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78B1 -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Google Patents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6578B1 KR102186578B1 KR1020200034258A KR20200034258A KR102186578B1 KR 102186578 B1 KR102186578 B1 KR 102186578B1 KR 1020200034258 A KR1020200034258 A KR 1020200034258A KR 20200034258 A KR20200034258 A KR 20200034258A KR 102186578 B1 KR102186578 B1 KR 102186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ground wire
- connection terminal
- clamp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클램프의 전선측 클램프와 접지측 클램프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을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접지클램프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접지선에 결합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종래 접지선의 취약점인 접지선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접지크램프를 전선에 설치시 끼움이 어렵고 이탈되는 문제가 없어서 접지클램프를 철탑의 전선 및 변전소 구내의 전선에 설치시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게하는 효과와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만으로 직렬 연결된 접지클램프는 종래 처럼 별도의 절연조작봉 없이도 전선측 클램프를 전선에 직접 전선에 위치시킬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지클램프의 접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클램프의 전선측 클램프와 접지측 클램프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을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접지클램프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클램프는 발전소 구내, 송전선로, 변전소 구내에서 변전기기나 송전선로 등의 점검 및 고장 수리의 과정에서 안전한 휴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접지에 필요한 장치이다.
접지클램프는 작업자의 안전 확보 및 전력 설비의 보호 목적으로 설치되고, 전선측과 접지측의 전선을 연결하여 접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와 접지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다랗게 감긴 접지선을 포함하는 통상의 접지클램프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10)는 전선측 클램프(11)와 접지측 클램프(17)가 접지선(13)으로 연결되고, 전선측 클램프(11)와 접지측 클램프(17)의 삽입구(16, 18a)에 거치되는 각각의 전선(30)을 조임스크류(12, 19)에 의해 밀착부(23, 18)가 왕복 이동하여 전선(30)을 고정 및 분리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조작봉(20)의 연결고리(21)에 전선측 클램프(11)의 걸쇠구멍(14)을 걸어 삽입구(16, 18a)를 전선(30)으로 위치시키고, 조임스크류(12)의 수평고리(15)를 회전시키면, 전선측 클램프(11)의 밀착부(23)가 전진하면서 전선(30)을 조여 고정한다.
철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차량으로 작업장소의 근접 도로까지는 차량으로 이동하고 도로부터 송전철탑이 있는 경우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무거운 접지선(13)을 포함하는 접지클램프(10)을 들고 철탑까지 어깨에 메고 이동해야 하는데, 접지클램프(10)와 20m 정도의 접지선(13)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상당히 많은 무게로 인하여 접지클램프(10)을 신속하게 이동하지 못하며, 접지선(13)을 여러 명이 번갈아 가며 어깨에 메고 운반해야 하므로 접지클램프(10)와 철탑까지의 이동 거리가 길어질수록 접지클램프(10)의 운반이 힘들고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전에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의한 종래 기술에서 작업자(50)는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결합하고, 접지측 클램프(120)를 송전선로 또는 변전소 구내의 철탑(40)의 일부분에 결합하며,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를 연결하는 접지선(130)으로 이루어진 접지클램프(100)를 이용하여 전선측과 접지측을 접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철탑(40)에서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설치하는 경우에 철탑 본체와 전선(30)의 이격거리가 최소 10m 이상으로 상당한 거리가 있으므로 종래의 단일화된 재질의 플렉서블한 피복 절연 접지선으로 연결된 전선측 클램프(110)를 설치하려면 무거워서 휘어지고 처져서 최소 작업자 2명이 작업해야 하며, 전선에 가까이 근접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설치하는 도중에 전선측 클램프(110)가 전선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 이탈한 접지클램프(100)의 무게와 충격으로 작업자가 몸의 균형을 잃고 추락하는 사고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지클램프의 전선측 클램프와 접지측 클램프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을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접지클램프의 운반과 설치를 쉽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선에 결합되는 전선측 클램프와 철탑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접지측 클램프와 상기 전선측 클램프와 상기 접지측 클램프를 연결하는 접지선은,
양단에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피복 절연 접지선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을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의 사이를 번갈아 가면서 연속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선에 결합되는 전선측 클램프와 철탑 혹은 부스바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접지측 클램프와 상기 전선측 클램프와 상기 접지측 클램프를 연결하는 접지선에 있어서,
양단에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피복 절연 접지선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을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 또는 상기 스틱형 접지선을 각각 직렬로 연속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접지클램프의 전선측 클램프와 접지측 클램프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을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접지클램프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접지클램프를 철탑의 전선 및 변전소 구내의 전선에 설치시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만으로 연결 접속된 접지클램프의 경우는 종래 접지클램프처럼 별도의 절연조작봉을 이용하여 전선측 클램프를 전선에 거치시킬 필요 없이 직접 전선에 위치시킬 수 있는 편리한 효과도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와 접지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다랗게 감긴 접지선을 포함하는 통상의 접지클램프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에 운반용 손잡이부재를 연결한 단위길이의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을 연결한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클램프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을 구비한 접지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다랗게 감긴 접지선을 포함하는 통상의 접지클램프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클램프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에 운반용 손잡이부재를 연결한 단위길이의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을 연결한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클램프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을 구비한 접지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휴대와 운반이 용이한 접지선(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선(130)은 일정한 길이의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일정한 길이의 스틱형 접지선(150)을 번갈아 가면서 연속하여 연결한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의 연결은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1 내지 3m 정도의 단위 길이로 분할하여 형성된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이며, 구리선을 절연 재료(고무, 비닐, 합성플라스틱 등)로 피복하여 전기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이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의 양단에는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은 일측 끝단 부분(141)에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결합되고, 반대쪽의 타측 끝단 부분(142)에는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와 결합된다.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제1 접속단자몸체(161)와,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일단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결합되고,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돌출부(162)를 포함한다.
제1 접속단자몸체(161)은 내부에 일정한 길이의 삽입홈(163)이 형성되고, 돌출부(162)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1 상호결합용 너트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2 접속단자몸체(171)와,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양쪽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구멍(172)과 제2 삽입구멍(173)이 일정한 깊이로 각각 형성된다.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2 상호결합용 너트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의 일측 끝단 부분(141)은 피복이 없는 외부로 노출된 구리선으로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삽입홈(163)에 끼워서 결합한 후,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기구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한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의 타측 끝단 부분(142)은 피복이 없는 외부로 노출된 구리선으로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제1 삽입구멍(172)에 끼워서 결합한 후,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기구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접지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틱형 접지선(15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1 내지 3m 정도의 단위 길이로 분할하여 형성된다.
스틱형 접지선(150)은 피복 절연 접지선(1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경질의 합성수지를 감싸서 피복 절연 접지선(140)보다 유연성이 떨어지는 재질이며, 구리선을 절연 재료(고무, 비닐, 합성플라스틱 등)로 피복하여 전기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이다. 스틱형 접지선(150)의 양단에는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다.
스틱형 접지선(150)은 일측 끝단 부분(151)에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결합되고, 반대쪽의 타측 끝단 부분(152)에는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와 결합된다.
스틱형 접지선(150)의 일측 끝단 부분(151)은 피복이 없는 외부로 노출된 구리선으로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삽입홈(163)에 끼워서 결합한 후,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전선압축기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한다.
스틱형 접지선(150)의 타측 끝단 부분(152)은 피복이 없는 외부로 노출된 구리선으로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제1 삽입구멍(172)에 끼워서 결합한 후,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전선압축기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에 운반용 손잡이부재를 연결한 단위길이의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의 중간 부위에는 운반용 손잡이부재(185)를 각각 하나 이상의 결속용 금속밴드(19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로써, 단위길이의 피복 절연 접지선(140) 및 스틱형 접지선(150)이 완성된다.
결속용 금속밴드(190)는 플렉서블한 금속 또는 합성프라스틱 재질로 끈 형상의 밴드본체(191)와, 밴드본체(191)에 일정 간격을 두고 걸림홈(미도시)을 복수개 형성하고, 밴드본체(191)의 일측에 형성된 걸쇠(미도시)를 특정 위치의 걸림홈에 끼운 후, 체결부재(미도시)를 너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조여서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복 절연 접지선과 스틱형 접지선을 연결한 접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선(130)은 일정한 길이의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일정한 길이의 스틱형 접지선(150)을 번갈아 가면서 교번하여 연결하는데,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의 사이에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를 이용하여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를 결합한다.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는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돌출부(162)를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제2 삽입구멍(173)으로 끼워서 결합하고, 제1 접속단자몸체(161)의 제1 상호결합용 너트홈(164)과,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제2 상호결합용 너트홈(174)을 일치시킨다. 이어서, 볼트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가 결합된 부위에는 나비볼트부재(180)를 각각 결합시켜 견고하게 고정한다.
나비볼트부재(180)는 제2 접속단자몸체(171)의 주위를 둘러싸는 반원지지브래킷(182)과, 반원지지브래킷(182)의 상부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하는 조임볼트(181)와, 반원지지브래킷(182)의 하부면에 고정된 너트(183)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나비볼트부재(180)는 조임볼트(181)를 회전시켜 조임볼트(181)의 하부 끝단이 제2 접속단자몸체(171)에 접촉하여 가압시켜 나비볼트부재(180)를 제2 접속단자몸체(171)에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200)는 암수 구조로 상호 끼움 체결되어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이다.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200)는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 대신에 수연결구(210)와 암연결구(220)를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스틱형 접지선(150)에 각각 결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수연결구(210)는 피복 절연 접지선(140)의 일측 끝단에 결합하고, 암연결구(220)는 스틱형 접지선(150)의 일측 끝단에 결합하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수연결구(210)는 원통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연결구 몸체(211)와, 수연결구 몸체(211)의 일측 끝단 부위에 제1 플랜지부(212)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부(212)의 외주면에 복수의 제1 나사산(213)이 형성되며, 수연결구 몸체(211)의 중간에 수연결구 몸체(2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끼움 체결부(214)를 형성한다.
암연결구(220)는 원통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암연결구 몸체(221)와, 암연결구 몸체(221)의 내부가 관통되어 수연결구(210)의 제1 나사산(213)의 일측 끝단이 끼움 삽입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암연결구 몸체(221)의 일측 끝단 부분에 제2 플랜지부(222)를 형성하며, 제2 플랜지부(22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2 나사산(223)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2 플랜지부(222)의 직경은 끼움 체결부(21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끼움 체결부(21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끼움 체결부(214)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222)의 제2 나사산이 나사홈에 맞물려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클램프(100)를 작업자가 전선과 철탑 사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50)가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결합하고, 접지측 클램프(120)를 송전선로 또는 변전소 구내의 철탑(40)의 일부분에 결합하며,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를 연결하는 접지선(130)의 일정 단위길이의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일정 단위길이의 스틱형 접지선(150)으로 이루어진 접지클램프(100)를 이용하여 전선측과 접지측을 접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지클램프(100)는 철탑(40)에서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설치시에 철탑 본체와 전선(30)의 이격거리가 최소 10m 이상으로 상당한 거리가 있더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클램프(100)는 접지선(130)을 스틱형 접지선(150)과 피복 절연 접지선(140)으로 1내지 3미터 정도의 일정 길이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특별히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실시예처럼 접지클램프(100)의 전선측 클램프(110)를 철탑 본체에서 전선(30)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수량 만큼의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60)와 반대쪽의 타측 끝단 부분(142)의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170)를 갖는 스틱형 접지선(150)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접지선이 하나의 긴 스틱 형상처럼 되어 흔들리거나 처짐이 없는 기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길게 한 줄로 이루어지고 무거우며 플렉서블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피복 절연 접지선과 결합된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설치하려면 반드시 필요하였던 절연 조작봉 없이도 직접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틱형 접지선(150)들이 연속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은 작업자 1명에 의해서도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에 쉽고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그 설치도 한 번에 가능하게 됨으로써 접지시공 작업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선측 클램프(11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연속하여 스틱형 접지선(150)과 피복 절연 접지선(140)이 상호 번갈아 가면서 결합된 접지선과 접지측 클램프(120)를 연결한 다음 철탑(40)의 플레이트(41)에 접지측 클램프(120)를 클램핑하게 됨으로써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접지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측 클램프(1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접지측 클램프(120)를 결합하기 위한 접지선은 현장의 필요에 의해서 스틱형 접지선(150)과 피복 절연 접지선(140)을 상호 번갈아 가면서 연속하여 결합하지 않고 스틱형 접지선(150) 혹은 피복 절연 접지선(140) 각각에 있어서 동종의 접지선만 선택하여 연속적으로 직렬 배열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지선(130)을 구비한 접지클램프(100)에 관한 도면으로, 특히 접지선(130)양단에 상호 결합될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접지클램프(100)는 동일한 형상의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는 단위길이의 피복 절연 접지선(140)과 단위길이의 스틱형 접지선(150) 및 연결용 접속단자(160, 170, 200)에 의해 각 실시예별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접지선(130)들의 양단부 각각에 상호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접지클램프(100)의 전선측 클램프(110)는 전선(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치로 제1 고정클램프(111) 및 제1 조임클램프(115)를 포함한다
제1 고정클램프(111)는 상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는 상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 중심부에 제1 전선거치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거치부(112)의 중심에 일정한 깊이의 제1 부스바거치홈(112a)이 형성된다.
제1 전선거치부(112)는 전선(30)에 접촉되는 영역으로 전선(30)의 일부분이 거치되도록 반원형의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하부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 전선거치부(112)를 기준으로 우측 끝단 중앙에 제1 슬라이드바(113)를 하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제1 전선거치부(112)를 기준으로 좌측부에 오목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요철부(114)를 형성한다.
좌측 하부면에 제1 요철부(114)가 형성된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반대편 끝단에는 원통형의 제1 접지선 고정고리(111c)가 연접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접지선(131)이 삽입되게 한다.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접지선 고정고리(111c)가 연접된 구성의 하부면에는 제1 슬라이드바(113)의 근처에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1 클램프지지대(111b)를 형성한다.
이때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접지선 고정고리(111c)가 연접된 구성,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바(113) 및 제1 슬라이드바(113)와 인접한 제1 클램프지지대(111b)가 형성한 상측의 폐쇄 공간부는 현장의 필요에 따라서 절연조작봉(20)을 이용 전선측 클램프(110)를 전선(30) 혹은 철탑(40)에 거치시에 활용될 수도 있다.
제1 조임클램프(115)는 상하 평판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는 상부면 중간부에 제2 전선거치부(116)가 형성되고, 제2 전선거치부(116)의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부스바를 거치하는 제2 부스바거치홈(11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2 부스바거치홈(116a)은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제1 부스바거치홈(112a)과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2 부스바거치홈(116a)의 우측의 제2 전선거치부(116)는 상부면 일측에 오목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요철부(116b)를 형성한다.
제1 요철부(114)와 제2 요철부(116b)는 제1 고정클램프(111)와 제1 조임클램프(115)가 근접하여 전선(30)의 이탈의 방지는 물론 철탑(40)의 플레이트(41)에 조임하는 경우에도, 철탑(40)의 플레이트(4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조임클램프(115)는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2 전선거치부(116)의 우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연장부(116c)가 형성되고, 제1 연장부(116c)의 끝단에는 제1 조임클램프(115)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제1 슬라이드바(113)가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제1 슬라이드홀(116d)를 구성한다.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2 전선거치부(116)의 좌측으로 수평연장 된 끝단 부분에는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90도로 절곡하여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높이의 제1 이탈방지바(117)를 형성한다. 제1 이탈방지바(117)의 높이는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가 근접하여 전선(30)에 접촉하는 경우,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 이탈방지바(117)가 없는 종래의 전선측 클램프(13, 16)의 경우에, 접지하고자 하는 전선(30)을 측하방에서 클램프 안으로 삽입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전선측 클램프(110)의 경우에는 일정 높이의 제1 이탈방지바(117)를 이용하여 접지하고자 하는 전선(30)을 측하방에서 전선을 받쳐서 거치하게 되면,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이격된 사이로 전선(30)을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제1 전선거치부(112)와 제2 전선거치부(116) 측으로 거치하기가 쉽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30)에 전선측 클램프(110)를 거치시 쉽고 확실하게 전선(30)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사이에 장착된 전선(3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이 수행된다.
제1 부스바거치홈(112a)과 제2 부스바거치홈(116a)은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와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사이에 원형의 전선(30)이 아니라 부스바(미도시)와 같이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의 구조물이 삽입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막대 형상의 구조물은 일측이 제1 고정클램프몸체(111a)의 제1 부스바거치홈(112a)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2 부스바거치홈(116a)에 삽입된다.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는 하부면 일측에 길이 방향의 제1 스크류부재(118)를 결합하고, 제1 스크류부재(118)의 일측 끝단에는 제1 클램프 조임고리(118a)를 결합한다.
제1 스크류부재(118)는 작업자(50)가 제1 클램프 조임고리(118a)를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스크류부재(118)는 나사 형상으로 관통된 제1 너트부재(118b)에 결합되어 있다.
제1 너트부재(118b)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1 접지선 결합뭉치(119)에 결합된다.
제1 접지선 결합뭉치(119)는 상부면에 제1 슬라이드바(113)와 제1 클램프지지대(111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 접지선 결합뭉치(119)는 일측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접지선 고정부재(119a)가 하나 이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접지선(13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접지선(130)은 제1 접지선 고정부재(119a)에 관통하여 제1 접지선 고정고리(111c)에 의하여 제1 고정클램프(111)와 결합한다.
제1 스크류부재(118)는 작업자(50)가 제1 클램프 조임고리(118a)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너트부재(118b)를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조임클램프몸체(115a)의 제1 연장부(116c)의 제1 슬라이드홀(116d)을 관통하는 제1 슬라이드바(11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작업자(50)가 제1 전선거치부(112)에 의해서 전선(30)에 전선측 클램프(110)를 거치한 후, 제1 클램프 조임고리(118a)를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스크류부재(118)는 제1 너트부재(118b)를 기준으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제1 조임클램프(115)가 제1 슬라이드바(113)를 따라 상승하면서, 제2 전선거치부(112)에 전선(30)이 밀착되며, 전선(30)이 전선측 클램프(110)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전선(30)의 접지가 완성된다.
이때, 전선측 클램프(110)는 현장의 필요에 의해서 전선(30)대신 철탑(40)의 플레이트(41)를 클램핑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지선(130)의 또 다른 일단부에 연결된 접지측 클램프(120)는 주로 철탑(40)의 플레이트(4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치로 제2 고정클램프(121) 및 제2 조임클램프(125)를 포함한다.
제2 고정클램프(121)는 상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는 하부면 중간부에 제3 전선거치부(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전선거치부(122)의 중심에 일정한 깊이의 부스바를 거치 및 고정하는 제3 부스바거치홈(122a)이 형성된다.
제3 전선거치부(122)는 전선(30)에 접촉되는 영역으로 전선(30)의 일부분이 거치되도록 제3 부스바거치홈(122a)의 좌, 우로 분할된 반원형의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의 하부면에는 제3 전선거치부(122)을 기준으로 우측 끝단 중앙에 슬라이드바(123)를 하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제3 전선거치부(122)를 기준으로 좌측부에 오목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요철부(124)를 형성한다.
좌측 하부면에 제3 요철부(124)가 형성된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의 반대편 끝단에는 원통형의 제2 접지선 고정고리(121c)가 연접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접지선(132)이 삽입되게 한다.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와 제2 접지선 고정고리(121c)가 연접된 구성의 하부면에는 제2 슬라이드바(123)의 근처에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2 클램프지지대(121b)를 형성한다
제2 조임클램프(125)는 평판 형태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는 상부면 중간부에 제4 전선거치부(126)를 형성하고, 제4 전선거치부(126)의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부스바를 거치하는 제4 부스바거치홈(126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제4 부스바거치홈(126a)은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의 제3 부스바거치홈(122a)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제4 부스바거치홈(126a)의 우측의 제4 전선거치부(126)는 상부면 일측에 오목 볼록하게 형성된 제4 요철부(126b)를 형성한다.
제3 요철부(124)와 제4 요철부(126b)는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와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가 근접하여 송전철탑(40)에 조임하는 경우, 철탑(40)의 플레이트(4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조임클램프(125)는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제4 전선거치부(126)의 우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제2 연장부(126c)가 형성되고, 제2 연장부(126c)의 끝단에는 제2 조임클램프(125)의 상,하 이동을 위한 제2 슬라이드바(123)가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제2 슬라이드홀(126d)를 구성한다.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좌측으로 수평연장 된 끝단 부분에는 절곡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90도로 절곡하여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높이의 철탑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바(127)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이탈방지바(127)의 높이는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와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가 근접하여 철탑(40)의 플레이트(41)를 조임하여 접지하는 경우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2 이탈방지바(127)는 제2 고정클램프몸체(121a)와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조임이 풀리는 경우에도 플레이트에서 접지측 클램프(12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벽한 접지가 이루어지게 하여 접지불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는 하부면 일측에 길이 방향의 제2 스크류부재(128)를 결합하고, 제2 스크류부재(128)의 일측 끝단에는 제2 클램프 조임고리(128a)를 결합한다.
제2 스크류부재(128)는 작업자(50)가 제2 클램프 조임고리(128a)를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임클램프(125a)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제2 스크류부재(128)는 나사 형상으로 관통된 제2 너트부재(128b)에 결합되어 있다.
제2 너트부재(128b)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2 접지선 결합뭉치(129)에 결합된다.
제2 접지선 결합뭉치(129)는 상부면에 제2 슬라이드바(123)와 제2 클램프지지대(121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2 접지선 결합뭉치(129)는 일측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접지선 고정부재(129a)가 하나 이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접지선(13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접지선(130)은 제2 접지선 고정부재(129a)에 관통하여 제2 접지선 고정고리(121c)에 의해서 제2 고정클램프(121)와 결합한다.
제2 스크류부재(128)는 작업자(50)가 제2 클램프 조임고리(128a)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너트부재(128b)를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조임클램프몸체(125a)의 제2 연장부(126c)가 제2 슬라이드바(12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상의 접지측 클램프(110)는 철탑 혹은 부스바를 클랭핑함에 대해서 주로 설명되었으나, 현장의 필요에 의해서 전선(30)을 클램핑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지선(130)은 상기에서 언급된 전선측 클램프(110)와 접지측 클램프(120) 대신 통상의 전선측 클램프와 접지측 클램프를 양단부 각각에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접지클램프 110: 전선측 클램프
111: 제1 고정클램프 115: 제1 조임클램프
117: 제1 이탈방지바 120: 접지측 클램프
121: 제2 고정클램프 125: 제2 조임클램프
127: 제2 이탈방지바 130: 접지선
140: 피복 절연 접지선 150: 스틱형 접지선
160: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 170: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
180: 나비볼트부재 190: 결속용 금속밴드
111: 제1 고정클램프 115: 제1 조임클램프
117: 제1 이탈방지바 120: 접지측 클램프
121: 제2 고정클램프 125: 제2 조임클램프
127: 제2 이탈방지바 130: 접지선
140: 피복 절연 접지선 150: 스틱형 접지선
160: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 170: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
180: 나비볼트부재 190: 결속용 금속밴드
Claims (6)
- 전선에 결합되는 전선측 클램프와 철탑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접지측 클램프와 상기 전선측 클램프와 상기 접지측 클램프를 연결하는 접지선에 있어서,
양단에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피복 절연 접지선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을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의 사이를 번갈아 가면서 교번하여 연결하며,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의 사이에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가 결합된 부위에는 나비볼트부재를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에는 운반용 손잡이부재를 각각 하나 이상의 결속용 금속밴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전선에 결합되는 전선측 클램프와 철탑 혹은 부스바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접지측 클램프와 상기 전선측 클램프와 상기 접지측 클램프를 연결하는 접지선에 있어서,
양단에 절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벗겨내어 구리선이 외부로 노출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피복 절연 접지선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틱형 접지선을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 또는 상기 스틱형 접지선을 각각 직렬로 연속해서 연결하며,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에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와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가 결합된 부위에는 나비볼트부재를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과 상기 스틱형 접지선에는 운반용 손잡이부재를 각각 하나 이상의 결속용 금속밴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는 원통 형상의 제1 접속단자몸체와, 상기 제1 접속단자몸체의 일단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돌출부와, 상기 제1 접속단자몸체의 내부에 일정한 길이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B 타입 접지선 연결용 접속단자는 원통 형상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2 접속단자몸체와, 상기 제2 접속단자몸체의 양쪽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구멍과 제2 삽입구멍이 일정한 깊이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은 일측 끝단 부분을 상기 제1 접속단자몸체의 삽입홈에 끼워서 결합한 후,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기구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하고,
상기 스틱형 접지선은 타측 끝단 부분을 상기 제2 접속단자몸체의 제1 삽입구멍에 끼워서 결합한 후, 상기 전선 압축기를 이용하여 기구에 의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접속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몸체의 돌출부를 상기 제2 접속단자몸체의 제2 삽입구멍으로 끼워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은 구리선을 절연 재료로 피복한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스틱형 접지선은 상기 피복 절연 접지선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경질의 합성수지를 감싸서 피복 절연 접지선보다 유연성이 떨어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258A KR102186578B1 (ko) | 2020-03-20 | 2020-03-20 |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258A KR102186578B1 (ko) | 2020-03-20 | 2020-03-20 |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6578B1 true KR102186578B1 (ko) | 2020-12-03 |
Family
ID=7377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258A KR102186578B1 (ko) | 2020-03-20 | 2020-03-20 |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65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98110A (zh) * | 2022-01-23 | 2022-05-13 |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吐鲁番供电公司 | 10千伏及以下配电网的地面安装接地线装置 |
CN115275736A (zh) * | 2022-08-29 | 2022-11-01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来宾供电局 | 一种扭矩限位可报警电动接地线工具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363Y1 (ko) | 2003-06-17 | 2003-09-02 | 한국전력공사 | 접지금구의 조임스크류 회동 장치 |
KR20120004240U (ko) * | 2010-12-06 | 2012-06-14 | 박종수 |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
KR20120004286U (ko) | 2010-12-07 | 2012-06-15 | 서울메트로 | 전차선의 접지 및 급전경보장치를 구비하는 클램프 |
-
2020
- 2020-03-20 KR KR1020200034258A patent/KR102186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363Y1 (ko) | 2003-06-17 | 2003-09-02 | 한국전력공사 | 접지금구의 조임스크류 회동 장치 |
KR20120004240U (ko) * | 2010-12-06 | 2012-06-14 | 박종수 |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
KR20120004286U (ko) | 2010-12-07 | 2012-06-15 | 서울메트로 | 전차선의 접지 및 급전경보장치를 구비하는 클램프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98110A (zh) * | 2022-01-23 | 2022-05-13 |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吐鲁番供电公司 | 10千伏及以下配电网的地面安装接地线装置 |
CN114498110B (zh) * | 2022-01-23 | 2023-10-20 |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吐鲁番供电公司 | 10千伏及以下配电网的地面安装接地线装置 |
CN115275736A (zh) * | 2022-08-29 | 2022-11-01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来宾供电局 | 一种扭矩限位可报警电动接地线工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4354B2 (en) | Submersible electrical set-screw connector | |
EP2585748B1 (en) | Cable retention device | |
US8277263B1 (en) |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 |
KR102186578B1 (ko) |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 |
US4776808A (en) | Ground contactor | |
CN103022749B (zh) | 一种带有绝缘护套的电缆线连接线夹 | |
KR101936760B1 (ko) |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 |
WO2015036060A1 (en) |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 of cables | |
CN109038434B (zh) |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 |
US4205888A (en) | Ground connector for interlocked armor electrical cable | |
US10297944B2 (en) | Single pole connector | |
US8299362B2 (en) |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 |
US3431349A (en) | Cable terminal enclosure with grounding cross bar | |
CN211700626U (zh) | 一种母线接地预装置 | |
EP3736913B1 (en) | Low voltage power conductor and system | |
CN208955523U (zh) | 10kv一体化变台成套设备 | |
CN103956704B (zh) | 避雷器、绝缘横担组合 | |
JP2007215362A (ja) | 架空ケーブル導体接続部の固定工法 | |
KR101557468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
JP5020108B2 (ja) | 耐張クランプ用分岐アダプタ | |
RU2284619C1 (ru) | Зажим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гасителя вибрации | |
KR200421637Y1 (ko) | 원형 밴드 케이블 | |
CN215680994U (zh) | 一种全浇注接地排 | |
KR102405678B1 (ko) | 지상기기 특고압붓싱 조임볼트용 절연토크 멀티 조절장치 | |
RU214680U1 (ru) | Прокалывающий зажим для проводов в изоляци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