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91610B1 -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 Google Patents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10B1
KR102291610B1 KR1020190167206A KR20190167206A KR102291610B1 KR 102291610 B1 KR102291610 B1 KR 102291610B1 KR 1020190167206 A KR1020190167206 A KR 1020190167206A KR 20190167206 A KR20190167206 A KR 20190167206A KR 102291610 B1 KR102291610 B1 KR 10229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bstrate
force
module
for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1610B9 (en
KR20210076301A (en
Inventor
김의겸
박찬훈
도현민
정희연
박동일
김휘수
최태용
박종우
김두형
경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61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10B1/en
Publication of KR1022916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1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은 평판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기판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그라운드부와 기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그라운드부가 외력에 의해 기판부에 대하여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는 탄성체층을 형성하기 위해, 평판 모듈 상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고, 삽입 모듈을 홀에 삽입시키며 기판부를 제 1 스페이서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홀과 삽입 모듈 사이에 제 2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탄성체 액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first spacer for supporting a substrate p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flat plate module, a ground part In order to form an elastic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ground por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ortion change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 elastic liquid is applied on the flat panel module,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substrate portion is the first spac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seating on the bed, disposing a second spacer between the hole and the insertion module, and curing the elastomeric liquid.

Description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본 발명은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정밀한 외력 측정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다축)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a (multi-axis) force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an external force using a capacitance value and capable of being manufactured in a compact size and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it's about how

산업용 로봇과 같은 기계 장치에는 작업 도중 가해지는 힘이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기계 장치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힘과 토크가 가해지면서 기계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계 장치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서는 이러한 힘과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요구되었다.A mechanical device such as an industrial robot is equipped with a sensor for measuring a force or torque applied during operation. At this time, since force and torque are applied to the mechanical device in various directions and affect the operation of the mechanical devic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such force and torque is required for accurate control of the mechanical device.

한국 등록특허 제10-1470160호는 다양한 방향의 힘과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평판형 힘/토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 센서 셀에 수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제 1 전극 과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정전용량(커패시턴스) 값이 증가하고, 센서 셀에 수평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대향 면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정전용량 값이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직항력과 수평항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개시되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0160 relates to a flat-panel force/torqu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force and torque in various direction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vertically to the sensor cell,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s it decreases, the capacitance (capacitance) value increases,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horizontally to the sensor cell, the opposite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decreases and the capacitance value decreases using the principle of reduc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rag.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극 구조의 경우 전극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동은 크지만, 대향 면적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은 변동은 크지 않아 정밀한 수평항력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large,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opposing area is not large,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horizontal dra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정전용량의 방법으로 측정 정밀도가 높고, 특히 다축의 힘(직교 좌표계에서의 힘과 토크(Fx, Fy, Fz, Tx, Ty, Tz))을 측정하는 다축 힘 센서를 제작하는 것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Al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capacitance method has high measurement precision, and in particular, multi-axis forces (forces and torques i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F x , F y , F z , T x , T y , 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a multiaxial force sensor that measures z )).

특히, 종래의 다축 힘 센서의 경우 소형으로 제작하기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ulti-axis force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n a small siz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16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7016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부와 그라운드부 사이에 별도의 탄성 이동을 위한 구조물을 배치시키지 않고 탄성체층을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체층의 변형으로 기판부에 대하여 그라운드부가 이동하도록 제작하여, 소형의 힘 센서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by providing an elastic layer without arranging a separate structure for elastic movement between the substrate part and the ground part, so that the elastic layer is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mall force sensor by manufacturing the ground uni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unit.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힘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force sensor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 및 상기 평판 모듈의 일측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그라운드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평판 모듈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이 형성된 기판부; 및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의 적어도 일측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그라운드부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평판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기판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기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에 대하여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는 탄성체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평판 모듈 상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고, 상기 삽입 모듈을 상기 홀에 삽입시키며 상기 기판부를 상기 제 1 스페이서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홀과 상기 삽입 모듈 사이에 제 2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성체 액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plate module and a ground portion including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flat plate module; A flat-panel substrate, the substrat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at-panel module and having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and an electrod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e and on the edge of the ho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receiving power to form an electrode part that forms a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ground part, the flat plate disposing a first spacer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In order to form an elastic layer formed between the ground part and the substrate 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art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by an external force, an elastic body liquid is applied on the flat panel module, and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the substrate into the hole and seating the substrate on the first spacer; disposing a second spacer between the hole and the insertion module; and curing the elastomer liquid.

여기서, 상기 상기 제 1 스페이서는 상기 평판 모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평판 모듈 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pacer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spac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lat panel module to protrude from the flat panel module.

여기서, 상기 제 1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 삽입홀에 삽입되는 볼트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spacer may be a bolt inserted into the spacer insertion hole.

여기서, 상기 제 2 스페이서는 내주면이 상기 삽입 모듈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pace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유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body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여기서, 상기 기판부에 베이스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ixing the base part to the substrate part.

여기서, 상기 기판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탄성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부 위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n elastic body liquid on the substrate part so that an elast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and the base part.

여기서, 상기 제 2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모듈의 단부에 상기 삽입 모듈의 반경 바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removing the second spacer; and fixing a fixing part having a head part protruding outside a radius of the insertion module to an end of the insertion module.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관통하는 접지홀에 접지를 위한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접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홀을 막는 마감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serting a grounding wire into a grounding hole penetrating the base and the grounding part, and inserting and fixing a closing part blocking the grounding hole while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grounding hole. hav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 및 상기 평판 모듈의 일측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그라운드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평판 모듈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이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와 상기 평판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부에 대하여 상기 그라운드부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탄성체층;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의 적어도 일측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그라운드부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상기 그라운드부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하는 힘측정부를 포함하는 힘 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plate module and a ground portion including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flat plate module; A flat-panel substrate, the substrat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at-panel module and having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an elast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and the flat panel module and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art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changes; an electro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e and an edge of the ho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the electrode unit receiving power to form a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ground unit; and a force measuring unit for obtaining a vertical force or a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ground portion by using the capacitance value.

여기서,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 상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le and the hol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리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de part may be formed separat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으로 등분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de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equal part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여기서, 상기 삽입 모듈 및 상기 전극부가 형성되는 홀을 각각 세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힘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그라운드부에 가해지는 다축 힘과 다축 토크를 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ree or more holes in which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electrode part are formed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multiaxial force and the multiaxial torque applied to the ground part using the vertical force and the horizontal force measured by the force measur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or for obtaining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따르면 외력이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가 이동하도록 그라운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복수의 지점을 연결하는 별도의 탄성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탄성체층을 구비하도록 하여 직경 10mm 이하의 소형 다축 힘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orce sens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layer does not install a separate elastic structure connecting a plurality of points between the ground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ground portion mov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a small multi-axis force sensor with a diameter of 10 mm or less by providing a.

또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탄성체층을 형성하되 전극과 삽입 모듈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elastic layer is formed using the spacer,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insertion module can be precisely manufactured, so that the measurement accuracy can be improved.

또한, 그라운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접지를 위한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여 접지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grounding structure can be simply manufactured by allowing a grounding wire to pass through between the ground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또한, 원형의 홀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과 원기둥 형태의 접지극 사이는 곡면의 형태로 이격 배열되므로, 두 평판이 평면으로 이격 배열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싱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가 있어서,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ide of the circular hole and the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the sensing cross-sectional area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wo plates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a plane, there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기판부의 원형의 홀에 형성된 전극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직의 힘(normal force)이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직의 힘(normal force)이 도 3과는 다른 위치에서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평의 힘(shear force)가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6축의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서 결합된 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formed in a circular hole of a substrate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portion when a normal force is applied to the force sensor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part when a normal force is appli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in the force sensor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part when a horizontal shear force is applied in the force sensor of FIG. 1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force sensor for measuring six-axis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ce sensor coupled in FIGS. 8 and 9 ;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force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 힘 센서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force sens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basic for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기판부의 원형의 홀에 형성된 전극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직의 힘(normal force)이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직의 힘(normal force)이 도 3과는 다른 위치에서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힘 센서에 있어서 수평의 힘(shear force)가 가해질 때 그라운드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6축의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formed in a circular hole of the substrate part in FIG. 1, and FIG. 3 is the force sensor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portion when a normal force is applied, and FIG. 4 shows the movement of the ground portion when a normal force is appli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in the force sensor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part when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in the force sensor of Fig. 1, and Fig. 6 is a force sensor measuring the force of 6 a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and FIG.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100)는 수직 방향의 힘(normal force)와 수평 방향의 힘(shear force)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그라운드부(110), 기판부(120), 전극부(130) 및 힘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for measuring a vertical force (normal force) and a horizontal force (shear force), and includes a ground unit 110 and a substrate unit. (120), the electrode unit 13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orce measuring unit (not shown).

그라운드부(110)는 외력을 전달받으면 기판부(120)에 대하여 위치가 변화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다시 그 위치가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그라운드부(110)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3차원 공간 상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가 있다. The ground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unit 120 changes when an external force is received, and its position can be restor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this case, the ground unit 110 may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그라운드부(110)는 접지된 도전체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전극부(130) 및 그라운드부(110)와 전극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140)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게 된다. The ground part 110 is made of a grounded conductor, and capacitance is formed by the electrode part 130 and the dielectric 140 formed between the ground part 110 and the electrode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그라운드부(1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112) 및 평판 모듈(112)의 하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114)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평판 모듈(112)은 후술하는 기판부(12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며, 삽입 모듈(114)은 기판부(120)에 형성되는 홀(122)의 측면에 이격되도록 삽입 배치된다. The ground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 flat plate module 112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n insertion module 11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module 112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 . In this case, the flat panel module 112 is horizontally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is inser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hole 122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 are placed

기판부(120)는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가 있다. 기판부(120)는 그라운드부(110)의 평판 모듈(112)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다. 평판 모듈(11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그라운드부(110)가 이동하여 평판 모듈(112)과 기판부(1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가 있다. 이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기판부(120)와 평판 모듈(112) 사이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bstrate unit 120 is a flat-panel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substrate unit 12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lat panel module 112 of the ground unit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lat panel module 112 , the ground unit 110 may move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flat panel module 112 and the substrate unit 12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so that the substrate unit 120 and the flat panel module 112 do not contact each othe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기판부(120)에는 원형의 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122)에는 전술한 그라운드부(110)의 삽입 모듈(114)이 삽입된다. 이때, 홀(122)의 내측면과 삽입 모듈(114)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라운드부(110)에 수평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그라운드부(110)가 이동하여 홀(122)의 내측면과 삽입 모듈(114)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가 있다. 이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122)의 내측면과 삽입 모듈(114) 사이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ircular hole 122 is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of the above-described ground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hole 122 .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114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ground portion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round portion 110 mov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may be vari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do not come into contact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홀(122)의 내측면 및 기판부(120) 상면의 홀(122) 가장자리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부(130)가 형성될 수가 있다. 즉, PCB 기판에 부품을 삽입하지 않고 상층과 하층 사이의 층간을 접속하기 위한 도금 도통홀을 비아홀(Via_Hole)이라고 하는데, 비아홀의 형태로 기판부(120)에 전극부(130)가 형성될 수가 있다. 도 1의 도면에서는 기판부(120)의 하면 상에도 전극이 형성되어 전극부(130) 전체의 단면의 형태가 'ㄷ'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기판부(120)의 하면에는 전극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electrode part 130 integrally form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and the edge of the hole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20 . That is, the plating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interlay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without inserting components into the PCB substrate is called a via hole (Via_Hole). have. In the drawing of FIG. 1 , electrodes are also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unit 120 so that the overall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unit 130 has a 'C' shape, but an electrode must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unit 120 . it doesn't have to be

설명의 편이를 위해서 홀(12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전극부(130)를 측면 전극부(131), 기판부(120)의 상면의 홀(122)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부(130)를 상면 전극부(132)라고 하며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전극부(131)와 상면 전극부(132)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접하게 형성되는 측면 전극부(131)와 삽입 모듈(114)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게 되고 상면 전극부(132)와 평판 모듈(112)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게 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lectrode part 1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2 is the side electrode part 131 , and the electrode part 130 formed on the edge of the hole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20 is shown. It is referred to as the upper electrode part 132 and will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the side electrode part 131 and the top electrode part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electrically sepa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130 , a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ide electrode part 131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 and an electrostatic capacity is formed between the top electrode part 132 and the flat panel module 112 . capacity is formed.

이때, 전극부(1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홀(1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등분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개수로 등분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de part 130 may be formed separately in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122 , preferably can be bise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focused on the separation into tw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vided and divided into more numbers.

이와 같이,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는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에 대하여 각각 정전용량을 측정하게 되고, 제 1 전극부(130a) 및 제 2 전극부(130b)에서 측정되는 정전용량의 값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측정한다. In this way,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ar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eparated, and capacitance i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respectively. , a vertical force and a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ground part 110 are measured using the capacitance values measured by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평판 모듈(112)과 기판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 및 홀(122)과 삽입 모듈(114)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유전체(140)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상기 유전체(140)로는 폴리머, 공기, 물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가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전체의 성질을 가지며 탄성의 성질을 갖는 폴리머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dielectric 140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lat panel module 112 and the substrate 120 and the space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 As the dielectric 140 , a polymer, air , water may be formed, and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of a polymer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and elastic properties.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힘측정부(미도시)는 기판부(120)에 형성되는 연산 장치로서, 그라운드부(1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전극부(130)와 그라운드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값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부(130a)에 가해지는 정전용량 값 및 제 2 전극부(130b)에 가해지는 정전용량 값을 각각 구하여 이로부터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연산한다. The force measuring unit (not shown) is an arithmetic device formed on the substrate unit 120 , and measures the value of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unit 130 and the ground unit 1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is obtained by using it. Preferably, the capacitance valu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capacitance valu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are obtained, respectively,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ground par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is obtained therefrom. Calculate the power of

유전체(140)를 사이에 두는 두 전극(110, 130) 사이의 정전용량 값은 두 전극(110, 130)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직 방향의 힘에 의해 그라운드부(110)가 아래로 이동을 하게 되면 상면 전극부(132)와 평판 모듈(11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여 정전용량 값이 증가하게 된다.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two electrodes 110 and 130 with the dielectric 140 interposed therebetwee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110 and 130 . As shown in FIG. 3 , when the ground unit 110 is moved downward by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unit 132 and the flat panel module 112 is decreased to increase the capacitance value. do.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그라운드부(110)의 중앙에 힘이 가해져 평판 모듈(112)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부(130a) 및 제 2 전극부(130b)에서 각각 평판 모듈(112)과의 거리(d1N, d2N)가 같으므로 측정되는 정전용량 값은 모두 같다. At this tim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ground part 110 and the flat panel module 112 moves downwar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 130b), since the distances d 1N and d 2N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are the same, the measured capacitance values are all the same.

하지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라운드부(110)의 중앙이 아닌 편심된 일측에 수직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에서 상면 전극부(132) 각각은 평판 모듈(112)과의 거리(d1N, d2N)가 상호 달라지게 되어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에서의 정전용량 값이 각각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에서의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함께 이용하여 힘측정부는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및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구할 수가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4 , when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pplied to an eccentric sid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ground unit 110 , the upper electrode at the first electrode uni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b . Each of the parts 132 has different distances d 1N and d 2N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so that the capacitance values in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are different, respectively. do.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values in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together, the force measuring unit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and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pplied to the ground part 110 are appli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그라운드부(110)에 수평 방향의 힘이 가해져 그라운드부(110)가 수평으로 이동(도면 상에는 좌에서 우로)하는 경우에는 측면 전극부(131)와 삽입 모듈(114)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여 정전용량 값이 변화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는, 제 1 전극부(130a)의 측면 전극부(131)와 삽입 모듈(114) 사이는 거리(d1s)가 멀어져서 정전용량 값이 작아지게 되고, 제 2 전극부(130b)의 측면 전극부(131)와 삽입 모듈(114) 사이는 거리(d2s)가 가까워져서 정전용량 값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힘측정부는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에서 변화하는 정전용량의 값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as in FIG. 5 , when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to move the ground unit 110 horizontally (from left to right in the drawing), the side electrode unit 131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 As the distance between them changes, the capacitance value changes. In more detail, the distance d 1s between the side electrode part 131 of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increases, so that the capacitance value becomes small,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The distance d 2s between the side electrode part 131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becomes close, so that the capacitance value increases. In this way, the force measuring unit may obtain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by using the values of the capacitances that change in the first electrode uni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b.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100)는 기판부(120)에 형성된 원형의 홀(122)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원기둥 형태의 삽입 모듈(114)이 삽입되어 홀(122)의 측면과 삽입 모듈(11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홀(122)과 삽입 모듈(114)의 중심 위치를 맞추면 수평 방향의 힘 측정을 위한 두 전극을 배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가공이 편하고 가공오차가 적으며 조립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In the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module 114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ircular hole 122 formed in the substrate 120 is inserted, and the side of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 Sinc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114), if the center positions of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are aligned, the two electrodes for measuring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rranged, so processing is convenient, there is little processing error, and assembly is easy. There are advantages to losing.

나아가, 홀(122)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전극부(131)와 원기둥 형태의 삽입 모듈(114) 사이는 곡면의 형태로 이격 형성되므로 평면의 형태로 두 전극이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싱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가 있으므로, 센서의 민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side electrode part 131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e 122 and the cylindrical insertion module 114 are spaced apart in the shape of a curved surface, the sensing cross-sectional area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wo electrodes are disposed in the shape of a plane.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힘 센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ulti-axis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전술한 힘 센서(100)를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힘 센서(200)는 상기 힘 센서(100)를 세 개 이상 구비하고, 각각의 힘 센서(100)를 서로 다른 방위각을 갖도록 결합시켜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복수의 힘 센서(100)를 배치시키는 데 있어서 서로 다양한 방위각을 형성하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지만, 복수의 힘 센서(100)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되 동일 원주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과 토크가 각 센서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orce sensor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In this case, the multi-axis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ree or more force sensors 100 , and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each force sensor 100 to have different azimuth angle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orce sensors 100 may be arranged to form various azimuth angles from each other, but the plurality of force sensors 100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on the same circumference. It is desirable to distribute the force and torque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equally to each sensor.

본 실시예에서 다축의 힘이라고 하면 직교 좌표계에서의 직교하는 세 축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x, Fy, Fz) 및 토크(Tx, Ty, Tz) 중 복수의 성분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6축(Fx, Fy, Fz, Tx, Ty, Tz)의 힘 센서(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ulti-axis force means a plurality of components among the forces (F x , F y , F z ) and torques (T x , T y , T z ) acting in the three orthogonal direction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orce sensor 200 of 6 axes (F x , F y , F z , T x , T y , T z ) will be described.

연산 장치인 연산부(미도시)는 힘측정부에서 각 힘 센서(100)에 대하여 측정한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다축 힘을 구한다. 이때, 각각의 힘 센서(100)에서 측정된 값을 수학적 식에 따라 연산을 하여 다축 힘과 다축 토크를 구할 수 있다. 수직 방향의 힘과 수평 방향의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100)를 복수 개 배치시켜 다축 힘을 측정하는 원리는 공지된 내용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calculation unit (not shown), which is a calculation device, obtains a multiaxial force using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easured by the force measuring unit with respect to each force sensor 100 . In this case, the multiaxial force and the multiaxial torque may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values measured by each force sensor 100 according to a mathematical expression. Since the principle of measuring multiaxial force by disposing a plurality of force sensors 100 for measuring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 및 도 7에는 세 개의 힘 센서 구조를 이용한 다축 힘 센서(20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6 and 7 show the basic structure of the multi-axis force sensor 200 using three force sensor structures.

기판부(120)에는 세 개의 원형의 홀(122)이 형성되며, 상기 홀(122)은 동일 원주 상에 120도의 간격으로 정삼각형의 꼭지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홀(1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122)의 기판부(120)의 상면의 홀(122) 가장자리에 측면 전극부(131)와 상면 전극부(132)가 일체로 형성되며, 나아가 제 1 전극부(130a)와 제 2 전극부(130b)로 홀(122)의 원주 방향으로 분리된 형태로 전극부(130)가 형성된다. Three circular holes 122 are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 and the holes 12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ame circumference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vertices of the equilateral triangle. In each hole 122, as described above, the side electrode part 131 and the top electrode part 132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1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20 of the hole 122, and further The electrode part 130 is formed in a shape separated by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30b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122 .

또한, 그라운드부(110)는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화하는 접지된 도전체로서,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112)과 평판 모듈(112)의 하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된 세 개의 삽입 모듈(114)이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 모듈(114)은 기판부(120)에 형성된 홀(122)에 이격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ground unit 110 is a grounded conductor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flat plate module 112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ree insertion modules 11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module 112 in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and each insertion module 114 is inserted into the hole 122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to be spaced apart.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힘 센서(100)의 구조가 단일의 기판부(120)에 세 개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force sensor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ree are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unit 120 .

그라운드부(1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힘측정부는 각각의 힘 센서(100)의 구조에 대하여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측정하게 되고, 연산부는 힘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의 중심에 가해지는 다축 힘을 구할 수가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 the forc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capacita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each force sensor 100 , and the calculating unit measures the force measuring unit The multiaxial force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ground unit 110 may be obtained using the vertical force and the horizontal force measured in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그라운드부(110)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전극부(130)가 배치되는 기판부(120)에 대하여 그 위치가 변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라운드부(110)가 이동 및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탄성 구조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탄성 구조물은 종래 그라운드부(110)의 복수의 지점을 탄성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힘 센서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 이러한 탄성 구조물을 크기가 작게 구성하여 배치시키는 것이 어렵고, 이를 배치시킨다고 하더라도 이는 힘 센서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요인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osition of the ground unit 110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unit 120 on which the electrode unit 130 is dispos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ground unit 110 mus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a separate elastic structure that allows the ground unit 110 to move and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should be disposed. Such an elastic structure could be formed in the form of elastically supporting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conventional ground unit 110 .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for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iniaturized,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and arrange such an elastic structure in a small size, and even if it is arranged, this becomes a factor in which the size of the force sensor becomes larg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구조의 힘 센서(100, 200)에 대하여 기판부(120)와 그라운드부(130) 사이에 폴리머와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체층(150)을 형성하여 탄성체층(150)의 변형에 의해 그라운드부(110)가 이동 및 탄성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힘 센서 및 상기 힘 센서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layer 150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a polymer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120 and the ground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force sensors 100 and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o form the elastic layer ( A force sensor that allows the ground unit 110 to move and elastically return due to the deformation of 150)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will be described.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방법으로 제작된 힘 센서의 단면도이다.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ce sensor fabricated by this method.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도 1의 힘 센서(100) 구조가 정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어 6축의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200)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의 힘 센서(100) 구조가 하나만 형성되어 수직 방향의 힘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측정하는 힘 센서도 하기 설명하는 내용을 참고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S. 8 to 10 , the force sensor 200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force sensor 100 of FIG. 1 is arranged in the form of an equilateral triangle to measure the force of 6 axes will be described. A force sensor for measuring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orc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only one structure of the force sensor 100 of FIG. 1 is formed will be easily manufact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200)를 제작하는 방법은 평판 모듈(1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기판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스페이서(170)를 배치시키는 단계, 그라운드부(110)와 기판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그라운드부(110)가 외력에 의해 기판부(120)에 대하여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는 탄성체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평판 모듈(112) 상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고, 삽입 모듈(114)을 홀(122)에 삽입시키며 기판부(120)를 상기 제 1 스페이서(170)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내주면이 삽입 모듈(11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 2 스페이서(175)를 홀(122)과 상기 삽입 모듈(114) 사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탄성체 액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osing a first spacer 170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unit 1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 the ground unit In order to form an elastic layer 150 formed between the 110 and the substrate unit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unit 110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unit 120 by an external force, on the flat panel module 112 . Applying an elastic liquid to the surface, inserting the insertion module 114 into the hole 122, and seating the substrate 120 on the first spacer 17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114 It may include disposing the second spacer 175 to be used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and curing the elastic liquid.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라운드부(110)의 평판 모듈(1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기판부(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스페이서(170)를 배치시킨다. 보다 자세히는 평판 모듈(1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삽입홀(115)이 형성되고, 스페이서 삽입홀(115)에 제 1 스페이서(170)인 볼트를 삽입시켜 볼트의 몸체 단부가 평판 모듈(112) 상에 돌출 형성되도록 제 1 스페이서(17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평판 모듈(112) 상에 스페이서 삽입홀(115)을 균등 위치에 복수 개 배분시켜 기판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삼각형의 형태로 3 개의 지점에서 스페이서 삽입홀(115)을 배치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10A , the first spacer 170 is disposed to support the substrate unit 1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of the ground unit 110 . In more detail, at least one spacer insertion hole 115 is formed in the flat panel module 112 , and a bolt that is the first spacer 170 is inserted into the spacer insertion hole 115 so that the end of the body of the bolt is the flat panel module 112 . The first spacers 17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hereon. At this time, as shown, by distributing a plurality of spacer insertion holes 115 at equal positions on the flat panel module 112 ,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ubstrate unit 120 . In this embodiment, the spacer insertion hole 115 is disposed at three points in the form of an equilateral triangle.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체 액을 경화시켜 탄성체층(150)을 형성한 이후에는 제 1 스페이서(170)는 그라운드부(1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elastic layer 150 is formed by curing the elastic liquid, the first spacer 170 may be easily removed from the ground unit 110 .

다음, 제 1 스페이서(170)의 단부가 돌출 형성되는 평판 모듈(112) 상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고, 기판부(120)를 제 1 스페이서(170)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기판부(120)에 형성된 홀(122)에 그라운드부(110)의 삽입 모듈(114)이 삽입되며, 제 1 스페이서(170) 상에 기판부(120)가 안착된다. 따라서, 평판 모듈(112)로부터 제 1 스페이서(170)의 돌출되는 높이는 삽입 모듈(114)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스페이서(170)에 의해 평판 모듈(1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기판부(120)가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간격 조절을 할 수가 있다. Next, an elastic liquid is applied on the flat panel module 112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spacer 170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substrate 120 is seated on the first spacer 170 . At this time, the insertion module 114 of the ground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hole 122 formed in the substrate unit 120 , and the substrate unit 120 is seated on the first spacer 17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spacer 170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is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insertion module 114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bstrate unit 120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by the first spacer 170 .

이때, 상기 탄성체 액은 경화되어 탄성체층(150)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라운드부(110)의 평판 모듈(112)과 기판부(120) 사이에 탄성체층(150)을 형성하여 그라운드부(110)에 외력이 인가될 때 탄성체층(150)의 탄성 변형에 그라운드부(110)는 이동할 수가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층(150)의 복원에 따라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liquid is cured to form the elastic layer 15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layer 150 is formed between the flat panel module 112 of the ground part 110 and the substrate part 120 to form the ground par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110 , the ground unit 110 may move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layer 150 ,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elastic layer 150 .

본 발명의 탄성체층(150)은 기판부(120)의 홀(122)에 형성되는 전극부(130)와 그라운드부(110) 사이에 개제되는 유전체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모듈(112)에 도포되는 탄성체 액은 경화되었을 때 탄성의 성질을 가짐과 동시에 유전체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lay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serve as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unit 130 formed in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unit 120 and the ground unit 11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liquid applied to the flat plate module 112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properties when cured and dielectric properties at the same time.

다음, 도 10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주면이 삽입 모듈(114)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이 기판부(120)의 홀(12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가지는 제 2 스페이서(175)를 삽입 모듈(114) 위에서 아래로 결합하여 홀(122)과 삽입 모듈(114) 사이에 제 2 스페이서(175)를 배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2 스페이서(175)는 탄성체 액이 경화될 때 기판부(120)에 형성된 홀(122)의 중심과 삽입 모듈(114)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하여, 기판부(12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c) of FIG. 1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11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122 of the substrate part 120. A second spac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175 is coupled from top to bottom of the insertion module 114 to place the second spacer 175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 At this time, the second spacer 175 makes the center of the hole 122 formed in the substrate 120 and the center of the insertion module 114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module 114 when the elastomer liquid is c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120 . It plays a role in positioning.

이때, 제 2 스페이서(175) 상단부의 헤드부는 직경을 더 크게하여 기판부(120) 상에 안착되도록 하며, 제 2 스페이서(175)와 홀(122) 사이의 틈으로 탄성체 액이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acer 175 has a larger diameter so that it is seated on the substrate 120 , and the elastic liquid flows up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cond spacer 175 and the hole 122 . It is preferable to block it.

다음, 도 10의 (d)에서와 같이 탄성체 액을 경화시키고, 탄성체 액의 경화가 완료된 다음에는 제 2 스페이서(175)를 제거한다. Next, the elastic liquid is cured as shown in FIG. 10( d ), and after curing of the elastic liquid is completed, the second spacer 175 is removed.

제 2 스페이서(175)를 제거한 이후에, 홀(122)과 삽입 모듈(114) 사이에 제 2 스페이서(175)가 위치 했던 공간이 비워지게 되는데, 상기 공간에 탄성체 액을 소량 주입시켜 경화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spacer 175 is removed, the space where the second spacer 175 is located between the hole 122 and the insertion module 114 is emptied. A process of hardening by injecting a small amount of an elastic liquid into the space. may further include.

다음, 제 2 스페이서(175)를 제거한 후에 도 10의 (e)에서와 같이 삽입 모듈(114)의 단부에 고정부(16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부(160)의 상단부에는 삽입 모듈(114) 반경 바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161)를 가지기 때문에 강한 외력에 의해 그라운드부(110)가 당겨지는 경우 고정부(160)의 헤드부가 기판부(120)에 닿으면서 그라운드부(1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라운드부(110)는 별도 구조물에 고정되지 않고 탄성체층(150)에 의해 기판부(120)에 대하여 탄성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그라운드부(110)가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Next, after removing the second spacer 175 , the fixing part 160 is fix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module 114 as shown in FIG. 10E .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end of the fixing unit 160 has a head 161 protruding outside the radius of the insertion module 114, when the ground unit 110 is pulled by a strong external force, the head of the fixing unit 160 is It serves to prevent the ground part 110 from falling out while touching the substrate part 120 . The ground part 110 is not fixed to a separate structure, but is coup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120 by the elastic layer 150. am.

또한, 힘 센서(200)의 하부를 형성하며 기판부(120)를 고정시키는 베이스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이스부(180)의 내측면에는 기판부(120)의 단부가 안착되는 홈(181)이 형성되며, 도 10의 (f)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홈(181)과 상기 홈(181)에 안착되는 기판부(120)의 단부 사이를 접착제로 본딩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In addition,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orce sensor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180 for fixing the substrate portion 120, as shown in Figure 9,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80, the substrate A groove 181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120 is seated is formed, and the groove 181 and an end of the substrate portion 120 seated in the groove 181 as shown in FIG. It can be fixed by bonding between them with an adhesive.

또한, 기판부(120)와 베이스부(180) 사이의 내부 공간에도 탄성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기판부(120)와 베이스부(180) 사이의 공간을 탄성체층으로 밀폐시켜 베이스부(180)와 그라운드부(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힘 센서(20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8, 도 9, 도 11에서는 기판부(120)와 베이스부(18)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층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an elastic layer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substrate part 120 and the base part 180 . This seals the space between the substrate part 120 and the base part 180 with an elastic layer, so that contaminants ar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base part 180 and the ground part 110 , and the force sensor 200 . It serve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side. For reference, the elastic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120 and the base part 18 is not shown in FIGS. 8, 9, and 11 .

따라서, 도 10의 (f)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판부(120)의 상면에 탄성체 액을 도포한 이후에 베이스부(180)와 기판부(120)를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그라운드부(110)와 베이스부(180) 사이를 접지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base unit 180 and the substrate unit 120 with an adhesive after the elastic liquid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unit 120 as shown in (f) of FIG. 10 . Next, a configuration for grounding between the ground unit 110 and the base unit 18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0의 (g)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이스부(180)와 그라운드부(110)에는 각각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부(180)와 그라운드부(110)를 관통하는 접지홀(116, 186)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홀(116, 186)을 통해 전도성의 와이어(190)를 삽입하고, 와이어(190)가 삽입된 상태에서 마감부(192)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마감부(192)에 의해 상기 와이어(190)는 그라운드부(110) 및 베이스부(180)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부(190)를 접지시킴으로써 그라운드부(110) 및 베이스부(180) 전체를 접지시킬 수가 있다. As shown in (g) of FIG. 10 , the base portion 180 and the ground portion 110 have ground holes 116 and 186 penetrating the base portion 180 and the ground portion 110 when combined, respectively. is formed, and a conductive wire 190 is inserted through the ground holes 116 and 186, and the closing part 192 is insert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19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wire 19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portion 110 and the base portion 180 by the closing portion 192 , and by grounding the wire portion 190 , the ground portion 110 and the base portion 180 . ) can be grounded.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힘 센서(100, 200)는 직경이 10mm 이하로 제작되어 핸드 로봇의 손가락 마디 사이에 장착되어 손가락 마디 단부 끝에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사용될 수가 있다.The force sensors 100 and 200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diameter of 10 mm or less and are mounted between the knuckles of the hand robot to be used as sensors for measuring the force acting at the end of the knuckles.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센서(100, 200)는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112) 및 평판 모듈(112)의 일측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114)을 포함하는 그라운드부(110),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평판 모듈(112)과 이격 배치되고, 삽입 모듈(114)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홀(122)이 형성된 기판부(120), 기판부(120)와 평판 모듈(112) 사이에 배치되어 기판부(120)에 대하여 그라운드부(110)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탄성체층(150), 홀(122)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120)의 적어도 일측면의 홀(122)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전원을 인가 받아 그라운드부(110)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130) 및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부(11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하는 힘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ce senso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in this way include a flat plate module 112 and an insertion module 11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lat plate module 112 in a cylindrical shape. ) containing a ground portion 110, a flat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flat panel module 112, and provided with a circular hole 122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114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portion 120. , an elastic layer 150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120 and the flat panel module 112 and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art 11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120 changes, the side surface of the hole 122 and As an electrode formed at the edge of the hole 122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unit 120, the electrode unit 130 that forms a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ground unit 110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capacitance value is used. It may include a force measuring unit (not shown) for obtaining a vertical force or a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ground unit 110 .

또한, 기판부(120)에 전극부(130)가 형성되는 홀(122)을 세 개 이상 형성하고, 그라운드부(110)에는 각각의 홀(122)에 대응되도록 홀(122)에 삽입되어 전극부(130)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접지된 복수의 삽입 모듈(114)을 형성하여 다축힘을 구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three or more holes 122 in which the electrode part 130 is formed are formed in the substrate part 120 , and the electrodes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22 to correspond to each hole 122 in the ground part 110 . A multiaxial force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unded insertion modules 114 that form a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part 130 .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by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힘 센서 110: 그라운드부
112: 평판 모듈 114: 삽입 모듈
115: 스페이서 삽입홀 116: 접지홀
120: 기판부 122: 홀
130: 전극부 130a: 제 1 전극부
130b: 제 2 전극부 131: 측면 전극부
132: 상면 전극부 140: 유전체
150: 탄성체층 160: 고정부
170: 제 1 스페이서 175: 제 2 스페이서
180: 베이스부 181: 홈
186: 접지홀 190: 와이어
192: 마감부 200: 힘 센서
100: force sensor 110: ground unit
112: flat panel module 114: insert module
115: spacer insertion hole 116: ground hole
120: substrate 122: hole
130: electrode part 130a: first electrode part
130b: second electrode part 131: side electrode part
132: upper electrode 140: dielectric
150: elastic layer 160: fixed part
170: first spacer 175: second spacer
180: base 181: groove
186: ground hole 190: wire
192: finish 200: force sensor

Claims (14)

평판 형태의 평판 모듈 및 상기 평판 모듈의 일측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그라운드부; 평판 형태의 기판으로, 상기 평판 모듈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이격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홀이 형성된 기판부; 및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의 적어도 일측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그라운드부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평판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기판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기판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에 대하여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는 탄성체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평판 모듈 상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고, 상기 삽입 모듈을 상기 홀에 삽입시키며 상기 기판부를 상기 제 1 스페이서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홀과 상기 삽입 모듈 사이에 제 2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성체 액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a ground part including a flat plate modul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from one side of the flat module; A flat-panel substrate, the substrat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at-panel module and having a circular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and an electrod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e and at the edge of the ho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part,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comprising an electrode part that receives power and forms a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ground part,
disposing a first spacer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uni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at panel module;
In order to form an elastic layer formed between the ground part and the substrate 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art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by an external force, an elastic body liquid is applied on the flat panel module, and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the substrate into the hole and seating the substrate on the first spacer;
disposing a second spacer between the hole and the insertion module; and
and curing the elastomeric liqu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 스페이서는 상기 평판 모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평판 모듈 상에 돌출 형성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in which the first spacer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spac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lat panel module to protrude on the flat panel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 삽입홀에 삽입되는 볼트인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wherein the first spacer is a bolt inserted into the spacer inser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페이서는 내주면이 상기 삽입 모듈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pacer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유전체 물질로 형성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wherein the elastic body is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에 베이스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base portion to the substrat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탄성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부 위에 탄성체 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n elastic body liquid on the substrate part so that an elast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and the bas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모듈의 단부에 상기 삽입 모듈의 반경 바깥으로 돌출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moving the second spac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rce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a fixing portion having a head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radius of the insertion module to the end of the insertion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그라운드부를 관통하는 접지홀에 접지를 위한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접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홀을 막는 마감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힘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serting a wire for grounding into a grounding hole passing through the base and the grounding part, and inserting and fixing a closing part blocking the ground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grounding hole and fixing the force sensor How to craft.
평판 형태의 단일의 평판 모듈 및 상기 평판 모듈의 일측면에 세 개 이상으로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 모듈을 포함하는 그라운드부;
평판 형태의 단일 기판으로, 상기 평판 모듈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 모듈이 각각 이격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원형의 홀이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와 상기 평판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부에 대하여 상기 그라운드부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탄성체층;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의 적어도 일측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비아홀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그라운드부와 함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
단일의 삽입 모듈 및 상기 삽입 모듈이 삽입되는 홀에 형성되는 전극이 형성하는 단위 센서 구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평판 모듈과 상기 전극 사이의 거리 변화 및 상기 삽입 모듈과 상기 전극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센서 구조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구하는 힘측정부; 및
상기 힘측정부에서 측정된 단위 센서 구조 각각의 수직 방향의 힘 또는 수평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그라운드부에 가해지는 다축 힘과 다축 토크를 구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힘 센서.
a ground unit including a single flat plate modul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n insertion modul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lat module in a cylindrical shape in three or more;
a single substrat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substrat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at plate modu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can be inserted spaced apart;
an elast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part and the flat panel module and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art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art changes;
an electro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le and at an edge of the ho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integ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via hole, and receiving power to form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together with the ground portion;
For each of the unit sensor structures formed by a single insertion module and an electrode formed in a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module is inserted, capaci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flat panel module and the electrode and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module and the electrode a force measuring unit for obtaining a vertical force or a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unit sensor structure by using a value; and
and a calculating unit for obtaining a multiaxial force and a multiaxial torque applied to the ground unit using a vertical force or a horizontal force of each of the unit sensor structures measured by the force measur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측면 및 상기 기판부 상면의 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극은 일체로 형성되는 힘 센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d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e and the hol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rce sens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리 형성되는 힘 센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de part is a force sensor that is formed separat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으로 등분되는 힘 센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ectrode part is a force sensor tha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삭제delete
KR1020190167206A 2019-12-13 2019-12-13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KR102291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06A KR102291610B1 (en) 2019-12-13 2019-12-13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06A KR102291610B1 (en) 2019-12-13 2019-12-13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01A KR20210076301A (en) 2021-06-24
KR102291610B1 true KR102291610B1 (en) 2021-08-23
KR102291610B9 KR102291610B9 (en) 2021-10-27

Family

ID=7660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206A KR102291610B1 (en) 2019-12-13 2019-12-13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6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10B1 (en) * 2011-09-22 2013-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ix-axis sensor measuring power and torque
KR101653914B1 (en) * 2015-03-11 2016-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orce sensor and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60B1 (en) 2013-05-29 2014-1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late type force/torqu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10B1 (en) * 2011-09-22 2013-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ix-axis sensor measuring power and torque
KR101653914B1 (en) * 2015-03-11 2016-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orce sensor and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610B9 (en) 2021-10-27
KR20210076301A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791B1 (en) Suspended membrane pressure sensing array
US10634695B2 (en) Force sensor
US9638594B2 (en) Displacement detection type six-axis force sensor
US9823141B2 (en) Sensing device
US9971930B2 (en) Test module for a fingerprint sensing device
JP2004301731A (en) Force sensing device
US10677672B2 (en) Displacement detection type force-detection structure and displacement detection type force sensor
JP6940037B2 (en) Force sensor device
US11740147B2 (en) Triaxial force sensor
JP2022105964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sensor
KR101653914B1 (en) Force sensor and multy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the same
KR102291610B1 (en) Forc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sensor
KR102212131B1 (en) Force sensor and multi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the same
US20190310142A1 (en) Capacitive sensor
KR10224079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dimensional motion information
KR101475487B1 (en) Film sensor for measuring three-axis force
Wang et al. Flexible tactile sensor array mounted on the curved surface: Analytical modeling and experimental validation
KR102107828B1 (en) Hand wear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996542B1 (en) Structural demage monitoring sensor with aligning function and aligning method thereof
KR20240154764A (en) Multi-axis Force Sensor
KR102041087B1 (en) A pressure measuring capacitor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230169520A (en) Self­powered sensor for sensing multi-axis based 3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H11248736A (en) Capacitance-type acceleration sensor and its manufacture
JPH085472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hree dimensional tactile sensor
US20170254680A1 (en) High density sens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