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72B1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472B1 KR101923472B1 KR1020110129763A KR20110129763A KR101923472B1 KR 101923472 B1 KR101923472 B1 KR 101923472B1 KR 1020110129763 A KR1020110129763 A KR 1020110129763A KR 20110129763 A KR20110129763 A KR 20110129763A KR 101923472 B1 KR101923472 B1 KR 101923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socket module
- housing
- coupled
- plu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Edge contacts; Windows or holes in the substrate having plural connections on the wall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05K2201/09163—Slotted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기판의 두께 만큼 소켓 모듈이 결합한 기판 조립체가 슬림해지므로, 보다 소형화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적용될 수 있는 소켓 모듈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를 포함한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로서 플러그와 연결되는 소켓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서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하도록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으며, 기판 또는 다른 부품과의 결합이 용이한 소켓 모듈이 고려될 수 있다.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미국특허공보 US4717218(1988.01.05.공개), 국제특허공개공보 WO00/08722(2000.02.17.공개),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1/0229484호등이 있다.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미국특허공보 US4717218(1988.01.05.공개), 국제특허공개공보 WO00/08722(2000.02.17.공개),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1/0229484호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보다 향상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소켓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내 다른 부품과의 결합시 보다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소켓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기판은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핀과 일단이 상기 제1 핀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그루브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되는 기판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핀은, 상기 그루브 멤버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된 기판에 형성된 단자부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돌출 멤버에 대응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핀은, 상기 돌출 멤버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홈부에 형성된 단자부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기판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락부와, 상기 락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락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돌출 멤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리세스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방사 패턴이 형성되는 캐리어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결합될 때,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소켓과 기판 결합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기판의 두께 만큼 소켓 모듈이 결합한 기판 조립체가 슬림해지므로, 보다 소형화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의 핀과 기판의 단자부와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하는 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소켓 모듈과 기판의 결합 상태도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a와 도 8b는 도 7의 변형된 핀의 형상에 따라 도 4의 소켓 모듈이 변형된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a와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0a와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1a와 도 11b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이 캐리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소켓 모듈과 기판의 결합 상태도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a와 도 8b는 도 7의 변형된 핀의 형상에 따라 도 4의 소켓 모듈이 변형된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a와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0a와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1a와 도 11b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이 캐리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 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 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및 플래시를 갖는 임의의 휴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 및 상기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전원공급부(222), 후면 카메라부(221) 및 제2 음향출력부(225)가 배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22)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22)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 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에 인접하게 플래쉬(223)가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23)는 상기 후면 카메라부(230)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춘다.
상기 플래쉬(224)와 인접하게 거울(2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사용자가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225)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1 음향출력부(21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은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부(216)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전면 카메라부(2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부(2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및 후면 카메라부(216, 230)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10), 제1 음향 출력부(211), 신호입력부(230) 및 전면 카메라부(21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210)를 '터치스크린'으로 칭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210)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터치스크린(210)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211)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2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2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216)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30)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30)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214), 인터페이스부(212, 225) 및 음향입력부(213) 등이 배치된다.
사이드키(214)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키(21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214)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214)에 의하여, 영상입력부(216,230)의 제어, 음향출력부(211,225)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21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5, 2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15, 2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15, 2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소켓 모듈(300, 도 4참조)으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부을 포함한다. 소켓 모듈(300)에는 플러그(10)가 삽입되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켓 모듈(300)은 하우징(310)과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의 내주면에는 절연체(340,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는 플러그(10)와 연결되는 핀(330)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311)가 형성되는 제1 면(1)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소켓 모듈(300) 내의 내부 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이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몰드 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편의상 개구부(311)가 형성되는 소켓 모듈(300)의 일면을 제1 면(1), 개구부(311)의 반대편 면을 제2 면(2), 제1 면(1)과 제2 면(2)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제3 면(3)과 제4 면(4), 측면을 제외한 소켓 모듈(3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5 면(5)과 제6 면(6)이라고 하기로 한다..
하우징(310)의 적어도 어느 일측, 예를 들어 제3 면(3) 또는 제4 면(4)에는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소켓 모듈(300)이 기판(24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이동 방향은 기판(240)의 일측단에서 중앙부분을 향하는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소켓 모듈(300)은 기판(240)을 덮도록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판(240)은 그 일부가 절취되어 개구되고, 개구된 공간(241)에 소켓 모듈(30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기판(24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일부는 소켓 모듈(300)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기판(240)은 그 일측에서 내측으로 일정 간격 만입된 부분을 구비한다.
그리고, 소켓 모듈(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기판(240) 또는 소켓 모듈(300)에 형성된 그루브 멤버(322) 또는 돌출 멤버(422, 도 9a 참조)가 서로 결합된다. 이 때,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이나 피스(일 예로, 나사나 볼트)를 이용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판(240)은 소켓 모듈(300)이 장착되도록 모듈 장착부(242)를 구비하는 데, 모듈 장착부(242)는 기판(240)의 일부를 소켓 모듈(3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입된 부분의 근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모듈 장착부(242)에 단자부(2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부(243)는 제2 핀(332)과 서로 연결된다.
소켓 모듈(300)은 개구부(3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켓 모듈(300)은 커버부(350)와 함께, 커버부(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42)와 커버부(350)가 하우징(310)과 분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돌기(341)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350)는 개구부(31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10)가 삽입될 때, 가이드부를 따라 소켓 모듈(3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350)는 탄성 지지부(351)에 연결되여, 플러그(10)가 제거될 때 상기 개구부(311)를 닫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351)는 일단이 커버부(350)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부 공간의 커버부(350)에 대향하는 일측면에 연결될수 있다.
소켓 모듈(300)은, 소켓 모듈(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핀(331)과 소켓 모듈(3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331)은 플러그(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핀(332)은 일단이 제1 핀(331)과 연결되고, 하우징(310)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기판(240)의 단자부(243)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핀(332)은 하우징(310)에 형성된 개구부(311)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240)의 단자부(243)와 연결된다.
결합부(320)는 기판(2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그루브 멤버(322) 또는 돌출 멤버(422)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부(320)가 그루브 멤버(32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2 실시예(도 9a 참조)에서는 결합부(320)가 돌출 멤버(42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320)는 그루브 멤버(322)를 포함한다. 그루브 멤버(322)는 기판(2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321)을 한정하는 결합부(320)의 일부분이다. 홈(321)의 너비가 삽입되는 기판(240)의 두께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면, 삽입시 그루브 멤버(322)에 기판(240)이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홈의 너비는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켓 모듈(300)이 일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그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홈에 기판(240)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일부를 덮도록 기판(240)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멤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멤버(323)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기판(24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부(320) 또는 기판(240)은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락(Lock)부(324)와 락걸림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락부(324)가 소켓 모듈(300)이나 기판(240)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대응하여 기판(240)이나 소켓 모듈(300)에 락걸림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락부(324)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 부분이고, 락 걸림부는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락부(324)가 걸리는 부분이다. 락부(324)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기판(240)에 소켓 모듈(3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의 결합 상태도들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6a는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도이며, 도 6b는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6c는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모듈(300)은 기판(240)의 일부가 개구된 모듈 장착부(242)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그루브 멤버(322)와 기판(240)이 서로 접하게 되고, 그루브 멤버(322)가 한정하는 홈(321)으로 기판(240)이 삽입된다.
소켓 모듈(300)이 일정 깊이만큼 기판(240)의 내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루브 멤버(322)와 기판(24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기판(240) 조립체는 락부(324)와 락걸림부(244)를 포함하여,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락부(324)와 락걸림부(244)가 서로 맞닿게 되어 기판(240)에 소켓 모듈(3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과의 결합으로 인해, 소켓 모듈(300)과 기판(240)이 결합된 기판(240) 조립체를 기판(240)의 두께만큼 슬림화할 수 있다.
변형예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a와 8b는 도 7의 변형된 핀의 형상에 따라 도 4의 소켓 모듈(300)이 변형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10) 내에 형성되는 제1 핀(331)은 플러그(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310) 외부로 형성되는 제2 핀(332)은 앞선 제1 실시예(제2 면을 향하는 방향)와 다른 방향(제3 면 또는 제4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0)에서 개구부(311)가 위치한 반대 방향인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핀(332')이 연장되지만, 변형예에서는 개구부(311)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어느 일 측면, 즉 제3 면(3) 또는 제4 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핀(332')이 연장된다.
도 8a와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핀(332')은 하우징(310)의 어느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그루브 멤버(3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20)에 삽입되는 기판(240)의 일 측면에는 제2 핀(3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부(24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공정을 별도로 하지 않고도, 소켓 모듈(300)을 기판(240)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제2 핀(332)과 단자부(243')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핀(332)과 단자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320)와 기판(240)은 각각 락부(324) 또는 락걸림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a와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400)의 개념도로서, 도 9a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400)이 기판(25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b는 소켓 모듈(400)이 기판(25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410), 커버부(450) 및 핀과 관련하여 제1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420)는 결합되는 기판(250)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멤버(422)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250)에는 돌출 멤버(422)에 대응하는 홈부를 구비한다.
기판(250)은 소켓 모듈(400)이 장착되도록 모듈 장착부(252)를 구비하는 데, 모듈 장착부(252)는 기판(250)의 일부를 소켓 모듈(4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하여 개구시킨 부분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모듈 장착부(252)의 내측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다.
소켓 모듈(400)의 돌출 멤버(422)를 기판(250)의 홈부에 끼운 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소켓 모듈(400)과 기판(250)은 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기판(250)의 두께 만큼 소켓 모듈(400)을 구비한 기판(250) 조립체의 두께는 슬림해질 수 있다.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핀(432)은 하우징(410)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으로 현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핀(432)은 돌출 멤버(4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기판(250)의 홈부(255)에 형성된 단자부(2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실시예
도 10a와 도 10b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500)의 개념도로서, 도 11a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500)이 기판(26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b는 소켓 모듈(500)이 기판(26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510), 커버부 및 핀과 관련하여 제1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2 핀은 개구부(511)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511)가 위치한 하우징(510)의 제1 면(1)에 대향하는 제2 면(2)이나 하우징(510)의 상면, 또는 하우징(5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해당하는 제3 면(3) 또는 제4 면(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핀이 A 영역, B 영역 또는 C 영역에 배치될 때, 기판(260) 상의 이에 대응하는 영역(A', B', C')에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20)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멤버(522)를 구비한다. 돌출 멤버(522)는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기판(260)은 돌출 멤버(522)에 대응하는 리세스부(265)를 구비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5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은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기판(260)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기판(260)에 결합된다.
제4
실시예
도 11a와 11b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600)의 개념도로서, 도 11a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600)이 기판(27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b는 소켓 모듈(600)이 기판(270)에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610), 커버부(650) 및 핀과 관련하여 제1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핀(632)은 개구부(611)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611)가 위치한 하우징(610)의 제1 면(1)에 대향하는 제2 면(2)이나 하우징(610)의 상면, 또는 하우징(6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해당하는 제3 면(3) 또는 제4 면(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핀이 A 영역, B 영역 또는 C 영역에 배치될 때, 기판(260) 상의 이에 대응하는 영역(A', B', C')에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20)는 하우징(61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리세스 멤버(622)를 포함한다. 리세스 멤버(622)에 대응하여 기판(270)은 리세스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275)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6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은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기판(270)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기판(270)에 결합된다.
소켓 모듈(600)이 기판(270)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탄성 돌출부(275)는 기판(270)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하여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가, 소켓 모듈(6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리세스 멤버(622)를 향해 이동하여 리세스 멤버와 서로 결합된다.
탄성 돌출부는 일단이 기판(270)에 고정되는 베이스 멤버와 베이스 멤버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연장 멤버(623)를 구비한다. 연장 멤버(623)의 끝단에는 후크 멤버가 형성되어 리세스 멤버에 형성된 고정 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소켓 모듈(500, 600)이 캐리어(281)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캐리어(281)는 일면에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형성되고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281)는 안테나의 특성상 일정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는 데, 이로 인해, 단말기의 소형화에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캐리어(281)에 소켓 모듈(500, 600)을 장착하는 경우 단말기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281)는 소켓 모듈(500, 6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282)이 형성된다. 홀 또는 홈의 적어도 일측에는 소켓 모듈(500, 600)의 핀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자부를 구비하고, 단자부는 회로기판(28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캐리어(281)는 소켓 모듈(500, 600)의 개구부(311)까지 연통되는 관통홀(28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모듈(500, 600)은 홈 또는 홀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안착되고,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홈 또는 홀의 일측면에는 제3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탄성 돌출부 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하여 안착될 때, 소켓 모듈(500, 60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 삭제
- 삭제
- 삭제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핀; 및
일단이 상기 제1 핀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기판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그루브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핀은, 상기 그루브 멤버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된 기판에 형성된 단자부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되는 기판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삭제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핀; 및
일단이 상기 제1 핀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돌출 멤버에 대응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은,
상기 돌출 멤버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홈부에 형성된 단자부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기판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락부와, 상기 락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락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핀; 및
일단이 상기 제1 핀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돌출 멤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결합될 때, 상기 기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핀; 및
일단이 상기 제1 핀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리세스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방사 패턴이 형성되는 캐리어;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결합될 때,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캐리어는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리세스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캐리어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돌출 멤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삭제
- 삭제
-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방사 패턴이 형성되는 캐리어; 및
삽입되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는 소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모듈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에 결합될 때,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 모듈이 결합되도록, 상기 캐리어는 상기 소켓 모듈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리세스된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리세스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리세스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763A KR101923472B1 (ko) | 2011-12-06 | 2011-12-06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EP12008045.2A EP2602973B1 (en) | 2011-12-06 | 2012-11-30 | Socket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US13/693,365 US8932069B2 (en) | 2011-12-06 | 2012-12-04 | Socket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763A KR101923472B1 (ko) | 2011-12-06 | 2011-12-06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313A KR20130063313A (ko) | 2013-06-14 |
KR101923472B1 true KR101923472B1 (ko) | 2018-11-29 |
Family
ID=4752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9763A KR101923472B1 (ko) | 2011-12-06 | 2011-12-06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932069B2 (ko) |
EP (1) | EP2602973B1 (ko) |
KR (1) | KR1019234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472B1 (ko) * | 2011-12-06 | 2018-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KR102037931B1 (ko) * | 2013-03-15 | 2019-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US9942655B2 (en) | 2013-09-20 | 2018-04-10 | Infineon Technologies Ag | Sound processing |
KR102272337B1 (ko) | 2014-02-21 | 2021-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커버가 결합된 전자 장치 |
KR102507947B1 (ko) * | 2015-10-15 | 2023-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JP6968545B2 (ja) * | 2017-02-01 | 2021-11-17 | オムロン株式会社 | 近接センサ |
US10868375B2 (en) * | 2017-07-07 | 2020-12-15 | J.S.T. Corporation | Non-staggered dual Row SMT connector |
CN108321566A (zh) * | 2018-01-17 | 2018-07-24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10811798B2 (en) * | 2018-11-08 | 2020-10-20 | Te Connectivity Corporation | Card edge cable connector assembly |
KR102054441B1 (ko) * | 2019-03-28 | 2019-12-10 | 주식회사 빌드잇 | 센서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비콘 장치 및 센서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비콘 장치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PL241248B1 (pl) * | 2019-07-17 | 2022-08-29 | Krzysztof Zieliński | Ramka rozszerzeń urządzeń mobilnych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7218A (en) | 1985-04-29 | 1988-01-05 | Allied Corporation | Electric circuit board assembly |
WO2000008722A1 (en) * | 1998-08-05 | 2000-02-17 | Ericsson, Inc. | Moistur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for a cellular telephone |
US20040229484A1 (en) * | 2003-02-25 | 2004-11-18 | Shinji Uchida | Receptacle |
Family Cites Families (10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45510A (en) * | 1971-07-02 | 1973-07-10 | Interdyne Co | Printed circuit board/integrated circuit socket combination |
US4080522A (en) * | 1976-06-10 | 1978-03-21 | Cutler-Hammer, Inc. | Snap-in arrangement for mounting devices in a support panel aperture |
GB8510840D0 (en) * | 1985-04-29 | 1985-06-05 | Allied Corp | Electrical connectors |
US4695112A (en) * | 1986-12-29 | 1987-09-22 | Chrysler Motors Corporation | Printed circuit board, edgeboard connector therefor |
US4997996A (en) * | 1987-12-17 | 1991-03-05 | Nihon Kaikeiki Kogyo Kabushiki Kaisha |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
CA1306025C (en) * | 1988-02-15 | 1992-08-04 | John C. Collier |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
JPH0546227Y2 (ko) * | 1988-04-25 | 1993-12-02 | ||
JPH0737333Y2 (ja) * | 1989-06-13 | 1995-08-23 | ティアツク株式会社 | 部品取付け用ホルダー |
US5160275A (en) * | 1990-09-06 | 1992-11-03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
US5184961A (en) * | 1991-06-20 | 1993-02-09 | Burndy Corporation | Modular connector frame |
US5277596A (en) * | 1992-12-16 | 1994-01-11 | The Whitaker Corporation | Method of producing a card edge mounted connector and the resulting assembly thereof |
US5755586A (en) * | 1995-06-07 | 1998-05-26 | Maxtor Corporation | PCMCIA strain reliev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5702271A (en) * | 1996-08-30 | 1997-12-30 | The Whitaker Corporation | Ultra low profile board-mounted modular jack |
US5944536A (en) * | 1996-10-31 | 1999-08-31 | Thomas & Betts Corporation | Cover for an edge mount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US5881454A (en) * | 1996-11-25 | 1999-03-16 | Seagate Technology, Inc. | Method of making single-sided electronic connector |
DE59712744D1 (de) * | 1996-12-13 | 2006-11-23 | Fuba Automotive Gmbh | Leitungs-Steckverbindung |
JP3594434B2 (ja) * | 1997-01-08 | 2004-12-0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への電気コネクタ取付構造 |
US6315620B1 (en) * | 1997-04-24 | 2001-11-13 | Seagate Technology Llc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 pre-loaded straddle mounted connector assembly |
GB2331866B (en) * | 1997-11-28 | 2001-08-29 | Nokia Mobile Phones Ltd | Radiotelephone |
TW420404U (en) * | 1998-07-28 | 2001-01-21 | Hon Hai Prec Ind Co Ltd | Mini-connector |
TW422451U (en) * | 1998-09-22 | 2001-02-11 | Hon Hai Prec Ind Co Ltd | Power connector |
TW389394U (en) * | 1998-10-23 | 2000-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TW379878U (en) * | 1998-12-18 | 2000-01-11 | Speed Tech Corp | Clamping plate type memory card connector |
JP3445944B2 (ja) * | 1999-03-30 | 2003-09-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ジャック式光電共用接続装置 |
JP3393839B2 (ja) * | 2000-02-03 | 2003-04-07 | 株式会社日本ディックス | コネクタ |
US6325674B1 (en) * | 2000-03-20 | 2001-12-04 | 3Com Corporation | Card edge connector for a modular jack |
TW481380U (en) * | 2000-12-21 | 2002-03-21 | Hon Hai Prec Ind Co Ltd | Board-sink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
TW502883U (en) * | 2000-12-29 | 2002-09-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6416358B1 (en) * | 2001-04-23 | 2002-07-09 | Molex Incorporated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
TW560241B (en) * | 2001-05-18 | 2003-11-01 | Hosiden Corp |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
TW493828U (en) * | 2001-06-13 | 2002-07-01 | Hon Hai Prec Ind Co Ltd | Socket connector |
US20030003783A1 (en) * | 2001-06-29 | 2003-01-02 | Sung-Ming Song | Replaceable module for a notebook computer |
WO2003005366A1 (en) * | 2001-07-02 | 2003-01-16 | Seagate Technology Llc | Disc drive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
JP2003031316A (ja) * | 2001-07-18 | 2003-01-31 | Jst Mfg Co Ltd | 誤嵌合防止コネクタ |
TW514346U (en) * | 2002-03-08 | 2002-12-11 | Molex Inc | Electric connector and fixture structure for circuit board |
TW545736U (en) * | 2002-05-01 | 2003-08-01 | Molex Inc | Electrical connector |
JP3801546B2 (ja) * | 2002-08-07 | 2006-07-26 | Smk株式会社 |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
US6666694B1 (en) * | 2002-08-21 | 2003-12-23 | Methode Electronics, Inc. | Reduced profile EMI receptacle assembly |
US6824429B2 (en) * | 2002-10-17 | 2004-11-3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Transceiver cage assembly |
TW555209U (en) * | 2002-12-24 | 2003-09-21 | Molex Taiwan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6692273B1 (en) * | 2002-12-31 | 2004-02-17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Straddle mount connector |
TW570390U (en) * | 2003-03-12 | 2004-01-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TW568418U (en) * | 2003-05-26 | 2003-12-21 | Speed Tech Corp | Shield housing of connector |
JP2005056626A (ja) * | 2003-07-31 | 2005-03-03 | Mitsumi Electric Co Ltd | シャッタ付きコネクタ |
TWM254780U (en) * | 2003-12-09 | 2005-01-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20050233602A1 (en) * | 2004-04-19 | 2005-10-20 | Link Michael A |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connector that can be mounted on an edge of a printed circuit board |
CN2791967Y (zh) * | 2005-03-25 | 2006-06-2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00448114C (zh) * | 2005-04-19 | 2008-12-3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TWM290333U (en) * | 2005-11-18 | 2006-05-01 | Advanced Connectek Inc | Sink-board type electric connector |
KR101236391B1 (ko) * | 2005-12-01 | 2013-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정보처리장치 |
TWM305483U (en) * | 2006-08-16 | 2007-01-21 | Advanced Connectek Inc | Electric connector |
US7452216B2 (en) * | 2007-03-27 | 2008-11-18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Transceiver receptacle assembly |
TWM319560U (en) * | 2007-04-27 | 2007-09-21 | Advanced Connectek Inc | Radio-frequency socket connector |
JP4494441B2 (ja) * | 2007-07-03 | 2010-06-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US7497732B2 (en) * | 2007-07-25 | 2009-03-0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
US7458826B1 (en) * | 2007-08-13 | 2008-12-0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mpressio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
CN101453067B (zh) * | 2007-12-03 | 2012-01-1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卡缘连接器 |
CN101959453B (zh) * | 2008-02-29 | 2013-06-19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用于mr兼容医学监测的更少紧固件的边缘发射连接器 |
TWM344595U (en) * | 2008-03-31 | 2008-1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7572130B1 (en) * | 2008-04-01 | 2009-08-1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4753055B2 (ja) * | 2008-05-21 | 2011-08-17 | Smc株式会社 |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
CN201230007Y (zh) * | 2008-05-23 | 2009-04-2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合 |
US7677929B2 (en) * | 2008-06-04 | 2010-03-16 | Daphne Bradford-Stagg | Sacrificial laptop computer power connector |
US7628655B1 (en) * | 2008-06-11 | 2009-12-08 | Lotes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nd inserting method thereof |
US7878816B2 (en) * | 2008-07-08 | 2011-02-0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transmitting high frequency signal |
CN201285956Y (zh) * | 2008-07-21 | 2009-08-0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7869206B2 (en) * | 2008-09-05 | 2011-01-11 | Apple Inc. | Handheld computing device |
US7654835B1 (en) * | 2008-09-23 | 2010-02-02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7744427B2 (en) * | 2008-10-16 | 2010-06-29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s for storage device |
CN101420089B (zh) * | 2008-12-01 | 2013-03-06 |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连接器固定结构 |
TWM361769U (en) * | 2008-12-29 | 2009-07-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assembly |
CN101778533A (zh) * | 2009-01-08 | 2010-07-14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电路板组件及具有该电路板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
JP5141583B2 (ja) * | 2009-02-12 | 2013-02-13 |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8047853B2 (en) * | 2009-03-06 | 2011-11-01 | Ge Intelligent Platforms, Inc. | Printed circuit board with an adaptable connector module |
CN101872408A (zh) * | 2009-04-21 | 2010-10-27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Usb读卡器 |
JP4703748B2 (ja) * | 2009-07-30 | 2011-06-15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US8070526B2 (en) * | 2009-08-19 | 2011-12-06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assembled to insulative housing from top to bottom |
CN102004522A (zh) * | 2009-08-31 | 2011-04-06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主板 |
CN201498668U (zh) * | 2009-09-07 | 2010-06-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5320243B2 (ja) * | 2009-09-29 | 2013-10-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基板用コネクタの実装構造 |
US8215989B2 (en) * | 2009-10-05 | 2012-07-1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Audio jack with EMI shielding |
CN102044779B (zh) * | 2009-10-21 | 2012-10-31 |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 电连接器 |
TWM379869U (en) * | 2009-10-22 | 2010-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
CN201576786U (zh) * | 2009-11-02 | 2010-09-0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件 |
CN201667469U (zh) * | 2009-11-02 | 2010-12-0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8007320B1 (en) * | 2010-02-08 | 2011-08-3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mplex electrical connector |
US7883369B1 (en) * | 2010-02-24 | 2011-02-08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Receptacle connector |
US8221136B2 (en) * | 2010-04-23 | 2012-07-17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connector bodies mounted on opposite surfaces of a PCB |
US7866989B1 (en) * | 2010-05-31 | 2011-01-1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se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
US8007290B1 (en) * | 2010-06-01 | 2011-08-30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ounting device for a connector |
TWM398253U (en) * | 2010-07-20 | 2011-02-11 | Molex Taiwan Ltd | Electric connector |
US8323057B2 (en) * | 2010-08-13 | 2012-12-04 | Molex Incorporated | Receptacle connector |
US8142225B2 (en) * | 2010-08-27 | 2012-03-27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solder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TWM397638U (en) * | 2010-09-16 | 2011-02-01 | Bizlink Internat Corp | Micro video connector socket structure |
US8353726B2 (en) * | 2010-11-03 | 2013-01-15 |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
CN102159025B (zh) * | 2010-12-14 | 2013-01-23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子组件及其制造方法 |
US8215995B1 (en) * | 2011-01-06 | 2012-07-1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nector attached to a bracket and mounted in a cutout in a substrate |
US8342886B2 (en) * | 2011-03-14 | 2013-01-0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
US8272897B1 (en) * | 2011-08-16 | 2012-09-25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8337248B1 (en) * | 2011-10-12 | 2012-12-25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Connector assembly |
TWI462025B (zh) * | 2011-11-30 | 2014-11-21 | Wistron Corp | 具有可動式插卡結構之卡讀取器及電子裝置 |
KR101923472B1 (ko) * | 2011-12-06 | 2018-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US8568172B1 (en) * | 2012-04-12 | 2013-10-29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5259858B1 (ja) * | 2012-05-16 | 2013-08-07 | 株式会社東芝 | コネクタ、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KR101977076B1 (ko) * | 2012-07-25 | 2019-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8668520B2 (en) * | 2012-08-13 | 2014-03-11 | Proconn Technology Co., Ltd. | Card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fastening blocks for mounting a circuit board |
JP5969337B2 (ja) * | 2012-09-14 | 2016-08-17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モジュラージャック |
-
2011
- 2011-12-06 KR KR1020110129763A patent/KR1019234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1-30 EP EP12008045.2A patent/EP260297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12-04 US US13/693,365 patent/US893206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7218A (en) | 1985-04-29 | 1988-01-05 | Allied Corporation | Electric circuit board assembly |
WO2000008722A1 (en) * | 1998-08-05 | 2000-02-17 | Ericsson, Inc. | Moistur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for a cellular telephone |
US20040229484A1 (en) * | 2003-02-25 | 2004-11-18 | Shinji Uchida | Recepta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02973B1 (en) | 2014-07-16 |
US20130143435A1 (en) | 2013-06-06 |
EP2602973A1 (en) | 2013-06-12 |
US8932069B2 (en) | 2015-01-13 |
KR20130063313A (ko) | 2013-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895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23472B1 (ko) |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
KR10186392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2128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1768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6074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980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3769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951416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98053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113170A (ko) |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82983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0960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6190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2981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212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514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8654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8408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8408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99733B1 (ko) |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 |
KR2014005248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50341B1 (ko) |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10026823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18017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