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7884B1 -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84B1
KR102507884B1 KR1020180001880A KR20180001880A KR102507884B1 KR 102507884 B1 KR102507884 B1 KR 102507884B1 KR 1020180001880 A KR1020180001880 A KR 1020180001880A KR 20180001880 A KR20180001880 A KR 20180001880A KR 102507884 B1 KR102507884 B1 KR 10250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indow
display panel
display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190A (ko
Inventor
배종만
김희창
박창모
양진욱
엄소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884B1/ko
Priority to US16/177,601 priority patent/US10836151B2/en
Priority to CN201910006915.6A priority patent/CN110000733A/zh
Publication of KR2019008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190A/ko
Priority to US17/076,375 priority patent/US114587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 H01L2221/68386Separation by peeling
    • H01L2221/6839Separation by peeling using peeling wedge or knife or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8Delaminating processes adapted for specified product, e.g. delaminating medical specimen slide
    • Y10S156/919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post processing recycling step
    • Y10S156/922Specified electronic component 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recycling
    • Y10S156/924Delaminating display screen, e.g. cathode-ray, LCD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8Delaminating processes adapted for specified product, e.g. delaminating medical specimen slide
    • Y10S156/93Semiconductive product delaminating, e.g. delaminating emiconductive wafer from underlayer
    • Y10S156/931Peeling away backing
    • Y10S156/932Peeling away backing with poking during delaminating, e.g. jabbing release sheet backing to remove wa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35Delaminating means in preparation for post consumer recycling
    • Y10S156/937Means for delaminating specified electronic component in preparation fo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41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 Y10S156/943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with poking delaminating means, e.g. jabb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53Temperature change for delamination [e.g., heating during delamin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poking during delaminating [e.g., jabb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11Heating or cooling delaminating means [e.g., melting means, freezing mean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10T156/1983Pok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 컬러층을 포함한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 가장자리가 분리된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윈도우에 제공된 컬러층의 손상 없이 윈도우를 표시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APPARATUS FOR SEPARATING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WINDOW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서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및 윈도우 분리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층이 제공된 윈도우에서 컬러층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윈도우 분리 방법 및 윈도우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에서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윈도우와 표시 패널은 광학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한편, 표시 패널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여 윈도우를 재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위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에 제공된 컬러층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표시 패널로부터 효과적으로 윈도우를 분리하기 위한 윈도우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층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 부재 사이를 분리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컬러층을 포함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컬러층은 상기 접착층과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하부면에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층은 복수의 잉크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 영역; 및 상기 평탄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서 벤딩된 벤딩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층은 상기 벤딩 영역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를 가열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를 50℃ 이상 15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체 스틱은 폴리에틸렌, 아세탈, 또는 모노 캐스트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해체 스틱을 이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 영역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윈도우가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서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는 -110℃ -6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플레이트 상에 베치하거나, 또는 저온조에 상기 표시 장치를 침지하여 방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온조는 드라이 아이스 또는 액체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윈도우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컬러층을 포함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안착된 가열 유닛; 및 상기 가열 유닛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해체 스틱을 포함하는 해체 유닛; 을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안착된 표시 장치의 일면과 마주하여 배치된 가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곽에 배치된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외곽부의 온도가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층이 중첩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외곽부와 중첩하고, 상기 외곽부의 온도는 상기 중심부의 온도 보다 높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 영역 및 상기 평탄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서 벤딩된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열 플레이트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해체 스틱은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고온 공정에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와, 이후 저온에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완전히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윈도우에 제공된 컬러층의 손상 없이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가열 유닛과 해체 스틱을 포함하는 해체 유닛을 포함하여 표시 장치를 가열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에서 컬러층의 손상 없이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으로 분리되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I-I'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윈도우 분리 방법의 단계 중 일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의 II-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의 일부가 분리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부가 분리된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서의 온도 조절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 포함된 가열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5b의 AA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BB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 사용된 해체 스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 및 도 12d는 도 12a에 도시된 해체 스틱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분리 방법 및 윈도우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분리 방법 및 윈도우 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분리되는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으로 분리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윈도우(WP),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장치(DD)에서 엣지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이 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표시면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의 표시면에 대한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DD)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표시 장치(DD)를 동작시키기 위한 아이콘(미도시) 등이 배치되거나, 카메라(미도시)나 센서(미도시) 등의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제공된 부재들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구분하거나, 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서의 빛샘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컬러층(BP)이 제공될 수 있다. 컬러층(BP)에 대하여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평탄 영역(FA)과 평탄 영역(FA)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일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이 평탄 영역(FA)을 기준으로 평탄 영역(FA)의 양측에서 각각 벤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평탄 영역(FA)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벤딩된 2개의 벤딩 영역들(B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벤딩 영역(BA)은 평탄 영역(FA)의 4개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4개의 벤딩 영역들(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평탄 영역(FA)과 벤딩 영역(BA)은 표시 장치(DD)의 형상으로 표시 장치(DD)의 영역을 구분한 것으로, 비표시 영역(NDA)은 평탄 영역(FA)과 벤딩 영역(BA) 모두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표시 영역(DA)도 평탄 영역(FA)과 벤딩 영역(BA)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평탄 영역(FA)의 적어도 일측에서 연장되어 벤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은 표시 장치(DD)의 하부면 방향으로 벤딩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평탄 영역(FA)을 기준으로 벤딩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벤딩 영역(BA)은 평탄 영역(FA)을 기준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벤딩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리지드(rigid)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패널(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Panel) 등 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의 종류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강화 유리 기판, 또는 하드코팅층 등의 다양한 기능층들이 코팅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WP)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P)는 컬러층(BP)을 포함한다. 컬러층(BP)은 윈도우(WP)의 적어도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에서 컬러층(BP)은 윈도우(WP)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은 윈도우(WP)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은 표시 장치(DD)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컬러층(BP)은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에 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은 광차단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은 잉크 등을 인쇄한 잉크 인쇄층일 수 있다. 컬러층(BP)은 복수의 잉크 인쇄층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이 복수의 잉크 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잉크 인쇄층의 개수는 컬러층(BP)이 제공되는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미도시)나 센서(미도시) 등의 부재가 제공되는 부분에서의 컬러층(BP)을 구성하는 잉크 인쇄층의 개수는 부재가 제공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잉크 인쇄층의 개수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러층(BP)은 카메라(미도시)나 센서(미도시) 등의 부재가 제공되는 부분에서 하나의 잉크 인쇄층으로 제공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3개 이상의 잉크 인쇄층들이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컬러층(BP)이 복수의 잉크 인쇄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잉크 인쇄층들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인쇄된 것이거나, 또는 이와 달리 적어도 두 개의 잉크 인쇄층들은 동일한 색의 잉크가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컬러층(BP)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된 잉크 등은 투명 레진에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안료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P)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AP)은 광학 투명 접착층(Optical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접착층(AP)은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P) 전체와 중첩하도록 표시 패널(DP)의 상부면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층(AP)은 아크릴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광학 투명 접착층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DP), 윈도우(WP), 및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P)을 포함하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서로 분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컬러층(BP)을 포함한 윈도우(WP)를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DD)를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고 컬러층(BP)을 포함하는 윈도우(WP), 및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접착층(AP)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를 후술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도 5a, RA)에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는 표시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 직접 열을 제공하는 것은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가열 유닛이 표시 장치(DD)에 직접 접촉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에 간접적으로 열을 제공하는 것은 표시 장치(DD)를 고온의 분위기, 예를 들어, 고온으로 유지되는 챔버 또는 오븐 등의 내부에 배치하여 표시 장치(DD)를 가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에 열이 제공된 경우 접착층(AP)이 연성화되어 윈도우(WP)와 표시 패널(DP)에 대한 접착층(AP)의 접착력이 감소되므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서와 같이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윈도우(WP)와 표시 패널(DP)을 분리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는 윈도우(WP)에 직접 열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와 달리 표시 패널(DP)에 직접 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윈도우(WP)가 가열 유닛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거나, 또는 표시 패널(DP)이 가열 유닛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는 표시 장치를 가열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단계(S110)와 50℃ 이상 150℃ 이하의 온도에서 표시 장치를 가열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를 가열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단계(S110)는 표시 장치(DD)의 일면이 가열 플레이트 상에 직접 배치되도록 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WP) 면이 가열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표시 장치(DD)가 가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를 가열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단계(S110)는 표시 장치(DD)를 직접 가열하는 방법으로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가 평탄 영역(FA)과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경우, 평탄 영역(FA)이 벤딩 영역(BA) 보다 가열 플레이트에 인접하도록 표시 장치(DD)가 가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BA)은 가열 플레이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표시 장치(DD)는 50℃ 이상 150℃ 이하에서 가열되는 것일 수 있다. 50℃ 미만으로 가열될 경우 접착층(AP)이 충분히 연성화되지 않아 접착층(AP)의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50℃ 초과로 표시 장치(DD)가 가열될 경우 접착층(AP)은 충분히 연성화되나, 윈도우(WP)에 제공된 컬러층(BP)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80℃ 이상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제공된 열의 온도는 표시 장치(DD)의 표면에서의 온도 또는 표시 장치(DD) 주변의 분위기(Air) 온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가 표시 장치(DD)를 직접 가열하는 것일 경우, 제공된 열의 온도는 표시 장치(DD)의 표면에서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를 직접 가열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경우 표시 장치(DD) 표면의 온도가 50℃ 이상 15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가 표시 장치(DD)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일 경우, 제공된 열의 온도는 표시 장치(DD) 주변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를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경우 표시 장치(DD) 주변의 분위기 온도가 50℃ 이상 15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여 접착층(AP)을 연성화한 이후에 해체 스틱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를 일부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컬러층(BP)이 제공되는 표시 장치(DD)의 비표시 영역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예를 들어, 적어도 윈도우(WP)에 포함된 컬러층(BP)이 배치된 부분까지 접착층(AP)을 윈도우(WP) 또는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하여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접착층(AP)이 충분히 연성화된 이후에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를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표시 장치(DD)를 가열하기 위한 시간이 짧은 경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동일한 단계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는 표시 장치(DD)가 안착되는 가열 유닛(HU)과,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해체 유닛(S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에 대하여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공될 경우 표시 장치(DD)의 4개의 변에 인접한 가장자리는 4개의 변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4개의 변에 인접한 가장자리 중 2개 이상의 변에 인접한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는 동일한 단계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변에 인접한 가장자리가 복수의 해체 스틱들을 이용하여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서 표시 장치(DD) 가장자리의 분리 순서는 표시 장치(DD)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는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를 우선적으로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서, 표시 장치(DD)의 중앙 영역에서는 표시 패널(DP), 접착층(AP), 및 윈도우(WP)가 순차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에서는 접착층(AP)이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표시 장치(DD-A)의 가장자리 즉, 표시 장치(DD-A)의 4개의 측면(SD1, SD2, SD3, SD4)에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 이후에 표시 장치(DD-A)의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가 분리되어 있으며, 표시 장치(DD-A)의 중앙 영역에서는 접착층(AP)이 분리되지 않고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서 접착력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 이후에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가 가장자리에서 분리된 표시 장치(DD-A)를 냉각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는 표시 장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A)를 직접 냉각하는 것은 표시 장치(DD-A)를 냉각 플레이트와 같은 냉각 유닛 상에 직접 배치하여 표시 장치(DD-A)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A)를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것은 표시 장치(DD)를 저온의 분위기, 예를 들어, 저온으로 유지되는 챔버 또는 저온의 기체 또는 액체가 채워진 저온조 등의 내부에 배치하여 표시 장치(DD-A)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는 표시 장치(DD-A)의 온도를 접착층(AP)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하로 냉각시켜 접착층(AP)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에서 표시 장치(DD-A)는 -110℃ 이상 -60℃ 이하에서 냉각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A)가 -110℃ 미만으로 냉각될 경우 윈도우(WP)가 손상되거나 컬러층(BP)이 탈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DD-A)를 냉각하는 온도가 -60℃ 초과인 경우 접착층(AP)의 접착력의 감소폭이 크지 않아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A)는 -10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가 표시 장치(DD-A)를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것일 경우, 표시 장치(DD-A)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드라이 아이스 또는 액체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서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가 수행되는 일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가 수행되는 냉각 유닛(C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냉각 유닛(CA)은 가장자리가 분리된 표시 장치(DD-A)가 침지되는 저온조(CC), 표시 장치(DD-A)를 고정 및 이동시키는 고정 유닛(F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저온조(CC)에는 표시 장치(DD-A)를 냉각시키기 위한 액체 또는 기체의 냉매(CM)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냉매(CM)로는 드라이아이스 또는 액체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A)는 고정 유닛(FU)의 집게부(FJ)에 고정될 수 있다. 집게부(FJ)는 지지부(FS)에 고정되며, 지지부(FS)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DD-A)를 저온조(CC) 내에 침지하고 냉각 이후에 저온조(CC) 밖으로 표시 장치(DD-A)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하나의 표시 장치(DD-A)가 저온조(CC) 내에서 냉각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표시 장치들(DD-A)이 하나의 저온조(CC)에서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 이후에는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는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에서 접착층(AP)의 접착력을 저하시킨 후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는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완전히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8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가 분리된 경우 분리된 접착층(A-AP)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중 적어도 하나로 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분리 시 분리된 접착층(A-AP)의 대부분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중 어느 하나로 전사되고 나머지 분리된 접착층(A-AP)의 잔사는 나머지 하나로 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된 접착층(A-AP)은 인접한 표시 패널(DP)의 일면으로 전사되거나, 또는 인접한 윈도우(WP)의 일면으로 전사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접착층(A-AP)은 표시 패널(DP)의 일면과 윈도우(WP)의 일면 모두에 전사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분리된 접착층(A-AP)이 표시 패널(DP)로 대부분 전사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분리된 접착층(A-AP)의 일부는 분리된 접착층(A-AP)과 마주하는 윈도우(WP)의 일면에 잔사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S700) 이후에 윈도우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를 세정하는 단계에서는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된 윈도우(WP) 면에 남아있는 분리된 접착층(A-AP)의 잔사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윈도우를 세정하는 단계는 물리적 세정 단계 및 화학적 세정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리적 세정 단계와 화학적 세정 단계는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공정 온도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표시된 온도는 각 공정 단계에서 표시 장치의 온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표시 장치의 온도는 상온(RT)에서 T1 온도까지 상승될 수 있다. T1 온도는 5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8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표시 장치의 온도가 상온(RT)에서 T1 온도까지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의 온도는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스텝 형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서는 표시 장치의 온도가 T1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에서는 표시 장치의 온도가 T2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T2 온도는 -1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T2 온도는 -100℃ 이상 -80℃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에서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S500)로 진행될 때 표시 장치의 온도는 T1 온도에서 T2 온도로 급격하게 냉각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S300) 이후에 표시 장치의 온도가 T1 온도에서 상온(RT)까지 냉각된 이후에 T2 온도로 단계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고온에서 표시 장치 가장자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먼저 분리하고, 이후 표시 장치를 냉각하여 윈도우를 표시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수행되어 윈도우의 손상 없이 표시 패널로부터 윈도우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은 고온에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먼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윈도우에 제공된 컬러층의 탈막 현상 없이 표시 장치에서 윈도우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 사용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장치를 설명한다.
다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윈도우 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피가공물인 표시 장치(DD)가 제공된 상태의 윈도우 분리 장치(RA)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II-II' 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는 표시 장치(DD)를 안착시키는 가열 유닛(HU) 및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해체 스틱(SB)을 포함하는 해체 유닛(S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는 지지테이블(ST), 및 지지테이블(ST) 상에 배치된 가열 유닛(HU)과 해체 유닛(SU)을 포함할 수 있다. 해체 유닛(SU)은 가열 유닛(HU)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는 하나의 해체 유닛(SU)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해체 유닛들(SU)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가열 유닛(HU)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해체 유닛들(SU)을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RA)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의 가열 유닛(HU)은 안착된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 플레이트(HP) 및 가열 플레이트(HP)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H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안착되는 가열 플레이트(HP)의 일면에는 복수의 진공흡입구들(VH)이 정의될 수 있다. 진공흡입구들(VH)은 표시 장치(DD)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흡입구들(VH)에서는 공기를 흡입하여 표시 장치(DD)를 가열 플레이트(HP)에 안착시킬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HP)는 안착된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열 플레이트(HP)의 내부에 복수의 히터부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부들(미도시)로는 카트리지히터(cartridge hea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HP)는 가열 제어부(HD)에 의해 온도와 진공도가 제어될 수 있다. 가열 제어부(HD)는 진공흡입구들(VH)에서 제공되는 공기 흡입 정도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DD)의 고정 및 이탈을 조정하고, 가열 플레이트(HP)의 온도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DD)에 제공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HD)는 평면상에서 볼 때 가열 플레이트(HP)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열 플레이트(HP)와 연결되어 가열 플레이트(HP)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제어부(HD)는 가열 플레이트(HP)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HD)는 가열 플레이트(HP)를 지지테이블(ST) 상에서 제1 방향축(DR1) 또는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지지테이블(ST)로부터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가열 유닛(HU)에 사용되는 가열 플레이트(HP)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가열 플레이트(HP)는 평면상에서 볼 때 중심부(HP-C) 및 중심부(HP-C)의 외곽에 배치되어 중심부(HP-C)를 둘러싸고 배치된 외곽부(HP-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 플레이트(HP)의 중심부(HP-C)와 외곽부(HP-S)의 온도는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부(HP-S)의 온도가 중심부(HP-C)의 온도보다 높게 제어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는 외곽부(HP-S)의 온도와 중심부(HP-C)의 온도가 상이하게 조절되는 가열 플레이트(HP)를 포함하여 가열 플레이트(HP) 상에 안착된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와 중앙 영역의 온도가 상이하게 되도록 표시 장치(DD)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 등에서 도시된 표시 장치(DD)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컬러층(BP)이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에의 가열 플레이트(HP)에 표시 장치(DD)가 안착될 경우, 표시 장치(DD)의 비표시 영역(NDA)이 가열 플레이트(HP)의 외곽부(HP-S)와 중첩될 수 있다. 이때, 가열 플레이트(HP)의 외곽부(HP-S)와 중심부(HP-C)의 온도가 상이하게 제어될 경우 표시 장치(DD)의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온도도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공되는 접착층(AP)의 연성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에서 가열 플레이트(HP)의 외곽부(HP-S)의 온도가 중심부(HP-C)의 온도보다 높게 제어되고, 이에 따라 컬러층(BP)이 제공되는 표시 장치(DD)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접착층(AP)의 연성화 정도를 증가시켜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를 분리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도 5b의 "AA"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BB"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해체 스틱(SB)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체 스틱(SB)은 접착력이 저하된 접착층(AP)을 분리시켜 가장자리에서 윈도우(WP)를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해체 스틱(SB)은 컬러층(BP)이 배치된 부분까지 윈도우(WP)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의 도시를 참조하면, 해체 스틱(SB)은 윈도우(WP)와 접착층(AP) 사이를 분리시키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달리 해체 스틱(SB)은 접착층(AP)과 표시 패널(DP) 사이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RA)에 포함된 해체 유닛(SU)은 해체 스틱(SB), 해체 스틱(SB)을 지지하는 스틱 지지부(SP), 스틱 지지부(SP)의 일단에 고정되어 해체 스틱(SB)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스틱 다이얼(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체 유닛(SU)은 해체 스틱(SB) 및 스틱 지지부(SP) 등을 고정하는 해체 지지부(SST)를 포함할 수 있다. 해체 지지부(SST)는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방향 또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해체 지지부(SST)는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방향 또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체 스틱(SB)을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해체 지지부(SST)는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방향 또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P) 사이에서 해체 스틱(SB)이 이동되도록 하여 접착층(AP)을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P)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 사용된 해체 유닛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c 및 도 12d는 도 1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해체 스틱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도시한 해체 유닛 및 해체 스틱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는 분리하는 피가공물인 표시 장치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디자인된 해체 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해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 사용된 해체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a는 스틱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되는 해체 스틱(SB)이 하나인 경우의 해체 유닛(SU)의 실시예이고, 도 12b는 스틱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되는 해체 스틱(SB-a, SB-b)이 복수 개인 경우의 해체 유닛(SU-1)의 실시예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해체 스틱(SB, SB-a, SB-b)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틱 형상일 수 있다.
도 12c는 도 12a의 III-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d는 도 12a의 IV-IV' 선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c는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단면에서의 해체 스틱(SB)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해체 스틱(SB)은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12d는 제1 방향축(DR1)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단면에서의 해체 스틱(SB)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해체 스틱(SB)은 곡면부(SB-C)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곡면부(SB-C)는 엣지(SB-E)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곡면부(SB-C)는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에서 분리되는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는 곡면부를 갖는 해체 스틱을 포함하여 피가공물인 표시 장치(DD)가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해체 스틱의 곡면부가 벤딩 영역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벤딩 영역의 윈도우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윈도우를 표시 패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해체 스틱은 폴리에틸렌, 아세탈, 또는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체 스틱은 모노 캐스트(mono cast) 나일론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디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체 스틱은 접착층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 에너지가 낮은 고분자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방법의 단계 중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고,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 분리 장치는 표시 장치를 가열하고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해체 스틱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먼저 분리하도록 하여 윈도우의 컬러층 손상 없이 표시 패널로부터 윈도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 표시 장치 DP : 표시 패널
WP : 윈도우 AP : 접착층
RA : 윈도우 분리 장치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컬러층을 포함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 자리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 자리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 이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접착층과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하부면에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윈도우 분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복수의 잉크 인쇄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 영역; 및
    상기 평탄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서 벤딩된 벤딩 영역; 을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벤딩 영역 대응하여 배치된 윈도우 분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를 가열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를 50℃ 이상 15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스틱은 폴리에틸렌, 아세탈, 또는 모노 캐스트 나일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윈도우 분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해체 스틱을 이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인 윈도우 분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 영역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윈도우가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서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된 것인 윈도우 분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상기 해체 스틱을 삽입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단계는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되는 윈도우 분리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는 -110℃ 이상 -6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윈도우 분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플레이트 상에 베치하거나, 또는 저온조에 상기 표시 장치를 침지하여 방치하는 것인 윈도우 분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조는 드라이 아이스 또는 액체 질소를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윈도우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방법.
  15.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컬러층을 포함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안착된 가열 유닛; 및
    상기 가열 유닛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분리하는 해체 스틱을 포함하는 해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안착된 표시 장치의 일면과 마주하여 배치된 가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열 플레이트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곽에 배치된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의 온도는 상기 중심부의 온도보다 높게 조절되는 윈도우 분리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층이 중첩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외곽부와 중첩하고,
    상기 외곽부의 온도는 상기 중심부의 온도 보다 높게 제어되는 윈도우 분리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 영역 및 상기 평탄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서 벤딩된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열 플레이트 상에 안착된 윈도우 분리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스틱은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분리 장치.
KR1020180001880A 2018-01-05 2018-01-05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KR10250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80A KR102507884B1 (ko) 2018-01-05 2018-01-05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US16/177,601 US10836151B2 (en) 2018-01-05 2018-11-01 Apparatus for separating a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indow using the same
CN201910006915.6A CN110000733A (zh) 2018-01-05 2019-01-04 用于分离窗的设备和使用该设备分离窗的方法
US17/076,375 US11458721B2 (en) 2018-01-05 2020-10-21 Apparatus for separating a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indow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80A KR102507884B1 (ko) 2018-01-05 2018-01-05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190A KR20190084190A (ko) 2019-07-16
KR102507884B1 true KR102507884B1 (ko) 2023-03-09

Family

ID=6714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80A KR102507884B1 (ko) 2018-01-05 2018-01-05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36151B2 (ko)
KR (1) KR102507884B1 (ko)
CN (1) CN1100007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884B1 (ko) 2018-01-05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KR102589499B1 (ko) * 2018-10-31 2023-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03296B1 (ko) * 2018-11-07 2023-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방법 및 재제조 방법
US10894398B2 (en) * 2019-04-19 2021-01-19 The Boeing Company Cryogenic-assisted adhesive removal tool
CN112318416B (zh) * 2020-10-15 2022-05-03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拆解设备及拆解显示屏与盖板的方法
WO2024106460A1 (ja) * 2022-11-17 2024-05-23 東亞合成株式会社 剥が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969A (en) 1968-12-20 1972-06-20 Nissho Iwai Co Ltd Method of separating insulation from insulated wires and cables
US3670069A (en) * 1969-09-15 1972-06-13 Itt Process for forming hydroxyethyl cellulose fibers having high water absorption and high water retention properties
JP2001293464A (ja) 2000-04-11 2001-10-23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複合接着体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
JP2005116346A (ja)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表示装置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JP2005129318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JP2006330205A (ja) * 2005-05-24 2006-12-07 Kyokuhei Glass Kako Kk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保持板分離装置
JP2007286527A (ja) * 2006-04-20 2007-11-0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およびその解体方法
KR100891384B1 (ko) * 2007-06-14 2009-04-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접합 및 탈착장치
US8950459B2 (en) * 2009-04-16 2015-02-10 Suss Microtec Lithography Gmbh Debonding temporarily bonded semiconductor wafers
KR20100115529A (ko) * 2009-04-20 2010-10-28 주식회사 엔엑스 터치감지유닛의 재생을 위한 터치감지유닛 분리 및 세정방법
US8564619B2 (en) 2009-12-17 2013-10-2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ckground setting together with icons and/or application windows on a display screen thereof
JP2011150312A (ja) * 2009-12-22 2011-08-04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JP5750875B2 (ja) 2010-12-01 2015-07-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41737A (zh) * 2010-03-02 2012-10-17 夏普株式会社 带显示装置的建材和显示装置
WO2013031053A1 (ja) * 2011-09-01 2013-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WO2013057852A1 (ja) * 2011-10-21 2013-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CN102522289B (zh) * 2011-12-30 2014-12-17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中前基板与后基板的分离方法及装置
KR101276263B1 (ko) 2012-04-06 2013-06-20 (주)정관 디스플레이 전자기기의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방법
KR20140090880A (ko) * 2013-01-10 2014-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 분리 장치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 분리 방법
KR102075486B1 (ko) 2013-04-11 2020-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KR101430111B1 (ko) 2013-04-15 2014-08-14 최승정 액정모듈 분리장치
KR102043692B1 (ko) * 2013-08-30 2019-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베젤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7731716A (zh) * 2013-08-30 2018-02-2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叠层体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101749728B1 (ko) 2014-04-01 2017-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JP6548871B2 (ja) * 2014-05-03 2019-07-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積層体の基板剥離装置
US9798396B2 (en) 2014-08-18 2017-10-24 Atmel Corporation Low-power and low-frequency data transmission for stylus and associated signal processing
CN105551384A (zh) * 2014-09-02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574923B1 (ko) * 2015-01-20 2015-12-04 김영수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KR102332015B1 (ko) * 2015-02-26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44731B1 (ko) * 2015-06-26 2021-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분리장치
CN105234661A (zh) * 2015-10-12 2016-01-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拆卸方法以及屏幕拆卸系统
WO2017127469A1 (en) * 2016-01-22 2017-07-27 Henkel IP & Holding GmbH Dual curing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compositions
KR101767106B1 (ko) 2017-02-20 2017-08-23 김광원 가열 후 자연박리되는 점착 시트
KR102507884B1 (ko) 2018-01-05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8721B2 (en) 2022-10-04
US20210070030A1 (en) 2021-03-11
CN110000733A (zh) 2019-07-12
US10836151B2 (en) 2020-11-17
US20190210351A1 (en) 2019-07-11
KR20190084190A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884B1 (ko)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US6774978B2 (en) Device for cut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utting using the same
US9645419B2 (en) Detachment apparatus having arched drum pad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ghtweight, th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683684B2 (ja) 軽量薄型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30081756A1 (en)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Devices with Bent Display Edges
US20040074366A1 (en) Apparatus for cut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060284434A1 (en) Substrate conveyance device for 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47068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453533B2 (en) Jig for delivering liquid crystal display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EP4239457A1 (en) Bonding method for touch-control display panel,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JP6038077B2 (ja) 基板脱着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4956986B2 (ja) 表示パネル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KR20130061485A (ko) 경량 박형의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JP2003150316A (ja) 再剥離可能な透明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とこれに用いる実装用シート
KR101760706B1 (ko) 기판 경화 장치
WO2019090695A1 (zh) 柔性面板的制作方法、柔性面板和显示装置
JP5541707B2 (ja) 表示モジュール
KR2008005416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JP2002040445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硬化用の緩衝板
KR102400550B1 (ko) 합착 기판의 절단 시스템
KR20040002456A (ko) 기판 지지구조와 그 적재장치 및 로봇 핸드
KR2021003644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19649B (zh) 直接接合机
JP2015223810A (ja) 樹脂層付き支持基板およびガラス積層体
KR100799236B1 (ko) 편광판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