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10B1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410B1 KR101816410B1 KR1020160073279A KR20160073279A KR101816410B1 KR 101816410 B1 KR101816410 B1 KR 101816410B1 KR 1020160073279 A KR1020160073279 A KR 1020160073279A KR 20160073279 A KR20160073279 A KR 20160073279A KR 101816410 B1 KR101816410 B1 KR 101816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tact
- longitudinal direction
- shield wall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365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0 electromagnetic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에 대한 콘택트 부재의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목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다극상으로 배열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13)의 콘택트 접속부(기판 접속부)(13f)에 대향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벽부(12a)를 설치하고, 그 쉴드벽부(12a)에 설치한 접지 접속부(12d)의 각각을, 이웃하는 콘택트 접속부(13f)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함과 아울러, 접지 접속부(12d)끼리가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 콘택트 접속부(13f)를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12e)을 형성하고, 콘택트 접속부(13f)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쉴드벽부(12a)에 의해 얻으면서, 그 쉴드벽부(12a)에 설치한 측방 검사창(12e)을 통해 배선 기판 P1에 대한 콘택트 접속부(13f)의 접속 상태를 목시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해결 수단> 다극상으로 배열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13)의 콘택트 접속부(기판 접속부)(13f)에 대향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벽부(12a)를 설치하고, 그 쉴드벽부(12a)에 설치한 접지 접속부(12d)의 각각을, 이웃하는 콘택트 접속부(13f)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함과 아울러, 접지 접속부(12d)끼리가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 콘택트 접속부(13f)를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12e)을 형성하고, 콘택트 접속부(13f)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쉴드벽부(12a)에 의해 얻으면서, 그 쉴드벽부(12a)에 설치한 측방 검사창(12e)을 통해 배선 기판 P1에 대한 콘택트 접속부(13f)의 접속 상태를 목시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서로 감합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스태킹 커넥터(stacking connector) 등으로 불리는 기판 접속용의 전기 커넥터 장치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의 배선 기판이 연결된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의 상방에, 제2의 배선 기판이 연결된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plug)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러한 상하의 대향 상태로부터, 상방측의 제2의 전기 커넥터가 하방측의 제1의 전기 커넥터를 향해 하강되도록 하여 밀어 넣어지고, 이에 의해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 상태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특히 근년의 전송 신호의 고주파화에 수반하여, 이른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대책을 세우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주를 쉴드(shield)벽(차폐벽)으로 둘러쌈으로써, 콘택트 부재의 신호 전송 경로에 대한 전자 차폐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쉴드벽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가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어 있는 부위가 쉴드벽으로 외방으로부터 덮인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콘택트 부재와 배선 기판의 접속 상황(땜납 접합 상황)이나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목시(目視)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실장 전의 커넥터(하우징)의 휨의 유무나 실장 후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의 배선 기판으로부터의 들뜸의 유무 등의 실장 상태를 시각이나 화상으로 확인하는 검사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에 대한 콘택트 부재의 접속 상태 등을 용이하게 목시할 수 있도록 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체(複數體)의 콘택트 부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이들 각 콘택트 부재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콘택트 접속부가 배선 기판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접속부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벽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쉴드벽부에,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ground) 접속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지 접속부의 각각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부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이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접속부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쉴드벽부에 의해 얻으면서, 그 쉴드벽부에 설치된 측방 검사창을 통해, 배선 기판에 대한 콘택트 접속부의 접속 상태 등을 목시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쉴드벽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부가 상기 쉴드벽부의 단연(端緣)부로부터 상기 배선 기판측을 향해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지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상기 쉴드벽부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의 판상 돌기편은 쉴드벽부와 하나의 면(面)인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 접속부가 쉴드벽부의 판두께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쉴드벽부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쉴드벽부는, 당해 쉴드벽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절곡되도록 하여 뻗어 나오는 고정 계지편(係止片)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계지편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연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쉴드벽부가 절연 하우징의 전체 길이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절연 하우징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쉴드벽부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표면을 상기 배선 기판과 대략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덮는 평면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접속부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이 평면 커버에 의해 더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 커버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 설치되고, 상기 커버 연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 연결부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를 상기 배선 기판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검사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 커버에 설치된 평면 검사창을 통해, 배선 기판에 대한 콘택트 접속부의 접속 상태를 목시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쉴드벽부 또는 상기 평면 커버에는, 감합 상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촉편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편을 통해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접지 저항이 저감되고, 그 만큼, 쉴드 특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평면 커버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 연결부가 상기 평면 커버의 단연부로부터 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평면 커버와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상기 평면 커버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연결부가 평면 커버의 판두께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평면 커버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콘택트 접속부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벽부를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하고, 그 쉴드벽부에 복수 설치된 접지 접속부의 각각을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함과 아울러, 접지 접속부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 콘택트 접속부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 접속부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쉴드벽부에 의해 얻으면서, 그 쉴드벽부에 설치된 측방 검사창을 통해, 배선 기판에 대한 콘택트 접속부의 접속 상태 등을 목시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배선 기판에 대한 접속 상태 등을 용이하게 목시할 수가 있어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고 또한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내의 VI-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내의 VII-VI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 내의 VIII-VII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9에 도시된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 내의 XV-XV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2 내의 XVI-X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 내의 XVII-XVI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0~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킨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1 내의 XXIV-XXIV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1 내의 XXV-XXV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1 내의 XXVI-XXVI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30은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의 구조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의 구조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내의 VI-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내의 VII-VI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 내의 VIII-VII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9에 도시된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 내의 XV-XV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2 내의 XVI-X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 내의 XVII-XVII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0~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킨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1 내의 XXIV-XXIV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1 내의 XXV-XXV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1 내의 XXVI-XXVI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1 및 제2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30은 제1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의 구조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2의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의 구조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기기 내에 배치된 배선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도 1~도 9에 도시된 제1의 전기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10)와, 도 10~도 18에 도시된 제2의 전기 커넥터로서의 플러그(plug) 커넥터(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가,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제1의 배선 기판 P1에 실장됨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가,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제2의 배선 기판 P2에 실장되고, 이와 같이 실장 상태인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 감합 조작됨으로써, 상술한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 P1, P2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감합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또한 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방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20)가 배치되고, 그러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상태로부터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도 27~도 29와 같이 접촉된 상태로 위치 맞춤의 조작이 행해지고, 감합 위치에 위치 맞춤된 플러그 커넥터(20)가 하방향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도 19~도 26에 도시되어 있듯이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 상태로 된다.
또, 상술한 감합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가 상방을 향해 적당한 힘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하방측의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가 상방으로 발거(拔去)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를 감합·발거하는 조작은, 작업자의 손으로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치구나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들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발거를 행하는데 즈음해서는, 하방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대해서, 상방측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가 상하로 반전된 상태로 대향 배치되게 되지만, 그 플러그 커넥터(20) 단체(單體)의 설명을 행하는데 즈음해서는, 반전 전의 상태, 즉 하방에 배치된 제2의 배선 기판 P2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20)를 상방측으로부터 실장한 상태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는 각각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절연 하우징(11, 21)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절연 하우징(11, 21)은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몰드(mold) 성형된 것이지만, 당해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23)가 소정의 피치(pitch)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들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의 배열 방향인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그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각 절연 하우징(11, 21)은, 특히 도 9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듯이, 당해 절연 하우징(11, 21)의 길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기단(基端)부(11a, 11a, 21a, 2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단부(11a, 11a)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끼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걸쳐 놓도록 하여 중앙 볼록부(11b)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단부(21a, 21a)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끼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걸쳐 놓도록 하여 중앙 오목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하우징(11, 21)의 기단부(11a, 11a, 21a, 21a)는 중앙 볼록부(11b) 및 중앙 오목부(21b)를 개재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지만, 이들 기단부(11a, 11a)끼리 및 기단부(21a, 21a)끼리를 걸쳐 놓도록 하여 도전성 쉘(shell)(12, 22)이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쉘(12, 22)은 후술하는 신호 콘택트 부재(13, 14)에 대한 쉴드벽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박판 형상 금속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부재의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절연 하우징(11, 21)의 외주 부분을 둘러싸도록 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에 장착된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이, 절연 하우징(11)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측에 장착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은 절연 하우징(21)에 대해서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절연 하우징(11, 21)의 중앙 볼록부(11b) 및 중앙 오목부(21b)에는,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콘택트 장착홈(11c, 21c)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콘택트 장착홈(11c, 21c)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 부재(13, 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14, 24)가, 각각 압입 및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중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2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극상을 이루도록 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이들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의 다극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외방 위치에, 전원 콘택트 부재(14, 24)가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전체 구성은 개략 이상과 같지만, 이하에 있어서 각부의 상세한 구성 및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에, 압입에 의해 장착된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절연 하우징(21)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된 신호 콘택트 부재(23)는, 각각의 전기 커넥터(10, 20)마다,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2열의 전극열을 각각 형성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들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신호 콘택트 부재(13, 13)끼리 및 신호 콘택트 부재(23, 23)끼리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마주 보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들 대칭적인 배치 관계인 신호 콘택트 부재(13, 13)끼리 및 신호 콘택트 부재(23, 23)끼리를 구별하는 일 없이 동일한 설명으로 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의 신호 콘택트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볼록부(11b)에는, 특히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술한 2열의 전극열끼리의 사이 부분, 즉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저면(底面)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칸막이판(11d)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띠판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11d)은 상술한 콘택트 장착홈(11c)의 홈 바닥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지만, 그 칸막이판(11d)과 당해 칸막이판(11d)의 커넥터 폭 방향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긴 측벽부(11e, 11e)의 사이의 공간 부분에, 양측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13)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마주 보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신호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절곡된 금속제의 띠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콘택트 장착홈(11c)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신호 콘택트 부재(13)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뻗어 있도록 절곡 형성된 감합 오목부(13a)가, 상술한 칸막이판(11d) 쪽의 커넥터 중심측 부분에 오목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일부가,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대략 'U'자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저변(底邊)부(13b)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는 외측 입상변(立上邊)부(13c) 및 내측 입상변부(13d)를 가지고 있다. 이들 내외(內外)의 양측 입상변부(13c, 13d) 중,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측에 배치된 외측 입상변부(13c)는, 상술한 긴 측벽부(11a)에 오목하게 설치된 콘택트 장착홈(11c)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고정 상태인 외측 입상변부(13c)로부터 커넥터 중심측(내방측)을 향해 상술한 저변부(13b)가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나와 있음과 아울러, 그 저변부(13b)를 개재하여 내측 입상변부(13d)가, 마찬가지로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와 있다. 이 내측 입상변부(13d)는 커넥터 중심측의 칸막이판(11d)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고정 상태인 외측 입상변부(13c)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중심측에 배치된 내측 입상변부(13d)의 상단 부분은, 상술한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오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 형상의 절곡 부분 중,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으로 튀어나온 부위에 볼록 형상 접점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 형상 접점부(13e)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커넥터 외방측에 배치된 외측 입상변부(13c)는, 상술한 것처럼 긴 측벽부(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매설된 절연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하듯이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 부재(23)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삽입된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일부에 대해서, 긴 측벽부(11a)의 내측 표면이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 부재(13)는, 각각의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마다 한 개소씩의 볼록 형상 접점부(13e)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신호 콘택트 부재(13)마다 한 개소씩 설치된 볼록 형상 접점부(13e)를 개재하여,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 부재(23)에 대한 신호 전송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신호 콘택트 부재(13)에 있어서의 외측 입상변부(13c)는, 상술한 저변부(13b)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상면 위치까지 일으켜져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튀어나온 후에 하방을 향해 반전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하면 위치에 있어서, 다시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 접속 다리부(13f)는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고, 제1의 배선 기판 P1에 대해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실장될 때에, 특히 도 30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의 배선 기판 P1 상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땜납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기판 접속 다리부(13f)의 땜납 접합은, 길이가 긴 형상의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모든 기판 접속 다리부(13f)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또, 상술한 복수체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13,···)의 다극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외방 위치에는, 한 쌍의 전원 콘택트 부재(14, 14)가 중앙 볼록부(11b)의 콘택트 장착홈(11c)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각 전원 콘택트 부재(14, 14)는 접점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13)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칸막이판(11d)을 끼운 양측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마주 본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들 각 전원 콘택트 부재(14)도,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절곡된 금속제의 띠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당해 전원 콘택트 부재(또는 접지 콘택트 부재)(14)가 구비하고 있는 판폭 치수 W1은,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판폭 치수 W2의 몇 배, 또는 그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W1>W2).
그리고, 이러한 전원 콘택트 부재(14)에 있어서도, 도 6에 도시하듯이 상술한 칸막이판(11d) 쪽의 커넥터 중심측 부분에, 오목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인 감합 오목부(14a)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뻗어 있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감합 오목부(14a)의 내방 공간에,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일부가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대략 'U'자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는 전원 콘택트 부재(14)의 감합 오목부(14a)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저변부(14b)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는 외측 입상변부(14c) 및 내측 입상변부(14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내외의 양측 입상변부(14c, 14d) 중,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측에 배치된 외측 입상변부(14c)가, 상술한 긴 측벽부(11a)에 오목하게 설치된 콘택트 장착홈(11c)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고정 상태인 외측 입상변부(14c)로부터는, 상술한 저변부(14b)를 개재하여 내측 입상변부(14d)가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와 있다. 이 내측 입상변부(14d)는 커넥터 중심측의 칸막이판(11d)에 근접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고정 상태인 외측 입상변부(14c)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넥터 중심측에 배치된 내측 입상변부(14d)의 상단 부분은, 상술한 감합 오목부(14a)의 내방 공간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오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 형상의 절곡 부분 중, 감합 오목부(14a)의 내방 공간으로 뻗어 나온 부위에, 볼록 형상 접점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 형상 접점부(14e)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오목부(14a)의 내방 공간에,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커넥터 외방측에 배치된 외측 입상변부(14c)가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부분의 도중 위치에는 오목 형상 접점부(14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형상 접점부(14f)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오목부(14a)의 내방 공간에,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일부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도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전원 콘택트 부재(14)는, 각각의 전원 콘택트 부재(14)의 감합 오목부(14a)마다, 볼록 형상 접점부(14e) 및 오목 형상 접점부(14f)로 이루어지는 2개소의 접점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전원 콘택트 부재(24)에 대해서, 2개소의 접점부(14e, 14f)를 개재하여 전원 전류의 공급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전원 콘택트 부재(14)의 외측 입상변부(14c)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상면 위치까지 일으켜진 후에,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튀어나오면서 하방을 향해 반전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하면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4g)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 접속 다리부(14g)는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실장시에, 제1의 배선 기판 P1 상의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1b에 대해서 땜납 접합되게 되어 있다. 이 기판 접속 다리부(14g)의 땜납 접합은, 길이가 긴 형상의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모든 기판 접속 다리부(14g)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플러그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다음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21)의 중앙 오목부(21b)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상의 배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긴 측벽부(21d, 21d)를 가지고 있고, 이들 각 긴 측벽부(21d)의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오목홈 형상의 콘택트 장착홈(21c)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가,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들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마주 보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21)의 중앙 오목부(21b)에 있어서는, 특히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술한 2열의 전극열끼리의 사이 부분, 즉 양측의 긴 측벽부(21d, 21d)끼리의 사이 부분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오목 형상 공간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긴 측벽부(21d)의 외주측에 감기도록 하여 각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양측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신호 콘택트 부재(23, 23)끼리 및 한 쌍의 전원 콘택트 부재(24, 24)끼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마주 본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는, 상술한 긴 측벽부(21d)의 상단연부를 덮도록 역 'U'자 형상의 만곡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절곡된 금속제의 띠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도 1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원 콘택트 부재(24)가 구비하고 있는 판폭 치수 W3은,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판폭 치수 W4의 몇 배, 또는 그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W3>W4).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원 콘택트 부재(14, 24)를 구성하고 있는 띠판 형상 부재의 폭치수 W1, W3이, 신호 콘택트 부재(13, 23)를 구성하고 있는 띠판 형상 부재의 폭치수 W2, W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W1, W3>W2, W4),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에 비해 전원 콘택트 부재(14, 24)에 의한 감합 보유력이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에 비해 큰 감합 보유력을 가지는 전원 콘택트 부재(14, 24)가, 전기 커넥터 장치의 평면시에 있어서 네 모퉁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전원 콘택트 부재(14, 24)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의 감합에 관한 간단하고 쉬운 잠금 기구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에 있어서, 역 'U'자 형상을 이루어 상방으로 돌출하는 부위가 감합 볼록부(23a) 및 감합 볼록부(24a)로 되어 있다. 이들 감합 볼록부(23a) 및 감합 볼록부(24a)는, 상대 감합체인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전원 콘택트 부재(14)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13a) 및 감합 오목부(14a)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전원 콘택트 부재(14)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에 있어서의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감합 볼록부(23a) 및 감합 볼록부(24a)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커넥터 중심측의 내벽(內壁)면과 커넥터 외방측의 외벽(外壁)면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커넥터 내외의 양쪽 벽면 중, 감합 볼록부(23a)의 각 내벽면에는, 오목 형상 접점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쌍방의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되고,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전원 콘택트 부재(14)의 감합 오목부(13a, 14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의 감합 볼록부(23a, 24a)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측의 오목 형상 접점부(23b)가,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볼록 형상 접점부(13e)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신호 콘택트 부재(2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23a)의 외벽면은, 평탄 면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다. 그리고, 쌍방의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되고,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감합 볼록부(23a)가 삽입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도 25에 도시하듯이 플러그 커넥터(20)측에 평탄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감합 볼록부(23a)의 외벽면이,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의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긴 측벽부(11e)의 내벽면에 대해서 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압접된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지 않는 절연된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이 행해졌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 부재(13)가 협지(挾持)된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에 의해, 당해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볼록 형상 접점부(13e)가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20)측의 오목 형상 접점부(23b)에 압압(押壓)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의 전기적인 접속성이 높아짐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11)의 유전성(誘電性)을 이용한 신호 전송의 임피던스(impedance) 정합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양쪽 전기 커넥터(10, 2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13, 23)끼리는, 커넥터 중심측에 배치된 볼록 형상 접점부(13e) 및 오목 형상 접점부(23b)로 이루어지는 한 개소의 접점부만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당해 한 개소의 접점부를 개재하여 신호 전송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전원 콘택트 부재(24)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24a)의 커넥터 외방측 벽면이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도중 위치에는, 볼록 형상 접점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쌍방의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됨으로써,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감합 볼록부(23a)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측의 볼록 형상 접점부(24c)가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의 전원 콘택트 부재(14)에 설치된 오목 형상 접점부(14f)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쪽 전기 커넥터(10, 20)에 설치된 전원 콘택트 부재(14, 24)끼리는, 커넥터 중심측에 배치된 볼록 형상 접점부(14e) 및 평면부로 이루어지는 내방측의 접점부와, 커넥터 외방측에 배치된 오목 형상 접점부(14f) 및 볼록 형상 접점부(24c)로 이루어지는 외방측의 접점부로 이루어진 2개소의 접점부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당해 2개소의 접점부를 개재하여 전원 전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의 감합 오목부(13a) 및 감합 볼록부(23a)마다 한 개소씩 설치된 볼록 형상 접점부(13e) 및 오목 형상 접점부(23b)를 통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기 때문에, 특히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의 간섭이 저감되어 양호한 전송 특성이 얻어지는 한편, 전원 콘택트 부재(또는 접지 콘택트 부재)(14, 24)의 감합 오목부(14a) 및 감합 볼록부(24a)에 설치된 볼록 형상 접점부(14e) 및 평면부와, 볼록 형상 접점부(24c) 및 오목 형상 접점부(14f)끼리가 접촉 상태로 되기 때문에, 충분한 감합 보유력이 얻어진다.
또,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또는 접지 콘택트 부재)(24)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23a, 24a)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하단 부분은, 플러그 커넥터(20)의 하면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23c, 24d)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기판 접속 다리부(23c, 24d)는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고, 플러그 커넥터(20)의 실장시에, 특히 도 3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의 배선 기판 P2 상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2a 및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2b에 대해서 땜납 접합되게 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 다리부(23c, 24d)의 땜납 접합은, 길이가 긴 형상의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모든 기판 접속 다리부(23c, 24d)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다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에 쉴드벽부로서 설치된 도전성 쉘(12)은, 2체(體)로 분할된 프레임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이들 한 쌍의 도전성 쉘(쉴드벽부)(12, 12)의 각각은,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박판 형상 금속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도전성 쉘(12)에 있어서의 평면 대략 'L'자 형상의 장변(長邊)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12a)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평면 대략 'L'자 형상의 단변(短邊)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짧은 측벽판(12b)이, 커넥터 폭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도전성 쉘(12, 12)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12a, 12a)끼리 및 짧은 측벽판(12b, 12b)끼리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그러한 대향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평면시로 한 때의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짧은 측벽판(12b)의 상연(上緣) 부분에는, 한 쌍의 고정 계지편(12c, 12c)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고정 계지편(12c)은, 후술하듯이 보조 커버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짧은 측벽판(12b)의 상연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중심측(내방측)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절곡된 후에 하방을 향해 반전하는 역 'U'자 형상의 절곡된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쪽 고정 계지편(12c, 12c)이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기단부(11a)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도전성 쉘(12)의 전체가 절연 하우징(11)에 대해서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긴 측벽판(12a) 및 짧은 측벽판(12b)의 하단연부에는,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이루어지는 접지 접속부(12d)가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접속부(12d)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긴 측벽판(12a) 및 짧은 측벽판(12b)과 하나의 면(面)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긴 측벽판(12a) 및 짧은 측벽판(12b)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12d)가 도전성 쉘(12)의 판두께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도전성 쉘(12)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접지 접속부(12d)의 하단부는,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에 설치된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P1c에 대해서 땜납 접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지만, 이 경우의 접지 접속부(12d)의 땜납 접합은, 길이가 긴 형상의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모든 접지 접속부(12d)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평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이, 절연 하우징(11)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신호 콘택트 부재(13)에 대한 전자 차폐가 행해지게 되어 있다.
특히, 당해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긴 측벽판(12a)은, 전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있어서,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 상에 대해서 세워 설치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당해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이,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13f)의 외단(外端)면에 대향하면서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상의 배열 방향)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기판 접속 다리부(13f)를 포함한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전체에 대한 전자 차폐가, 상술한 기판 접속 다리부(13f)와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의 사이의 공간 부분을 개재하여 적당하게 임피던스 정합된 상태로 양호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측방 검사창에 대해서]
또, 상술한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긴 측벽판(12a)에 설치된 복수체의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12d)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지만, 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접지 접속부(12d, 12d)끼리의 간격 영역에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12e)이 형성되어 있다.
즉, 그 도전성 쉘(쉴드벽부)(12)에 설치된 각 접지 접속부(12d)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비켜 놓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기판 접속 다리부(13f, 13f)끼리의 사이 부분에 접지 접속부(12d)가 배치된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접지 접속부(12d, 12d)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당해 접지 접속부(12d, 12d)와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이 하연(下緣)부로 형성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상술한 측방 검사창(12e)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측방 검사창(12e)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의 복수체(3체)가 병렬하는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측방 검사창(12e)을 통해, 조립 작업자가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측방 검사창(12e)의 내방 영역에, 복수체(3체)의 기판 접속 다리부(13f)의 끝면이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평면 커버에 대해서]
또한, 상술한 각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긴 측벽판(12a)의 상연 부분에는,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평면 커버(12f)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 평면 커버(12f)는 긴 측벽판(12a)의 상연부로부터 커넥터 중심측(내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긴 측벽판(12a)으로부터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의 선단 부근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 부분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대략 수평하게 뻗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도전성 쉘(쉴드벽부)(12)에 의해 양호하게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에는, 절연 하우징(11)의 상측 표면을 제1의 배선 기판 P1과 대략 평행하게 덮는 평면 커버(12f)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 접속 다리부(13f)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이 평면 커버(12f)에 의해 더 높아진다.
그 평면 커버(12f)는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볼록부(11b)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끼운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각 평면 커버(12f)에 있어서의 커넥터 중심측의 내단연(內端緣) 부분에는, 복수체의 커버 연결부(12g)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커버 연결부(12g)는 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 볼록부(11b)의 긴 측벽부(11e)에 받침대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받이부(11f)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재치(載置)되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연결부(12g)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삽입 및 발거시의 보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들 각 커버 연결부(12g)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평면 커버(12f)와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평면 커버(12f)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 커버(12f)에 설치된 커버 연결부(12g)는 평면 커버(12f)의 판두께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평면 커버(12f)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콤팩트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평면 커버(12f)에 설치된 복수체의 커버 연결부(12g)는,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지만, 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커버 연결부(12g, 12g)끼리의 간격 영역에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를 하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검사창(12h)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도전성 쉘(쉴드벽부)(12)에 설치된 각 커버 연결부(12g)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비켜 놓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기판 접속 다리부(13f, 13f)끼리의 사이 부분에 커버 연결부(12g)가 배치된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커버 연결부(12g, 12g)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당해 커버 연결부(12g, 12g)와 도전성 쉘(12)의 평면 커버(12f)의 내단연부로 형성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상술한 평면 검사창(12h)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평면 검사창(12h)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의 복수체(3체)가 병렬하는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평면 검사창(12h)을 통해, 조립 작업자가 하방향을 향해 목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평면 검사창(12h)의 내방 영역에, 복수체(3체)의 기판 접속 다리부 (13f)의 끝면이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2)에 설치된 측방 검사창(12e) 및 평면 검사창(12h)을 통해, 제1의 배선 기판 P1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의 접속 상태나 커넥터의 조립 상태가, 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목시로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접촉편에 대해서]
또한 상술한 도전성 쉘(12)의 평면 커버(12f) 및 그 평면 커버(12f)로부터 하방으로 절곡하여 뻗어 있는 긴 측벽판(12a)에 걸친 부위에는, 감합 상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촉편(12i)이 잘라 일으켜지도록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12i)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복수체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편(12i)을 구성하고 있는 판스프링 형상 부재의 뿌리 부분이 평면 커버(12f)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판스프링 형상 부재의 선단 부분이, 긴 측벽판(12a)의 외표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어 왔을 때에, 상술한 접촉편(12i)의 선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20)의 도전성 쉘(후술)에 대해서, 내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접촉편(12i)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커버 연결부(12g, 12g)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커버 연결부(12g) 대해서 접촉편(12i)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배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접촉편(12i)에 부여되는 압압력이 커버 연결부(12g)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의해 커버 연결부(12g)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가이드에 대해서]
한편, 상술한 것처럼 도전성 쉘(쉴드벽부)(12)의 긴 측벽판(12a)에 설치된 평면 커버(12f)의 표면은,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이 행해질 때에 상호 접촉 이동을 허용하는 미끄럼 가이드면으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미끄럼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커버(12f)의 표면에 대해서, 도전성 쉘(12)의 짧은 측벽판(12b)의 상연 부분에 연설된 고정 계지편(12c, 12c)의 정(頂)부 표면은, 당해 평면 커버(12f)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각 고정 계지편(12c)의 정부 표면도,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이 행해질 때의 미끄럼 가이드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쉘(12)에 설치된 고정 계지편(12c)은 평면 커버(12f)에 대한 보조 커버로서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평면 커버(12f)와 보조 커버 (12c)에 의해 미끄럼 가이드면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 가이드면을 이루는 평면 커버(12f) 및 보조 커버(고정 계지편)(12c)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의 표면이 상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미리 정해진 감합 위치까지의 가이드가 행해지지만, 이 점에 대해서도,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대해서]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측에 쉴드벽부로서 설치된 도전성 쉘(22)도, 2체로 분할된 프레임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절연 하우징(21)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이들 한 쌍의 도전성 쉘(쉴드벽부)(22, 22)의 각각은,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박판 형상 금속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도전성 쉘(22)에 있어서의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의 장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22a)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긴 측벽판(22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대향 배치된 타방의 도전성 쉘(22)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고정 계지편(22b, 22b)이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들 각 도전성 쉘(22)의 고정 계지편(22b, 22b)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연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기단부(21a, 21a)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됨으로써, 도전성 쉘(22)의 전체가 절연 하우징(21)에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에, 상술한 각 도전성 쉘(22)의 고정 계지편(22b)에는, 절연 하우징(21)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함과 아울러 고정 계지력을 높이기 위한 계합(係合) 구멍(22f)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인서트 성형이 행해질 때에, 절연 하우징(21)의 기단부(21a)에 설치된 계지(係止) 돌기(21e)가, 당해 도전성 쉘(22)의 계합 구멍(22f)에 관통한 상태가 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상술한 한 쌍의 도전성 쉘(쉴드벽부)(22, 22)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22a, 22a)끼리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배치됨과 아울러, 짧은 측벽판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계지편(22b, 22b)끼리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맞대어 배치됨으로써, 평면시로 한 때의 전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측에 있어서는,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도전성 쉘(쉴드벽부)(22, 22)끼리가 대향 배치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측에 있어서는, 평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도전성 쉘(쉴드벽부)(12, 12)끼리가 대향 배치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도전성 쉘(12, 12)끼리의 대향 배치에 의해 생기는 간극이, 플러그 커넥터(20)측의 도전성 쉘(22)에 의해 외방측으로부터 덮여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20)측의 도전성 쉘(22, 22)끼리의 대향 배치에 의해 생기는 간극이,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도전성 쉘(12)에 의해 내방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그 결과,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둘레가 쉴드벽부에 의해 완전히 덮인 상태가 되어 매우 양호한 쉴드 기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의 하단연부에는, 제2의 배선 기판 P2의 표면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이루어지는 접지 접속부(22c)가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접속부(22c)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과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긴 측벽판(22a)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이, 절연 하우징(11)의 기단부(21a)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인서트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 하우징(21)의 전체 길이 범위 내에 도전성 쉘(22)이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도전성 쉘(22)이 절연 하우징(21)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22c)가, 도전성 쉘(22)의 판두께 범위 내에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쉘(22)의 외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고,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도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더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접지 접속부(22c)의 하단부는, 제2의 배선 기판 P2의 표면에 설치된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P2c에 대해서 땜납 접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지만, 그 경우의 접지 접속부(22c)의 땜납 접합은, 길이가 긴 형상의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모든 접지 접속부(22c)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평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이 절연 하우징(21)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연 하우징(21)에 장착된 신호 콘택트 부재(23)에 대한 전자 차폐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당해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긴 측벽판 (22a)은, 전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23c)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있어서, 제2의 배선 기판 P2의 표면 상에 세워 설치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 (22a)이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기판 접속 다리부(23c)의 외단면에 대향하면서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상의 배열 방향)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기판 접속 다리부 (23c)를 포함하는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전체에 대한 전자 차폐가, 상술한 기판 접속 다리부(23c)와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 (22a)의 사이의 공간 부분을 개재하여 적당히 임피던스 정합된 상태로 양호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각각에 있어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13f, 23c)에 대한 전자 차폐 작용을 각각의 쉴드벽부로서 설치된 도전성 쉘(12, 22)에 의해 얻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2, 22)이 내외에 있어서 이중으로 배치되고, 또한 도전성 쉘(12, 22)의 일방에 의해 구성되는 쉴드벽부와 양쪽 배선 기판 P1, P2 중의 일방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도전성 쉘(12, 22)의 타방에 의해 구성되는 쉴드벽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매우 양호한 전자 차폐 작용이 얻어진다. 특히, 도전성 쉘(12, 22)과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 P1, P2의 간극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EMI 대책을 기대할 수 있다.
[측방 검사창에 대해서]
또, 상술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긴 측벽판(22a)에 설치된 복수체의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22c)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지만, 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접지 접속부 (22c, 22c)끼리의 간격 영역에는,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23c)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22d)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에 설치된 각 접지 접속부(22c)는,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23c)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비켜 놓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기판 접속 다리부(23c, 23c)끼리의 사이 부분에 접지 접속부(22c)가 배치된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접지 접속부(22c, 22c)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당해 접지 접속부(22c, 22c)와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22a)의 하연부로 형성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로로 긴 형상의 공간 부분이 상술한 측방 검사창(22d)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측방 검사창(22d)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23c)의 복수체(3체)가 병렬하는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측방 검사창(22d)을 통해, 조립 작업자가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측방 검사창(22d)의 내방 영역에, 복수체(3체)의 기판 접속 다리부(23c)의 끝면이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있어서도, 도전성 쉘(22)에 설치된 측방 검사창(22d)을 통해, 제2의 배선 기판 P2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2a에 대한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23c)의 접속 상태나 커넥터의 조립 상태가 측방으로부터 목시로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은,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한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지만, 이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의 내벽면이,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에 설치된 접촉편(12i)의 선단 부분에 대해서 외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쪽 도전성 쉘(12, 22)끼리가 전기적인 접지 접속 상태로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도전성 쉘(쉴드벽부)(12)에 설치된 접촉편(12i)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접지 저항이 저감되고, 그 만큼, 쉴드 특성이 향상된다.
[감합 가이드에 대해서]
한편, 상술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긴 측벽판(22a)의 상연 부분은,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이 행해질 때에 상호 접촉 이동을 허용하는 미끄럼 가이드면으로 되어 있다. 이 미끄럼 가이드면으로서의 긴 측벽판(22a)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에 마찬가지로 미끄럼 가이드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평면 커버(12f)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7~도 29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방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의 평면 커버(12f)에 대해서, 상하를 반전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 (22a)이 상방으로부터 접촉 배치된 상태로 되고, 그 접촉 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행해짐으로써, 미리 정해진 감합 위치에 대한 위치 맞춤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도전성 쉘(쉴드벽부)(22)의 네 모퉁이에 있어서의 각부 영역, 즉 긴 측벽판(22a)과 짧은 측벽판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계지편(22b)이 연결되어 있는 부위에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 위치에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22e)가 합계 4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위치 결정부(22e)는 긴 측벽판 (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의 상단연으로부터 단차를 이루어 돌출하는 받침대 형상의 볼록 형상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 측벽판(22a)과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의 연결 형상을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있어 평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하방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의 평면 커버(12f)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 (22a)이 상방으로부터 접촉 배치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행해져 미리 정해진 감합 위치에 이르면, 플러그 커넥터(20)측의 도전성 쉘(22)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22e)가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도전성 쉘(12)의 네 모퉁이 각부에 대해서 외방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감합 위치의 위치 맞춤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22e)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10)가 실장되어 있는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에 대향 배치되게 되지만, 그 위치 결정부(22e)가 대향 배치되는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에, 도전로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양쪽 전기 커넥터(10, 20)의 콤팩트화를 행해도, 감합시에 위치 결정부(22e)가 제1의 배선 기판 P1의 표면에 접촉하는 사태가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즈음해서, 당해 양쪽 전기 커넥터(10, 20)의 도전성 쉘(12, 22)의 미끄럼 가이드면(12f, 22a)끼리를 접촉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상대 이동이 저(低)마찰 상태로 양호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상대 이동이 행해지는데 있어서는, 금속 등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가이드면(12f, 22a)끼리가 접촉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등의 다른 부재의 접촉 상태에 비해, 깎임·파손 등의 사용 내구 상의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최종적인 감합 위치까지 이동이 행해졌을 때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쉴드벽부)(22)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22e)에 의해 위치 규제가 행해지기 때문에, 감합 조작이 원활히 행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촉편(12i)을 구성하고 있는 판스프링 형상 부재는, 뿌리측의 기단 부분을 긴 측벽판(12a)에 설치함과 아울러, 당해 접촉편(12i)의 선단 부분을 평면 커버(12f)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접촉편(12i)의 접속 상대는, 상대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기기의 도전성의 케이스와 접속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콘택트 부재(14, 24)는 접지용의 접지 콘택트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12, 22)끼리의 요철 감합 관계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의 사이에 있어서 역의 관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1의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기단부
11b : 중앙 볼록부 11c : 콘택트 장착홈
11d : 칸막이판 11e : 긴 측벽부
11f : 받이부 12 : 도전성 쉘(쉴드벽부)
12a : 긴 측벽판 12b : 짧은 측벽판
12c : 고정 계지편(보조 커버)
12d : 접지(ground) 접속부(판상 돌기편)
12e : 측방 검사창
12f : 평면 커버(미끄럼 가이드면)
12g : 커버 연결부 12h : 평면 검사창
12i : 접촉편 13 : 신호 콘택트 부재
13a : 감합 오목부 13b : 저변부
13c : 외측 입상변부 13d : 내측 입상변부
13e : 볼록 형상 접점부
13f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14 : 전원 콘택트 부재
14a : 감합 오목부 14b : 저변부
14c : 외측 입상변부 14d : 내측 입상변부
14e : 볼록 형상 접점부
14f : 오목 형상 접점부
14g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20 : 플러그(plug)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 21a : 기단부
21b : 중앙 오목부 21c : 콘택트 장착홈
21d : 긴 측벽부 21e : 계지 돌기
22 : 도전성 쉘(쉴드벽부)
22a : 긴 측벽판
22b :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
22c :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
22d : 측방 검사창 22e : 위치 결정부
22f : 계합 구멍 23 : 신호 콘택트 부재
23a : 감합 볼록부 23b ; 오목 형상 접점부
23c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24 : 전원 콘택트 부재 24a : 감합 볼록부
24c : 볼록 형상 접점부
24d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P1 : 제1의 배선 기판
P1a :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b :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1c :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P2 : 제2의 배선 기판
P2a ;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2b :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2c :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11 : 절연 하우징 11a : 기단부
11b : 중앙 볼록부 11c : 콘택트 장착홈
11d : 칸막이판 11e : 긴 측벽부
11f : 받이부 12 : 도전성 쉘(쉴드벽부)
12a : 긴 측벽판 12b : 짧은 측벽판
12c : 고정 계지편(보조 커버)
12d : 접지(ground) 접속부(판상 돌기편)
12e : 측방 검사창
12f : 평면 커버(미끄럼 가이드면)
12g : 커버 연결부 12h : 평면 검사창
12i : 접촉편 13 : 신호 콘택트 부재
13a : 감합 오목부 13b : 저변부
13c : 외측 입상변부 13d : 내측 입상변부
13e : 볼록 형상 접점부
13f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14 : 전원 콘택트 부재
14a : 감합 오목부 14b : 저변부
14c : 외측 입상변부 14d : 내측 입상변부
14e : 볼록 형상 접점부
14f : 오목 형상 접점부
14g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20 : 플러그(plug) 커넥터(제2의 전기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 21a : 기단부
21b : 중앙 오목부 21c : 콘택트 장착홈
21d : 긴 측벽부 21e : 계지 돌기
22 : 도전성 쉘(쉴드벽부)
22a : 긴 측벽판
22b :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
22c : 접지 접속부(판상 돌기편)
22d : 측방 검사창 22e : 위치 결정부
22f : 계합 구멍 23 : 신호 콘택트 부재
23a : 감합 볼록부 23b ; 오목 형상 접점부
23c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24 : 전원 콘택트 부재 24a : 감합 볼록부
24c : 볼록 형상 접점부
24d ; 기판 접속 다리부(콘택트 접속부)
P1 : 제1의 배선 기판
P1a :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b :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1c :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P2 : 제2의 배선 기판
P2a ;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2b : 전원 공급용 도전로(전원 패드)
P2c : 접지 도전로(접지 패드)
Claims (8)
-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각 콘택트 부재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콘택트 접속부가 배선 기판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접속부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벽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쉴드벽부에,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접속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지 접속부의 각각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부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쉴드벽부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표면을 상기 배선 기판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덮는 평면 커버가 설치되고, 당해 평면 커버에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 연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콘택트 접속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고, 당해 커버 연결부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간격 영역에, 상기 콘택트 접속부를 상기 배선 기판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목시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검사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부가 상기 쉴드벽부의 단연부로부터 상기 배선 기판측을 향해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지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상기 쉴드벽부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판두께 내에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돌기편은 쉴드벽부와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는 당해 쉴드벽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절곡하도록 하여 뻗어 나오는 고정 계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계지편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연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벽부 또는 상기 평면 커버에는, 감합 상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촉편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커버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버 연결부가 상기 평면 커버의 단연부로부터 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평면 커버와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상기 평면 커버의 판두께 내에 있어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49547A JP6179564B2 (ja) | 2015-07-29 | 2015-07-29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
JPJP-P-2015-149547 | 2015-07-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5125A KR20170015125A (ko) | 2017-02-08 |
KR101816410B1 true KR101816410B1 (ko) | 2018-01-08 |
Family
ID=5770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3279A KR101816410B1 (ko) | 2015-07-29 | 2016-06-13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755372B2 (ko) |
JP (1) | JP6179564B2 (ko) |
KR (1) | KR101816410B1 (ko) |
CN (2) | CN205882212U (ko) |
DE (1) | DE102016112982A1 (ko) |
FR (1) | FR3039715A1 (ko) |
TW (1) | TWI62411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79564B2 (ja) * | 2015-07-29 | 2017-08-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
JP6701345B2 (ja) * | 2016-08-04 | 2020-05-27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1579147S (ko) * | 2016-09-07 | 2017-06-19 | ||
JP6806028B2 (ja) * | 2017-01-19 | 2020-12-2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多極コネクタセット |
US10396479B2 (en) | 2017-01-19 | 2019-08-27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Multipolar connector set |
CN107546554B (zh) * | 2017-08-11 | 2019-08-30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6970928B2 (ja) * | 2017-11-06 | 2021-11-24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573135B2 (ja) * | 2017-11-06 | 2019-09-11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装置 |
JP6662369B2 (ja) * | 2017-12-28 | 2020-03-11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93611B1 (ja) * | 2018-08-03 | 2019-04-03 | Smk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163742B2 (ja) * | 2018-11-28 | 2022-11-01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108531B2 (ja) | 2018-12-27 | 2022-07-2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組立体 |
JP7245052B2 (ja) * | 2019-01-07 | 2023-03-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KR102711795B1 (ko) * | 2019-02-01 | 2024-09-30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무선 통신 장치 |
WO2020162548A1 (ja) * | 2019-02-07 | 2020-08-1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の検査方法 |
CN216413336U (zh) * | 2019-06-20 | 2022-04-29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多极连接器以及多极连接器组件 |
WO2020262138A1 (ja) * | 2019-06-24 | 2020-12-3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
CN118352849A (zh) * | 2019-07-04 | 2024-07-16 | 爱沛股份有限公司 | 连接器装置 |
JP7351116B2 (ja) * | 2019-07-04 | 2023-09-27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13950777B (zh) * | 2019-08-09 | 2023-05-02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连接器组以及电子电路装置 |
JP7214609B2 (ja) * | 2019-10-16 | 2023-01-3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JP7348045B2 (ja) * | 2019-12-03 | 2023-09-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の実装構造 |
KR102675703B1 (ko) * | 2020-02-14 | 2024-06-1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CN114938692A (zh) * | 2020-02-14 | 2022-08-23 | Ls美创有限公司 | 基板连接器 |
JP7446461B2 (ja) * | 2020-03-06 | 2024-03-08 |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 基板コネクタ |
KR102675704B1 (ko) * | 2020-03-06 | 2024-06-1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KR102675705B1 (ko) * | 2020-03-19 | 2024-06-1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JP7471960B2 (ja) | 2020-05-13 | 2024-04-2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US11652323B2 (en) * | 2020-05-13 | 2023-05-1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
US11489291B2 (en) | 2020-05-13 | 2022-11-0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US11539170B2 (en) | 2020-05-13 | 2022-12-2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urrounding board-to-board connectors in connected state |
US11495919B2 (en) * | 2020-05-13 | 2022-11-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
US11404809B2 (en) * | 2020-05-13 | 2022-08-02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hells surrounding each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KR102494901B1 (ko) * | 2020-05-13 | 2023-02-0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KR102507506B1 (ko) * | 2020-05-13 | 2023-03-08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
WO2022045603A1 (ko) * | 2020-08-28 | 2022-03-0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KR102706645B1 (ko) * | 2020-08-28 | 2024-09-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KR102706646B1 (ko) * | 2020-11-20 | 2024-09-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JP2023544398A (ja) * | 2020-11-20 | 2023-10-23 |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 基板コネクタ |
JP2022103929A (ja) * | 2020-12-28 | 2022-07-0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WO2022197006A1 (ko) * | 2021-03-17 | 2022-09-2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KR102647143B1 (ko) * | 2021-03-17 | 2024-03-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기판 커넥터 |
CN113871981A (zh) * | 2021-09-29 | 2021-12-3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连接器、显示屏及显示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20707A (ja) * | 2011-07-07 | 2013-01-3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2015002081A (ja) * | 2013-06-14 | 2015-01-0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
US20150064942A1 (en) | 2013-09-03 | 2015-03-05 | Dai-Ichi Seiko Co., Ltd.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61645B2 (ja) * | 1995-03-03 | 2003-01-07 | 富士通株式会社 | ジャックコネクタ及びジャックコネクタを含むコネクタ |
US5697799A (en) * | 1996-07-31 | 1997-12-16 | The Whitaker Corporation |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
US6517382B2 (en) * | 1999-12-01 | 2003-02-1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luggable module and receptacle |
TWM251313U (en) * | 2003-08-13 | 2004-11-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TWI249886B (en) * | 2004-06-18 | 2006-02-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CN2757364Y (zh) * | 2004-11-18 | 2006-02-0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4594706B2 (ja) * | 2004-11-26 | 2010-12-08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シールド付き基板接続用コネクタ |
JP5006610B2 (ja) * | 2006-10-05 | 2012-08-22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333884B2 (ja) | 2007-03-01 | 2009-09-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ATE540452T1 (de) * | 2009-05-29 | 2012-01-15 |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 Miniatur-schaltverbinder |
TWM372545U (en) * | 2009-07-31 | 2010-01-11 | Cheng Uei Prec Ind Co Ltd |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thereof |
JP4901944B2 (ja) * | 2009-12-03 | 2012-03-2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748334B2 (ja) | 2011-05-31 | 2015-07-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ユニット |
JP5839197B2 (ja) * | 2012-04-04 | 2016-01-0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配線基板連結装置 |
US8834205B2 (en) * | 2012-07-19 | 2014-09-16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luggable module system |
JP6045953B2 (ja) * | 2013-03-28 | 2016-12-14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4518328A (zh) * | 2013-09-26 | 2015-04-15 |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 插座连接器 |
KR101496720B1 (ko) * | 2013-11-08 | 2015-02-2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
CN204216285U (zh) * | 2014-07-15 | 2015-03-18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6179564B2 (ja) * | 2015-07-29 | 2017-08-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
-
2015
- 2015-07-29 JP JP2015149547A patent/JP6179564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6-07 TW TW105117936A patent/TWI624119B/zh active
- 2016-06-13 KR KR1020160073279A patent/KR101816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14 US US15/181,667 patent/US9755372B2/en active Active
- 2016-07-14 DE DE102016112982.8A patent/DE102016112982A1/de not_active Ceased
- 2016-07-22 FR FR1657005A patent/FR3039715A1/fr active Pending
- 2016-07-28 CN CN201620808989.3U patent/CN205882212U/zh active Active
- 2016-07-28 CN CN201610608116.2A patent/CN10641045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20707A (ja) * | 2011-07-07 | 2013-01-3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2015002081A (ja) * | 2013-06-14 | 2015-01-0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
US20150064942A1 (en) | 2013-09-03 | 2015-03-05 | Dai-Ichi Seiko Co., Ltd.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JP2015050099A (ja) * | 2013-09-03 | 2015-03-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5882212U (zh) | 2017-01-11 |
TW201711309A (zh) | 2017-03-16 |
CN106410456A (zh) | 2017-02-15 |
TWI624119B (zh) | 2018-05-11 |
US20170033510A1 (en) | 2017-02-02 |
JP6179564B2 (ja) | 2017-08-16 |
CN106410456B (zh) | 2020-02-21 |
DE102016112982A1 (de) | 2017-02-02 |
US9755372B2 (en) | 2017-09-05 |
FR3039715A1 (fr) | 2017-02-03 |
KR20170015125A (ko) | 2017-02-08 |
JP2017033654A (ja) | 2017-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410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
KR101874182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 |
KR101816411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
CN110800169B (zh) | 电连接器装置 | |
US11824312B2 (en) |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 |
JP2018073536A (ja)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