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9056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056B1
KR102179056B1 KR1020130085414A KR20130085414A KR102179056B1 KR 102179056 B1 KR102179056 B1 KR 102179056B1 KR 1020130085414 A KR1020130085414 A KR 1020130085414A KR 20130085414 A KR20130085414 A KR 20130085414A KR 102179056 B1 KR102179056 B1 KR 10217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413A (ko
Inventor
권윤미
정혜미
권아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56B1/ko
Priority to EP20130195708 priority patent/EP2827219A3/en
Priority to US14/101,024 priority patent/US9965166B2/en
Priority to CN201410028247.4A priority patent/CN104298450B/zh
Publication of KR2015001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력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p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을 단말기 또는 단말기 주변에 대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주변을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현재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제1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탭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제어 가능한 설정 정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정보 중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표시되는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화면정보는 잠금 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탭이 가해지면, 시간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탭이 가해지면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탭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횟수만큼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정 값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설정 값은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출력 또는 입력되는 정보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마이크,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소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상기 마이크가 배치된 주변에서 가해지면, 상기 마이크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탭이 상기 스피커가 배치된 주변에서 가해지면, 상기 스피커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가해지는 강도에 따라 변경되는 설정 값의 변경 정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입력 또는 출력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된 경우, 상기 카메라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플래시가 배치된 경우, 상기 플래시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마주보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를 음성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질 때 마다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 및 상기 본체가 놓여진 물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체를 두드리는 탭이 감지되면,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거나, 디스프레이부의 활성화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물체를 두드리는 탭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tap)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후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탭이 상기 제1 탭이 감지되고 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가해진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를 두드리는 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복수번의 터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탭을 다양한 위치에 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도 4f, 도 4g, 도 4h 및 도 5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탭에 대응하여, 현재 실행중인 기능과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 도 8f 및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가 두드려지는 위치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도 9b, 도 10,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두드려지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p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p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0)(이하, '바디'라 한다)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단을 구비한다.
바디(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이하, '프론트 케이스'라 한다, 101)과 후면(이하, '리어 케이스'라 한다, 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1)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이크(122)는 바디(1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 리어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가(121')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음향 출력부(2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이러한 본체가 놓여진 물체를 두드리는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현재 실행되고 있지 않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가능한 또는 구동 가능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별도의 조작(예를 들어, 터치입력 등)을 가하지 않더라도,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이러한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체를 두드리는 탭 제스처에 근거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10).
여기에서,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는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상기 탭 제스처가 가해지는 물체는, 이동 단말기 본체 및 이동 단말기가 놓여진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기준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탭"이 센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대상체에 의하여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을 터치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번의 탭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른 기능(예를 들어, 상기 터치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에 의해,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이 가해진 경우에 한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탭'가 센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탭 제스처들은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 제스처가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실질적으로 복수번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탭이,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센싱되는 것에서 나아가, 상기 탭이 "소정의 영역" 내에서 가하진 경우에 한하여, "탭"들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탭은 기준시간 내에 소정의 영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번의 두드림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기준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ms 내지 2s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탭 제스처들이 가해진 지점이 동일하거나, 동일한 지점으로 볼 수 있는 좁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140)에 위해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감지부(140)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다음번 두드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부(140) 또는 제어부(180)는 탭이 센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준시간 및 소정의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탭은 감지부(14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단말기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는 탭 제스처에 의해 발생하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또는 진동)을 감지하여,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거나, 단말기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을 만큼 단말기 본체와 가깝게 위치하는 물체가 탭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는 단말기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탭이 단말기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잠금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류 또는 전력이 소모되는 특정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모드는 '도즈 모드(또는 Doze mode)'라고 명명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이 오프(off)된 상태 또는 도즈 모드에서, 터치 센서를 통해 단말기 본체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는 터치를 감지하거나, 가속도 센서를 통해,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본체 주변 물체가 탭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를 통해 탭을 감지하는 경우, 탭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감지되면,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320). 즉,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 본체 또는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 물체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하나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또는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벤트를 수신하는 기능일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되는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 콜 수신 이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이동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조명을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를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통신망을 설정하는 기능, 이동 단말기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이동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대한 두드림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탭이 가해진 횟수, 위치, 속도, 강도, 패턴 및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탭이 "3"번 가해진 경우에만,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본체 또는 물체를 제1 기준 횟수 만큼 또는 상기 제1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상기 본체 또는 물체를 제2 기준 횟수 만큼 또는 상기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단말기를 레디(ready) 상태(또는 활성화 상태)로 준비시키고, 제2 탭에 가해지는 경우, 이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탭을 먼저 가함으로써, 탭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는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1 탭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감지하고, 상기 제2 탭은 터치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도즈 모드에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단말기를 레디 상태로 준비시키고, 그 후에 가해지는 제2 탭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유효한 탭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하는지, 또는 실수로 탭이 가해진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상기 제2 기준 횟수의 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횟수는 3회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 횟수는 2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기준 횟수 및 제2 기준 횟수는 모두 제2회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현재 구동되고 있는 기능, 또는 현재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탭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제어 가능한 설정 정보에 대한 가이드 정보(또는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본체 또는 본체를 벗어난 지점(또는 본체가 놓여진 물체)에 대한 탭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기능은,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거나, 탭의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상기 탭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의 상태, 즉, 현재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기능,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정보의 종류, 현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의 온/오프 상태, 이동 단말기의 잠금/해제 상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일한 탭이 감지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음성인식기능"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가 잠금화면인 경우,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홈 스크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본체를 벗어난 지점(또는 본체가 놓여진 물체)에 대한 탭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기능은, 현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동중인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탭의 속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위치, 탭이 가해진 위치에 배치된 구성요소(마이크, 스피커 등), 탭의 세기, 탭의 속도, 탭의 면적, 탭의 패턴 등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가 두드려져는지, 또는 물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또는 오프(off) 상태)에서, 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도 4f, 도 4g, 도 4h 및 도 5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또는 오프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두드려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탭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을 온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 였다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잠금화면(lock screen)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됨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는 다양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가 두드려지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화면(lock screen) 상에 시간정보가 표시되는 영역(410, 이러한 영역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탭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을 온 시키고,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간정보에 특화된 화면정보(401)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화면정보는, 현재 시간정보, 세계 시간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시간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정보(401)가 출력된 상태서 이동 단말기는 잠금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등을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도 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Home) 버튼(미도시됨)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420)에 탭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바로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도 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 상태를 해제상태로 바로 전환하고, 홈 스크린 페이지(402)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반드시 홈 스크린 페이지(402)가 아니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잠금상태가 실행되기 전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홈(Home) 버튼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에 관계없이, 상기 홈(Home)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또는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홈(Home) 버튼이 눌러지거나, 터치되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홈(Home) 버튼이 놀러지더라도,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홈 버튼은, 하드웨어적인 키(key)로 구현되거나, 버츄얼 키(virtual key)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홈 버튼이 배치된 위치가 탭 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의 키(예를 들어, 볼륨 키, 전원키 등)가 배치된 영역이 탭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의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4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기능(예를 들어, 메모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던 중, 소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 상에 제어명령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도 4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꺼질 수 있다(이러한 경우를, 'Time out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이 오프 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본체(100) 또는 물체가 탭되면, 도 4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이 오프되기 전 출력되고 있었던 화면정보를 다시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4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 예를 들어, 메모 기능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였다면, 탭에 의하여 상기 화면정보가 다시 출력된 경우, 도 4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임의의 기능(예를 들어, 문자 입력 기능)을 동일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이러한 경우를, 잠금상태인 경우라고도 볼 수 있음) 이동 단말기 상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감지되는 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에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또는 볼륨(volume))을 조절하거나, 재생되는 음악을 다른 음악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음악 재생기능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임의의 일 영역(430) 중 상단부가 탭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볼륨(또는 음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d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임의의 일 영역(430) 중 하단부가 탭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볼륨을 하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4e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4d의 (a)에서 살펴본 일 영역(430)과 적어도 일부가 다른 다른 일 영역(450) 중 우측이 탭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다음에 재생될 음악을 바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e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4d의 (a)에서 살펴본 일 영역(430)과 적어도 일부가 다른 다른 일 영역(450) 중 좌측이 탭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재생되기 전에 재생되었던 음악을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가해진 탭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위치는, 사용자가 통상적,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탭이 감지되면, 제2 탭이 가해짐에 따라 제어될 기능에 대한 가이드 정보(또는 안내정보, 510)를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제2 탭이 가해질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고, 제2 탭에 따라 제어될 기능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을 계속하여 비활성화 시키면서, 상기 음악 재생기능만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감지된 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4f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탭이 가해지면, 도 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에 대응하여, 해당 음성 명령어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음성 명령어(예를 들어, "열려라 참깨")가 인식되면, 제어부(180)는 도 4f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을 온(on)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음성인식 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알림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일부만 활성화시켜, 상기 알림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속성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가해지는 탭에 미리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제1 특성을 갖는 탭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갖는 탭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기능의 수행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특정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성을 갖는 탭이 잠금상태에서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1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제상태에서 상기 제1 특성을 갖는 탭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특성을 갖는 탭은 소정면적 이상에 대한 탭일 수 있으며, 도 4g의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소정면적 이상의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특성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특성에 매칭된 기능은,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소정면적 이상의 탭이 감지됨에 대응하여, 상황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수신정보, 현재 시간정보, 날씨정보,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배터리, 통신상태, 위치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소정면적 이상에 가해지는 탭이 감지되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조명이 오프 상태인 조건, 또는,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인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제1 특성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4h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특성과 다른 제2 특성을 갖는 탭(예를 들어, 서로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가해지는 탭)이 감지되면, 상기 제2 특성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특성을 갖는 탭이 서로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가해지는 탭인 경우, 제어부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 또는 비주얼 키보드(visual keyboard))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가해지는 탭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서, 이러한 동작에 대응되는 탭이 감지되는 경우, 키보드를 출력시킴으로써,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를 두드리는 것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3과 함께 살펴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탭에 대응하여, 현재 실행중인 기능과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 또는 상기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러한 탭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재생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좌측 영역(610a)이 탭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재생되기 전에 재생되었던 음악을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제어되는 기능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또는 그래픽 객체, 601)를 다른 아이콘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콘(601)은 하이라이팅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601)은 깜빡임 처리, 강조 처리, 색변경 처리 등의 시각적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도한, 제어부(180)는 도 6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재생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상단 영역(610b)이 탭되는 경우, 볼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제어되는 기능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또는 그래픽 객체, 602)를 다른 아이콘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콘(602)은 하이라이팅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602)은 깜빡임 처리, 강조 처리, 색변경 처리 등의 시각적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어되는 볼륨의 정도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륨 조절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 603)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볼륨 조절 프로그레스바(603)는 현재 설정된 볼륨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상기 탭에 대응하여, 설정된 볼륨이 변경됨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탭에 종속하여 볼륨 조절 프로그레스바(603)의 시각적 외관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이 탭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음악 다음에 재생될 음악을 바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영역이 탭되는 경우, 볼륨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가해진 탭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위치는, 사용자가 통상적,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는, 탭의 세기(또는 강도에)에 따라 제어되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볼륨 조절을 위한 탭이 감지된 경우, 탭의 세기에 따라 볼륨이 조절되는 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180)는 '1' 세기의 탭이 감지된 경우, '1' 단계 볼륨을 상승시키고, '1' 세기보다 큰 '3' 세기의 탭이 감지된 경우, '3' 단계 볼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6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일 영역(600)에 대하여 제1 탭이 감지되면, 제2 탭이 가해짐에 따라 제어될 기능에 대한 가이드 정보(또는 안내정보, 620)를 도 6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제2 탭이 가해질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고, 제2 탭에 따라 제어될 기능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 또는 상기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또 다른 예를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수신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콜(call)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어, 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탭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콜을 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탭에 대응하여 '콜 수신 거부'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지는 면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에 대하여 탭이 가해진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거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면적 미만에 대한 탭이 가해진 경우,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탭이 가해진 위치, 세기에 따라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주변 물체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상기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위치가 두드려지는 경우, 해당 위치와 관련된 기능이 제어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방법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 도 8f 및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가 두드려지는 위치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 본체(100)의 리어 케이스(102)가 두드려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리어 케이스(102)가 두드려 지는 것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경우, "음성"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성을 통해, 현재 이동 단말기의 상황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수신정보, 현재 시간정보, 날씨정보,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배터리, 통신상태, 위치 등))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a에와 같이, 상황정보 출력이 완료된 후에, 음성 인식 기능을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정보의 출력 또는 음성인식기능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상에 탭이 다시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기능이 실행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음성인식기능은 종료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8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121) 또는 카메라(121)가 배치된 영역 주변이 탭되는 것에 대응하여, 도 8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잠금상태인 경우라도, 카메라 기능 화면(801)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8d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래쉬(123) 또는 플래쉬(123)가 배치된 영역 주변이 탭되는 것에 대응하여, 도 8d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래쉬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8e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이크(122) 또는 마이크(122)가 배치된 영역 주변이 탭되는 것에 대응하여, 도 8e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이크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거나, 상대방 단말기에 전달되는 소리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f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기 설정된 영역(820)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진 경우,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본체의 기 설정된 영역(820)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지는 경우, 도 8f위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질 때 마다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기 설정된 면적 이상 두드리는 탭에 대응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두드려지는 경우, 해당 특정상황에 맞는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방법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a, 도 9b, 도 10,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수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두드려지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탭의 대상체의 속성 또는 탭의 속성에 따라 해당 속성에 기 매칭된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탭되면, 제어부(180)는 도 9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출력되는 음악 및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것일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탭의 세기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음악 및 영상의 종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의 강도가 매우 센 경우에는, 잔잔한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9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인식이 불가능한 탭 대상체에 의해, 단말기 본체(10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탭되는 경우, 도 9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상태를 바로 해제하거나, 도 9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성인식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인식이 불가능한 탭 대상체는,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펜(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단말기 본체(100, 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탭되는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 기능(또는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 본체(100)가 아닌 주변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지는 경우, 알림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모르는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주변 물체가 탭되는 경우 알림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림정보는, 시각적, 촉각적(예를 들어, 진동)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물체에 대한 탭이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상 또는 이내에서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이 온(on) 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본체(100)가 아닌 주변 물체(1220)에 대하여 탭이 가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을 계속하여 온(on)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정보를 계속하여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온(on) 되는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본체(100) 주변을 탭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온(on) 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또는 이동 단말기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를 두드리는 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복수번의 터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탭을 다양한 위치에 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횟수만큼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정 값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설정 값은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출력 또는 입력되는 정보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현재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제1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탭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제어 가능한 설정 정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정보 중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표시되는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화면정보는 잠금 화면에 대응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탭이 가해지면, 시간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탭이 가해지면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마이크,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소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탭이 상기 마이크가 배치된 주변에서 가해지면, 상기 마이크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탭이 상기 스피커가 배치된 주변에서 가해지면, 상기 스피커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탭이 가해지는 강도에 따라 변경되는 설정 값의 변경 정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입력 또는 출력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이 가해진 위치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카메라가 배치된 경우, 상기 카메라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탭이 가해진 위치에 플래시가 배치된 경우, 상기 플래시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마주보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가해진 경우,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를 음성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가해질 때 마다 상기 구동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 및 상기 본체가 놓여진 물체를 두드리는 탭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체를 두드리는 탭이 감지되면,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물체를 두드리는 탭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단말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tap)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탭이 감지된 후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탭이 상기 제1 탭이 감지되고 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가해진 경우, 상기 제2 탭이 가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제2 탭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정 값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설정 값은, 상기 제2 탭이 가해진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출력 또는 입력되는 정보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제2 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85414A 2013-07-19 2013-07-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7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14A KR102179056B1 (ko) 2013-07-19 2013-07-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20130195708 EP2827219A3 (en) 2013-07-19 2013-12-0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ith tap detection
US14/101,024 US9965166B2 (en) 2013-07-19 2013-12-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028247.4A CN104298450B (zh) 2013-07-19 2014-01-2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14A KR102179056B1 (ko) 2013-07-19 2013-07-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13A KR20150010413A (ko) 2015-01-28
KR102179056B1 true KR102179056B1 (ko) 2020-11-16

Family

ID=4972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14A KR102179056B1 (ko) 2013-07-19 2013-07-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5166B2 (ko)
EP (1) EP2827219A3 (ko)
KR (1) KR102179056B1 (ko)
CN (1) CN1042984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6752B2 (en) 2006-11-22 2011-12-2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that independently source digital data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9207905B2 (en) 2003-07-28 2015-12-08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y group status information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9374607B2 (en) 2012-06-26 2016-06-21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guest access
US8868698B2 (en) 2004-06-05 2014-10-21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US8326951B1 (en) 2004-06-05 2012-12-04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US8483853B1 (en) 2006-09-12 2013-07-09 Sonos, Inc.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8788080B1 (en) 2006-09-12 2014-07-22 Sonos, Inc. Multi-channel pairing in a media system
US9202509B2 (en) 2006-09-12 2015-12-01 Sonos, Inc. Controlling and grouping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265652B2 (en) 2011-01-25 2022-03-01 Sonos, Inc. Playback device pairing
US11429343B2 (en) 2011-01-25 2022-08-30 Sonos, Inc. Stereo playback configuration and control
US9654821B2 (en) 2011-12-30 2017-05-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US9729115B2 (en) 2012-04-27 2017-08-08 Sonos, Inc. Intelligently increasing the sound level of player
US8908879B2 (en) 2012-05-23 2014-12-09 Sonos, Inc. Audio content auditioning
US9674587B2 (en) 2012-06-26 2017-06-0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including remote add to queue
US9225307B2 (en) 2012-06-28 2015-12-29 Sonos, Inc. Modification of audio responsive to proximity detection
US9008330B2 (en) 2012-09-28 2015-04-14 Sonos, Inc. Crossover frequency adjustments for audio speakers
USD744508S1 (en) * 2013-01-25 2015-12-01 Htc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4160229A1 (en) * 2013-03-13 2014-10-02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onal modes of an in-vehicle device using gestures
US9247363B2 (en) 2013-04-16 2016-01-26 Sonos, Inc. Playback queue transfer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361371B2 (en) 2013-04-16 2016-06-07 Sonos, Inc. Playlist update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501533B2 (en) 2013-04-16 2016-11-22 Sonos, Inc. Private queue for a media playback system
US9735978B2 (en) 2013-05-29 2017-08-15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via a playlist on a mobile device
US9495076B2 (en) 2013-05-29 2016-11-15 Sonos, Inc. Playlist modification
US9953179B2 (en) 2013-05-29 2018-04-24 Sonos, Inc. Private queue indicator
US9703521B2 (en) 2013-05-29 2017-07-11 Sonos, Inc. Moving a playback queue to a new zone
US9798510B2 (en) 2013-05-29 2017-10-24 Sonos, Inc. Connected state indicator
US10715973B2 (en) 2013-05-29 2020-07-14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transition
US9684484B2 (en) 2013-05-29 2017-06-20 Sonos, Inc. Playback zone silent connect
US9298415B2 (en) 2013-07-09 2016-03-29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play/pause content
EP2830039B1 (en) * 2013-07-24 2018-10-03 Native Instruments GmbH Method, arrangement,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parameter or at least one object using capacity sensing input elements
JP5992890B2 (ja) * 2013-09-24 2016-09-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064680A (ja) * 2013-09-24 2015-04-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5763726B2 (ja) * 2013-09-24 2015-08-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US10296884B2 (en) 2013-09-30 2019-05-21 Sonos, Inc. Personalized media playback at a discovered point-of-sale display
JP6197612B2 (ja) * 2013-11-29 2017-09-2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簡易ロック状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32343B2 (en) * 2013-12-09 2016-01-05 Xerox Corporation Placing commands through close proximity communication tapping patterns
US9226087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9226073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10101844B2 (en) * 2014-03-14 2018-10-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type of touch object used to apply touch input
AU2015356837A1 (en) * 2014-12-02 2017-06-29 Nes Irvine Touch display control method
EP3262490A4 (en) * 2015-02-23 2018-10-17 Somniq, Inc. Empathetic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empathetic computing device
US9891880B2 (en) 2015-03-31 2018-02-13 Sonos, Inc. Information display regarding playback queue subscriptions
KR20160144198A (ko) * 2015-06-08 2016-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US10248376B2 (en) 2015-06-11 2019-04-02 Sonos, Inc. Multiple groupings in a playback system
KR20170004160A (ko) * 2015-07-01 2017-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4346A1 (ja) * 2015-12-01 2017-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00641A1 (en) 2015-12-11 2017-06-15 SomniQ,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nd/or external apparatus by stationary state detection
USD806711S1 (en) 2015-12-11 2018-01-02 SomniQ,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977530B2 (en) * 2015-12-11 2018-05-22 Google Llc Use of accelerometer input to change operating state of convertible computing device
US10303422B1 (en) 2016-01-05 2019-05-28 Sonos, Inc. Multiple-device setup
CN105681658B (zh) * 2016-01-20 2019-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5872874A (zh) * 2016-04-20 2016-08-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于蓝牙耳机的终端程序控制方法和装置
US10712997B2 (en) 2016-10-17 2020-07-14 Sonos, Inc. Room association based on name
EP3388936B1 (en) * 2017-04-12 2020-02-12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dia player and a method of operating a media player
US10691329B2 (en) * 2017-06-19 2020-06-23 Simple Design Ltd. User interface of media playe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display
CN107885440B (zh) * 2017-12-04 2021-04-30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医学图像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22006B2 (en) * 2018-06-03 2024-03-05 Apple Inc. Media control for screensavers on an electronic device
US11341496B2 (en) 2020-06-03 2022-05-24 Fiserv, Inc. Hardware device for entering a PIN via tapping on a touch screen display
WO2022017112A1 (en) * 2020-07-22 2022-01-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a user device
CN112019895B (zh) * 2020-08-13 2023-04-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功能操作控制方法、功能操作控制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8834A (en) * 1993-03-16 1997-12-16 Worthington Data Solutions Voice prompt with voice recognition for portable data collection terminal
GB2325110B (en) * 1997-05-06 2002-10-16 Ibm Voice processing system
US6346935B1 (en) * 1998-09-14 2002-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ouch-sensitive tablet
US8419650B2 (en) * 1999-04-16 2013-04-16 Cariocom, LLC Downloadable datasets for a patient monitoring system
US20020077830A1 (en) * 2000-12-19 2002-06-2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ctivating context sensitive speech recognition in a terminal
BRPI0419168B1 (pt) * 2004-09-24 2017-05-16 Nokia Corp dispositivo eletrônico compreendendo a detecção de uma entrada de um usuário durante um modo de operação inativo
US9785329B2 (en) * 2005-05-23 2017-10-10 Nokia Technologies Oy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US20060287864A1 (en) * 2005-06-16 2006-12-21 Juha Pusa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voice control method
KR101327581B1 (ko) *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8676273B1 (en) *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5184018B2 (ja) * 2007-09-14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00179864A1 (en) * 2007-09-19 2010-07-15 Feldman Michael R Multimedia, multius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DE102008051757A1 (de) * 2007-11-12 2009-05-14 Volkswagen Ag Multimodale Benutzerschnittstelle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zur Eingabe und Präsentation von Informationen
US20090146962A1 (en) * 2007-12-05 2009-06-1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JP4530067B2 (ja) * 2008-03-27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07553B1 (en) * 2008-03-31 2011-05-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for determining barge-in
JP2009278294A (ja) * 2008-05-13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174503B2 (en) *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KR100988397B1 (ko) * 2008-06-09 201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수정방법
KR101592296B1 (ko) * 2008-09-0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CA2739760C (en) * 2008-10-06 2016-12-06 Tat The Astonishing Tribe Ab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invocation
KR101545582B1 (ko) * 2008-10-29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544475B1 (ko) * 2008-11-28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US20100138680A1 (en) * 2008-12-02 2010-06-03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display and voice command activation with hand edge sensing
JP4743268B2 (ja) * 2008-12-15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13086B1 (ko) * 2009-01-05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00241958A1 (en) * 2009-03-23 2010-09-23 Ram David Adva Fish Method and system to manage and prioritize windows based on touch strip inputs
KR101545881B1 (ko) * 2009-04-22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US9024865B2 (en) * 2009-07-23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and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8441790B2 (en) * 2009-08-17 2013-05-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as acoustic input device
KR101648747B1 (ko) * 2009-10-07 2016-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9349368B1 (en) * 2010-08-05 2016-05-24 Google Inc. Generating an audio notification based on detection of a triggering event
CN103069476A (zh) * 2010-10-01 2013-04-24 夏普株式会社 显示方法
KR101726607B1 (ko) * 2010-10-19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723986B1 (en) * 2010-11-04 2014-05-13 MCub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image capture on a hand-held device
US8181874B1 (en) * 2010-11-04 2012-05-22 MCub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apture of magnetic credit card data on a hand held device
KR101769818B1 (ko) * 2010-12-23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917805B2 (ja) * 2011-01-05 2016-05-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18972B2 (en) * 2011-01-20 2017-04-11 Blackberry Limited Three-dimensional, multi-depth presentation of icons in association with differing input components of a user interface
CN103477304A (zh) * 2011-02-10 2013-12-25 三星电子株式会社 包含触摸屏显示器的便携式设备以及控制它的方法
US10198097B2 (en) * 2011-04-26 2019-02-05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force
JP2013025757A (ja) * 2011-07-26 2013-02-04 Sony Corp 入力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43069B2 (en) * 2011-09-01 2014-06-03 Google Inc. Receiving input at a computing device
DE102012108810A1 (de) * 2011-09-20 2013-03-2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ktronische einrichtung und zustands-steuerverfahren
US9342235B2 (en) * 2011-10-03 2016-05-17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710048B2 (en) * 2011-10-03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detecting false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30191B2 (en) * 2011-10-17 2014-09-09 Facebook, Inc. Soft control user interface with touchpad input device
US20130100044A1 (en) * 2011-10-24 2013-04-2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Detecting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169848B (zh) * 2011-11-18 2017-10-20 森顿斯公司 检测触摸输入力
JP5809963B2 (ja) * 2011-12-22 2015-11-1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69457B2 (en) * 2012-01-03 2015-06-30 Sony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US9619038B2 (en) * 2012-01-2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US9201810B2 (en) * 2012-01-26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mory page eviction priority in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130215071A1 (en) * 2012-02-17 2013-08-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963857B2 (en) *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42881B2 (en) * 2012-04-02 2015-01-27 Google Inc. Gesture-based automotive controls
US8949974B2 (en) * 2012-05-11 2015-02-03 Tyfone, Inc. Mobile device with password protected desktop screen
US9711160B2 (en) * 2012-05-29 2017-07-18 Apple Inc. Smart dock for activating a voice recognition mod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12808B1 (ko) * 2012-05-30 2014-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9778742B2 (en) * 2012-06-12 2017-10-03 Parade Technologies, Ltd. Glove touch detection for touch devices
KR101341737B1 (ko) * 2012-06-21 2013-12-16 주식회사 팬택 후면 터치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09926B1 (ko) * 2012-08-08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86109A1 (en) * 2012-08-10 2015-07-02 Nokia Corporation Spatial audio user interface apparatus
US8539387B1 (en) * 2012-10-22 2013-09-17 Google Inc. Using beat combination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9152247B2 (en) * 2012-10-24 2015-10-06 Google Inc. Computing device with force-triggered non-visual responses
CN104969527A (zh) * 2012-12-07 2015-10-07 优特设备有限公司 向设备驱动器发布通知数据
US20140253489A1 (en) * 2013-03-06 2014-09-11 Bryce T. Osoinach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that an interface is being touched
KR20140112911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8991B1 (ko) * 2013-03-14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06719B2 (en) * 2013-04-02 2017-03-28 Facebook, Inc. Interactive elements in a user interface
CN105474157A (zh) * 2013-05-09 2016-04-06 亚马逊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设备界面
KR20140134088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102160767B1 (ko) * 2013-06-20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9640182B2 (en) * 2013-07-01 2017-05-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vehicles that provide speech recognition system notifications
US20150012886A1 (en) * 2013-07-08 2015-01-0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hanging an access state of a device by pattern recognition
EP3537264B1 (en) * 2013-07-18 202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2947635B1 (en) * 2014-05-21 2018-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6613A1 (en) 2015-01-22
KR20150010413A (ko) 2015-01-28
EP2827219A2 (en) 2015-01-21
EP2827219A3 (en) 2015-05-20
US9965166B2 (en) 2018-05-08
CN104298450A (zh) 2015-01-21
CN104298450B (zh)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05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151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954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4314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전자 노트 시스템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925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458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43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7019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00123336A (ko)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21497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알람 제공 방법
KR10198550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9681A (ko)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85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732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지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01276B1 (ko) 단말기에서의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1020776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73749B1 (ko) 이동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7694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85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