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8899B1 -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99B1
KR101748899B1 KR1020127019835A KR20127019835A KR101748899B1 KR 101748899 B1 KR101748899 B1 KR 101748899B1 KR 1020127019835 A KR1020127019835 A KR 1020127019835A KR 20127019835 A KR20127019835 A KR 20127019835A KR 101748899 B1 KR101748899 B1 KR 10174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sheet
chemical liquid
tissue paper
roll
laminated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455A (ko
Inventor
유스케 시이노키
타쿠야 오쿠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06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 B31F1/0009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 B31F1/0019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the plates, sheets or webs moving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58Characteristics of the embossed product
    • B31F2201/0761Multi-layered
    • B31F2201/0764Multi-layered the layers being nes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약액을 도포한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에서 박리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1차 원단 롤(JR)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S1)를 적층하는 적층 연속시트(S2)로 하는 적층공정(51)과,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콘택트 엠보스를 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공정(54)과, 콘택트 엠보스 공정(54) 후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공정(53)과,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공정(55)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형성하는 권취공정(56)을 갖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으로 한다.

Description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WHOLE ROLL FOR TISSUE PAPER PRODUCT}
본 발명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제공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슈 페이퍼를 상자에 채운 제품은 일반적으로 인터폴더(접힘 설비)에 의해 복수의 연속되는 티슈 페이퍼를 접으면서 적층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을 얻고, 이 티슈 페이퍼 묶음을 수납상자(티슈 카턴) 내에 수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은 인터폴더의 예로서, 하기 미국특허4052048호 공보(특공소55-1215호 공보), 일본 특개2006-240750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나, 하기 일본 특개소61-37668호 공보, 일본 특개평5-124770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로터리식 인터폴더 등이 알려져 있다.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의 종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초지(抄紙) 설비에서 박엽지를 제조하여 권취함으로써 1차 원단 롤(일반적으로 점보 롤이라고도 불리워진다)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1차 원단 롤을 플라이머신에 세트하고,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낸 1차 연속시트를 서로 겹쳐서 권취함과 동시에 슬릿(폭방향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플라이로 이루어지는 2차 원단 롤을 제조한다.
플라이머신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은 플라이머신으로부터 끄집어낸 후, 필요한 수만큼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트된다. 이어서, 2차 원단 롤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어 접힘 기구부로 보내고, 여기서 접으면서 적층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으로 하고, 수납상자 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다른 접힘 설비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비해서 다수(통상적으로 80~100기)의 접힘 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티슈 페이퍼 제품에 보습제 등의 약액이 도포된 것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일본 특개2004-322034호 공보, 일본 특표2008-525103호 공보, 일본 특개2008-264564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제조방법이나 설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티슈 페이퍼 제품은 주로 로터리식 인터폴더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예를 들어 하기 일본 특개2004-322034호 공보). 그러나 로터리식 인터폴더는 가공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접음과 재단을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결점이 있었다.
미국특허4052048호 공보(특공소55-1215호 공보) 일본 특개2006-240750호 공보 일본 특개소61-37668호 공보 일본 특개평5-124770호 공보 일본 특개2004-322034호 공보 일본 특표2008-525103호 공보 일본 특개2008-264564호 공보
그러므로, 약액이 도포된 티슈 페이퍼 제품을 로터리식 인터폴더에 비해서 가공속도가 빠른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고려되는데, 이 경우 플라이머신(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이나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와는 별도로 약액도포공정을 마련하면 설비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약액도포공정을 별도로 마련하면,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동일한 라인으로 제조하는 경우 약액도포공정을 피하는 라인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어, 약액 도포의 유뮤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플라이머신으로 약액을 도포하는 것을 발견했다. 플라이머신에 약액도포공정을 마련하면 설비비용을 억제하고, 또한 약액 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플라이머신으로 약액을 도포하면, 약액이 도포된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에서 박리나 어긋남이 발생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약액도포공정을 갖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이며, 약액을 도포한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에서 박리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들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공정과,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후에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전에 적층 연속시트에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 처리를 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청구항 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
상기 약액의 도포를 그라비어 인쇄방식으로 행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
상기 약액의 도포를 플렉소 인쇄방식으로 행하는 청구항 1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의 슬릿공정에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제조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은 이 후단에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트된다. 이어서,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트된 2차 원단 롤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서 접힘 기구부로 보내고, 여기서 접으면서 적층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으로 하고, 수납상자 내에 수납한다.
본 발명에서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의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이머신이나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와는 별도로 약액도포공정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서 설비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약액을 도포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공정으로부터 약액도포공정을 생략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약액도포공정은 적층공정 후이며, 또한 슬릿공정 전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액도포공정이 적층공정 전이면, 각각의 1차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설비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고, 반면에 슬릿 공정 후이면, 슬릿공정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기 때문에 슬릿으로부터 약액이 누출되어, 롤이 더러워지거나 종이가 잘라지는 원인이 된다. 약액도포공정이 적층공정과 슬릿공정 사이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슬릿공정에 의해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적층 연속시트에만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설비를 마련하면 되고, 약액의 손실이 적으며, 종이가 잘라지는 현상이 적어 조업이 안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약액도포공정이 콘택트 엠보스 공정의 후단이기 때문에, 약액의 도포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에서 박리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를 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활화 공정을 가짐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을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2차 원단 롤을 이용하여 제조된 티슈 페이퍼 제품의 플라이 벗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활화 공정은 적층공정과 콘택트 엠보스 공정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활화 공정이 적층공정 전이면, 티슈 페이퍼 제품의 플라이 벗겨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약액도포의 방법은 침지, 스프레이 도포, 플렉소 인쇄방식, 그라비어 인쇄방식에 의한 공지된 도포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약액의 도포는 그라비어 인쇄방식 또는 플렉소 인쇄방식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비어 인쇄방식이나 플렉소 인쇄방식은 가공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플렉소 인쇄방식은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1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접혀진 티슈 페이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a) 티슈 페이퍼 묶음을 수납상자에 수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b) 수납상자에 수납된 티슈 페이퍼를 끄집어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도이다.
도 7은 절판에 관한 부위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폴딩방법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폴딩방법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폴딩방법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11은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약액도포수단 주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콘택트 엠보스 수단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에 콘택트 엠보스를 부여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약액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약액공급장치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약액공급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약액공급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되는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에서 이용되는 닥터 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A)는 2개의 도입부와 1개의 도출부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고, (B)는 3개의 도입부와 2개의 도출부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고, (C)는 도입부 및 도출부가 각각 동일한 수 존재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12에서 도시되는 약액도포수단을 다른 것으로 치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적층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 약액 도포 전의 MD방향 단면도, (B) 약액침투공정 전의 상면도, (C) I-I방향에서 본 외관도.
도 21은 적층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표면 요철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 약액 도포 전, (B) 약액 도포 후.
도 22는 약액침투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HD는 수평방향을, 화살표 LD는 상하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1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1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파트를 거친 습지(W)가 보텀 펠트(111)에 얹어 놓아져서 이송되고, 그 후 톱 펠트(110) 및 보텀 펠트(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톱 롤(112)과 보텀 롤(113) 사이를 통과하여 물이 짜내어진다. 그 후 물이 짜내어진 습지(W)는 톱 펠트(110)에 얹어 놓아진 상태에서 터치 롤(116)을 통해서 양키 드라이어(115)의 표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습지(W)는 양키 드라이어(115)에 의해 건조되고,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잡아 떼어진 후, 권취됨으로써 1차 원단 롤(JR)이 된다.
이와 같이 종이를 뜰 때에는 예를 들어 분산제, 건조지력 증강제, 습윤지력 증강제, 유연제, 박리제, 접착제, 가성 소다 등의 pH 조정제, 소포제, 방부제, 스라임 콘트롤제, 염료 등의 적절한 약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1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잡아 떼어진 후에 캘린더 수단(118)에 의해 평활화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플라이머신(X3))은 상술한 제조방법 등으로 제조된 1차 원단 롤(JR)을 적어도 2개 이상 세트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 1차 원단 롤(JR)로부터 풀어낸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는 플라이 수단(51)을 가지고 있다.
플라이 수단(51)의 후단에는 플라이 수단(51)으로부터 흘러오는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콘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후단에는 약액을 도포하는 한쌍의 약액도포수단(5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약액도포수단(53)의 후단에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커터로 이루어지고, 약액도포수단(53)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55)이 배치되어 있으며, 슬릿 수단(55)의 후단에는 슬릿 수단(55)에 의해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형성하는 권취 수단(56)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 권취수단(56)은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S2)를 2차 원단 롤(R)로 안내하기 위한 2개의 와인딩 드럼(56A)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2개의 와인딩 드럼(56A)이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에 접하여 적층 연속시트(S2)를 안내하고 있다.
(캘린더 수단)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에는 적층 연속시트(S2)를 캘린더 처리하는 캘린더 수단(52)을 하나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캘린더 수단(52)에서의 캘린더의 종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표면의 평활성 향상과 종이 두께의 조정의 이유로부터 소프트 캘린더 또는 칠드 캘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캘린더는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재를 피복한 롤을 이용한 캘린더이며, 칠드 캘린더는 금속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이다.
캘린더 수단(52)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복수 설치하면 가공속도가 빨라도 충분히 평활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 하나이면 스페이스가 좁아도 설치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2개 이상의 캘린더 수단(52)을 설치하는 경우, 수평방향, 상하방향, 혹은 비스듬한 바향으로 나란히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설치방향을 조합시켜서 배치해도 된다.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랩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가공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랩 각도란 롤의 축 중심으로부터 봐서 시트가 접하고 있는 사이(축과 직교하는 단면의 원호의 일부)의 각도를 의미하고 있다(이하 동일함).
캘린더 처리조건에서의 캘린더 종별, 닙 선압, 닙 수 등도 제어요인으로서 종이를 뜨도록 하고, 이들 제어요인은 요구하는 티슈 페이퍼의 품질, 즉 종이 두께나 표면성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캘린더 수단(52)의 설치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플라이 수단(51)의 후단이며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의 전단으로 하거나, 약액도포수단(53)의 후단이며 슬릿 수단(55)의 전단으로 할 수 있다.
(약액도포수단)
본 실시형태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또는 제조방법에서는, 약액을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도포하는 경우, 양면의 합계의 약액 도포량은 1.5~5.0g/㎡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2.0~4.5g/㎡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g/㎡이 된다. 5.0g/㎡ 초과이면 종이강도 저하나 신장 등에 의해 종이가 잘라지거나, 와인딩 드럼으로 권취 시에 권취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또한 품질적으로 지나치게 끈적이는 경우도 나오게 된다. 1.5g/㎡ 미만이면 매끄러움이나 촉촉한 감 등 미도포품과의 품질 차이를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양쪽 도포면에의 도포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 도포 후에 플라이 원단으로 보관되고 나서 접힘 가공될 때까지의 시간(8시간 이상)에 양쪽 도포면은 접하고 있으므로, 서서히 양자의 약액량은 균등화되어서 표리차가 작아진다.
약액을 적층 연속시트(S2)의 한쪽면에만 도포하는 경우, 약액의 도포면은 적층 연속시트(S2)에서의 2차 원단 롤(R)의 내측에 위치하는 쪽의 면(1차 연속시트(S11) 측의 면)으로의 도포가 좋다. 이렇게 하면, 제품에서의 표리차는 있으나, 권취 어긋남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 경우, 도포량은 1.5~5.0g/㎡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2.0~4.5g/㎡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g/㎡이 된다.
또한 적층 연속시트(S2)를 구성하는 각 1차 연속시트의 크레이프율에 차이를 두는 경우, 크레이프율이 높은 쪽의 1차 연속시트 측(도시한 예에서는 1차 연속시트(S11) 측)에 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도 제안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20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2개의 약액도포수단(53) 중 1차 연속시트(S11)에 직접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수단(53B) 쪽이 다른 쪽의 약액도포수단(53A)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양면의 약액 도포량의 비는 100:0~60:40, 바람직하게는 75:25~60:40으로 한다.
도 20(A)은 약액 도포 전의 2플라이에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S2)의 단면도이다(MD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 2플라이에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을 도포하는데 있어서, 양면의 약액량에 차이를 두고, 도면에서는 1차 연속시트(S11)의 측에 약액을 많이 도포한다. 약액 도포 후, 적층 연속시트(S2)가 완전히 신장되기 전에 콘택트 엠보스(CE)에 의해 적층을 일체화하고, 슬릿 수단(55)에 의해 제품 폭으로 커트한다(도 20(B)). 그 후 적층 연속시트(S2)를 권취 수단(56)으로 권취하고, 약액을 침투시키기 위해서 가만히 둔다.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이 도포된 적층 연속시트(S2)를 구성하는 1차 연속시트(S11, S12)는 주로 MD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때 보다 많은 약액이 도포된 1차 연속시트(S11)가 다른 쪽의 1차 연속시트(S12)보다 큰 신장률을 갖는데, 1차 연속시트(S11, S12)는 콘택트 엠보스(CE)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신장된 1차 연속시트(S11)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한다(도 20(C)). 적층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크레이프율에도 차이를 두고, 1차 연속시트(S11)에 크레이프율이 높은 원지를 사용하면, 보다 1차 연속시트(S11)와 1차 연속시트(S12)의 신장률에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115)로 원지를 건조한 후,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양키 드라이어(115)로부터 벗긴 후, 드라이어 스피드와 권취 스피드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115)에의 종이의 접착에 의해 형상을 조정하는데, 이 접착에 약간의 불균일이 있는 것이나, 섬유 원료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미크로적인 시야로 보면 입체적으로 크레이프 형상에는 약간의 불균일이 존재한다. 이 불균일은 크레이프율이 커질수록 현저해진다.
이 크레이프의 불균일과 더불어, 약액을 도포했을 때의 신장에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이것이 3차원적으로는 작은 요동으로서 형성된다. 이 요동은 원단 시즈닝 시에는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현재화되지 않으나, 제품으로 가공하여 재단한 후에 복원하여 현재화한다. 시트에의 약액의 도포량이 많을수록, 크레이프가 클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요동은 크고, 반대로 시트에의 약액의 도포량이 적을수록, 크레이프가 작을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요동은 작다. 그렇기 때문에, 도포량뿐 아니라 크레이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부피증가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품질에 대해서 크레이프율이 다른 1차 연속시트(S11, S12)를 적층하여 제품화한 경우, 약액 도포를 행하지 않으면 제품인 티슈 페이퍼는 양면에서 벌크감이 다른 것이 된다(도 21(A)). 그러나 보다 표면의 요철이 큰(크레이프율이 높은) 1차 연속시트(S11)에 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함으로써, 1차 연속시트(S11)는 1차 연속시트(S12)보다 높은 신장률로 신장되는데, 콘택트 엠보스에 의해 MD방향과 평행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도시하지 않음) 1차 연속시트(S11)는 요동하고, 적층시트의 부피가 증가된다(도 21(B)).
약액 도포량에 차이를 둠으로써 제품의 양면에서 촉감, 사용감이 다른 것이 우려되는데, 2차 원단 롤(R)을 다음 공정(폴딩 가공 등)으로 제공하기 전에 롤의 상태에서 가만히 둠으로써, 약액 도포량이 다른 1차 연속시트(S11, S12)의 표면이 서로 마주 본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약액침투공정, 도 22), 연속시트 사이의 약액성분이 조금씩 전이되고(도면 중에서 회색 화살표), 그 차이는 시즈닝 중에 서서히 경감된다. 도 22 중의 흰색 화살표는 약액성분의 침투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약액도포수단(53)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라비어 인쇄방식, 혹은 플렉소 인쇄방식 등의 인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또는 제조방법에서는 약액도포수단(53)으로서 그라비어 인쇄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가공속도는 100~1000m/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50~950m/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950m/분으로 한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1000m/분 초과이면 도포 얼룩이 발생하고, 약액이 흩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그라비어 롤의 선 수는 40~160선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60~14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120선으로 한다. 선 수가 40선 미만이면 약액 비산량이 많아지고, 반면에 선 수가 160선 초과이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또는 제조방법에서는 약액도포수단(53)으로서 플렉소 인쇄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가공속도는 100~1100m/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50~1050m/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1000m/분으로 한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반면에 1100m/분 이상이면 도포 얼룩이 많이 발생하고, 약액이 비산량이 많아진다. 플렉소 쇄판 롤의 선 수는 10~60선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5~4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35선으로 한다. 선 수가 10선 미만이면 도포 얼룩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에 선 수가 60선 초과이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아니록스 롤의 선 수는 10~300선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5~20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선으로 한다. 선 수가 10선 미만이면 도포 얼룩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에 선 수가 300선 초과이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아니록스 롤의 셀 용량은 10~100cc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5~70cc, 특히 바람직하게는 30~60cc으로 한다. 셀 용량이 10cc 미만이면 원하는 도포량이 얻어지지 않고, 반면에 셀 용량이 100cc 초과이면 약액의 비산량이 많아진다.
플렉소 인쇄방식은 가공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다.
약액도포수단(53)에 그라비어 인쇄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터 또는 오프셋 그라비어 코터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플렉소 인쇄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닥터 챔버 형식(이하 단순히 닥터 챔버 형식이라고 한다)이나 1 또는 2롤 전사형식의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라비어 인쇄방식, 혹은 플렉소 인쇄방식 등의 인쇄방식을 이용한 약액도포수단(53)은 단수 혹은 복수 설치할 수 있고, 복수 설치하는 경우 수평방향, 상하방향, 혹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해도 되며, 수평방향을 포함한 이들 설치방향을 조합시켜서 배치해도 된다.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랩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수평방향에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약액도포수단(53)의 전후에 배치되는 수단(도 11의 예에서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54) 및 슬릿 수단(55))은 서로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층 연속시트(S2)를 약액도포수단(53)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직접 이송하고, 약액도포수단(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통과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약액 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에서는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11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연속시트(S2)를 캘린더 수단(52)으로부터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으로 직접 이송하고, 약액도포수단(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S2)를 흐르게 하면 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1>
여기서는 플렉소 인쇄방식에서의 닥터 챔버 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닥터 챔버 형식으로 되는 약액도포부(53A)는 약액이 들어 있는 닥터 챔버(61A)가 회전 가능한 아니록스 롤(63A)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닥터 챔버(61A)로부터 아니록스 롤(63A)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아니록스 롤(63A)과 접하며, 또한 적층 연속시트(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아니록스 롤(63A)로부터 쇄판 롤(64A)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이 쇄판 롤(64A)와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A)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64A)로부터 적층 연속시트(S2)로 약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A)가 후술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의 굴림대(54A)와 대향하며, 또한 전술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61A)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이 닥터 챔버(61A)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공급펌프(도시하지 않음)가 닥터 챔버(61A)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닥터 챔버 형식으로 되는 약액도포부(53B)는 약액이 들어 있는 닥터 챔버(61B)가 회전 가능한 아니록스 롤(63B)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닥터 챔버(61B)로부터 아니록스 롤(63B)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아니록스 롤(63B)과 접하며, 또한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아니록스 롤(63B)로부터 쇄판 롤(64B)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이 쇄판 롤(64B)과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B)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64B)로부터 적층 연속시트(S2)로 약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B)가 굴림대(54A)와 대향하지 않고, 또한 전술한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지 않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61B)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이 닥터 챔버(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공급펌프(도시하지 않음)가 닥터 챔버(61B)에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도포부(53A) 및 약액도포부(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때 약액도포부(53A)에 의한 굴림대(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 측의 도포량을 약액도포부(53B)에 의한 다른 면 측의 도포량에 대해서 적게 하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의 합계 도포량을 1.5~5g/㎡으로 하고, 나아가 플라이 원단 롤인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의 도포량을 2차 원단 롤(R)의 내주면의 도포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종이의 양면에 대한 로션제의 합계 도포량 중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으로의 도포량은 전체의 20% 이상이고 50% 미만이 좋으나, 구체적인 값은 2차 원단 롤(R)의 미끄러짐과 품질의 밸런스, 시트의 두께나 로션제의 침투성, 전이성에 의해 최적조건이 다르므로 상기 범위에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면마다 도포량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플렉소판의 선 수가 15~40선 정도, 꼭지점 면적률이 20~40% 정도인 약액이 흩어지지 않는 정도로 거칠게 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포 직후에는 도트 무늬가 남고, 순간적으로 도포부분과 비도포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인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판이 수지이어서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위생용 박엽지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 가능하여, 적층 연속시트(S2)에 주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반면 플렉소 인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S2)를 700m/분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900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이 되는 로션제를 후술하는 범위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여 구불구불하지 않게 적층 연속시트(S2)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 부수되는 약액도포수단(53)의 요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2롤 플렉소 형식의 약액도포수단에서는 약액 탱크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순환하는 약액에 포함되는 종이가루나 에어의 여과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와 같은 닥터 챔버 형식의 약액도포수단(53)으로 한 경우 종이가루 등이 적어지므로, 여과장치의 부하가 경감되는 것도 고려된다. 나아가 닥터 챔버(61A, 61B)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약액의 온도를 콘트롤하고, 약액 점도를 안정시킬 필요성이 고려되는데, 닥터 챔버(61A, 61B)에 연결되는 중간 탱크 및 배관에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조업 중에 적층 연속시트(S2)의 폭방향의 수분률로 도포량을 관리할 필요성이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적외선의 검사기 등을 이용하여 항상 폭방향의 수분량과 불균일을 체크할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
다음에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구체적인 구조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약액도포수단(53)을 구성하는 닥터 챔버 형식의 플렉소 인쇄방식에 의한 2개의 약액도포부(53A, 53B)의 한쪽만을 빼낸 구조의 약액공급장치(100)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약액도포부(53A, 53B)의 다른 쪽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약액공급장치(100)의 좌우방향을 X축방향, 상하방향을 Y축방향으로 한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공급장치(100)는 약액(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110)와,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밀어내는 압출부(120)와, 압출부(120)로부터 압출된 약액(L)을 저장하는 닥터 챔버(130)와, 닥터 챔버(130)에 저장되는 약액(L)의 일부를 탱크(110)로 끌어들이는 인입부(140)와, 닥터 챔버(130)로부터 공급되는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약액전사부(150)와, 적층 연속시트(S2)를 둘레면에 감아서 회동시키는 회동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닥터 챔버(61A, 61B)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닥터 챔버(130)가 되고, 전술한 탄성 롤(65A, 65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부(160)가 된다.
저장 탱크(110)는 내부에 약액(L)을 저장하는 탱크이며, 후술하는 압출부(120)의 압출 호스(121)와, 인입부(140)의 인입 호스(141)가 액층 내에 삽입되어 있다.
압출부(120)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된 압출 호스(121)와,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밀어내서 닥터 챔버(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와, 공급 펌프(122)에 의한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밸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출 호스(121)는 일단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와 접속된 호스이며,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공급 펌프(122)는 압출 호스(121)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저장 탱크(110) 내의 약액(L)을 닥터 챔버(130)로 가압 송급한다. 조정 밸브(123)는 공급 펌프(122)에 의해 압출되는 약액(L)의 유량을 밸브의 개폐에 의해 조정한다.
인입부(14)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된 인입 호스(141)와, 저장 탱크(110)에 약액(L)을 끌어들이는 인입 펌프(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 호스(141)는 일단이 저장 탱크(110)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닥터 챔버(13)의 도출부(133)와 접속된 호스이며, 도출부(133)로부터 도출되는 약액(L)을 저장 탱크(110)로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흡인 펌프(142)는 인입 호스(141)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도출부(133)로부터 도출되는 약액(L)을 흡인시켜서 저장 탱크(110)(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닥터 챔버(61A, 61B)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밀어내서 닥터 챔버(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가 되고,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61A, 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공급펌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 탱크(110)에 약액(L)을 끌어들이는 흡인 펌프(142)가 된다.
닥터 챔버(130)는 후술하는 아니록스 롤(15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약액(L)을 저장하는 본체부(131)와, 압출부(12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도입부(132)와, 인입부(14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도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31)는 닥터 챔버(130)의 본체 부분이며, 저장부(131a)와 블레이드(131b, 1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31a)는 아니록스 롤(151) 측의 단부가 개구되어 도입부(132) 및 도출부(133)과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L)을 아니록스 롤(151)에 공급한다. 그리고 아니록스 롤(151)에의 공급량이 일정해지도록 도입부(132)로부터 저장부(131a)에 도입되는 약액(L)의 일부가 도출부(133)를 통해서 도출됨으로써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아니록스 롤(63A, 63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니록스 롤(151)이 된다.
블레이드(131b, 131c)는 아니록스 롤(151)과 맞닿도록 마련되고, 아니록스 롤(151)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약액(L)을 짠다.
도입부(132)는 일단이 본체부(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압출부(120)의 압출 호스(121)에 접속되며, 압출부(12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관형의 이음매이고, 공급 펌프(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L)을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에 도입할 수 있다.
도출부(133)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133a)와 구멍부(133b)와 튜브(1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매(133a)는 일단이 본체부(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인입부(140)의 인입 호스(141)에 접속되며, 인입부(140)와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관형의 이음매이다.
구멍부(133b)는 이음매(133a)의 상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분이다.
즉 이음매(133a)에 구멍부(133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매(133a) 내의 약액(L)은 외기와 접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입부(132)로부터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도출부(133)로부터 도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흡인 펌프(142)로 약액(L)의 흡인을 행해도, 상기 구멍부(133b)에 의해 약액(L)이 외기와 접촉하여 내압을 외기압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멍부(133b)는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될 수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본체부(131)의 상면에 저장부(131a)에 연통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튜브(133c)는 구멍부(133b)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튜브형상의 부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입부(132)로부터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약액(L)이 구멍부(133b)를 통해서 이 튜브(133c) 내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133c) 내로의 유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로 되어 있는(아니록스 롤(151)에 대해서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의 상태를 목시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 과다의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133c)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상단 측이 외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멍부(133b)의 작용을 상쇄하지 않는다.
약액전사부(150)는 예를 들어 닥터 챔버(130)로부터 약액(L)이 공급되는 아니록스 롤(151)과, 아니록스 롤(151) 및 후술하는 회동부(160) 사이에 마련된 쇄판 롤(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술한 쇄판 롤(64A, 64B)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쇄판 롤(152)이 된다.
아니록스 롤(151)은 닥터 챔버(130)의 블레이드(131b, 131c)와 맞닿도록 마련되고, 닥터 챔버(130)의 저장부(131a)의 개구로부터 공급되는 약액(L)이 둘레면에 흡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니록스 롤(151)은 원주형을 이루고,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L)은 회동에 의해 쇄판 롤(152)에 전사할 수 있다.
쇄판 롤(152)은 둘레면이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원주형을 이루고, 좌우단부의 둘레면(도 14에 도시하는 점(P1), 점(P2))이 아니록스 롤(151) 및 회동부(160)(에 감겨지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둘레면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쇄판 롤(152)은 좌단에서 맞닿는 회동부(160)가 r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r2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우단에서 맞닿는 아니록스 롤(151)을 r1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쇄판 롤(152)은 아니록스 롤(151)의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L)을 점(P2)에서 취득하고, r2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점(P1)까지 반송하여 적층 연속시트(S2)에 전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니록스 롤(151)에 의해 흡착된 약액(L)이 아니록스 롤(151)의 둘레면 상에 층형상으로 불균일하게 남는 경우에도 쇄판 롤(152)의 둘레면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적층 연속시트(S2)에 약액(L)을 균일하게 전사할 수 있다.
회동부(160)는 쇄판 롤(152)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부터 구동력이 부여됨으로써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예를 들어 도 14의 r1 방향)에 회동하는 원주형상의 부재이며, 둘레면에서 적층 연속시트(S2)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회동부(160)는 r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공급되는 적층 연속시트(S2)를 둘레면에 감음과 동시에, 쇄판 롤(152) 및 아니록스 롤(151)을 회동시켜, 점(P1) 위치까지 반송한 시점에서 쇄판 롤(152)로부터 약액(L)을 전사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160)의 회동의 방향은 도 14에서 r1 방향으로 했으나, 물론 r2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아니록스 롤(151) 및 쇄판 롤(152)은 도 14와 반대방향(즉 아니록스 롤(151):r2 방향, 쇄판 롤(152):r1 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1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켜서 저장 탱크(110)로부터 약액(L)을 밀어내고, 압출 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해서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로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160)를 회동시켜서 아니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의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을 통해서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상에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켜서, 도출부(133)를 통해서 저장부(131a)의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를 향해서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때 도출부(133)의 이음매(133a) 내에서 구멍부(133b)를 통한 외기 접촉에 의해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순환 시에 약액(L)의 튜브(133c) 내로의 유입이 확인된 경우,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100)에 의하면, 약액(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110)와,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본체부(131)에 압출 호스(121)를 통해서 공급하는 공급 펌프(122)와, 닥터 챔버(130)의 본체부(131)에 저장된 약액(L)을 흡인시켜서 저장 탱크(110)(외부)에 인입 호스(141)를 통해서 배출시키는 흡인 펌프(142)를 구비하고, 닥터 챔버(130)는 압출 호스(121)와 본체부(131)를 연결하고, 공급 펌프(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L)을 본체부(131)에 도입하는 도입부(132)와, 인입 호스(141)와 본체부(131)를 연결하고, 도입부(132)로부터 본체부(131)로 도입된 약액(L)의 일부를 도출하기 위한 관형상의 이음매(133a)를 구비한 도출부(133)를 갖고, 도출부(133)의 이음매(133a)의 상면에 구멍부(13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약액공급장치(100)에서는 도출부(133)의 이음매(133a)의 상면에 구멍부(133b)가 구비된다. 그렇기 때문에, 흡인 펌프(142)를 이용하여 본체부(131) 내의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할 때에 상기 구멍부(133b)에 의해 약액(L)이 외기와 접촉하므로, 흡인 펌프(142)의 동작에 기인한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할 때에 흡인 펌프(14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액(L)을 자연히 낙하시키기 위한 유로는 필요하지 않고, 탱크(110)의 설치위치도 특별히 닥터 챔버(130)의 상방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약액공급장치(100)는 닥터 챔버(130)로부터 약액(L)을 빨아낼 때의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극력 공간을 절약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약액공급장치(100)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b)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투명 또는 반투명 튜브(133c)를 구비한다.
즉 도입부(132)로부터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약액(L)이 구멍부(133b)를 통해서 이 튜브(133c) 내에 유입되는지 여부를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튜브(133c) 내에의 유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로 되어 있는(아니록스 롤(151)에 대해서 약액(L)이 과공급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의 상태를 목시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 과다의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133c)의 상단(자유단)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마련함으로써, 구멍부(133b)에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3>
다음에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에서는 구멍부(133b)에 연결된 튜브(133c) 내로의 약액(L)의 유입을 목시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아니록스 롤(151)에 대해서 약액(L)이 과공급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나, 본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200)에서는 상기 상태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판별결과를 알리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공급장치(200)의 설명에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도출부(233)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133a)와, 구멍부(133b)와, 구멍부(133b)의 상방에 마련된 원통형부(133d)와, 원통형부(133d)에 설치된 센서부(13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부(133d)는 구멍부(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 접속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센서부(133e)는 원통형부(133d)에 마련된 센서(133f)와, 센서(133f)에 의해 설치되어, 센서(133f)의 검지에 연동하여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133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133f)는 예를 들어 피검지체를 향해서 발광하는 발광소자(도시하지 않음)와, 피검지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수광소자로부터의 반사광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이 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도 16에 도시하는 y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통지부(133g)는 예를 들어 스피커 등이며,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상기 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된 경우에 음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입부(132)로부터 도입한 약액(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로 유입되는 약액(L)이 상기 높이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함으로써, 저장부(131a)에 저장되는 약액(L)의 양이 과다로 되어 있는지(아니록스 롤(151)에 대해서 약액(L)이 과공급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다 상태에 이른 경우, 사용자는 통지부(133g)에 의해 그 취지를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정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 과다의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통형부(133d)는 내부가 공동으로 상단 측이 외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부(133b)의 작용을 상쇄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켜서 저장 탱크(110)로부터 약액(L)을 밀어내고, 압출 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해서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로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160)를 회동시켜서 아니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의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을 통해서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상으로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켜서, 도출부(233)를 통해서 저장부(131a)의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를 향해서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때 도출부(233)의 이음매(133a) 내에서 구멍부(133b)에서의 외기접촉을 통해서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순환 시에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로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되고, 통지부(133g)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 취지가 통지된 경우, 조정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하면,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원통형의 원통형부(133d)와, 원통형부(133d)에 마련되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 위치(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133f)와,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상기 소정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된 경우에 통지하는 통지부(133g)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약액공급장치(200)에 의하면, 약액공급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센서(133f) 및 통지부(133g)에 의해, 아니록스 롤(151)에 대해서 약액(L)이 과공급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판별결과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태 판별을 사용자 자신이 행하는 부담이 경감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4>
다음에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4의 약액공급장치(300)에 대해서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 및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에서는 구멍부(133b)의 개구량은 고정값이 되도록 구성했으나, 본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300)에서는 이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공급장치(300)의 설명에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형태 2의 약액공급장치(100) 및 실시형태 3의 약액공급장치(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도출부(333)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133a)와, 원통형상부(133d)와, 센서부(133e)와, 원통형부(133d)에 설치된 조정부(133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정부(133h)는 예를 들어 니들 밸브이며, 이음매(133a)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로서의 구멍부(133j)와,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밸브 본체(133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멍부(133j)는 소정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개구의 주위가 오리피스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본체(133i)는 상기 구멍부(133j)의 개구의 상방에 배치되고,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상하동 가능한 니들 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니들 축을 상하로 움직여서, 구멍부(133j)의 오리피스와 접촉할 때의 개도에 따라서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정부(133h)에 의해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닥터 챔버(131) 내의 내압 변동량에 따라서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센서부(133e)에 의해, 원통형부(133d)에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된 경우, 조정 밸브(123)를 조작하여 약액(L)의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대처할 뿐 아니라, 조정부(133h)에 의한 구멍부(133j)의 개구량의 조정에 의해 구멍부(133j)에 의한 에어 제거 능력을 높이고(외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고),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하는 대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내압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내압 변동에 의해 초래되는 닥터 챔버(130) 내로부터의 약액(L)의 분출이나, 아니록스 롤(151) 상의 약액(L)의 닥터 챔버(130) 측으로의 흡입 등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므로 약액(L)의 순환이 촉진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한 약액(L)의 순환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122)를 구동시켜서 저장 탱브(110)로부터 약액(L)을 밀어내고, 압출 호스(121) 및 닥터 챔버(130)의 도입부(132)를 통해서 본체부(131)의 저장부(131a)로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160)를 회동시켜서 아니록스 롤(151)에 저장부(131a)의 약액(L)을 공급하고, 쇄판 롤(152)을 통해서 약액(L)을 적층 연속시트(S2) 상으로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142)를 구동시켜서, 도출부(333)를 통해서 저장부(131a)의 약액(L)의 일부를 저장 탱크(110)로 향해서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 시에 센서(133f)에 의해, 원통형부(133d)로 유입되는 약액(L)의 높이가, 센서(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되어, 통지부(133g)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 취지가 통지된 경우, 조정 밸브(123)의 조작 또는 조정부(133h)에 의한 구멍부(133j)의 개구량의 조정에 의해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하면, 닥터 챔버(130)는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조정부(133h)를 구비한다.
즉 약액공급장치(300)에 의하면, 약액공급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상기 조정부(133h)에 의해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약액(L)을 순환시킬 때에 닥터 챔버(131) 내의 내압 변동량에 따라서 구멍부(133j)의 개구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닥터 챔버(130) 내의 내압 변동을 한층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의 약액공급장치에서는, 압출 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 및 압출 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의 하나만 닥터 챔버(130)가 갖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하는 각 예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151)을 따라서 넓은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단 부근의 부분에 각각 압출 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130)의 중앙부에 인입 호스(141)에 연결되는 하나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 있다.
즉 도 18(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2개의 압출 호스(121)가 각각 2개의 도입부(132)에 연결되어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좌우단 부근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로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중앙부의 도출부(133)로부터 남은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18(B)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151)을 따라서 넓은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단 부근 및 중앙부에 각각 압출 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의 좌우에 근접한 부분에 각각 인입 호스(141)에 연결되는 2개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 있다.
즉 도 18(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개의 도입부(132)의 각각의 사이에 2개의 도출부(132)가 각각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3개의 압출 호스(121)가 각각 3개의 도입부(132)에 연결되어 약액(L)을 닥터 챔버(130)의 좌우단 부근 및 중앙부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로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2개의 도출부(133)로부터 남은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한편, 도 18(C)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151)을 따라서 넓은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D)에 따른 등간격 또는 도면의 상측에 가까운 복수 부분에 각각 압출 호스(121)에 연결되는 도입부(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입부(132)에 서로 이웃한 닥터 챔버(130)의 도면의 하측에 가까운 부분에 각각 인입 호스(141)에 연결되는 복수의 도출부(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 있다.
즉 도 18(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닥터 챔버(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도입부(132)에 압출 호스(121)로부터 각각 약액(L)이 공급됨과 동시에, 이들 도입부(132)에 각각 서로 이웃하고 있는 복수의 도출부(144)로부터 남은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도 저장 탱크(110) 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L)을 닥터 챔버(130) 내로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도출부(133)로부터 남은 약액(L)이 닥터 챔버(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액공급장치(100)에서 튜브(133c)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멍부(133b)의 상부에 에어 필터를 설치하고, 구멍부(133b)에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구멍부(133b)는 저장부(131a)의 약액(L)의 액면보다 상방이면 본체부(131)의 측면에 마련해도 된다.
<플렉소 2롤 전사형식의 실시형태>
여기서는 플렉소 인쇄방식에서의 2롤 전사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플렉소 인쇄방식의 약액도포부(53A)는 약액이 들어 있는 약액 탱크(66A)에 딥 롤인 압착 롤(62A)이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약액 탱크(66A) 외에서 압착 롤(62A)과 접하면서 아니록스 롤(63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아니록스 롤(63A)과 접하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A)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A)가 후술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의 굴림대(54A)와 대향하면서, 또한 전술하는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플렉소 인쇄형식의 약액도포부(53B)는 약액이 들어 있는 약액 탱크(66B)에 딥 롤인 압착 롤(62B)이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약액 탱크(66B) 외에서 압착 롤(62B)과 접하면서 아니록스 롤(63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아니록스 롤(63B)과 접하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6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적층 연속시트(S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65B)로 적층 연속시트(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약액도포부(53B)가 굴림대(54A)와 대향하지 않고, 전술하는 와인딩 드럼(56A)과도 대향하지 않게 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다른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에 약액도포부(53A) 및 약액도포부(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때 약액도포부(53A)에 의한 굴림대(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S2)의 면 측의 도포량을 약액도포부(53B)에 의한 다른 면측의 도포량에 대해서 적게 하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의 합계 도포량을 전술한 바와 같이 1.5~5g/㎡으로 하고, 플라이 원단 롤인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의 도포량을 2차 원단 롤(R)의 내주면의 도포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종이의 양면에 대한 로션제의 합계 도포량 중 2차 원단 롤(R)의 외주면으로의 도포량은 전체의 20% 이상이며 50% 미만이 좋으나, 구체적인 값은 2차 원단 롤(R)의 미끄러짐과 품질의 밸런스, 시트의 두께나 로션제의 침투성, 전이성에 의해 최적조건이 다르므로 상기 범위에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면마다의 도포량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플렉소판의 선 수가 15~40선 정도, 꼭지점 면적률이 20~40% 정도인 약액이 흩어지지 않는 정도로 거칠게 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포 직후에는 도트 무늬가 남고, 순간적으로 도포부분과 비도포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형식을 이용하여 판이 수지이며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 가능하여, 그라비어 인쇄와 같은 금속 롤로 도포하는 것에 비해서 적층 연속시트(S2)에 주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반면 플렉소 인쇄를 응용한 플렉소 인쇄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S2)를 700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이 되는 로션제를 1.5g/㎡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여 구불구불하지 않게 적층 연속시트(S2)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수되는 약액도포수단(53)의 요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약액 탱크(66A, 66B)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순환하는 약액에 포함되는 종이가루나 에어의 여과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여과장치로서는 필터로 종이가루 등을 제거하는 것이 고려된다. 나아가 약액 탱크(66A, 66B) 등의 도포장치 내에서 약액의 온도를 콘트롤하고, 약액 점도를 안정시키는 필요가 고려되는데, 약액 탱크(66A, 66B)에 연결되는 중간 탱크 및 배관에 히터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반면 조업 중에 적층 연속시트(S2)의 폭방향의 수분률로 도포량을 관리할 필요가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적외선의 검사기 등을 이용하여 항상 폭방향의 수분량과 불균일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니록스 롤(63A, 63B)에 대해서 닥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해도 되고, 이 경우 약액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아니록스 롤(63A, 63B)로부터 약액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누릴 수 있으나, 그 반면 닥터 블레이드를 손질하거나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다.
<플렉소 1롤 전사형식의 실시형태>
플렉소 인쇄방식에서의 1롤 전사형식은 전술한 플렉소 2롤 전사형식으로부터 압착 롤(62A, 62B)을 생략한 것이다. 이 경우, 아니록스 롤(63A, 63B)이 각각 약액 탱크(66A, 66B)에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들 아니록스 롤(63A, 63B)에 대해서는 아니록스 롤(63A, 63B) 표면의 약액을 긁어내는 닥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플렉소 1롤 전사형식은 유지보수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나, 블레이드의 마모나 약액 중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질의 혼입상태를 용이하게 목시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약액)
도포하는 약액에 대해서, 점도는 고속가공을 행하는 관점으로부터 40℃에서 1~700mPa·s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400mPa·s(40℃)로 한다. 1mPa·s보다 작으면 아니록스 롤, 쇄판 롤, 그라비어 롤 등의 롤 상에서 약액이 흩어지기 쉬워지고, 반대로 700mPa·s보다 크면 각 롤이나 연속시트에의 도포량을 콘트롤하기 어려워진다. 성분은 폴리올을 70~90%, 수분을 1~15%, 기능성 약품을 0.01~22%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티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 등의 다가 알코올, 솔비톨, 글루코스, 크시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류를 포함한다.
기능성 약제로서는 유연제, 계면활성제, 무기 및 유기의 미립자 분체, 유성성분 등이 있다. 유연제, 계면활성제는 티슈에 유연성을 부여하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한다. 무기 및 유기의 미립자 분체는 표면을 매끄러운 촉감으로 한다. 유성 성분은 활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유동 파라핀,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폴리올의 보습성을 돕거나 유지시키는 약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겔화제,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켈라틴, 가수분해 실크, 히알론산 또는 그 염, 세라미드 등의 1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 등의 보습제를 가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향료, 각종 천연 엑기스 등의 에몰리엔트제, 비타민류, 배합성분을 안정시키는 유화제, 약액의 발포를 억제하여 도포를 안정시키기 위한 소포제, 방미제, 유기산 등의 소취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나아가 비타민C, 비타민E의 항산화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상기 성분 중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약액의 점도, 도포량을 안정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약액 도포 시의 온도는 30℃~60℃, 바람직하게는 35℃~55℃로 한다.
(콘택트 엠보스 수단)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에는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콘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롤 또는 탄성 롤인 받이 롤(54B)과 표면에 가는 볼록부(54C)를 갖는 금속제로 경질의 굴림대(54A)가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서로 외주면끼리 맞닿으면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연속시트(S2)에서의 티슈 페이퍼 제품의 폭방향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 좌우 각각 2개씩 존재하는 볼록부(54C)와 받이 롤(54B) 사이에 적층 연속시트(S2)를 끼우면서 반송함으로써,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적층 연속시트(S2)의 연속방향을 따라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CE)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콘택트 엠보스(CE)를 수행하는 굴림대(54A)와 대향한 측의 면을 외주 측으로 하여, 전술한 권취수단(56)이 적층 연속시트(S2)를 권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택트 엠보스(CE)를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연속시트(S2)의 층간 박리를 방지한다. 또한 콘택트 엠보스(CE)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단부가 층간 박리하기 어려워지도록 티슈 페이퍼 제품의 폭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접합공정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굴림대로서 표면에 가는 볼록부(54C)를 가진 금속제로 경질의 굴림대(54A)를 이용했으나,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접합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굴림대(54A) 대신에 표면에 가는 바늘형상의 부재를 갖는 롤러를 굴림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의 선단형상이 점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의 것을 굴림대로서 이용하면 되고, 볼록부의 선단형상이 가늘고 긴 선형, 가늘고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선형상 등의 것을 굴림대로서 이용해도 된다.
한편 볼록부의 배열로서는 등간격이 고려되는데, 지그재그형상으로 하거나, 등간격으로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볼록부를 1열로 배열하여 콘택트 엠보스를 연속적으로 부여하는 것 외에, 볼록부를 2열 이상의 복수열로 배치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콘택트 엠보스를 긴밀히 복수열 부여하도록 볼록부가 배치된 군을 복수 열거하여 복수의 콘택트 엠보스군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합공정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것 외에, 초음파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1차 연속시트)
1차 연속시트(S11, S12)의 원료 펄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티슈 페이퍼 제품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원료 펄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료 펄프로서는 예를 들어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합성 펄프, 고지 펄프 등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라운드 펄프(GP), 스톤 그라운드 펄프(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RGP), 가압식 그라운드 펄프(PGW), 서모메커니컬 펄프(TMP), 케미서모 메커니컬 펄프(CTMP), 표백 케미서모 메커니컬 펄프(BCTMP) 등의 기계 펄프(MP), 화학적 기계 펄프(CGP), 반화학적 펄프(SCP), 광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등의 크라프트 펄프(KP), 소다 펄프(AP), 설페이트 펄프(SP), 용해 펄프(DP) 등의 화학적 펄프(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탈묵 펄프(DIP), 웨스트 펄프(WP) 등의 고지 펄프, 광미 펄프(TP), 목면, 아마, 마, 황마, 마닐라마, 라미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 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버개스 펄프, 죽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의 줄기대 펌프, 인피 펄프 등의 보조 펄프 등으로부터 일종 또는 수종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원료 펄프는 NBKP와 LBKP를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히 고지 펄프가 배합되어 있어도 되나, 촉감 등의 점에서 NBKP와 LBKP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고, 그 경우의 배합비율(JIS P 8120)로서는 NBKP:LBKP=20:80~80:20이 좋고, 특히 NBKP:LBKP=30:70~60:40이 바람직하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JIS P 8124에 의한 평량이 10~25g/㎡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12~20g/㎡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6g/㎡이 된다. 평량이 10g/㎡ 미만이면 부드러움의 점에서는 바람직하나, 적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평량이 25g/㎡을 초과하면, 너무 딱딱해져서 촉감이 악화된다.
또한 종이 두께(오자키 제작소 제품 피콕에 의해 측정)는 1플라이에서 80~250㎛, 바람직하게는 10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80㎛가 된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크레이프율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율이 10%미만이면, 가공 시에 종이가 잘라지기 쉬움과 동시에 신장이 적은 탄력성이 없는 티슈 페이퍼 제품이 된다. 반면에 크레이프율이 30% 초과이면, 가공 시의 시트의 장력 콘트롤이 어려워서 종이가 잘라지기 쉬워지며, 또한 제조 후에는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이 나쁜 티슈 페이퍼 제품이 된다.
1차 연속시트(S11, S12)는 JIS P 8113에 규정되는 건조인장강도(이하 건조지력이라고도 한다)의 세로방향이 2플라이에서 200~700cN/25㎜, 바람직하게는 250~600cN/25㎜,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600cN/25㎜이 되고, 반면에 가로방향이 2플라이에서 100~300cN/25㎜, 바람직하게는 130~270cN/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250cN/25㎜이 된다. 원지의 건조인장강도가 너무 낮으면 제조시 및 사용시에 종이가 잘라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너무 높으면 사용시에 뻣뻣한 촉감이 된다.
이들 종이강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조지력 증강제를 내첨(드라이어 파트보다 전 단계, 예를 들어 펄프 슬러리에 첨가)하고, 펄프의 여수도를 저하(예를 들어 30~40ml 정도 저하)시키고, NBKP 배합율을 증가(예를 들어 50% 이상으로)시키는 등의 수법을 적절히 조합시킬 수 있다.
건조지력제로서는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혹은 그 염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로서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크로로히드린 수지, 요소 수지, 산 콜로이드·멜라민 수지, 열가교성 부여 PA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5~20㎏/t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건조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0.5~1.0㎏/t 정도로 할 수 있다.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S1)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고(적층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콘택트 엠보스 수단(54)으로 층간에 박리나 어긋남이 발생하는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수행하고(콘택트 엠보스 공정), 다음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한쌍의 약액도포수단(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약액도포공정), 슬릿 수단(55)에 의해 적층 연속시트(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에 슬릿 공정에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및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권취수단(56)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에서는,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X3)와 동일하게, 적층공정의 후단이고 또한 콘택트 엠보스 공정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한쌍의 캘린더 수단(52)으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또는 제조방법에서는 가공속도는 100~1100m/분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350~1050m/분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1000m/분이 된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반면에 1100m/분 초과이면 적층 연속시트(S2)가 잘라지는 빈도가 높아지고, 약액도포공정은 쇄판 롤이나 아니록스 롤의 약액의 전이가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도포 얼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R)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트되고, 세트된 2차 원단 롤(R)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서 접음과 동시에 적층함으로써 티슈 페이퍼 묶음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그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도시했다. 도면 중의 부호 2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의 도시하지 않은 2차 원단 롤 지지부에 세트된 2차 원단 롤(R, R…)을 도시하고 있다. 이 2차 원단 롤(R, R…)은 필요한 수가 도시한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도 2에서의 수평방향, 도 3에서의 종이면 전후방향)으로 가로로 나란히 세트되어 있다. 각 2차 원단 롤(R)은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제조방법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 폭으로 슬릿이 넣어져 있으며, 티슈 페이퍼 제품의 복수배 폭, 도시한 예에서는 2배 폭으로 권취되어 세트되어 있다.
2차 원단 롤(R)로부터 감아낸 연속되는 띠형상의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가이드 롤러(G1, G1) 등의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접힘 기구부(20)로 보내진다. 또한 접힘 기구부(2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판(P, P…)이 필요한 수만큼 나란히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절판군(21)이 구비되어 있다. 각 절판(P)에 대해서는, 한쌍의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또는 3B)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G2, G2)나 가이드 환봉부재(G3, G3)가 각각 적절한 곳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절판(P, P…)의 하방에는 접으면서 적층된 적층띠(30)를 받아서 반송하는 콘베이어(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절판(P, P…)을 이용한 접힘 기구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4052048호 특허명세서 등에 공지된 기구이다. 이러한 종류의 접힘 기구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3B…)를 Z자형상으로 접으면서 또한 인접하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3B…)의 측단부 서로를 걸어 맞추면서 적층한다.
도 7~도 10에 접힘 기구부(20)의 특히 절판(P)에 관한 부위를 상세히 도시했다. 본 접힘 기구부(20)에서는 각 절판(P)에 대해서 한쌍의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가 안내된다. 이때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가이드 환봉부재(G3, G3)에 의해 측단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를 움직이면서 안내된다.
절판(P)으로 안내된 시점에서 하측에 겹쳐져 있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를 제1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로 하고, 상측에 겹쳐져 있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를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B)로 하면, 이들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의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B)와 겹쳐져 있지 않은 측단부(e1)가, 절판(P)의 측판(P1)에 의해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B)의 상측으로 되접힘과 동시에,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B)의 제1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와 겹쳐져 있지 않은 측단부(e2)가, 절판(P)의 슬릿(P2)으로부터 절판(P) 아래로 끌어 넣어지도록 하여 하측으로 되접혀진다. 이때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의 절판(P)에서 접으면서 적층된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의 측단부(e3)(e1)가, 절판(P)의 슬릿(P2)으로부터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B)의 되접힘 부분 사이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는 Z자형상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인접하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3A 및 3B)의 측단부가 서로 걸어 맞춰지고, 따라서 제품 사용시에 최상위의 티슈 페이퍼를 꺼내면, 다음 티슈 페이퍼의 측단부가 꺼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에서 얻어진 적층띠(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의 절단수단(41)에서 흐름방향(FL)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재단(절단)되어 티슈 페이퍼 묶음(30a)이 되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티슈 페이퍼 묶음(30a)은 나아가 후단 설비에서 수납상자(B)에 수납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1)에서는 적층띠(30)의 종이의 방향은 흐름방향(FL)을 따라서 세로방향(MD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로방향(CD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적층띠(3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얻어진 티슈 페이퍼 묶음(30a)을 구성하는 티슈 페이퍼의 종이의 방향은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의 접힘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세로방향(MD방향)이 되고, 티슈 페이퍼의 접힘부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로방향(CD방향)이 된다.
도 6(b)에 수납상자(B)에 티슈 페이퍼 묶음(30a)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의 일례를 도시했다. 수납상자(B)의 상면에는 점선(M)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점선(M)으로 수납상자(B) 상면의 일부를 파단함으로써 수납상자(B)의 상면이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는 중앙에 슬릿을 갖는 필름(F)에 의해 덮여져 있으며, 이 필름(F)에 마련된 슬릿을 통해서 티슈 페이퍼(T)를 끄집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 묶음(30a)을 구성하는 티슈 페이퍼의 종이의 방향은 티슈 페이퍼의 접힘부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로방향(CD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T)를 수납상자(B)로부터 꺼낼 때에는 그 꺼내는 방향은 티슈 페이퍼(T)의 가로방향(CD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기타]
본 발명에는 이하의 발명도 포함된다.
(발명 A1)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수단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수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과,
상기 콘택트 엠보스 수단의 후단에 설치된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수단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발명 A2)
상기 콘택트 엠보스 수단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에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수단을 갖는 발명 A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발명 A3)
상기 약액도포수단이 그라비어 인쇄방식인 발명 A1 또는 발명 A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발명 A4)
상기 약액도포수단이 플렉소 인쇄방식인 발명 A1 또는 발명 A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설비.
(발명 B1)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수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공정과,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후에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공정과,
복수의 상기 2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이송함과 동시에, 접으면서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발명 B2)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전에 적층 연속시트에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발명 B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발명 B3)
상기 약액의 도포를 그라비어 인쇄방식에 의해 행하는 발명 B1 또는 발명 B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발명 B4)
상기 약액의 도포를 플렉소 인쇄방식에 의해 행하는 발명 B1 또는 발명 B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발명 C1)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수단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수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수단과,
상기 콘택트 엠보스 수단의 후단에 설치된,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도포수단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수단과,
복수의 상기 2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을 따라서 이송함과 동시에, 접으면서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설비.
(발명 C2)
상기 콘택트 엠보스 수단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에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수단을 갖는 발명 C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설비.
(발명 C3)
상기 약액도포수단이 그라비어 인쇄방식인 발명 C1 또는 발명 C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설비.
(발명 C4)
상기 약액도포수단이 플렉소 인쇄방식인 발명 C1 또는 발명 C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설비.
본 발명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서 이용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51 : 플라이 수단(적층공정) 52 : 캘린더 수단(평활화 공정)
53 : 약액도포수단(약액도포공정)
54 : 콘택트 엠보스 수단(콘택트 엠보스 공정)
55 : 슬릿 수단(슬릿 공정) 56 : 권취수단(권취 공정)
S11, S12 : 1차 연속시트 S2 : 적층 연속시트
JR : 1차 원단 롤 R : 2차 원단 롤

Claims (4)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을 방지하는 라인형상의 콘택트 엠보스를 행하는 콘택트 엠보스 공정과,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후에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로션제인 약액을 상기 적층 연속시트의 양면에 도포하되, 이때 약액의 도포량이 양면에서 다르도록 도포하는 약액도포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하되, 약액의 도포량이 적은 면이 외주면이 되도록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이 방지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엠보스 공정 전에 적층 연속시트에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 처리를 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이 방지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의 도포를 그라비어 인쇄방식에 의해 행하는,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이 방지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의 도포를 플렉소 인쇄방식에 의해 행하는,
적층 연속시트의 층간의 박리 및 어긋남이 방지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KR1020127019835A 2009-12-28 2010-07-30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KR101748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8278A JP4676552B1 (ja) 2009-12-28 2009-12-28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JP-P-2009-298278 2009-12-28
PCT/JP2010/062940 WO2011080938A1 (ja) 2009-12-28 2010-07-30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455A KR20120116455A (ko) 2012-10-22
KR101748899B1 true KR101748899B1 (ko) 2017-06-20

Family

ID=4408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35A KR101748899B1 (ko) 2009-12-28 2010-07-30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76552B1 (ko)
KR (1) KR101748899B1 (ko)
CN (1) CN102781298B (ko)
WO (1) WO2011080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6564B1 (ja) * 2009-12-28 2011-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4777468B1 (ja) * 2010-05-31 2011-09-21 大王製紙株式会社 薬液含有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及び薬液中の紙粉除去装置
JP5985937B2 (ja) * 2012-09-10 2016-09-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
ITUB20155094A1 (it) * 2015-11-04 2017-05-04 Lucart Spa Prodotto igienic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produzione
CN113290946B (zh) * 2021-07-27 2021-10-01 华昊无纺布(南通)有限公司 一种纸尿裤3d压花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146A (ja) 2001-05-28 2002-12-04 Daio Paper Corp インターフォルダ、ならびに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製造設備
WO2006025362A1 (ja) 2004-08-31 2006-03-09 Daio Paper Corporation 家庭用衛生薄葉紙、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07061256A (ja) 2005-08-30 2007-03-15 Daio Paper Corp 薄葉紙製品の製造方法ならびに薄葉紙製品
JP2009183411A (ja) 2008-02-05 2009-08-20 Oji Nepia Co Ltd 衛生用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557B2 (ja) * 1996-12-26 2001-10-09 王子製紙株式会社 圧縮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US20040112783A1 (en) * 2001-02-20 2004-06-17 Takeharu Mukai Sanitary thin p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paper, storage box for sanitary thin paper,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inter folder, and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of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JP4434520B2 (ja) * 2001-06-29 2010-03-1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柔軟性と表面滑性に優れた圧縮ティッシュペーパー及びこれの製造方法
JP2003325372A (ja) * 2002-05-14 2003-11-18 Crecia Corp 衛生用紙
MXPA06001734A (es) * 2003-08-28 2006-05-12 Kimberly Clark Co Hoja de papel suave con remocion de moco mejorada.
JP4171483B2 (ja) * 2005-08-30 2008-10-22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衛生薄葉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JP5073957B2 (ja) * 2006-03-28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衛生薄葉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146A (ja) 2001-05-28 2002-12-04 Daio Paper Corp インターフォルダ、ならびに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製造設備
WO2006025362A1 (ja) 2004-08-31 2006-03-09 Daio Paper Corporation 家庭用衛生薄葉紙、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07061256A (ja) 2005-08-30 2007-03-15 Daio Paper Corp 薄葉紙製品の製造方法ならびに薄葉紙製品
JP2009183411A (ja) 2008-02-05 2009-08-20 Oji Nepia Co Ltd 衛生用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0938A1 (ja) 2011-07-07
JP2011136045A (ja) 2011-07-14
JP4676552B1 (ja) 2011-04-27
CN102781298A (zh) 2012-11-14
KR20120116455A (ko) 2012-10-22
CN102781298B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78B1 (ko)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JP5931390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4681677B1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44079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KR101748899B1 (ko)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KR20120130187A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JP5534895B2 (ja) 巻きずれ防止材
JP5883040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5518464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5833295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3331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76693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55809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55810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33294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113615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