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7522B1 -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 Google Patents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522B1
KR102157522B1 KR1020157035026A KR20157035026A KR102157522B1 KR 102157522 B1 KR102157522 B1 KR 102157522B1 KR 1020157035026 A KR1020157035026 A KR 1020157035026A KR 20157035026 A KR20157035026 A KR 20157035026A KR 102157522 B1 KR102157522 B1 KR 10215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container
light block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067A (ko
Inventor
토요아키 스즈키
코이치 미우라
준페이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광선 차단 물질의 내용품으로의 이행 및 용기 외부로의 스며나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광선 차단 시트 및 이것으로 제조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는 특정 파장을 차단하는 광선 차단층(1) 및/또는 당해 광선 차단층(1)으로부터 용출되는 물질을 차단하는 용출물 차단층(2)을 적어도 1층 이상 갖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광선 차단 시트로부터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적어도 광선 차단층(1)과 최내층(3) 사이, 또는, 최내층(3) 상에 용출물 차단층 A(2)를 형성하고, 또한, 광선 차단층(1)과 최외층(4) 사이, 또는, 최외층(4) 상에 용출물 차단층 B(5)를 형성하고, 추가로 광선 차단층(1)이 용출물 차단층을 겸해도 된다.

Description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LIGHT-SHIELDING SHEET AND CONTAINER}
본 발명은 블리스터 시트, 수액·약액백, 플라스틱 앰플·바이알, 플라스틱 실린지 및 약품 등의 의약품 및 의료용품 및 각종 화장품 및 식품 등을 내용품으로서 수납하는 시트, 포장체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수납하는 내용품의 가시 검사가 가능하고,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며, 시트나 용기로부터 내용품으로의 용출이나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이 없는 시트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약품, 의료용품, 각종 화장품 및 식품 등을 내용품으로서 수납하는 시트, 포장체 및 용기에 있어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것은 내용품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으로서 다수 제안되어 있다.
블리스터 시트를 열성형한 PTP 포장, 블리스터 포장, 수액·약액백 등의 소프트백, 플라스틱제 앰플·바이알, 실린지에 수납된 약품 등의 의약품 및 의료용품 및 각종 화장품 및 식품 등 중에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 등의 영향에 의한 내용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시트나 용기가 요망되고 있다.
수액이나 약액 등의 용기는 각종 수액·의약품에 사용되지만, 광에 의해 변질되기 쉬운 약제, 특히 비타민류나 아미노산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내용품을 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들 약제에 대해서는 자외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 영역까지의 광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들 수액이나 약액은 미리 조제되어 있는 경우와, 사용(점적)시에 조제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용할 때까지는 통상은 골판지와 같은 차광성이 있는 곤포 재료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광에 노출될 우려는 거의 없고, 주로 사용 중의 광에 의한 변질이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차광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수액백 등의 용기에 씌우는 것이 많이 행해지지만, 차광성 필름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수액 용기 내의 수액 상태를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고, 액면의 변화, 점적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적절한 점적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착색된 필름을 수액백에 나중에 씌움으로써, 차광을 행하고 또한 내용물의 잔량 확인을 위한 윈도우부를 형성한 수액 용기용 차광 커버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서는 광선에 민감한 약제 등의 내용품으로는 직접 용기인 수액백에는 차광 기능이 전혀 없고, 약제의 충전 공정이나 검사 공정에 있어서 자외선 등의 광선에 의한 품질 열화가 염려된다.
특허문헌 2에는 PTP 포장이나 블리스터 포장에 사용되는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의약품이나 의료용품용 적층 재료로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차광성)을 갖고, 또한,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적층 재료이며, 적층 재료에 자외선 흡수제나 황안료가 혼입되어 있거나, 잉크가 도포되어 있어, 일정 파장의 차광과 산소 배리어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차광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자외선 흡수제나 황안료, 잉크 등으로부터 내용품으로의 용출물에 대한 대책은 강구할 수 없없다.
또한, 파장 50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은 5% 이하이며, 내용품의 시인성은 좋지 않다. 예를 들면, 일본 약국방에서는 의약품 용기 시험법 중에서, 용기의 투명성에 관해서 파장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은 55% 이상으로 하고 있다. 500㎚ 이하의 광선을 차단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400㎚ 이하의 자외 영역을 차단하고, 또한,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을 달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허문헌 3에서는 프리필드 실린지용 외장백으로서 차광 적층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의약품이 닿는 직접 용기에 차광 기능을 부여하지 않고, 외장백으로 하고 있는 예는 다수 있으며, 내용품의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이러한 형태에서는 광선에 민감한 약제 등의 내용품에서는 직접 용기인 프리필드 실린지에는 차광 기능이 전혀 없고, 약제의 충전 공정이나 검사 공정에 있어서 자외선 등의 광선에 의한 품질 열화가 염려된다.
한편으로 내용품이 용기와 닿는 직접 용기에 차광 기능을 형성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4에는 수액백 자체에 착색 안료를 사용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중에서, 수액백은 약사법의 일본 약국방 중에 있는 수액용 플라스틱 용기 시험법에 의해 엄격한 제한이 부과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출물 시험에 의해 일반 유기계 흡수제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강열 잔분 0.10% 이하의 제한에 의해, 미립자 산화티탄과 같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안료의 조성 검토에 의해, 생리적 안전성이 우수함과 함께, 용출이 없고, 투명성이 높고 내열성이 있으며, 자외선의 거의 전역에 있어서 흡수 효과가 있어, 수액백이나 그 포장 재료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종래에는 없었던 수액백용 착색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조성물은 파장 450㎚를 거의 완전히 차단하고 있어, 내용품의 시인성은 좋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본 약국방에서는 의약품 용기 시험법 중에서, 용기의 투명성에 관해서, 파장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은 55% 이상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4와 같이 500㎚ 이하의 광선을 차단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400㎚ 이하의 자외 영역을 차단하고, 또한,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을 달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의약품이 수납되는 직접 용기에 차광 기능을 형성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5에서는 플라스틱 앰플이 제안되어 있다. 안료나 자외선 흡수제의 약제 중으로의 용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60∼80℃인 고리형 올레핀이 용기의 중간층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료나 자외선 흡수제가 고리형 올레핀층의 외측의 층에 첨가되어 있고, 이러한 용기에서는 용기 밖으로의 안료나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가 발생하여, 용기나 다른 제품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80℃에서는 고온 영역에서 사용하는 용도에서는 분자간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을 억제하는데 이르지 않아, 완전히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752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301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23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31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04868호
본 발명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수납하는 내용품의 가시 검사가 가능하고, 내용품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의 내용품으로의 용출이나,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이 없는 의약품, 의료용품, 각종 화장품 및 식품 등을 직접 접촉하여 수납하는 광선 차단 시트 및 광선 차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광선 차단층과, 당해 광선 차단층으로부터 용출되는 물질을 차단하는 용출물 차단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형성한, 전체로 3층 이상의 다층의 시트 또는 당해 시트로 제조되는 용기로 하고, 용출물 차단층 및/또는 광선 차단층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내용품으로의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의 용출이나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이 없는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을 취한다.
(1) 적어도 한 층의 광선 차단층 및/또는 적어도 한 층의 용출물 차단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광선 차단 시트로서, 상기 광선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및 염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중간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출물 차단층은 상기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또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광선 차단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2) 상기 다층 구성의 시트의, 파장 38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1% 이하이고, 또한, 파장 380㎚ 이상 40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3) 상기 용출물 차단층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4) 상기 광선 차단층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5) 상기 광선 차단층이 밀도 0.905g/㎤ 이상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밀도 0.94g/㎤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밀도 0.88g/㎤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6) 상기 용출물 차단층 및 광선 차단층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고, 그 유리 전이 온도가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7) 상기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1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8) 상기 용출물 차단층 및 광선 차단층이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당해 불소계 수지의 밀도가 1.3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9) 파장 450㎚ 이상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10) 파장 450㎚ 이상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
(11)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의 광선 차단 시트로 제조되는 광선 차단 용기.
(12) 상기 (11)에 기재된 광선 차단 용기에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가 내용물로서 수용되고, 101℃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 증기 멸균된 용기.
(13) 상기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가 파장 220㎚ 이상, 450㎚의 범위의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열화, 역가 저하, 불순물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일으키는 액상의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용기.
(14) 상기 약제가 레보플록사신,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용기.
(15) 상기 약제가 팔로노세트론 염산염,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용기.
(16) 상기 (1)에 기재된 광선 차단 시트를 사용하고, 압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압출 연신 블로우 성형, 다차원 블로우 성형, 익스체인지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다층 블로우 성형 및 다층 인젝션 블로우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용기를 제조하는 광선 차단 용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는 용기로 했을 경우, 수납하는 내용품의 가시 검사가 가능하고, 내용품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50℃ 이상의 고온하에 보존되었을 경우나, 70∼95℃의 핫 충전이나 60∼70℃의 열에 의한 바이러스 등의 불활화 처리나 101℃ 이상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에 의해서도, 내용품으로의 광선 차단 물질(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용출이나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이 없고, 의약품, 의료용품, 각종 화장품 및 식품 등을 직접 접촉하여 수납하는 용기로서 현저히 안전성이 높으며, 실용성이 우수하다.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시트가 광선 차단층 및/또는 용출물 차단층을 갖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성이므로, 특정 파장의 투과를 억제하고, 또한, 가시 검사가 가능한 가시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광선 차단 물질(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용기 내로의 용출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파장 380㎚ 이하의 유해 자외선 영역의 대부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380㎚ 이상 400㎚ 이하의 고파장역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용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이 용기 밖으로 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의 용출물 차단층의 성분을 조정함으로써, 용출물의 차단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의 용기 내로의 용출이나 용기 밖으로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는 광선 차단층의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용출물 차단층을 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층의 광선 차단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광선 차단 시트로서, 상기 광선 차단층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및 염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중간층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도 제공한다. 이 광선 차단 시트는 광선 차단층만으로 광선 차단 물질의 용기 내로의 용출이나 용기 밖으로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는 광선 차단층의 수지를 부드러운 수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트 및 시트로 제조되는 용기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어, 내용액의 배출성이 향상되어, 낙하 충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는 용출물 차단층 및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임으로써, 용기로 했을 경우에 고온에서의 내용액의 충전시나 충전 후의 멸균시, 보관시 및 사용시 등에 고온 환경하에 놓여져도, 용출물 차단층이나 광선 차단층의 수지의 분자 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의 용기 내로의 용출이나 용기 밖으로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는 전광선 투과율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로 했을 경우에 특정 파장의 광선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을 높임과 함께 내용물 충전 후의 검사 공정에 있어서의 가시 검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시트는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는 의료 용도의 액체 수납 용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열화, 역가 저하, 불순물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일으키는 액상의 약제를 안정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레보플록사신 및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액상 약제가 안정적으로 보존 유통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팔로노세트론 염산염 및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액상 약제가 안정적으로 보존 유통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선 차단 시트 및 광선 차단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도 1g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선 차단 시트 및 광선 차단 용기의 층 구성의 조합을 예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중의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접착층이나 가스 배리어층, 수증기 배리어층을 단독 또는 복수층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최내층이란, 본 발명의 시트를 용기로 했을 때, 당해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품과 직접 접촉하는 층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최외층이란, 본 발명의 시트를 용기로 했을 때, 용기의 최외층이 되어 당해 용기의 외부와 접촉하는 층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는 적어도 한 층의 광선 차단층 및/또는 적어도 한 층의 용출물 차단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광선 차단 시트 및 당해 시트로 제조된 용기로서, 당해 시트 및 당해 용기의, 파장 38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1% 이하로 함으로써, 파장 380-200㎚의 가장 유해한 것으로 되어 있는 근자외선부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용품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장 380㎚ 이상 40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함으로써, 가시광에 가까운 자외선부를 차단할 수 있고, 내용품의 보존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1%를 초과하고 30% 미만의 범위여도 일정한 차단 효과가 있어, 대부분의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내용품에 대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층의 시트 및 용기의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가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시 검사 공정에 있어서의 이물질이나 불량의 제거가 가능해져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는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시 검사가 가능한 레벨에 도달하기 때문에, 최저한 15% 이상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다. 55% 이상으로 함으로써, 약사법으로 규정되는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의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있어서의 투명성 시험의 기준에 합격될 수 있으며, 액체 의약품 용기 중에서도 주사제나 수액·약액의 용기에 대한 적응이 용이해진다.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광선 차단 용기에서는 대부분이 450㎚에 있어서의 투과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15% 이하에서는 내용품의 가시 검사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품의 검사 누락을 발생시킬 리스크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광선 차단층이 당해 시트를 용기로 했을 때의 최외층 및 최내층 이외의 중간층부 중 적어도 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선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중 적어도 1종이 수지층에 함유되어 있고,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최외층 또는 최내층 이외의 층(중간층)이면, 그 층은 다층 구성 중 어느 위치에 있어도 되고, 한 층이 아니라 복수층이어도 광선 차단 효과가 얻어지면 층의 수에 제한은 없다.
광선 차단층의 수지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도 0.905∼0.95g/㎤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밀도 0.94∼0.98g/㎤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밀도 0.88∼0.91g/㎤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유연성을 높일 수 있고, 내용액의 배출성이 향상되어, 낙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밖에,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나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계 엘라스토머나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메틸펜텐, 폴리부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그 밖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변성한 산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층으로서 다른 수지층과 접착하기 위해 접착성 수지층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수지층을 광선 차단층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성 수지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 화학 제조의 아드머, 미츠비시 화학 제조의 모딕, 도소 제조의 DLZ나 밀도 0.91g/㎤ 이하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다른 수지의 공중합체나 치환체, 수식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선 차단층의 두께는 한 층으로 했을 경우에도 복수층으로 했을 경우에도 그 합계의 두께가 10∼20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20㎛∼100㎛의 범위이다. 10㎛ 이하에서는 광선 차단 효과가 약해져, 내용액의 안정성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또한, 200㎛ 이상에서는 다층의 시트 및 용기의 두께가 두꺼워져, 실용적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으로는, JIS K7121(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 온도의 값으로서 105∼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으로는, JIS K7121(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 온도의 값으로서 120∼145℃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1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융점으로는, JIS K7121(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 온도의 값으로서 118∼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3∼16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의 블렌드여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는 종래 공지의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중화제, α정 핵제, β정 핵제, 안티 블로킹제, 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이라고 할 때는 그 성분의 함유량이 60중량% 이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한, 광선 차단층의 수지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도록 층을 구성함으로써,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광선 차단 물질(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이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를 50℃ 이상의 고온하에 보존했을 경우나, 70∼95℃의 핫 충전이나 60∼70℃의 열에 의한 바이러스 등의 불활화 처리나, 100℃ 이상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에 의해서도, 이들 광선 차단 물질이 층간 이동에 의해 내용물,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이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단독으로 층을 구성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시트에 있어서 용출물 차단층이 시트의 일방의 표면에, 또는 일방의 표면과 광선 차단층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시트로부터 용기를 제조할 때, 당해 일방의 표면을 내용품측에 형성했을 경우, 광선 차단층으로부터 용출되는 층간 이동 물질(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에 의한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 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이 양태에 있어서의 용출물 차단층을 이하, 용출물 차단층 A로 부른다). 한편, 이 시트로부터 용기를 제조할 때, 당해 일방의 표면을 용기의 외측에 형성했을 경우, 광선 차단층으로부터 용출되는 층간 이동 물질(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이 용기의 외부에 블리드 아웃하는 것에 의한, 다른 용기나 제조 라인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이 양태에 있어서의 용출물 차단층을 이하, 용출물 차단층 B로 부른다).
용출물 차단층 A는 광선 차단층보다 용기로 했을 때의 내용품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광선 차단층과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되며, 접착층이나 다른 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용출물 차단층 B는 광선 차단층보다 외부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광선 차단층과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층이나 다른 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도록 층을 구성함으로써,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이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가 50℃ 이상의 고온하에 보존되었을 경우나, 70∼95℃의 핫 충전이나, 60∼70℃의 열에 의한 바이러스 등의 불활화 처리나, 100℃ 이상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 등에 의해서도 이들 광선 차단 물질의 층간 이동에 의한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이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선 차단층의 수지를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어느 1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용출물 차단층 A 및 B에 의한 층간 이동 물질의 차단 효과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단독으로 층을 구성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용출물 차단층 A 및 B는 각각 한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각각의 두께는 한 층이 5∼3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0㎛의 범위이다. 5㎛ 이하에서는 용출물 차단 효과가 약해져, 내용액의 안정성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또한, 300㎛ 이상에서는 다층의 시트 및 용기의 두께가 두꺼워져, 실용적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10∼200㎛의 범위에서는 충분한 차단 효과와 함께, 시트 및 용기에 유연성을 충분히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에 사용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6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6℃ 이상이다. 60℃ 이하에서는 50℃ 이상의 고온하에 보존되었을 경우나, 70∼95℃의 핫 충전이나 60∼70℃의 열에 의한 불활화 처리나 100℃ 이상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고분자의 분자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 안료, 무기 물질이 층간 이동을 일으키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110℃ 이상이면, 고압 증기 멸균 온도 105℃에서의 멸균을 행해도,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이 층간 이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고,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이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126℃ 이상이면, 고압 증기 멸균 온도 121℃에서의 멸균을 행해도,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이 층간 이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고, 내용액 중으로의 용출이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범위가 넓어지며, 특히 수액·약액 등의 주사제 용도로는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오버킬 멸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고분자 재료에서는 분자 레벨로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으로 대표되는 고분자의 분자 운동에 의해, 고분자 사슬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가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환경하에 놓여지면, 이 분자 사슬의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부드러워지고,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을 간단히 다른 층에 이행시키는 층간 이동이 일어나기 쉬워져, 용기 내부로의 용출의 문제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다른 용기의 오염이나 라인의 오염을 일으킨다.
특히 유리 전이 온도는 고분자 사슬의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이 시작되는 온도이며, 이것은 즉 고분자 사슬의 운동 용이성을 반영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고분자의 운동은 고분자 사슬의 내부 회전과 입체 장해에 의한 것이므로, 입체 장해를 부여하는 방향 고리나 복소 고리를 주쇄나 측쇄에 많이 포함하거나, 많이 유입시키거나, 또는 주쇄 또는 측쇄에 할로겐화물 등의 분자가 있거나, 혹은 수소 결합에 의해 분자간 거리가 작은 수지로 하는 것이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을 간단히 다른 층으로 이행시키는 층간 이동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유리 전이 온도와 함께 중요해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가 놓여지거나 혹은 처리되는 온도·환경을 고려한 용기 재질의 설계를 행하는 것이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을 다른 층으로 이행시키지 않고, 층간 이동을 방지 혹은 차단하여, 용기 내부로의 용출의 문제나 용기 외부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다른 용기의 오염의 문제나 라인의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고,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인 것을 알아낸 것이다.
특히 용출물 차단층은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가 놓여지거나 혹은 처리되는 온도·환경하에 있어서도,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에 의한 고분자 사슬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온도를 설정할 수 있거나, 혹은 입체 장해를 부여하는 방향 고리나 복소 고리를 주쇄나 측쇄에 많이 포함하거나, 많이 유입시키거나, 또는 주쇄 또는 측쇄에 할로겐화물 등의 분자가 있거나, 혹은 수소 결합에 의해 분자간 거리가 작은 수지인 수지로부터 선택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수지로서 시트, 용기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것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이며, 이들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시에 광선 차단층에도 이와 같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구성함으로써, 그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각종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의 중합체나,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와 에틸렌 등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폴리올레핀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나디엔,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염소화 노르보르넨, 클로로메틸노르보르넨, 트리메틸실릴노르보르넨, 페닐노르보르넨, 시아노노르보르넨, 디시아노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노르보르넨, 피리딜노르보르넨, 나딕산 무수물, 나딕산이미드 등의 2고리 시클로올레핀;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3고리 시클로올레핀; 디메타노헥사히드로나프탈렌,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4고리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의 5고리 시클로올레핀; 헥사시클로헵타데센 등의 6고리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노르보르넨, 2개의 노르보르넨 고리를 탄화수소 사슬 또는 에스테르기 등으로 결합한 화합물, 이들의 알킬, 아릴 치환체 등의 노르보르넨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과 같은 분자 골격 중에 노르보르넨 골격을 포함하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및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이 액체 수납 용기로서 성형했을 때의 강도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모노머 분자의 중합 방법이나 중합 기구로는, 개환 중합이어도 되고, 부가 중합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하는 경우의 중합 방법이나 중합 기구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모노머시에 배합하여 공중합을 행해도 되고, 어느 정도 중합한 후에 배합하여 블록 공중합해도 된다.
상기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적인 구조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나타내는 구조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중, 특히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한 층 자체의 균열이나 크랙 발생이 적고, 특히 약제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Figure 112015120635995-pct00001
(식 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의 유기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술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르알킬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고리형 폴리올레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화학식 (1), (2) 중의 l, m, n, p의 값, 혹은 치환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 (2) 이외의 고리형 폴리올레핀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도 사용하는 모노머종, 모노머종의 배합 비율, 모노머 배열, 치환기의 종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고리형 폴리올레핀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제오넥스, 제오노아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고리형 폴리올레핀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아펠, TICONA사 제조의 TOPAS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리형 폴리올레핀으로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수지 단독으로 구성되고, 다른 수지가 함유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다른 수지를 40% 이하의 범위로 첨가할 수도 있다. 다른 수지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통상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에 사용되는 불소계 수지는 불소를 포함하는 올레핀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합성 수지이며, 다른 수지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나 수식체, 치환체를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불소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밀도가 1.3g/㎤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밀도가 1.3g/㎤ 미만이면, 광선 차단 물질의 층간 이동이나 차단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불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약호: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약호: PCTFE, CTFE), 폴리불화비닐리덴(약호: PVDF), 폴리불화비닐(약호: PVF), 퍼플루오로알콕시불소 수지(약호: PFA),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약호: 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약호: 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약호: E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 수지,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코폴리머(FE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디옥솔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 접착성을 개량한 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CPT) 등을 들 수 있다.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의 공중합체이며, 다른 수지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나 수식체, 치환체를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엘라스토머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숙신산,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이타콘산, 도데칸이산, 셀룰로오스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산성분으로서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아젤라인산 등을 선택 가능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디올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펜탄디올, 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혹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류,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1,4-비스(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특히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을 제1 주성분, 이소프탈산을 제2 주성분으로 하고,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가 층간 이동 물질의 차단 효과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공중합 비율의 합은 95몰%∼100몰%가 바람직하고, 99몰%∼100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디올 성분 중 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95몰%∼100몰%가 바람직하고, 99몰%∼100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IV)는 0.60∼0.85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극한 점도는 JIS K 7367-5에 준하여,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1/1) 혼합 용매 중, 30℃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극한 점도가 0.60dl/g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아서 충분한 층간 이동 물질 차단 효과를 얻기 어렵고, 상기 극한 점도가 0.85dl/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 용융시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압출 가공이 곤란해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때,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단위를 부여하는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는, 락트산, 글리콜산, 2-히드록시-n-부티르산, 2-히드록시카프로산, 6-히드록시카프로산, 2-히드록시-3,3-디메틸부티르산, 2-히드록시-3-메틸부티르산, 2-히드록시이소카프로산 등, 또는 이들 저급 알킬에스테르 혹은 분자 내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광학 이성 수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D수지, L수지 또는 라세미 수지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형태로는 고체 수지, 액체 수지 또는 수용액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3관능 이상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 「3관능 이상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 또는, 「3관능 이상의 지방족 다가 옥시카르복실산」을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3관능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4관능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4관능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3관능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은 (i) 카르복실기 2개와 히드록실기 1개를 동일 분자 중에 갖는 타입과, (ii) 카르복실기 1개와 히드록실기 2개의 타입으로 나뉘며, 어느 타입도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말산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4관능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은 (i) 3개의 카르복실기와 1개의 히드록실기를 동일 분자 중에 공유하는 타입, (ii) 2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의 히드록실기를 동일 분자 중에 공유하는 타입, (iii) 3개의 히드록실기와 1개의 카르복실기를 동일 분자 중에 공유하는 타입으로 나뉘며, 어느 타입도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분자 내에 반복 단위로서 아미드 결합[-NHCO-]을 갖는 결정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당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미드 결합이 지방족 구조 또는 지환족 구조와 결합하고 있는 결정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수지, 이른바 나일론 수지를 들 수 있다. 나일론 수지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6/66, 나일론 66/12 및 이들 중 적어도 2종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상 사용되는 나일론계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TPAE]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6/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나일론 6/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나일론 12/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나일론 12/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불소계 수지를 사용하여 시트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및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의 합계가 80㎛ 이상이면, 시트의 수증기에 대한 방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광선 차단층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은 단독 혹은 복수를 사용해도 되고, 그 종류나 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또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지의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으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화합물, 옥시벤존계 화합물, 벤조일메탄계 화합물,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트리아릴트리아진계 화합물, 신남산계,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파라아미노벤조산계,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옥틸, 캠퍼계, 메틸벤질리덴캠퍼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차단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차단제보다 투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중에서도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광선 차단 성능과 450㎚에 있어서의 가시 검사 적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β-히드록시에톡시)-벤조페논,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양호한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및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이 특히 바람직하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2,2-디메틸프로필)-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양호한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이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 에톡시]페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양호한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차단제 성분으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니켈, 산화마그네슘,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등, 또는 이들의 수식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탈로시아닌 등의 유기계 안료 등의 유기계 안료나 무기계 안료 등의 유색계 안료·피그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유색으로는, 황색, 청색, 녹색, 등색, 적색, 차색, 흑색, 백색 등의 색을 갖는 안료를 단독으로 혹은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형광 증백제, 염료의 구체예로는, 디아미노스틸벤계, 이미다졸계, 티아졸계, 옥사졸계, 2,5-티오펜디일(5-tert-부틸-1,3-벤조옥사졸)[Tinopal OB(BASF 제품)]등), 트리아졸계, 옥사디아졸계, 티아디아졸계, 쿠마린계, 나프탈이미드계, 피라졸린계, 피렌계, 이미다졸론계, 벤지딘계, 디아미노카르바졸계, 옥사시아닌계, 메틴계, 피리딘계, 안트라피리다진계, 디스티릴계, 카르보스티릴계, 인돌계, 퀴놀리논계 등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사졸계가 사용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유기·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등의 광선 차단 물질의 첨가량으로는, 수지에 대해 0.01∼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차단 물질의 첨가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광선 차단 기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다. 한편,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해도 광선 차단 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이 관찰되지 않고,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용출이나 블리드 아웃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는 블리스터 시트를 열성형한 PTP 포장이나 블리스터 포장, 수액·약액백 등의 소프트백, 플라스틱제 앰플·바이알이나 실린지에 수납된 약품 등의 의약품이나 의료용품 혹은 각종 화장품, 식품 용도의 시트 및 용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선 차단 시트는 광선 차단층 및 용출물 차단층의 양자를 적어도 각 1층 이상 갖는 3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성이고, 그 제조 방법은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나, 압출 코팅, 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이나 공압출 T다이법 등의 공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수냉 인플레이션, 히트 라미네이션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이나 공압출 T다이법 등의 공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수냉 인플레이션, 히트 라미네이션법을 사용하면,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유기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다층의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용품에 대한 안전 위생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에 가스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몇개의 층을 배리어층으로서 적층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하는 재료로서 실리카 혹은 알루미나의 증착 PET 필름이나 증착 나일론 필름,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증착 나일론, 알루미늄박, EVOH, PVA, PVDC, MXD 나일론,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형 배리어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재질의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다층으로 하는 경우에, 접착성 수지는 안전 위생성에는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서 이종 재질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면 종래 공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단독 혹은 복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성 수지로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나 메탈로센계 LLDPE 등을 들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바람직한 수지의 구체예로는, 금속 가교 폴리에틸렌(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EEA),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원료에 그래프트 중합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또는 이들의 산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금속염 등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메탈로센계 LLDPE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다. 예를 들면, 미츠이 화학 제조의 아드머, 미츠비시 화학 제조의 모딕, 도소 제조의 DLZ나 밀도 0.91g/㎤ 이하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선 차단 용기는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용기는 광선 차단층 및 용출물 차단층의 양자를 적어도 각 1층 이상 갖는 3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성이며, 그 제조 방법은 압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압출 연신 블로우 성형, 다차원 블로우 성형, 익스체인지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핫 패리슨, 콜드 패리슨), 다층 블로우 성형, 다층 인젝션 블로우 성형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층으로 하기 위해 상기 접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용기는 예를 들면, 상기 광선 차단 시트 2장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재단하고, 각각의 시일층이 내층이 되도록 겹쳐 그 주연부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백, 소프트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광선 차단 시트의 시일층을 내측으로 하여 튜브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주연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성형해도 된다. 광선 차단 시트의 히트 시일은 150∼250℃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면 된다. 또한, 히트 시일한 주연부의 일부에 내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부(포트)를 형성하면 배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 포트부에는 내용액을 충전한 후에 고무 전체를 용착하여 용기를 밀봉해도 되고, 미리 포트부에 고무 전체를 용착 혹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장착하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내용액의 충전은 히트 시일한 주연부의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해 두거나, 혹은 충전시에 히트 시일한 주연부의 일부를 개구하여 내용액을 충전한 후에, 히트 시일에 의해 밀봉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두께는 5∼200㎛, 또한, 10∼100㎛인 것이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보존 안정성과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의 전체로서의 두께는 시트, 용기의 용도에 따라 적정 범위는 상이한데, 50∼2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200㎛이다. 전체의 두께가 50㎛ 이하인 경우는 시트, 용기로서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한편, 전체의 두께가 2000㎛를 초과하면 시트, 용기로서 그 이상의 두께는 필요가 없으며, 비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는 블리스터 시트, 수액·약액백, 플라스틱 앰플·바이알, 플라스틱 실린지, 약품 등의 의약품이나 의료용품 혹은 각종 화장품, 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시트 및 용기이며, 특히 내용품에 규정은 없지만, 분말, 캡슐, 정제, 과립, 구강내 붕괴정, 액체 등의 내용물, 내용액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일본 약국방의 플라스틱제 의약품 용기로 규정되어 있는 내용품이면 보다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내용품이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이며, 특히 수액·약액 등의 주사제는 내용품의 안전 위생성의 관점에서, 광차단성 물질 등으로부터의 용출에 의한 여러 문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를 내용물로서 봉투나 소프트백 및 앰플, 바이알 용기에 수용하여 밀봉한 후, 50℃ 이상의 고온하에 보존하거나 70∼95℃의 핫 충전이나, 60∼70℃의 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화 처리나, 100℃ 이상의 고압 증기 멸균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한 광선 차단 물질의 용출이나 블리드 아웃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110℃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문제가 일어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는 최적이다.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가 적용 가능한 약제로는, 종래 공지의 자외선에 의해 열화나 역가의 저하가 일어나는 약제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딜티아젬, 니페디핀, 니솔디핀, 카르바마제핀, 니트렌디핀베라파밀, 아자세트론, 파클리탁셀, 티아민, 암로디핀, 올로파타딘, 팔로노세트론, 이리노테칸, 에포프로스테놀, 리보플라빈, 시아노코발라민, 피리독신, 니코틴산아미드, 판테놀, 비오틴, 아스코르브산, 콜레칼시페롤, 토코페롤, 피토나디온, 오자그렐 염산염, 올로파타딘, 케토프로펜, 소마트로핀, 메나테트레논, 베니디핀, 메코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는 레보플록사신 및 그 유도체/수식체(오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에녹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날리딕스산, 피페미드산, 피로미드산 등)나 팔로노세트론 염산염 및 그 유도체/수식체에 대한 적용이 약제 열화 방지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도 1a∼도 1g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광선 차단층, 용출물 차단층 A 및 용출물 차단층 B를 갖는 3층 이상의 다층 시트 및 용기를 구성하였다. 상세한 구성을 표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시트 및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광선 차단층은 하기 a∼j, 용출물 차단층 A 및 B는 하기 I∼XII을 사용하였다.
a: 밀도 0.908g/㎤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05℃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니혼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b: 밀도 0.924g/㎤, 융점 120℃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 제조, 유메리트)
c: 밀도 0.953g/㎤, 융점 13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니혼 폴리에틸렌 제조, 노바텍)
d: 밀도 0.923g/㎤, 융점 120℃의 치글러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 폴리머 제조, 모어텍)
e: 밀도 0.90g/㎤, 융점 135℃의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프로필렌 제조, 윈텍)
f: 유리 전이 온도가 136℃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제오넥스)
g: 유리 전이 온도가 13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미츠이 화학 제조, 아펠)
h: 밀도 2.12g/㎤의 불소계 수지(다이킨 제조, 네오 프론)
i: 밀도 1.34g/㎤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스테르)
j: 유리 전이점 온도가 7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미츠이 화학 제조, 아펠)
I: 유리 전이 온도가 136℃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제오넥스)
II: 유리 전이 온도가 13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미츠이 화학 제조, 아펠)
III: 유리 전이 온도가 16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제오노아)
IV: 유리 전이 온도가 10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제오노아)
V: 유리 전이 온도가 7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제오노아)
VI: 밀도 2.12g/㎤의 불소계 수지(다이킨 제조, 네오 프론)
VII: 유리 전이 온도가 138℃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다이셀 폴리머 제조, 토파스)
VIII: 밀도 2.1g/㎤의 불소계 수지(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IX: 밀도 1.74g/㎤의 불소계 수지(다이킨 제조, 네오 프론)
X: 밀도 1.34g/㎤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에 의한 공중합체: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스테르)
XI: 유리 전이 온도가 80℃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미츠이 화학 제조, 아펠)
XII: 유리 전이 온도가 75℃인 고리형 폴리올레핀(미츠이 화학 제조, 아펠)
필름 및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각층 간에는 다른 수지와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성 수지를 사용해도 되고, 하기 α∼ε를 사용하였다. 이 접착성 수지층에 광선 차단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하기 α∼ε를 광선 차단층으로서 사용하였다.
α: 아드머(미츠이 화학 제조)
β: 모딕(미츠비시 수지 제조)
γ: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다이셀 데구사 제조)
δ: 폴리아미드계 수지 나일론 12(우베 코산 제조)
ε: 하모렉스(니혼 폴리에틸렌)와 윈텍(니혼 폴리프로필렌)을 2:8로 혼합한 수지
필름 및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최내층이나 최외층, 그 밖의 수지층을 적층해도 되고, 상기 a∼j, I∼XII, α∼ε를 사용하였다.
광선 차단층에 사용하는 광선 차단 물질은 하기 (1)∼(9)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농도는 하기 성분이 광선 차단층에 함유되는 중량%이다.
(1):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9%
제2 성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농도 0.25%
제3 성분: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농도 0.25%
(2):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5%
제2 성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농도 0.5%
제3 성분: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농도 0.5%
(3):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9%
제2 성분: 산화아연, 농도 0.9%
(4):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75%
제2 성분: YELLOW#021(도쿄 잉크 제조 PEX MASTER COLOR), 농도 6%
(5):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1.8%
제2 성분: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농도 0.5%
제3 성분: 2,5-티오펜디일(5-tert-부틸-1,3-벤조옥사졸), 농도 0.3%
(6):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3%
제2 성분: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농도 0.25%
제3 성분: 2,5-티오펜디일(5-tert-부틸-1,3-벤조옥사졸), 농도 0.05%
제4 성분: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농도 0.3%
(7):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3%
제2 성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농도 0.3%
제3 성분: 2,5-티오펜디일(5-tert-부틸-1,3-벤조옥사졸), 농도 0.05%
(8):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15%
제2 성분: 산화아연, 농도 10%
(9):
제1 성분: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농도 0.075%
제2 성분: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농도 0.25%
제3 성분: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산 2,4-디-tert-부틸페닐, 농도 0.075%
Figure 112015120635995-pct00002
[제조 방법 1]
실시예 1∼4, 10, 14, 19, 20, 25 및 비교예 1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공압출 T다이법에 의해 다층 시트를 제작하였다. 그 후, 2장의 시트의 최내층을 시일층으로서 서로 대향시켜 겹치고, 주연부를 금형 온도 175℃에서 3초간, 2회 용착하였다. 이 때, 주연부의 한 지점에 밀도 0.935g/㎤, 융점 125℃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법으로 제작한 배출구부(포트)를 200℃, 3초간, 2회 용착함으로써 장착하여 내용량 100mL가 되는 액체 수납용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2]
실시예 6, 9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공압출 수냉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다층 시트를 제작한 것 이외에는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그 후,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내용량 200mL가 되는 액체 수납용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3]
실시예 5, 7, 11, 16, 17, 18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주연부 용착시의 금형 온도를 195℃로 변경하고, 배출구부를 밀도 0.90g/㎤, 융점 135℃의 폴리프로필렌으로 변경하고, 220℃, 3초간, 2회 용착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내용량 100mL가 되는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4]
실시예 8, 15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경구 의약품(정제)이 수납되는 블리스터 성형용 시트로 하였다.
[제조 방법 5]
실시예 12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주연부 용착시의 금형 온도를 195℃에서 4초간으로 변경하고, 배출구부를 유리 전이 온도 136℃의 고리형 폴리올레핀으로 변경하고, 225℃, 6초간의 용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내용량 100mL가 되는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6]
실시예 13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공압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으로 원형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패리슨)를 2개의 금형 사이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에어를 넣음으로써 앰플 용기를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7]
실시예 21∼24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시트를 제작하고, 경구 의약품(정제)이 수납되는 블리스터 성형용 시트로 하였다.
[제조 방법 8]
실시예 26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공압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으로 원형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패리슨)를 2개의 금형 사이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에어를 넣음으로써 분체 및 액체 수납용 바이알 용기를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9]
비교예 1, 3은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제조 방법 1과 동일하게 하여, 액체 수납용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10]
비교예 2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제조 방법 3과 동일하게 하여, 액체 수납용 소프트백을 제작하였다.
[제조 방법 11]
비교예 4는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제조 방법 6과 동일하게 하여, 앰플 용기를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
본 발명의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에 대해,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광선 차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 및 용기의 일부를 잘라내어,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제16 개정 일본 약국방 의약품 용기 시험법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 및 용기의 일부를 잘라내어 실시하였다. 용출물 시험에 대해서는 소프트백을 제작하여 내용액으로서 정제수를 각 용량 충전하여 밀봉하고, 100℃에서 2시간의 추출을 행한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20635995-pct00003
실시예 1∼26에서는 광선 차단 성능에 있어서, 38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0∼0.9%, 40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0.2∼28%, 450㎚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56∼84%이며, 일본 약국방의 규격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 55% 이상을 만족시키는 결과이고, 용출 시험에 있어서도 문제가 없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1∼8, 13∼15, 19∼23, 26(용출물 차단층 B를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외부에 끈적거림의 발생도 없고, 블리드도 방지하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9∼12, 16∼18, 24, 25에서는 광선 차단층에 광선 차단 물질이 용출되기 어려운 수지층인 점에서, 용출물 차단층 B가 없어도 외부에 끈적거림의 발생도 없고, 블리드도 방지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4에서는 광선 차단 물질의 선정에 상관 없이 모두 용출 시험에 있어서 부적합해진 것이었다.
또한, 외부에 끈적거림이 발생하여, 블리드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1: 광선 차단층
2: 용출물 차단층 A
3: 최내층
4: 최외층
5: 용출물 차단층 B

Claims (16)

  1. 적어도 한 층의 광선 차단층 및/또는 적어도 한 층의 용출물 차단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광선 차단 시트로서,
    상기 광선 차단층은 자외선 흡수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무기 물질, 유색 안료, 형광 증백제 및 염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중간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출물 차단층은 상기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또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광선 차단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출물 차단층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어느 1개를 함유하고,
    상기 광선 차단층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함유하고,
    파장 38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1% 이하이고, 또한, 파장 450㎚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를 갖는 광선 차단 시트의, 파장 380㎚ 이상 400㎚ 이하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 차단층이 밀도 0.905g/㎤ 이상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밀도 0.94g/㎤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밀도 0.88g/㎤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 차단층 및 광선 차단층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고, 그 유리 전이 온도가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1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물 차단층 및 광선 차단층이 불소계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불소계 수지의 밀도가 1.3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시트.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의 광선 차단 시트로 제조되는 광선 차단 용기.
  12. 제 11 항의 광선 차단 용기에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가 내용물로서 수용되고, 101℃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 증기 멸균된 광선 차단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의료 용도의 액체가 파장 220㎚ 이상, 450㎚의 범위의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열화, 역가 저하, 불순물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일으키는 액상의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레보플록사신,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용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팔로노세트론 염산염, 그 유도체 또는 수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 차단 용기.
  16. 제 1 항의 광선 차단 시트를 사용하고, 압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압출 연신 블로우 성형, 다차원 블로우 성형, 익스체인지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다층 블로우 성형 및 다층 인젝션 블로우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용기를 제조하는 광선 차단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57035026A 2013-05-20 2014-05-20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KR102157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6307 2013-05-20
JPJP-P-2013-106307 2013-05-20
PCT/JP2014/063297 WO2014189030A1 (ja) 2013-05-20 2014-05-20 光線遮断シート及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067A KR20160013067A (ko) 2016-02-03
KR102157522B1 true KR102157522B1 (ko) 2020-09-18

Family

ID=5193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26A KR102157522B1 (ko) 2013-05-20 2014-05-20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8257B2 (ko)
EP (1) EP3000750A1 (ko)
JP (1) JP6623407B2 (ko)
KR (1) KR102157522B1 (ko)
CN (1) CN105228923B (ko)
CA (3) CA2912879C (ko)
WO (1) WO2014189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177A1 (ja) 2014-12-08 2016-06-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JP6085639B2 (ja) * 2015-06-03 2017-02-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低吸着性包装袋
JP2017061078A (ja) * 2015-09-24 2017-03-30 三和化学株式会社 紫外線遮蔽性樹脂フィルム、シーラント及び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295279A (zh) * 2015-10-22 2016-02-03 袁敏华 防紫外线和蓝光的光学防护材料
US11376814B2 (en) 2015-12-29 2022-07-05 Danapak Flexibles A/S Method for providing an extreme chemical resistant film, a film and laminate obtainable therefrom
JP6705348B2 (ja) * 2016-09-23 2020-06-03 ニプロ株式会社 液体製剤、及び、パロノセトロンの安定性を向上する方法
JP6642377B2 (ja) * 2016-10-25 2020-02-05 ニプロ株式会社 液体製剤、及び、パロノセトロンの安定性を向上する方法
CN106864785A (zh) * 2017-02-28 2017-06-20 深圳市金田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山茶油/茶叶籽油的包装食用方法
JP2019043603A (ja) * 2017-08-31 2019-03-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遮光容器
DE102018112817A1 (de) 2018-05-29 2019-12-05 Klöckner Pentaplast Gmbh Transparente Polymerfolie mit Verfärbungskompensation
EP3513965B1 (en) 2018-08-08 2022-05-04 Danapak Flexibles A/S Improved films and laminates for use in packaging reactive compounds
PL3898233T3 (pl) * 2018-12-17 2024-08-19 Polycine Gmbh Elastyczna folia wielowarstwowa z warstwą barierową uv-vis do opakowań medycznych
CN110693571A (zh) * 2019-09-06 2020-01-17 王红梅 一种疾病预防控制用接种装置
US11360240B2 (en) 2019-12-19 2022-06-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containing photosensitive chromophore and package therefor
US12116443B2 (en) 2020-06-16 2024-10-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mino acid-based polymerizable compounds and ophthalmic devices prepared therefrom
US11992101B2 (en) 2020-07-31 2024-05-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Nucleated polypropylene resin for primary lens package
WO2022109025A1 (en) 2020-11-18 2022-05-27 Klöckner Pentaplast Of America, Inc. Thermoformed packaging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7037772B2 (ja) * 2020-12-24 2022-03-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WO2023091810A1 (en) * 2021-11-19 2023-05-25 Curadel Surgical Innovations, Inc. Packaging for light-absorbing pharmaceuticals
WO2024052423A2 (en) 2022-09-07 2024-03-14 F. Hoffmann-La Roche Ag Packaging member for a photosensitive drug substance
KR102615977B1 (ko) * 2023-05-19 2023-12-20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치료목적의 약물을 전달하는 차광 의약품주입기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745A (ja) * 2004-04-20 2005-11-04 Toppan Printing Co Ltd 紫外線吸収フィルムおよびその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体
JP2008174304A (ja) * 2006-12-22 2008-07-31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着色プラスチック容器
JP2011203400A (ja) * 2010-03-25 2011-10-13 Nippon Zeon Co Ltd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12206514A (ja) * 2006-01-13 2012-10-2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耐候性多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958B2 (ja) 1995-01-13 2001-10-1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輸液バッグ用着色樹脂組成物
JP2003275280A (ja) 2002-03-26 2003-09-30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輸液容器用遮光カバー
JP2004202899A (ja) 2002-12-26 2004-07-22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99705B1 (ko) * 2003-04-23 2010-12-08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6289070A (ja) 2005-03-18 2006-10-26 Santen Pharmaceut Co Ltd キノロン系抗菌化合物含有製品
JP4945927B2 (ja) 2005-05-25 2012-06-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ボイル・レトルト殺菌処理用多層フィルムとその積層体
JP2007302328A (ja) 2006-05-15 2007-11-22 Terumo Corp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5078523B2 (ja) 2006-09-27 2012-11-2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JP5066962B2 (ja) 2007-03-22 2012-11-0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材料および包装体
EP2266521B1 (en) * 2008-03-14 2013-08-28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Plastic ampule
JP5250289B2 (ja) 2008-03-31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組成物
JP2010042824A (ja) * 2008-08-11 2010-02-25 Aicello Chemical Co Ltd 収容薬品視認性紫外線遮断多層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745A (ja) * 2004-04-20 2005-11-04 Toppan Printing Co Ltd 紫外線吸収フィルムおよびその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体
JP2012206514A (ja) * 2006-01-13 2012-10-2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耐候性多層フィルム
JP2008174304A (ja) * 2006-12-22 2008-07-31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着色プラスチック容器
JP2011203400A (ja) * 2010-03-25 2011-10-13 Nippon Zeon Co Ltd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0750A4 (en) 2016-03-30
WO2014189030A1 (ja) 2014-11-27
CN105228923B (zh) 2018-03-30
JP6623407B2 (ja) 2019-12-25
EP3000750A1 (en) 2016-03-30
CA2912879C (en) 2021-08-31
CA3124157C (en) 2022-10-04
JPWO2014189030A1 (ja) 2017-02-23
CA3124160C (en) 2022-10-04
US10618257B2 (en) 2020-04-14
CA3124157A1 (en) 2014-11-27
CA3124160A1 (en) 2014-11-27
US20160089864A1 (en) 2016-03-31
CN105228923A (zh) 2016-01-06
KR20160013067A (ko) 2016-02-03
CA2912879A1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522B1 (ko)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JP5358694B2 (ja) 薬液充填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30772B1 (ko) 액체 수납용기
JP4717007B2 (ja)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EP1894851B1 (en) Duplex-chamber package
JP5052833B2 (ja)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JP5467074B2 (ja)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KR101195707B1 (ko)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JP2020097243A (ja) 多層積層体及び包装体
JP2005280749A (ja) 輸液バッグ用積層フイルム
JP5587597B2 (ja) 包装体
JP2014068770A (ja) 薬剤包装用シート、薬剤包装用ブリスターパック、および薬剤包装体
JP4488166B2 (ja)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2020029305A (ja) 食品包装用多層フィルム、食品包装用ラミネート複合フィルム、および、深絞り成形体
TWI425941B (zh) Plastic ampoules and colored plastic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