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05B1 - 차량용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래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3505B1 KR101393505B1 KR1020120111060A KR20120111060A KR101393505B1 KR 101393505 B1 KR101393505 B1 KR 101393505B1 KR 1020120111060 A KR1020120111060 A KR 1020120111060A KR 20120111060 A KR20120111060 A KR 20120111060A KR 101393505 B1 KR101393505 B1 KR 101393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link
- base frame
- link bar
- rotation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래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는 캐치레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핸들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케이블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캐치레버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캐치레버를 구속 해제시키는 OS레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릴리즈레버; 및 상기 릴리즈레버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레버와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의 타측에 장착되는 어퍼도어래치를 작동시키키는 어퍼래치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어퍼도어래치를 구속 해제시키는 어퍼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도어래치와 컨트롤러의 기능을 겸비한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공간활용도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에 기둥(pillar)을 제거한 필라리스(pillarlesss) 구조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필라리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 전후방 도어 사이에 도어의 지지나 고정을 위한 기둥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차랑의 도어와 달리, 복수개의 도어래치가 도어에 장착되고 있다.
도 1은 필라리스 구조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래치 및 컨트롤러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필라리스 구조 적용 차량의 경우, 도어(D)에 복수개의 도어래치를 장착하여, 도어(D)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 또는 구속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 상부 측에 어퍼도어래치(U)를 장착하고, 도어(D) 하부 측에 로어도어래치(L)를 장착하여, 어퍼도어래치(U) 및 로어도어래치(L)를 통해 도어(D)가 닫힘 상태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어퍼도어래치(U)나 로어도어래치(L)는 도어(D)에 장착된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을 통해 조작되어야 하므로, 도어(D)에는 이너핸들 및 아웃핸들의 조작을 통해 어퍼도어래치(U)나 로어도어래치(L)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C)가 마련된다. 컨트롤러(C)는 이너핸들 및 아웃핸들과 연결되며, 어퍼도어래치(U) 및 로어도어래치(L)와도 연결되어, 이너핸들 및 아웃핸들의 조작력을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해 어퍼도어래치(U) 및 로어도어래치(L)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라리스 구조 차량의 경우, 도어(D)에 어퍼도어래치(U), 로어도어래치(L) 및 컨트롤러(C)가 각각 마련되며,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도어래치(U)는 도어(D)의 상부 측에, 로어도어래치(L)는 도어(D)의 하부 측에, 컨트롤러(C)는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과 인접한 도어(D) 중단 측에 각각 별개로 장착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C)는 케이블 등을 통해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과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도어 잠금 설정이나 차일드 락(child lock) 설정 등을 위해 각종 버튼 조작기구나 차량 제어부와도 연결되게 된다. 덧붙여, 어퍼도어래치(U) 및 로어도어래치(L) 또한 케이블 등을 통해 컨트롤러(C)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필라리스 구조 차량의 경우, 통상적인 차량에 비해 도어(D)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도어(D) 내부에 다수의 케이블이나 링크 구조 등이 혼재하게 되어, 도어(D) 내부의 장착공간이 협소해지게 된다. 또한, 도어(D)에 장착되는 다른 편의장치나 부가장치와의 간섭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손상이나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도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점검 및 수리가 매우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래치와 컨트롤러의 기능을 겸비하여 도어 내부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는 캐치레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핸들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케이블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캐치레버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캐치레버를 구속 해제시키는 OS레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릴리즈레버; 및 상기 릴리즈레버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레버와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의 타측에 장착되는 어퍼도어래치를 작동시키키는 어퍼래치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어퍼도어래치를 구속 해제시키는 어퍼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도어래치로서의 기능과 컨트롤러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컨트롤러와 도어를 구속하는 도어래치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에 장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도어 내부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필라리스 구조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래치 및 컨트롤러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릴리즈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OS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링크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링크바 일단의 위치에 따른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어퍼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 및 캐치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 및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차일드락레버의 작동에 따른 제 2 링크레버(220)의 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차일드락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21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22는 이너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3은 도어 잠금 상태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4는 차일드 락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릴리즈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OS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링크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링크바 일단의 위치에 따른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어퍼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 및 캐치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 및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차일드락레버의 작동에 따른 제 2 링크레버(220)의 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차일드락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21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22는 이너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3은 도어 잠금 상태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4는 차일드 락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차량용 도어래치(100)의 전체적인 외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X-Z 평면에 형성된 제 1 베이스프레임(111)과 Y-Z 평면에 형성된 제 2 베이스프레임(1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베이스프레임(111, 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10)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2 베이스프레임(111, 112)은 각각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서 주로 보이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일면을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으로 지칭하며, 반대면을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 주로 보이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일면을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으로 지칭하며, 반대면을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4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제 1 링크레버(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레버(12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링크레버(12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레버(120)의 일측에는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는 후술할 링크바(150)와 제 1 링크레버(120)를 연동시킨다.
제 1 링크레버(120)의 타측에는 폴레버체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폴레버체결부(122)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180)의 일단과 체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레버체결부(122)는 ㄷ자 형태의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레버(180)는 일단이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 측으로 굴곡되어 폴레버체결부(12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레버(120)와 폴레버(180)는 상호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폴레버(180)의 일단이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 측으로 굴곡되어 폴레버체결부(1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베이스프레임(111)에는 제 1 가이드홀(1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홀(113)은 폴레버(180)나 제 1 링크레버(12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 1 회전축(R1)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링크레버(12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릴리즈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릴리즈레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즈레버(13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링크레버(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릴리즈레버(13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릴리즈레버(130)에는 제 1 링크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홀(131)은 릴리즈레버(130)에 관통 형성되며, 제 1 회전축(R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홀(131)에는 후술할 링크바(150)가 체결될 수 있으며, 링크바(150)는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즉, 링크바(150)는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되어,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나,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링크바(150) 관련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링크레버(120)의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는 제 1 링크홀(1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는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까지만 형성되어, 링크바(150)가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는 링크바(150)와 간섭되되, 링크바(150)가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위치에 있을 때는 링크바(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링크바(150) 관련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릴리즈레버(130)의 일측에는 어퍼레버접촉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레버접촉부(132)는 릴리즈레버(130)와 어퍼레버(160)를 연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퍼레버접촉부(132)는 릴리즈레버(130)의 회전시 어퍼레버(160)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어퍼레버(160)는 릴리즈레버(130)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릴리즈레버(13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OS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OS
레버(
140)를
포함할 수 있다.
OS레버(14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릴리즈레버(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OS레버(14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S레버(140)에는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는 전술한 제 1 링크레버(120)의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에 대응되는 것으로, 링크바(150)와 OS레버(140)를 연동시킨다.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는 제 1 링크홀(1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와 마찬가지로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링크바(150)가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에만, OS레버(140)와 링크바(150)를 연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링크바(150) 관련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OS레버(140)의 일단 측에는 아웃핸들체결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핸들체결홀(142)은 제 1 회전축(R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핸들체결홀(142)에는 아웃핸들케이블(C1)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OS레버(140)는 아웃핸들케이블(C1)의 조작에 따라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OS레버(140)의 타단 측에는 이너레버접촉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레버접촉부(143)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에 마련된 OS레버(140)와 제 2 베이스프레임(112)에 마련된 제 2 링크레버(220)를 연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링크레버(220)의 회전시, 이너레버접촉부(143)는 제 2 링크레버(220)에 마련된 OS레버접촉부(222)과 접촉되게 되며, 이로 인해, OS레버(140)가 밀려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제 2 링크레버(220) 관련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OS레버(14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8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링크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링크바(
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바(15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링크바(150)의 일단은 릴리즈레버(130)에 형성된 제 1 링크홀(13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링크홀(131)은 제 1 회전축(R1)의 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링크바(150)의 일단은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바(150)의 일단은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거나, 제 1 회전축에서 먼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9는 링크바 일단의 위치에 따른 제 1 링크레버, 릴리즈레버 및 OS레버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링크바(150)의 일단이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 링크바(150)의 일단은 제 1 링크레버(120)의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 및 OS레버(140)의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와 간섭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링크바(150)의 일단이 제 1 회전축(R1)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소정정도 이동하게 되면, 링크바(150)의 일단이 제 1, 2 링크바연동돌기(121, 141)에 접촉되어, 제 1 링크레버(120), 릴리즈레버(130) 및 OS레버(14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링크바(150)의 일단이 상기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링크바(150)가 활성화 위치(L1)에 있다고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링크바(150)의 일단이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위치에 있는 경우, 링크바(150)의 일단은 제 1, 2 링크바연동돌기(121, 141)와는 간섭하게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링크바(150)의 일단이 제 1 회전축(R1)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소정정도 이동하더라도, 제 1 링크레버(120)나 OS레버(140)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제 1 링크홀(131)로 인해 릴리즈레버(130)만이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링크바(150)의 일단이 상기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링크바(150)가 비활성화 위치(L2)에 있다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링크바(150) 일단의 링크 구조는, 아웃핸들케이블(C1)이나 이너핸들케이블(C3)의 조작력을 제 1 링크레버(120) 및 OS레버(140)에 전달하거나, 필요에 따라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링크바(150)의 타단은 제 1 베이스프레임(111)에 장착된 락킹레버(17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바(150)는 락킹레버(170)의 회전에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즉, 링크바(150)는 락킹레버(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의 일단 측이 릴리즈레버(130)의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링크바(150)는 락킹레버(170)의 회전에 따라 활성화 위치(L1)나 비활성화 위치(L2)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아웃핸들케이블(
C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핸들케이블(C1)은 일단이 OS레버(140)에 형성된 아웃핸들체결홀(142)에 체결될 수 있으며, OS레버(140)를 소정정도 당겨 회전시키게 된다. 아웃핸들케이블(C1)의 타단은 차량의 도어에 마련된 아웃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핸들케이블(C1)은 사용자가 아웃핸들을 조작함에 따라 OS레버(140)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아웃핸들케이블(C1)은 아웃핸들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어퍼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어퍼레버(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레버(16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레버(16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퍼레버(160)의 일측에는 릴리즈레버접촉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릴리즈레버접촉부(161)는 어퍼레버(160)와 릴리즈레버(130)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릴리즈레버(130)의 회전시, 릴리즈레버(130)에 형성된 어퍼레버접촉부(132)는 어퍼레버(160)에 형성된 릴리즈레버접촉부(161)에 접촉되어 어퍼레버(160)를 소정정도 밀게 되며, 이로 인해, 어퍼레버(16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어퍼레버(160)의 타측에는 어퍼래치케이블(C2)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어퍼레버(16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어퍼래치케이블(
C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래치케이블(C2)의 일단은 어퍼레버(16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래치케이블(C2)은 어퍼레버(160)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이완되게 된다.
한편, 어퍼래치케이블(C2)의 타단은 어퍼도어래치(U, 도 1 참고)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래치케이블(C2)은 어퍼도어래치(U)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어퍼도어래치(U)는 차량 도어의 타측에 마련되는 잠금 수단으로, 통상적인 차량용 도어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퍼도어래치(U)는 어퍼래치케이블(C2)의 당김이나 이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어퍼도어래치(U)는 어퍼래치케이블(C2)이 당겨지면 도어를 구속 해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퍼도어래치(U)는 어퍼래치케이블(C2)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종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도어래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락킹레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레버(17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락킹레버(17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락킹레버(170)의 일측에는 링크바(150)가 체결될 수 있다. 즉, 링크바(150)는 일단이 전술한 릴리즈레버(130)의 제 1 링크홀(131)로 체결되고, 타단이 락킹레버(170)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락킹레버(170)가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링크바(150)는 상기 일단이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락킹레버(170)가 일측으로 소정정도 회전하는 경우, 링크바(150)는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인 활성화 위치(L1)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락킹레버(170)가 반대로 소정정도 회전하는 경우, 링크바(150)는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위치인 비활성화 위치(L2)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락킹레버(17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링크바(150)를 활성화 위치(L1) 또는 비활성화 위치(L2)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9 및 링크바(150) 관련 설명 참조).
한편, 락킹레버(170)는 사용자 또는 차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락킹레버(170)는 차량에 마련된 도어잠금버튼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도어잠금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락킹레버(170)는 차량 제어부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운행되거나, 차량 키(key)의 조작이 있을 경우, 상기 차량 제어부는 락킹레버(170)를 회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 및 캐치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폴레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레버(18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폴레버(18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레버(18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장착된 제 1 링크레버(120), 릴리즈레버(130) 및 OS레버(140)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폴레버(180)에는 제 1 걸림돌기(18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돌기(181)는 폴레버(180)의 일측 외면이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캐치레버(190)의 제 2 걸림돌기(192)와 걸림 결합되어, 캐치레버(19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폴레버(180)의 일단은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 측으로 굴곡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링크레버(120)의 폴레버체결부(12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 및 제 1 링크레버(120) 관련 설명 참조). 따라서 폴레버(18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 전면의 제 1 링크레버(12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제 1 베이스프레임(111)에는 상기와 같은 폴레버(180) 및 제 1 링크레버(120) 간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 1 가이드홀(113)이 관통 형성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폴레버(180)와 제 1 베이스프레임(111) 간에는 제 1 완충부재(182)가 개재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재(182)는 폴레버(180)의 회전시 폴레버(18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폴레버(18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캐치레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캐치레버(19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캐치레버(190)는 제 4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190)는 스트라이커(striker)와 체결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캐치레버(190)에는 스트라이커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체결홈(19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는 상기와 같은 스트라이커체결홈(191)에 맞물려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게 된다. 이는 통상적인 차량용 도어래치의 구조에서 공지된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캐치레버(190)에는 제 2 걸림돌기(19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돌기(192)는 캐치레버(190)의 일측 외면이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폴레버(180)의 제 1 걸림돌기(181)와 걸림 결합되어, 캐치레버(19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즉, 캐치레버(190)에 스트라이커가 맞물려 도어 닫힘된 경우, 제 1, 2 걸림돌기(181, 192)는 캐치레버(190)의 회전을 구속하여, 캐치레버(190)가 스트라이커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캐치레버(190)와 제 1 베이스프레임(111) 간에는 제 2 완충부재(193)가 개재될 수 있으며, 캐치레버(190)와 스트라이커의 충돌 부위 등에는 에어댐핑홀(1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완충부재(193)나 에어댐핑홀(194)은 캐치레버(190)와 스트라이커의 충돌시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캐치레버(19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14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 및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이너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이너레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레버(210)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레버(210)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에 형성된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너레버(210)는 후술할 제 2 링크레버(22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이너레버(210)는 일측이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이너레버체결부(221)에 체결되어, 제 2 링크레버(2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너레버(210)의 타측에는 이너핸들케이블(C3)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레버(210)는 이너핸들케이블(C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너레버(210)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이너핸들케이블(
C3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핸들케이블(C3)은 일단이 이너레버(21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레버(210)는 이너핸들케이블(C3)의 당김이나 이완에 따라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하게 된다.
이너핸들케이블(C3)의 타단은 차량 도어에 마련된 이너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핸들케이블(C3)은 이너핸들의 조작에 따라 소정정도 당겨지거나 이완되게 된다. 한편, 이너핸들케이블(C3)의 타단은 이너핸들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너핸들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제 2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제 2 링크레버(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링크레버(220)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링크레버(220)에는 OS레버접촉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OS레버접촉부(222)는 제 2 링크레버(220)와 OS레버(14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OS레버(140)에 형성된 이너레버접촉부(143)와 대응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OS레버(140)의 회전시, OS레버(140)에 형성된 이너레버접촉부(143)는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OS레버접촉부(222)에 접촉되어, 제 2 링크레버(220)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제 2 링크레버(220)는 OS레버(140)에 연동하여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되게 된다.
다시,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 2 링크레버(220)는 이너레버(21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제 5 회전축(R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링크레버(220)에는 제 5 회전축(R5)이 체결되는 제 2 링크홀(2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회전축(R2)은 장공(長空)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링크레버(220)는 상기와 같은 제 2 링크홀(223)을 통해 제 5 회전축(R5)에 대해 소정정도 이동이 가능하다. 즉, 장공 형태의 제 2 링크홀(223)이 제 2 베이스프레임(112)에 고정된 제 5 회전축에 체결됨으로써, 제 2 링크레버(220)는 제 2 링크홀(223)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크홀(223)은 후술할 제 2b 가이드홀(114b)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차일드락레버(230)에 의해 제 2 링크레버(220)가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링크돌기(224)와 관련하여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링크레버(220)에는 이너레버체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레버체결부(221)에는 이너레버(2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너레버체결부(221)에 이너레버(210)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제 2 링크레버(220)와 이너레버(210)가 연동될 수 있다. 즉, 이너핸들케이블(C3)에 의해 이너레버(210)가 회전되면, 제 2 링크레버(220)가 이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링크레버(220)는 제 2 링크홀(223)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으며, 제 2 링크레버(220)의 이동에 따라 이너레버체결부(221)는 이너레버(210)과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링크레버(220)와 이너레버(210) 간의 연동 관계가 해제되게 된다. 즉, 이너레버(210)가 회전되더라도, 제 2 링크레버(220)는 연동하여 함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링크돌기(224)와 관련하여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링크레버(220)의 후면에는 링크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돌기(224)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 측으로 노출되어, 후술할 차일드락레버(2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베이스프레임(112)에는 상기와 같이 링크돌기(224)가 차일드락레버(2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홀(1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홀(114)은 제 5 회전축(R5)의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된 제 2a 가이드홀(114a)과, 제 2a 가이드홀(114a)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b 가이드홀(114b)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a 가이드홀(114a)은 제 2 링크레버(220)가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회전시, 링크돌기(224)와 제 2 베이스프레임(112) 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제 2b 가이드홀(114b)은 제 2 링크레버(220)와 이너레버(210) 간의 연동 관계 해제시, 링크돌기(224)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와 같은 링크돌기(224)는 후술할 차일드락레버(230)와 체결되어, 차일드락레버(230)의 작동에 따라 제 2 링크레버(220)가 활성화 위치(L3) 또는 비활성화 위치(L4)로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차일드락레버의 작동에 따른 제 2 링크레버(220)의 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7의 (a)를 참고하면, 링크돌기(224)가 제 2b 가이드홀(114b)의 상부 측에 위치된 경우,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이너레버체결부(221)에는 이너레버(210)가 체결된 상태에 있게 되며, 제 5 회전축(R5)은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제 2 링크홀(223)의 하부 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이너레버(210)가 이너레버체결부(221)에 체결된 상태에 있으므로, 제 2 링크레버(220)와 이너레버(210)는 연동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 2 링크레버(220)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 2 링크레버(220)가 활성화 위치(L3)에 있는 것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도 17의 (b)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링크돌기(224)가 제 2b 가이드홀(114b)을 따라 이동되어 제 2b 가이드홀(114b)의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5 회전축(R5)은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제 2 링크홀(223)의 상부 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이너레버(210)는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이너레버체결부(221)에서 이탈되어, 이너레버(210)와 제 2 링크레버(220) 간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너레버(210)와 제 2 링크레버(220) 간의 연동 관계가 해제되며, 이너레버(210)가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제 2 링크레버(22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제 2 링크레버(220)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 2 링크레버(220)가 비활성화 위치(L4)에 있는 것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8은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된 차일드락레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차일드락레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일드락레버(230)는 제 2 베이스프레임(112)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 6 회전축(R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일드락레버(230)는 제 2b 가이드홀(114b)을 따라 링크돌기(224)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2 링크레버(220)를 활성화 위치(L3) 또는 비활성화 위치(L4)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일드락레버(230)의 일측에는 제 3 링크홀(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제 3 링크홀(231)에는 제 2 링크레버(220)에서 돌출 형성된 링크돌기(224)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락레버(230)가 제 6 회전축(R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차일드락레버(230)는 링크돌기(224)를 밀거나 당겨 제 2b 가이드홀(114b)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 3 링크홀(231)은 제 5 회전축(R5)의 회전 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2 링크레버(220)가 활성화 위치(L3)에 있는 상태에서 링크돌기(224)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아웃핸들을 통해
도어
오픈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0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도어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아웃핸들케이블(C1)이 도 20의 A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아웃핸들케이블(C1)이 당겨짐에 따라, OS레버(14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OS레버(140)의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는 링크바(150)를 밀게 된다. 링크바(150)는 릴리즈레버(130)의 제 1 링크홀(131)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링크바(150)가 밀림으로 인해, 릴리즈레버(130) 또한 연동하여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링크바(150)는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를 밀게 되므로, 제 1 링크레버(120)도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OS레버(140)의 회전이 링크바(150)에 의해 릴리즈레버(130) 및 제 1 링크레버(120)에 전달되어, OS레버(140), 릴리즈레버(130) 및 제 1 링크레버(120)가 모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되게 된다 (도 9 및 링크바(150) 관련 설명 참조).
도 21은 아웃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제 1 링크레버(120)는 제 1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면에 장착된 폴레버(180)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 1 링크레버(120)가 회전됨에 따라, 폴레버(180) 또한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폴레버(180)가 회전됨에 따라, 캐치레버(190)의 회전을 구속하던 제 1, 2 걸림돌기(181, 192) 간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스트라이커는 스트라이커체결홈(191)에서 이탈 가능하게 된다. 즉, 캐치레버(190)와 스트라이커 간의 결합으로 인한, 도어의 구속이 해제된다.
한편, 도 20을 참고하면, 릴리즈레버(130)가 회전되면서, 릴리즈레버(130)에 형성된 어퍼레버접촉부(132)는 어퍼레버(160)에 형성된 릴리즈레버접촉부(161)를 밀게 된다. 따라서 어퍼레버(16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해, 어퍼래치케이블(C2)이 당겨진다. 어퍼래치케이블(C2)은 도어의 타측에 장착된 어퍼도어래치(U, 도 1 참고)를 구속 해제시킨다.
따라서 도어는 완전히 구속 해제되며 오픈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
닫힘 상태에서
이너핸들을
통해
도어
오픈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2는 이너핸들로 도어 오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도어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너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이너핸들케이블(C3)이 도 22의 B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이너핸들케이블(C3)이 당겨짐에 따라, 이너레버(210)는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너레버(210)는 일측이 제 2 링크레버(220)의 이너레버체결부(221)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 2 링크레버(220)는 이너레버(210)에 연동하여 제 5 회전축(R5)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하게 된다. (도 14 및 제 2 링크레버(220) 관련 설명 참조).
또한, 제 2 링크레버(220)가 회전됨에 따라, 제 2 링크레버(220)에 형성된 OS레버접촉부(222)는 OS레버(140)에 형성된 이너레버접촉부(143)를 밀게 된다. 따라서 OS레버(140)는 제 2 링크레버(220)에 연동되어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OS레버(140)가 회전됨에 따라, OS레버(140)에 형성된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가 링크바(150)를 밀게 되며, 링크바(150)에 의해 제 1 링크레버(120) 및 릴리즈레버(130)가 OS레버(140)와 함께 회전되어, 도어는 락킹 해제된다. OS레버(140), 제 1 링크레버(120) 및 릴리즈레버(130)가 함께 회전되어 도어가 락킹 해제되는 작동에 대하여는, 아웃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에 관한 작동에서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어
잠금 상태 설정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3은 도어 잠금 상태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작동예의 도어 잠금 상태는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오픈되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어 잠금 상태는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면, 도어잠금버튼 조작)이나, 차량 제어부(예를 들면, 차량이 설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도어 잠금 상태로 설정시, 락킹레버(170)가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된다. 이때, 링크바(150)는 일단이 락킹레버(170)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락킹레버(170)의 회전으로 인해, 링크바(150)의 타단은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되게 된다. 즉, 락킹레버(170)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링크홀(131)에 체결된 링크바(150)의 타단은,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쪽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링크바(150)의 타단은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활성화 위치(L1)에서 비활성화 위치(L2)로 이동된다 (도 9 및 링크바(150) 관련 설명 참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2 링크바연동돌기(121, 141)는 제 1 회전축(R1)에서 가까운 위치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크바(150)가 제 1 회전축(R1)에서 먼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링크바(15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링크바(150)가 비활성화 위치(L2)로 이동됨에 따라, 링크바(150)는 제 1, 2 링크바연동돌기(121, 141)과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OS레버(140)가 회전되더라도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는 링크바(150)를 밀지 않게 되며, 링크바(150)에 의한 연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아웃핸들케이블(C1)이 당겨져 OS레버(1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링크바(150)에 의한 릴리즈레버(130) 및 제 1 링크레버(120)의 연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아웃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 작동 참고)
또한, 이너핸들케이블(C3)이 당겨지고 이에 의한 작동력이 이너레버(210), 제 2 링크레버(220)를 통해 전달되어 OS레버(1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링크바(150)에 의한 릴리즈레버(130) 및 제 1 링크레버(120)의 연동은 발생되지 않으며,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된다. (이너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 작동 참고)
즉, 도어는 아웃핸들이나 이너핸들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열리지 않게 되며, 도어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락킹레버(170)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링크바(150)를 다시 활성화 위치(L1)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핸들 또는 이너핸들에 의한 조작력이 링크바(150)를 통해 전달되어 도어가 오픈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차일드
락 상태 설정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4는 차일드 락 설정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도어래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작동예의 차일드 락(child lock) 상태는 차실 외측에 배치된 아웃핸들로는 도어를 열 수 있지만, 차실 내측의 이너핸들 조작시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차일드 락 상태는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면, 차일드 락 버튼 조작)이나, 차량 제어부(예를 들면, 차량이 설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차일드 락 상태로 설정시, 차일드락레버(230)가 제 6 회전축(R6)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되게 된다. 이때, 차일드락레버(230)의 제 3 링크홀(231)에는 제 2 링크레버(220)의 링크돌기(224)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차일드락레버(230)가 회전되면서, 링크돌기(224)를 잡아당기게 된다.
링크돌기(224)는 제 2b 가이드홀(114b)을 따라 이동되며, 이로 인해, 제 2 링크레버(220)는 제 2 링크홀(223)을 따라 소정정도 위치가 이동된다. 즉, 제 2 링크레버(220)는 활성화 위치(L3)에서 비활성화 위치(L4)로 이동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링크레버(220)의 비활성화 위치(L4)에서는, 이너레버체결부(221)에서 이너레버(210)가 이탈되며, 제 2 링크레버(220)와 이너레버(210)가 연동 해제되게 된다. 즉, 이너레버(2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 2 링크레버(220)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7 및 제 2 링크레버(220) 관련 설명 참조).
따라서 이너핸들케이블(C3)이 당겨지고 이너레버(2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 2 링크레버(220)는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작동력이 OS레버(14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너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 작동 참고). 즉, 차실 내의 사용자가 이너핸들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되며, 도어는 차실 외측의 아웃핸들을 통해서만 열릴 수 있는 차일드 락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차일드 락 상태가 해제되면, 차일드락레버(230)는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링크돌기(224) 및 제 2 링크레버(220)는 다시 활성화 위치(L3)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이너핸들 조작시, 제 2 링크레버(220)는 이너레버(210)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제 2 링크레버(220)가 OS레버(14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너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 작동 참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캐치레버(190)를 구비하고 스트라이커와 결합되는 한편, 어퍼레버(160)를 통해 이너핸들 또는 아웃핸들이 조작력이 도어의 타측에 장착된 어퍼도어래치(U)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도어래치로서의 기능과 컨트롤러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이너핸들이나 아웃핸들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컨트롤러와 도어를 구속하는 도어래치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00)는 도어에 장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도어 내부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도어래치 110: 베이스프레임
111: 제 1 베이스프레임 112: 제 2 베이스프레임
113: 제 1 가이드홀 114: 제 2 가이드홀
114a: 제 2a 가이드홀 114b: 제 2b 가이드홀
120: 제 1 링크레버 121: 제 1 링크바연동돌기
122: 폴레버체결부 130: 릴리즈레버
131: 제 1 링크홀 132: 어퍼레버접촉부
140: OS레버 141: 제 2 링크바연동돌기
142: 아웃핸들체결홀 143: 이너레버접촉부
150: 링크바 160: 어퍼레버
161: 릴리즈레버접촉부 170: 락킹레버
180: 폴레버 181: 제 1 걸림돌기
182: 제 1 완충부재 190: 캐치레버
191: 스트라이커체결홈 192: 제 2 걸림돌기
193: 제 2 완충부재 194: 에어댐핑홀
210: 이너레버 220: 제 2 링크레버
221: 이너레버체결부 222: OS레버접촉부
223: 제 2 링크홀 224: 링크돌기
230: 차일드락레버 231: 제 3 링크홀
R1: 제 1 회전축 R2: 제 2 회전축
R3: 제 3 회전축 R4: 제 4 회전축
R5: 제 5 회전축 R6: 제 6 회전축
C1: 아웃핸들케이블 C2: 어퍼래치케이블
C3: 이너핸들케이블
111: 제 1 베이스프레임 112: 제 2 베이스프레임
113: 제 1 가이드홀 114: 제 2 가이드홀
114a: 제 2a 가이드홀 114b: 제 2b 가이드홀
120: 제 1 링크레버 121: 제 1 링크바연동돌기
122: 폴레버체결부 130: 릴리즈레버
131: 제 1 링크홀 132: 어퍼레버접촉부
140: OS레버 141: 제 2 링크바연동돌기
142: 아웃핸들체결홀 143: 이너레버접촉부
150: 링크바 160: 어퍼레버
161: 릴리즈레버접촉부 170: 락킹레버
180: 폴레버 181: 제 1 걸림돌기
182: 제 1 완충부재 190: 캐치레버
191: 스트라이커체결홈 192: 제 2 걸림돌기
193: 제 2 완충부재 194: 에어댐핑홀
210: 이너레버 220: 제 2 링크레버
221: 이너레버체결부 222: OS레버접촉부
223: 제 2 링크홀 224: 링크돌기
230: 차일드락레버 231: 제 3 링크홀
R1: 제 1 회전축 R2: 제 2 회전축
R3: 제 3 회전축 R4: 제 4 회전축
R5: 제 5 회전축 R6: 제 6 회전축
C1: 아웃핸들케이블 C2: 어퍼래치케이블
C3: 이너핸들케이블
Claims (15)
- 차량용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는 캐치레버(19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핸들케이블(C1)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케이블(C1)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캐치레버(190)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캐치레버(190)를 구속 해제시키는 OS레버(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14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14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릴리즈레버(130); 및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의 타측에 장착되는 어퍼도어래치(U)를 작동시키키는 어퍼래치케이블(C2)이 연결되어, 상기 어퍼도어래치(U)를 구속 해제시키는 어퍼레버(160);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즈레버(130)에는 제 1 링크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OS레버(140)에는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홀(131)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OS레버(140)와 상기 릴리즈레버(130)를 링크 결합시키는 링크바(150);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차량용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는 캐치레버(19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핸들케이블(C1)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케이블(C1)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캐치레버(190)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캐치레버(190)를 구속 해제시키는 OS레버(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14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14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릴리즈레버(130); 및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의 타측에 장착되는 어퍼도어래치(U)를 작동시키키는 어퍼래치케이블(C2)이 연결되어, 상기 어퍼도어래치(U)를 구속 해제시키는 어퍼레버(160);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즈레버(130)에는 어퍼레버접촉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레버(160)에는 릴리즈레버접촉부(161)가 형성되어,
상기 릴리즈레버(130)의 회전시, 상기 어퍼레버접촉부(132)가 상기 릴리즈레버접촉부(161)를 소정정도 밀어, 상기 어퍼레버(160)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된 차랑용 도어래치.
- 차량용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키는 캐치레버(19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핸들케이블(C1)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케이블(C1)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캐치레버(190)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캐치레버(190)를 구속 해제시키는 OS레버(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14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14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릴리즈레버(130);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레버(130)와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에 상기 차량용 도어의 타측에 장착되는 어퍼도어래치(U)를 작동시키키는 어퍼래치케이블(C2)이 연결되어, 상기 어퍼도어래치(U)를 구속 해제시키는 어퍼레버(16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에 이너핸들케이블(C3)이 연결되어 상기 이너핸들케이블(C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되, 상기 OS레버(140)와 링크 연결되어 상기 OS레버(140)를 회전시키는 이너레버(210); 및
상기 이너레버(210)의 일측이 체결되는 이너레버체결부(221)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레버(210)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측에 상기 OS레버(140)에 접촉되어 상기 OS레버(140)를 회전시키는 OS레버접촉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레버(210)와 상기 OS레버(140)를 링크 연결시키는 제 2 링크레버(220);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레버(190)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캐치레버(190)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레버(18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OS레버(140)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OS레버(140)에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이 상기 폴레버(180)와 체결되어 상기 OS레버(140)와 상기 폴레버(180)를 링크 연결시키는 제 1 링크레버(12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130)에는 제 1 링크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링크레버(120)에는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홀(131)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OS레버(140)와 상기 제 1 링크레버(120)를 링크 결합시키는 링크바(15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홀(131)은 상기 제 1 회전축(R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150)는 상기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링크바(150)가 상기 제 1 회전축(R1)에 인접한 활성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가 상기 링크바(150)와 간섭되고, 상기 링크바(150)가 상기 제 1 회전축(R1)과 이격된 비활성화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링크바연동돌기(141)가 상기 링크바(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홀(131)은 상기 제 1 회전축(R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150)는 상기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링크바(150)가 상기 제 1 회전축(R1)에 인접한 활성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가 상기 링크바(150)와 간섭되고, 상기 링크바(150)가 상기 제 1 회전축(R1)과 이격된 비활성화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링크바연동돌기(121)가 상기 링크바(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150)의 타단이 체결되며, 상기 링크바(150)를 상기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시켜, 활성화 위치 또는 비활성화 위치로 전환시키는 락킹레버(17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150)의 타단이 체결되며, 상기 링크바(150)를 상기 제 1 링크홀(131)을 따라 이동시켜, 활성화 위치 또는 비활성화 위치로 전환시키는 락킹레버(17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 삭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레버(220)는,
상기 이너레버체결부(221)에 상기 이너레버(210)가 체결되어, 상기 이너레버(210)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활성화 위치나,
상기 이너레버체결부(221)에서 상기 이너레버(210)가 이탈되어, 상기 이너레버(210)와 연동되지 않는 비활성화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레버(220)와 링크 결합되며, 상기 제 2 링크레버(220)를 소정정도 이동시켜 활성화 위치 또는 비활성화 위치로 전환시키는 차일드락레버(230);를 더 포함하는 차랑용 도어래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레버(220)에는 상기 차일드락레버(230)와 체결되는 링크돌기(2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상기 링크돌기(224)가 통과하는 제 2 가이드홀(114)이 관통 형성된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홀(114)은,
상기 이너레버(210)가 회전되는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2a 가이드홀(114a)과, 상기 제 2a 가이드홀(114a)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b 가이드홀(114b)로 형성된 차량용 도어래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돌기(224)는 차일드락레버(2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a 가이드홀(114a)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 2 링크레버(220)는 상기 링크돌기(224)의 이동에 의해 활성화 위치 또는 비활성화 위치로 전환되는 차량용 도어래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060A KR101393505B1 (ko) | 2012-10-08 | 2012-10-08 | 차량용 도어래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060A KR101393505B1 (ko) | 2012-10-08 | 2012-10-08 | 차량용 도어래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1485A KR20140051485A (ko) | 2014-05-02 |
KR101393505B1 true KR101393505B1 (ko) | 2014-05-14 |
Family
ID=5088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1060A KR101393505B1 (ko) | 2012-10-08 | 2012-10-08 | 차량용 도어래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35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97974A (zh) * | 2021-12-20 | 2022-03-18 | 武汉佳特汽车科技有限公司 | 用于重卡轻卡商用车上一体式车门锁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7992A (ko) * | 2010-06-18 | 2011-12-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
KR101168417B1 (ko) * | 2011-02-16 | 2012-07-24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
2012
- 2012-10-08 KR KR1020120111060A patent/KR1013935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7992A (ko) * | 2010-06-18 | 2011-12-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
KR101168417B1 (ko) * | 2011-02-16 | 2012-07-24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1485A (ko) | 2014-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233456A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6061092B2 (ja) |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 |
KR101935921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801399B1 (ko) | 자동차 문짝용 핸들 | |
JP5582291B2 (ja) | ダブルロック式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6497046B2 (ja) | 車両ドア作動装置 | |
CN108291412B (zh) | 锁止装置 | |
US20180112442A1 (en) | Door lock apparatus | |
US9926727B2 (en) | Latch release device for vehicle door | |
KR101154318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 |
JP4673654B2 (ja) | 自動二輪車用サイドトランクのロック装置 | |
JP4951797B2 (ja) | インサイド操作装置 | |
JP2015096683A (ja) | ドアラッチ装置 | |
JP2020056206A (ja) | 車両ドアラッチ装置 | |
JP6066078B2 (ja) |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 |
KR101393505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207801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JP2006266028A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2011111827A (ja) | ドアロック装置 | |
KR20110137992A (ko) |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 |
JP6459276B2 (ja) |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 |
KR101371255B1 (ko)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JP5607509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6716095B2 (ja) | 作業車両 | |
JP5028703B2 (ja) | 自動車用ドアのドアロック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