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80B1 - 레일 이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일 이동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5080B1 KR101405080B1 KR1020120154087A KR20120154087A KR101405080B1 KR 101405080 B1 KR101405080 B1 KR 101405080B1 KR 1020120154087 A KR1020120154087 A KR 1020120154087A KR 20120154087 A KR20120154087 A KR 20120154087A KR 101405080 B1 KR101405080 B1 KR 101405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sub
- roller
- main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레일을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 레일 이동 어셈블리는 메인 롤러 및 메인 롤러와 다른 폭 위치를 갖는 서브 롤러를 구비하는 이동체와, 메인 롤러를 안내하는 제 1 경로와 서브 롤러를 안내하는 제 2 경로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메인 레일과, 서브 롤러가 안내되도록 제 2 경로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서브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 이동 어셈블리는 메인 롤러 및 메인 롤러와 다른 폭 위치를 갖는 서브 롤러를 구비하는 이동체와, 메인 롤러를 안내하는 제 1 경로와 서브 롤러를 안내하는 제 2 경로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메인 레일과, 서브 롤러가 안내되도록 제 2 경로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서브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레일이 메인 레일에서 분기되는 레일 구조를 통해, 이동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레일 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금융자동화기기 중에서 지폐 입출금장치는 고객이 셔터의 안쪽, 즉 지폐수납공간의 안으로 손을 집어넣어 지폐의 입금 또는 지폐의 출금이 이루어진다. (이를 "포켓(pocket) 타입"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일부 문화권의 경우, 상술한 지폐 입출금장치와 같은 기계장치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으며, 고객이 기계장치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는 행위를 하지 않고도 입금 및 출금을 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프리젠트(present) 타입"이라고도 한다)를 선호한다.
따라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제조사는, 위와 같은 두 가지 타입(포켓/프리젠트 타입)의 금융자동화기기를 모두 생산하여야 한다. 그런데, 두 가지 타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가 매우 상이하므로 설계, 설비 등이 모두 복수로 이뤄져야 하는 바, 제조사 측의 인력, 비용의 손실이 크다.
특히, 프리젠트 타입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이 이루어지는 외부 케이스의 입출금구 구성과, 기계장치의 내부에서 지폐가 분리되거나 집적되는 분리집적 구성 사이에서, 지폐의 이동 각도를 정밀하게 하고, 지폐의 입출금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레일을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지폐류를 입출금할 수 있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는, 메인 롤러 및 상기 메인 롤러와 다른 폭 위치를 갖는 서브 롤러를 구비하는 이동체; 상기 메인 롤러를 안내하는 제 1 경로와, 상기 서브 롤러를 안내하는 제 2 경로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메인 레일; 및 상기 서브 롤러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 2 경로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서브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레일과 상기 서브 레일은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제 1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서브 롤러는 상기 제 2 경로에서 상기 서브 레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궤적을 제공하는 구동 레일;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궤적을 제공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포켓; 상기 포켓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백 플레이트; 상기 포켓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안내 롤러; 및 상기 포켓의 중심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레일에는 지폐류가 분리 또는 집적되는 분리집적 유닛측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서브 레일이 분기되고, 상기 메인레일에는 지폐류가 입출금되는 입출금구 측에서 상기 이동체가 상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서브 레일이 분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레일을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은 보다 편리한 입출금 각도에서 지폐류를 입출금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변형예에 따른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가이드판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b는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클램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b는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7b는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변형예에 따른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가이드판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b는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클램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b는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7b는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변형예에 따른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는, 메인 레일(305), 서브 레일(306) 및 이동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레일(305)은 서로 다른 폭 위치를 갖는 복수의 경로(a, 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복수의 경로(a,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로는 메인 레일(305)에서 분기되어 서브 레일(306)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경로(a, b)에는 메인 롤러(126a) 또는 서브 롤러(126b)가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롤러(126a)는 메인 레일(305)을 따라 연속하여 이동될 수 있고, 서브 롤러(126b)는 메인 롤러(126a)를 따라 이동하다 서브 레일(306)로 분기되어 이동되거나, 서브 레일(306)에서 메인 롤러(126a)로 합류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레일(305)은 가이드판(310)에 장홈 또는 장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경로는 가이드판(310)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레일(305)은 가이드판(3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메인 롤러(126a)가 이동하는 제 1 경로(a)와, 가이드판(3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서브 롤러(126b)가 이동하는 제 2 경로(b)를 제공하지만, 메인 레일(305)에는 이들 2개의 경로(a, b) 이외에, 다양한 폭 위치를 갖는 3개 이상의 경로가 마련될 수 있다.
서브 레일(306)은 메인 레일(305)에서 분기되는 레일로, 메인 레일(305)의 경로와 높이차를 갖도록 메인 레일(305)의 복수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레일(306)의 경로는 메인 레일(305)의 복수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와 동일 연장선상에서 하방향으로 곡률지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레일(306)은 메인 레일(305)의 곡률 궤적과 대향되는 곡률 궤적을 제공하므로, 서브 롤러(126b)의 이동시, 이동체(100)는 메인 롤러(126a)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브 롤러(126b)가 이동 거리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동체(100)는 메인 레일(305) 및 서브 레일(306)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전방부가 메인 레일(305)의 특정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후방부가 서브 레일(306)을 따라 이동되면, 해당 위치에서 이동체(100)의 자체적인 회전이 가능하여, 이동체(100)의 이동 경사 각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체(100)의 전방부에는 메인 샤프트(121a)를 매개로 메인 롤러(126a)가 연결되고, 이동체(100)의 후방부에는 서브 샤프트(121b)를 매개로 서브 롤러(126b)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메인 롤러(126a)는 메인 레일(3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서브 롤러(126b)는 메인 레일(305) 및 서브 레일(30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서브 롤러(126b)가 메인 레일(305)을 따라 이동하다 서브 레일(306)로 분기되기 위해서, 서브 롤러(126b)의 서브 샤프트(121b)와 메인 롤러(126a)의 메인 샤프트(121a)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음으로써, 서브 롤러(126b) 및 메인 롤러(126a)는 서로 다른 폭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샤프트(121b)가 메인 샤프트(121a)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경우, 서브 롤러(126b)는 메인 롤러(126a)보다 가이드판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메인 레일(305)을 따라 이동하다 서브 레일(306)로 분기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변형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롤러(126a)와 서브 롤러(126b)는 서로 다른 폭을 갖음으로써, 메인 레일(3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서브 롤러(126b)는 메인 레일(305)을 이동 후 서브 레일(306)로 분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롤러(126a)가 서브 롤러(126b)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경우, 메인 롤러(126a)는 서브 레일(306)로 분기되지 않은 상태로, 메인 레일(305)의 제 1 경로(a) 및 제 2 경로(b)를 모두 이동 가능하지만, 서브 롤러(126b)는 메인 레일(305)을 이동하다 서브 롤러(126b)의 폭과 대응되는 서브 레일(306)을 만나면 서브 레일(306)으로 분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를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가이드판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에서 이동체(100)는, 지폐류의 입출금시 지폐류를 클램핑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포켓(130), 프론트 플레이트(110), 백 플레이트(120), 안내 롤러(128a) 및 구동 롤러(128b)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130)은 프론트 플레이트(110) 및 백 플레이트(1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형태로, 한 쌍의 측벽(130a)과 측벽(130a)을 연결하는 바닥판(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130b)은 한 쌍의 측벽(130a)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켓(130)의 측벽(130a)에는 프론트 플레이트(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과, 백 플레이트(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132)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은 제 1 가이드레일(131a) 및 제 2 가이드레일(13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레일(131a)은 슬롯(132)의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 2 가이드레일(131b)은 제 1 가이드레일(131a)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포켓(130)의 측벽(130a)에는 안내 샤프트(127a)를 매개로 연결되는 안내 롤러(128a)와, 구동 샤프트(127b)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 롤러(128b)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내 샤프트(127a)는 안내 롤러(128a)을 통해 후술하는 안내 레일(3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구동 샤프트(127b)는 구동 롤러(128b)를 통해 구동 레일(30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10)는 프론트 지지부(111)를 통해 포켓(130)의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프론트 지지부(111)는 제 1 프론트 이동축(111a)과 제 2 프론트 이동축(111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프론트 이동축(111a)은 제 1 가이드레일(13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프론트 이동축(111b)은 제 2 가이드레일(131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플레이트(110)에는 풀리(미도시) 및 프론트 이송벨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풀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이송벨트는 한 쌍의 풀리에 지지되는 폐루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론트 이동축(111a) 또는 제 2 프론트 이동축(111b)에는, 프론트 플레이트(110)를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풀리에도 프론트 이송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미도시)가 구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20)에는 지폐류의 입,출금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메인 샤프트(121a) 및 서브 샤프트(121b)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샤프트(121a)는 포켓(130)의 슬롯(132)을 관통하여 메인 롤러(126a)를 통해 메인 레일(305)을 이동할 수 있고, 서브 샤프트(121b)는 서브 롤러(126b)를 통해 서브 레일(306)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백 플레이트(120)에는 풀리(미도시) 및 백 이송벨트(123)가 마련될 수 있다. 풀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백 이송벨트(123)는 한 쌍의 풀리에 지지되는 폐루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풀리에는 백 이송벨트(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미도시)가 구동되게 연결되며, 백 이동벨트(123)는 프론트 이송벨트 사이에 밀착된 지폐류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체(100)는 가이드판(310)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판(310)에는 장홈 형태로 또는 장홀 형태의 메인 레일(305), 서브 레일(306), 안내 레일(302) 및 구동 레일(303)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레일(305)은 지폐류 입출금장치 내부에서 이동체(100)의 이동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메인 레일(305)은 제 1 메인 레일(305a), 제 2 메인 레일(305b) 및 제 3 메인 레일(30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인 레일(305a)은 제 2 메인 레일(305b)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 2 메인 레일(305b)은 안내레일(302)과 나란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가이드판(310)에 배치되며, 제 3 메인 레일(305c)은 제 2 메인 레일(305b)의 곡률 반경과 반대되는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 2 메인 레일(305b)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메인 레일(305)에는 서로 다른 폭 위치를 갖는 제 1 경로(a) 및 제 2 경로(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경로(a)는 제 2 경로(b)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2 경로(b)는 제 1 경로(a)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경로(a)에는 메인 샤프트(121a)의 단부에 마련된 메인 롤러(126a)가 이동되고, 제 2 경로(b)에는 서브 샤프트(121b)의 단부에 마련된 서브 롤러(126b)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롤러(126a)가 마련된 메인 샤프트(121a)의 길이는, 서브 롤러(126b)이 마련된 서브 샤프트(121b)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레일(306)은 제 1 서브 레일(306a) 및 제 2 서브 레일(30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레일(306a)은 백 플레이트(120)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메인 레일(305)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 2 서브 레일(306b)은 입출금구(410) 측에서 이동체(100)가 상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도록 메인 레일(305)에서 분기될 수 있다.
안내 레일(302)은 지폐류 입출금장치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체(100)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안내 레일(302)에는 안내 샤프트(127a)의 안내 롤러(128a)가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레일(303)은 구동 샤프트(127b)의 구동 롤러(128b)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레일(303)은 제 2 메인 레일(305b)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구동 레일(303a)과, 입출금구(410) 측에서 제 1 구동 레일(303a)과 연장되게 연결되는 제 2 구동 레일(30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구동 레일(303b)은 제 1 구동 레일(303a)의 곡률 반경과 반대되는 곡률 반경을 가지므로, 입출금구(410) 측에서 이동체(1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동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100)는 이동모터축(320) 및 캐리지 아암(33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모터축(320)는 이동체(1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원이고, 이 이동모터축(320)은 이동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원과 캐리지 아암(330) 사이를 구동 연결할 수 있다.
캐리지 아암(330)은 이동모터축(320)의 회전력을 이동체(1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구동 샤프트(127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이동모터축(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지 아암(330)에는 구동 롤러(128b)가 이동 가능한 아암 슬롯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 아암(330)이 이동모터축(320)에 의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 샤프트(127b)의 구동 롤러(128b)는 제 1 구동 레일(303a) 및 제 2 구동 레일(303b)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안내 샤프트(127a)의 안내 롤러(128a)는 안내 레일(302)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메인 샤프트(121a)의 메인 롤러(126a)는 메인 레일(305)을 따라 시계반향으로 이동되며, 서브 샤프트(121b)의 서브 롤러(126b)는 제 1 서브 레일(306a), 제 2 메인 레일(305b) 및 제 2 서브 레일(306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안내 롤러(128a)가 입출금구 측 안내 레일(302)의 끝단에 위치되면, 구동 롤러(128b)는 제 2 구동 레일(303b)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체(100)는 안내 샤프트(127a)를 회전축으로 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롤러(126a)는 제 3 메인 레일(305c) 을 따라 이동되고, 서브 롤러(126b)는 제 2 서브 레일(306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캐리지 아암(330)이 이동모터축(320)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 샤프트(127b)의 구동 롤러(128b)는 제 2 구동 레일(303b) 및 제 1 구동 레일(303a)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안내 샤프트(127a)의 안내 롤러(128a)는 안내 레일(302)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메인 샤프트(121a)의 메인 롤러(126a)는 메인 레일(305)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브 샤프트(121b)의 서브 롤러(126b)는 제 2 서브 레일(306b), 제 2 메인 레일(305b) 및 제 1 서브 레일(306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메인 롤러(126a)가 제 1 메인 레일(305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121a)는 포켓(130)의 슬롯(132)을 따라 지폐류의 입금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서브 롤러(126b)가 제 1 서브 레일(306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서브 샤프트(121b)는 메인 샤프트(121a)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백 플레이트(120)를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체(100)는 캐리지 아암(3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체(10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구동장치(예: 피니언 기어 및 모터)가 이동체에 장착되고, 가이드판(310)에는 그와 연동되는 장치(예: 랙 기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의 이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b는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입출금구(410)의 셔터가 개방되어 이동체(100)가 지폐류의 입금을 대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이동체(100)의 프론트 플레이트(110)는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의 최하단으로 이동됨으로써, 백 플레이트(120)와 프론트 플레이트(110) 사이에 지폐류가 입금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롤러(128a)가 입출금구 측 안내 레일(302)의 끝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 롤러(128b)가 제 2 구동 레일(303b)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체(100)는 안내 샤프트(127a)를 회전축으로 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지폐류의 클램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이동체(100)에 지폐류(B)가 입금된 후, 프론트 플레이트(110)와 백 플레이트(120)에 의해 클램핑(clamping)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입출금구(410)의 셔터(미도시)가 개방된 상태에서, 지폐류(B)가 이동체(100)의 입구를 통해 프론트 플레이트(110)와 백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으로 입금되면, 프론트 플레이트(110)는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의 상단으로 이동됨으로써, 지폐류(B)가 백 플레이트(120)와 프론트 플레이트(110) 사이에 압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b는 이동체가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이동체(100)가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지폐류(B)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백 플레이트(120)와 프론트 플레이트(110) 사이에 압착된 지폐류(B)는, 프론트 이송벨트와 백 이송벨트(123)의 회전에 의해, 이동체(10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스토퍼(124)는 지폐류(B)의 후단을 푸쉬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샤프트(127b)의 구동 롤러(128b)는 제 2 구동 레일(303b) 및 제 1 구동 레일(303a)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안내 샤프트(127a)의 안내 롤러(128a)는 안내 레일(302)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메인 샤프트(121a)의 메인 롤러(126a)는 제 3 메인 레일(305c) 및 제 2 메인 레일(305b)을 따라 이동되며, 서브 샤프트(121b)의 서브 롤러(126b)는 제 2 서브 레일(306b) 및 제 2 메인 레일(305b)을 따라 이동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상태도이고, 도 7b는 이동체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이동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이드판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이동체(100)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내부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체(100)가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내부로 진입하는 중, 백 플레이트(120)는 포켓(130)의 슬롯(132)을 따라 이동되고, 백 플레이트(120)는 메인 샤프트(121a)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메인 롤러(126a)가 제 1 메인 레일(305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121a)는 슬롯(132)을 따라 지폐류의 입금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서브 롤러(126b)가 제 1 서브 레일(306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서브 샤프트(121b)는 메인 샤프트(121a)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백 플레이트(120)를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플레이트(110)는 프론트 플레이트 가이드레일(131)의 최선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100) 내 지폐류(B)는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류의 분리 또는 집적이 이루어지는 분리집적 유닛(미도시)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분리집적 유닛(미도시)에서 출금될 지폐류가 이동체(100)에 클램핑되면, 이동체(100)는 상술한 과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지폐류는 입출금구(410)를 통해 출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을 이동하는 이동체(100)의 이동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객은 보다 편리한 입출금 각도에서 지폐류를 입출금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이동체 110 :프론트 플레이트
111 : 프론트 지지부 111a :제 1 프론트 이동축
111b :제 2 프론트 이동축 120 :백 플레이트
130 :포켓 302 :안내 레일
303 :구동 레일 305 :메인 레일
306 :서브 레일 310 :가이드판
320 :이동모터축 330 :캐리지 아암
111 : 프론트 지지부 111a :제 1 프론트 이동축
111b :제 2 프론트 이동축 120 :백 플레이트
130 :포켓 302 :안내 레일
303 :구동 레일 305 :메인 레일
306 :서브 레일 310 :가이드판
320 :이동모터축 330 :캐리지 아암
Claims (6)
- 메인 롤러 및 상기 메인 롤러와 다른 폭 위치를 갖는 서브 롤러를 구비하는 이동체;
상기 메인 롤러를 안내하는 제 1 경로와, 상기 서브 롤러를 안내하는 제 2 경로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메인 레일; 및
상기 서브 롤러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 2 경로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서브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일과 상기 서브 레일은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는 상기 제 1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서브 롤러는 상기 제 2 경로에서 상기 서브 레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체가 회전되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궤적을 제공하는 구동 레일;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궤적을 제공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포켓;
상기 포켓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백 플레이트;
상기 포켓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안내 롤러; 및
상기 포켓의 중심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에는 지폐류가 분리 또는 집적되는 분리집적 유닛측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서브 레일이 분기되고, 상기 메인레일에는 지폐류가 입출금되는 입출금구 측에서 상기 이동체가 상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서브 레일이 분기되는 레일 이동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087A KR101405080B1 (ko) | 2012-12-27 | 2012-12-27 | 레일 이동 어셈블리 |
PCT/KR2013/012023 WO2014104683A1 (en) | 2012-12-27 | 2013-12-23 | Moving rail assembly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US14/139,149 US8899570B2 (en) | 2012-12-27 | 2013-12-23 | Moving rail assembly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087A KR101405080B1 (ko) | 2012-12-27 | 2012-12-27 | 레일 이동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5080B1 true KR101405080B1 (ko) | 2014-06-13 |
Family
ID=5113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4087A KR101405080B1 (ko) | 2012-12-27 | 2012-12-27 | 레일 이동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508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76615Y2 (ja) | 1992-06-04 | 1998-07-16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自動入出金装置 |
KR20080047278A (ko) * | 2006-11-24 | 2008-05-28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장치 제어 방법 |
KR20100058208A (ko) * | 2008-11-24 | 2010-06-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4087A patent/KR1014050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76615Y2 (ja) | 1992-06-04 | 1998-07-16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自動入出金装置 |
KR20080047278A (ko) * | 2006-11-24 | 2008-05-28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장치 제어 방법 |
JP2008129987A (ja) | 2006-11-24 | 2008-06-05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
KR20100058208A (ko) * | 2008-11-24 | 2010-06-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1826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 |
KR100979352B1 (ko) | 지폐처리장치 | |
KR100973874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557733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
BR112014001696B1 (pt) |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folha de papel | |
US9947182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KR20140077439A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
US20140131163A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
US11640740B2 (en) |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dium conveyance route switching devic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20130139496A (ko) | 지폐 반송방향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 | |
JP2013175171A (ja) | 搬送制御装置及び還流庫付紙葉鑑別装置 | |
US8899570B2 (en) | Moving rail assembly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
KR20140084535A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
JP5615391B2 (ja) | 紙葉還流庫 | |
KR101405080B1 (ko) | 레일 이동 어셈블리 | |
JP6413688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6146229B2 (ja) |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KR101508792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 |
KR101557731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
KR101405082B1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 |
KR102580001B1 (ko) | 지폐 반송경로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106863B1 (ko) |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081144A (ko) | 지폐류 캐리지 | |
KR102485211B1 (ko) | 지폐류 입출금 제어방법 | |
KR20140085680A (ko) | 지폐류 입출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