양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가운데가 패여 있다. 연장부(34)의 +Z측의 면(즉, 상대측 커넥터(100)를 향하는 측의 면)과, -Z측의 면(즉, 상대측 커넥터(100)와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은 모두 평면이고, 엄밀하게는 XY방향을 따르는 평탄면이다.
접속부(35)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압입부(33)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에 -Z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접속부(35)의 선단 부분은 커넥터(1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표면(커넥터(10)를 향하는 측의 면)에 땜납으로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3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접속부(35)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Y방향에 있어서 피압입부(33)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곧바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압입부(33), 연장부(34) 및 한 쌍의 돌출부(36)의 각각의 +Z측의 표면은 XY방향을 따라 연속하고, 서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마찬가지로, 피압입부(33), 연장부(34) 및 한 쌍의 돌출부(36)의 각각의 -Z측의 표면은 모두 XY방향을 따라 연속하며, 서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접촉부(37)는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34)의 중도 위치에 있어서 연장부(34)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서 +Z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탄성부(38)를 갖는다. 한 쌍의 탄성부(38)는 X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34)의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하여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탄성부(38)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34)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후에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X방향 내측으로 들어가고, 연장부(34)에서 +Z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V자 형상으로 재차 굴곡되어 X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37)는 +Z측에, 한 쌍의 탄성부(38)의 선단 부분끼리가 떨어져 있는 것에 의해 형성된 개구단을 갖는다. 그리고,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할 때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컨택트(112)가 접촉부(37)의 +Z측의 개구단으로부터 -Z측에 삽입되고, 한 쌍의 탄성부(38) 사이에 들어간다. 이때, 한 쌍의 탄성부(38)는 각각, X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탄성변형되고, 또한 탄성부(38) 사이에 상대측 컨택트(112)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각 탄성부(38)에 있어서 V자 형상으로 굴곡된 부분의 내측면에 있어서, 상대측 컨택트(112)와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택트(32)는 하우징(22)에 마련된 감입 공간(23)내에 Y방향을 따라 감입되는 것에 의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2)에 부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컨택트(32)는 접촉부(37)가 연장부(34)보다 +Z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파지되고, 연장부(34)의 선단측(즉, 전단측)으로부터, Y방향에 있어서의 감입 공간(23)의 개구단을 통해 감입 공간(23)내에 삽입된다. 이 때, 피압입부(33)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33A)가 한 쌍의 하우징 단부(22B)의 각각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의 내측에 들어간다.
그리고, 컨택트(32)가 감입 공간(23)의 안쪽측을 향할 때에, 피압입부(33)의 양단부(33A)의 각각이 압입 오목부(24)의 X방향 단면과 간섭하고, X방향 단면에 빠지면서 Y방향 안쪽측으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32)의 피압입부(33)(엄밀하게는 양단부(33A))가 Y방향을 따라 하우징(22)에 대해 압입된다.
컨택트(32)가 감입 공간(23)내에 삽입되어 가면, 이윽고 연장부(34)의 선단이 하우징(22)의 상승부(22C)에 부딪친다(도 16 참조). 바꿔 말하면, 피압입부(33)가 하우징(22)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Y방향에 있어서 상승부(22C)가 연장부(34)의 선단 부분(34A)과 인접한다. 이러한 위치에 컨택트(32)가 도달한 시점에서 컨택트(32)의 감입이 완료되고, 컨택트(32)가 하우징(22)에 부착된다.
컨택트(32)가 하우징(22)에 부착된 상태(즉, 피압입부(33)가 하우징(22)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의 연장부(34)의 선단 부분(34A)이 돌출부(25)의 하측(-Z측)에 잠입하고, 연장부(34)의 +Z측의 면(상면)에 있어서 돌출부(25)와 접촉한다. 즉, 연장부(34)가 +Z측에서 돌출부(25)에 의해 계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32)의 위쪽 이동(+Z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에 감합된 상대측 커넥터(100)를 커넥터(10)에서 분리할 때, 상대측 컨택트(112)의 발거시에 컨택트(32)가 +Z측으로 부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상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컨택트(112)의 발거시에 큰 외력이 컨택트(32)에 작용했다고 해도, 컨택트(32)의 변형 및 파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부(34)의 선단 부분(34A)에 마련된 돌출부(25)와의 접촉면(즉, +Z측의 면)과, 돌출부(25)에 마련된 연장부(34)와의 접촉면(즉, -Z측의 면)이 모두 XY방향을 따르는 평면이다. 즉, 돌출부(25)는 연장부(34)의 선단 부분(34A)과 면 접촉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보다 컨택트의 부상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서는 상대측 커넥터(2)와의 감합시에, 상대측 컨택트(9)가 컨택트(4)의 만곡부(4D)내에 삽입됨으로써, 만곡부(4D)가 탄성변형되어 컨택트(4)의 측부(7)가 볼록부(3C)에 접근한다. 그 결과, 굴곡부(8)가 볼록부(3C)의 상단 부분의 하측에 잠입하여 계지되어 컨택트(4)의 부상이 규제된다.
이상과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서는 상대측 컨택트(9)가 컨택트(4)의 만곡부(4D)내에 삽입됨으로써, 비로소 컨택트(4)의 위쪽 이동이 규제되므로, 상대측 컨택트(9)가 발거된 경우에는 컨택트(4)의 위쪽 이동이 규제되기 어려워진다. 또, 커넥터(1)에서는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택트(4)의 부상을 규제함에 있어서 굴곡부(8)의 각(에지)이 볼록부(3C)에 닿기 때문에, 상대측 컨택트(9)의 삽입 및 발거가 반복되면, 볼록부(3C)가 깎여 변형되거나, 혹은 만곡부(4D) 자체의 탄성 등이 바뀐다. 그 때문에 볼록부(3C)와 굴곡부(8)의 접촉 위치가 상하로 변동하고, 결과적으로, Z방향에 있어서의 컨택트(4)의 위치가 변화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컨택트(32)가 하우징(22)에 감입된 시점에서, 하우징(22)의 돌출부(25)가 컨택트(32)의 연장부(34)와 접촉하여 컨택트(32)를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측 컨택트(112)의 유무에 관게없이, 컨택트(32)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5)가 연장부(34)의 선단 부분(34A)과 면 접촉하므로, 돌출부(25)와 연장부(34)의 접촉 상태를 안정시키고, 상대측 컨택트(112)의 삽입 및 발거를 반복해도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저부(22A)에는 규제부(26)가 마련되어 있고, 피압입부(33)가 하우징(22)에 압입되어 컨택트(32)가 하우징(22)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26)가 피압입부(33) 및 연장부(34)의 각각의 하면(-Z측의 면)과 접촉한다. 즉, 규제부(26)는 Z방향에 있어서 돌출부(25)와는 반대측에서 연장부(34)와 접촉하여 컨택트(32)를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32)의 아래쪽 이동(-Z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예를 들면, 상대측 컨택트(112)가 삽입될 때의 컨택트(32)의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컨택트(32)의 Z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위치 어긋남)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컨택트(32)가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단자)인 경우에는 특히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택트(32)에 의해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의 특성은 예를 들면 전술한 차폐 실드와 컨택트(32) 사이의 임피던스에 의존하고, 임피던스는 차폐 실드와 컨택트(32)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여기서, 컨택트(32)가 Z방향으로 약간이라도 이동해 버리면, 상기 거리가 변화하고, 그 거리 변화가 고주파 신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택트(32)의 이동 규제의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발휘되게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까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해, 구체예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이외의 실시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32)를 하우징(22)에 감입할 때에 컨택트(32)의 피압입부(33)를 Y방향을 따라 하우징(22)에 압입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컨택트(32)를 하우징(22)의 아래쪽(-Z측)에서 Z방향을 따라 압입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피압입부(33)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33A)가 전 단 각부가 모따기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하우징 단부(22B)에 마련된 압입 오목부(24)에 들어가 압입 오목부(24)의 X방향 단면과 간섭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22)에 압입되는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택트(32)를 하우징(22)에 바람직하게 감입해서 부착할 수 있으면 좋고, 그 한정에 있어서는 상기 이외의 압입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2)의 Z방향에 있어서 컨택트(32)의 연장부(34)의 상측(+Z측)에서 연장부(34)와 접촉하는 돌출부(25) 이외에, 연장부(34)의 하측(-Z측)에서 연장부(34)와 접촉하는 규제부(26)를 하우징(22)에 마련하는 것으로 했지만, 규제부(26) 대신 하우징 저부(22A)를 연장부(34)의 하측(-Z측)에서 연장부(34)와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1; 커넥터 2; 상대측 커넥터
3; 하우징 3A; 환상 벽
3B; 저벽 3C; 볼록부
4; 컨택트 4A; 단자부
4B; 유지부 4C; 접속부
4D; 만곡부 5; 정상부
6, 7; 측부 8; 굴곡부
9; 상대측 컨택트 10; 커넥터
12; 외측 프레임 13, 14; 프레임 측부
15; 프레임 전부 16; 프레임 후부
17; 오목부 공간 18; 차폐 실드편
19; 연결부 20, 22; 하우징
20A; 하우징 저부 20B; 중앙 볼록부
20C; 측방 볼록부 20D; 오목부
21; 감입홈 22A; 하우징 저부
22B; 하우징 단부 22C; 상승부
22D; 교차부 23; 감입 공간
24; 압입 오목부 25; 돌출부
26; 규제부 30, 32; 컨택트
33; 피압입부 33A; 양단부
34; 연장부 34A; 선단 부분
35; 접속부 36; 돌출부
37; 접촉부 38; 탄성부
100; 상대측 커넥터 102; 상대측 프레임
104; 저벽 106; 볼록부
108; 융기부 110, 112; 상대측 컨택트
114; 상대측 실드편
3; 하우징 3A; 환상 벽
3B; 저벽 3C; 볼록부
4; 컨택트 4A; 단자부
4B; 유지부 4C; 접속부
4D; 만곡부 5; 정상부
6, 7; 측부 8; 굴곡부
9; 상대측 컨택트 10; 커넥터
12; 외측 프레임 13, 14; 프레임 측부
15; 프레임 전부 16; 프레임 후부
17; 오목부 공간 18; 차폐 실드편
19; 연결부 20, 22; 하우징
20A; 하우징 저부 20B; 중앙 볼록부
20C; 측방 볼록부 20D; 오목부
21; 감입홈 22A; 하우징 저부
22B; 하우징 단부 22C; 상승부
22D; 교차부 23; 감입 공간
24; 압입 오목부 25; 돌출부
26; 규제부 30, 32; 컨택트
33; 피압입부 33A; 양단부
34; 연장부 34A; 선단 부분
35; 접속부 36; 돌출부
37; 접촉부 38; 탄성부
100; 상대측 커넥터 102; 상대측 프레임
104; 저벽 106; 볼록부
108; 융기부 110, 112; 상대측 컨택트
114; 상대측 실드편
Claims (8)
- 제 1 방향에서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대측 커넥터가 구비하는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갑입되어 부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피압입부와,
상기 피압입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대측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승한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에서 상기 제 3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압입부가 상기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방향에서 상기 연장부의 선단 부분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측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감입될 때에, 상기 피압입부가 상기 제 3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연장부의 양단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탄성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탄성부는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연장부의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해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할 때에 탄성변형되어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사이에 상기 상대측 컨택트를 배치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제 3 방향에서 상기 연장부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피압입부로부터 연장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선단 부분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와의 접촉면과, 상기 돌출부에 마련된 상기 연장부와의 접촉면은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을 따르는 평면인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컨택트인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입부가 상기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방향에서 상기 상승부가 상기 연장부의 선단 부분과 인접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승부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피압입부가 상기 하우징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돌출부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84468 | 2020-05-13 | ||
JPJP-P-2020-084468 | 2020-05-13 | ||
JPJP-P-2020-091146 | 2020-05-26 | ||
JP2020091146A JP7348135B2 (ja) | 2020-05-26 | 2020-05-26 | コネクタ組立体 |
JPJP-P-2020-102280 | 2020-06-12 | ||
JP2020102280A JP7366844B2 (ja) | 2020-06-12 | 2020-06-12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9141A KR20210139141A (ko) | 2021-11-22 |
KR102543732B1 true KR102543732B1 (ko) | 2023-06-15 |
Family
ID=7851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4971A KR102543732B1 (ko) | 2020-05-13 | 2021-04-07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476601B2 (ko) |
KR (1) | KR102543732B1 (ko) |
CN (2) | CN214849145U (ko) |
TW (1) | TWI81929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50832B (zh) * | 2019-10-11 | 2021-12-21 |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組 |
KR102494901B1 (ko) * | 2020-05-13 | 2023-02-0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CN214849145U (zh) * | 2020-05-13 | 2021-11-23 |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 连接器 |
US11489291B2 (en) * | 2020-05-13 | 2022-11-0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JP1692460S (ja) * | 2021-02-22 | 2021-08-16 | コネクタ | |
JP1698702S (ja) * | 2021-04-09 | 2021-11-01 | コネクタ | |
JP1703930S (ko) * | 2021-07-01 | 2022-01-04 | ||
JP2023026809A (ja) * | 2021-08-16 | 2023-03-0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12553A (ja) | 2014-06-05 | 2016-01-2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
JP6638873B1 (ja) | 2018-08-24 | 2020-01-2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
JP6683300B1 (ja) | 2018-08-24 | 2020-04-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セ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1272792A (en) * | 1992-01-14 | 1993-08-03 | Itt Industries, Inc. | Assembly of miniature connector system |
JP2006059589A (ja) * | 2004-08-18 | 2006-03-02 | Hirose Electric Co Ltd |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
US7097465B1 (en) * | 2005-10-14 | 2006-08-29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High density connector with enhanced structure |
JP4365422B2 (ja) * | 2007-03-28 | 2009-11-18 |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携帯端末 |
JP2008270085A (ja) * | 2007-04-24 | 2008-11-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US7828559B2 (en) * | 2008-12-12 | 2010-11-09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Board-to board connector assembly |
JP2012018781A (ja) | 2010-07-07 | 2012-01-26 | Jst Mfg Co Ltd | コネクタ |
JP5232202B2 (ja) * | 2010-08-03 | 2013-07-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5212499B2 (ja) * | 2010-09-08 | 2013-06-19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5908225B2 (ja) * | 2011-07-06 | 2016-04-26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148952B2 (ja) * | 2013-03-14 | 2017-06-1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20150079853A1 (en) * | 2013-09-13 | 2015-03-19 | Chou Hsien Tsai | Electrical connector |
JP6167997B2 (ja) * | 2014-06-05 | 2017-07-2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
JP6437382B2 (ja) * | 2015-05-14 | 2018-12-1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12210B2 (ja) * | 2016-12-21 | 2019-05-15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6451729B2 (ja) * | 2016-12-28 | 2019-01-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
JP6797677B2 (ja) * | 2016-12-28 | 2020-12-09 | 株式会社フジクラ | 電気コネクタ |
JP6885730B2 (ja) * | 2017-01-06 | 2021-06-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
JP6806028B2 (ja) * | 2017-01-19 | 2020-12-2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多極コネクタセット |
US10396479B2 (en) * | 2017-01-19 | 2019-08-27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Multipolar connector set |
JP7012245B2 (ja) * | 2017-03-10 | 2022-01-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
JP6761375B2 (ja) * | 2017-05-29 | 2020-09-23 | 京セラ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995574B2 (ja) * | 2017-11-10 | 2022-01-1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025982B2 (ja) * | 2018-04-17 | 2022-02-2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026025B2 (ja) * | 2018-08-24 | 2022-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
JP7093273B2 (ja) * | 2018-09-07 | 2022-06-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9193197B (zh) * | 2018-09-25 | 2020-08-21 | 青岛科技大学 | 一种电路板的电连接装置 |
JP6816747B2 (ja) * | 2018-10-01 | 2021-01-20 | Smk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
CN214849145U (zh) * | 2020-05-13 | 2021-11-23 |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 连接器 |
-
2021
- 2021-03-29 CN CN202120634907.9U patent/CN214849145U/zh not_active Withdrawn - After Issue
- 2021-03-29 CN CN202110336953.5A patent/CN113675639B/zh active Active
- 2021-04-07 KR KR1020210044971A patent/KR1025437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4-08 TW TW110112710A patent/TWI819292B/zh active
- 2021-04-12 US US17/227,680 patent/US1147660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12553A (ja) | 2014-06-05 | 2016-01-2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
JP6638873B1 (ja) | 2018-08-24 | 2020-01-2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
JP6683300B1 (ja) | 2018-08-24 | 2020-04-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セ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675639A (zh) | 2021-11-19 |
KR20210139141A (ko) | 2021-11-22 |
CN214849145U (zh) | 2021-11-23 |
US11476601B2 (en) | 2022-10-18 |
CN113675639B (zh) | 2024-11-08 |
US20210359437A1 (en) | 2021-11-18 |
TWI819292B (zh) | 2023-10-21 |
TW202143585A (zh) | 202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3732B1 (ko) | 커넥터 | |
JP6117415B1 (ja) | コネクタ | |
US12027802B2 (en) | Connector | |
US10804630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 |
KR102704138B1 (ko) | 커넥터 조립체 | |
CN110890657B (zh) | 电连接器组装体以及被用于该电连接器组装体的电连接器 | |
JP2013058357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KR102165751B1 (ko) | 콘택트 | |
KR20210139138A (ko) | 커넥터 | |
CN109586063B (zh) |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 |
US11296447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ircuit-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JP6266734B1 (ja) | コネクタ | |
US8986041B2 (en) |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 |
JP2014197455A (ja) | 中継電気コネクタ | |
KR20180050741A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 |
JP7366844B2 (ja) | コネクタ | |
JP5959704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CN114792899A (zh) | 具备嵌件成型的端子的连接器 | |
JP6335362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6167205B2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CN221552200U (zh) | 一种浮动连接器 | |
CN220474977U (zh) | 一种沉板式浮动板对板连接器组件 | |
CN220475016U (zh) | 一种浮动式板对板连接器 | |
JP2016106382A (ja) | 中継電気コネクタ | |
JP2023100475A (ja) |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