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0214B1 -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14B1
KR101210214B1 KR1020090119747A KR20090119747A KR101210214B1 KR 101210214 B1 KR101210214 B1 KR 101210214B1 KR 1020090119747 A KR1020090119747 A KR 1020090119747A KR 20090119747 A KR20090119747 A KR 20090119747A KR 101210214 B1 KR101210214 B1 KR 101210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oint
point
stage
temporary
oper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888A (ko
Inventor
박한길
이창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14B1/ko
Priority to JP2010167325A priority patent/JP2011116344A/ja
Priority to US12/886,293 priority patent/US8434383B2/en
Priority to DE102010037954.9A priority patent/DE102010037954B4/de
Publication of KR2011006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67Control convertible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변속패턴, 쉬프트 바이 와이어, P단, N단, D단, 매뉴얼모드

Description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변속기를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와 조작장치 사이에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인 연결이 배제된 쉬프트 바이 와이어 방식의 변속장치가 탑재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변속기 조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쉬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변속장치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종래와 같이 기계적인 케이블로 변속기에 전달하지 않고,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로 변속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기적 신호로 적절히 변환하여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바, 종래의 기계적인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으면서, 법규로 제한되거나 위험한 변속조작은 자동적으로 금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간편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는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두 고정점들 중 하나는 다른 직선경로와 만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는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두 고정점들 중 하나는 다른 직선경로와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두 고정점들 중 인접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장치와 유사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법규로 제한된 변속조작이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변속조작은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1)와; 상기 직선경로(L)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1)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S)와; 상기 센서(S)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작체(1)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T)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경로(L)들이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난다는 것은, 해당하는 두 직선경로(L)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일정각도 기울어져서 서로 교차하는 점이 있다는 의미이며, 이 교차점이 한 곳이라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체(1)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레버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하측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면 상기 피봇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임의의 지점이 직선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한 직선경로(L)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조작체(1)는 레버의 구조가 아니라, 실제 직선경로(L)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경로(L)들 중 하나에는 상기 조작체(1)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L)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두 고정점들 중 하나는 다른 직선경로(L)와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L)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1)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두 고정점들 중 인접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었다는 의미는, 상기 구 고정점 사이에, 상기 컨트롤러(3)가 의미 있는 상기 조작체(1)의 위치로 받아들일만한 위치가 존재하지 않아서, 상기 두 고정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 쪽으로 상기 조작체(1)를 이동시키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점으로 조작체(1)를 이동시킨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3)가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 임시점들과 고정점들 사이에는 기구적으로 탄성부재 등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임시점으로부터 저절로 상기 해당 고정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3의 안정구간이란, 상기 고정점들 사이의 구간으로서, 상기 조작체(1)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고정점에 그대로 안정되게 유지되는 구간이라는 것이며, 불안정구간이란, 상기 고정점과 임시점 사이의 구간으로서, 임시점에 위치한 조작체(1)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인접한 고정점으로 저절로 이동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상기 두 고정점을 제1고정점(P1)과 제2고정점(P2)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L)와 이와 만나는 상기 다른 직선경로(L)를 각각 제1경로(L-1)와 제2경로(L-2)로 구분하면, 상기 제2경로(L-2)는 상기 제2고정점(P2)에서 상기 제1경로(L-1)와 만나고, 상기 제2경로(L-2)는 또 다른 직선경로(L)인 제3경로(L-3)와 만나며, 상기 제2경로(L-2)가 상기 제3경로(L-3)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조작체(1)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인 제3고정점(P3)이다.
상기 제2경로(L-2)의 양단은 상기 제2고정점(P2)과 상기 제3고정점(P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점(P2)과 상기 제3고정점(P3)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경로(L-3)는 상기 제3고정점(P3)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상기 조작체(1)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3고정점(P3)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점(P1)과 제2고정점(P2) 중 상기 제1고정점(P1)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R)이고, 상기 제1고정점(P1)과 제2고정점(P2) 중 상기 제2고정점(P2)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D)이며, 상기 제1고정점(P1)과 제2고정점(P2)은 각각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Nr)과 ND고정점(Nd)이고, 상기 제3고정점(P3)은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M)이며, 상기 제M고정점(M) 양쪽의 임시점들은 +임시점과 -임시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 또는 상기 ND고정점(Nd)에 위치할 때, 별도의 조작에 의해 P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P작동체(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P작동체(5)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작동체(5)는 상기 조작체(1)에 구비된 P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진 구조인데, 물론, 상기 P작동체(5)는 버튼의 구조를 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스위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체(1)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조작체(1) 근처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체(1)에는 상기 조작체(1)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안전스위치(7)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안전스위치(7)도,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구조를 가지거나 레버구조 또는 다른 구조의 스위치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 설치장소가 반드시 상기 조작체(1)에 위치하지 않아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체(1)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고정점 또는 임시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R임시점(R)과 NR고정점(Nr), NR고정점(Nr)과 ND고정점(Nd), ND고정점(Nd)과 D임시점(D) 및 상기 ND고정점(Nd)과 M고정점(M) 사이에 각각 제1장애물(S1), 제2장애물(S2), 제3장애물(S3) 및 제4장애물(S4)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제1장애물(S1), 제2장애물(S2), 제3장애물(S3) 및 제4장애물(S4)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제1장애물(S1) 내지 제4장애물(S4)을 상기 조작체(1)의 위치 및 조작상태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적절한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법규에 제한된 변속조작을 금지하고 위험한 변속조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제1장애물(S1) 내지 제4장애물(S4)을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계식 변속장치와 동일한 상태로 조작체(1)를 조작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N단 선택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장애물(S3)로 상기 조작체(1)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조작체(1)가 상기 D임시점(D)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ND고정점(Nd)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 함으로써, 실제 조작체(1)는 도 3에서 NR고정점(Nr)으로부터 ND고정점(Nd)으로만 움직이지만, 사용자의 느낌으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N단에서 D단으로 조작한 것처럼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 또는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P작동체(5)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있는 상태 및 상기 ND고정점(Nd)에 있는 상태 모두를 각각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이나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P작동체(5)만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의 움직임 없이 그 상태를 그대로 P단 변속상태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P단 변속신호를 상기 변속기(T)로 출력하여 변속기(T)를 P단 상태로 변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R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D단 선택 상태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NR고정점(Nr)에 상기 조작체(1)가 위치한 상태는,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해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R단 선택상태로 인식될 수 있고, 상기 ND고정점(Nd)에 상기 조작체(1)가 위치한 상태는,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해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D단 선택상태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2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Nr)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즉,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운전자가 상기 조작체(1)를 상기 R임시점(R)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상기 조작체(1)는 R임시점(R)까지 이동했다가 다시 상기 NR고정점(Nr)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조작체(1)의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센서(S)를 통해 입력 받은 후, 운전자가 R단으로 변속 조작을 하였다는 것으로 해석 및 판단하여, 그에 따른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변속기(T)에서 R단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ND고정점(N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안전스위치(7)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유지된 상태를 N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 위치한 상태에서 P단 선택 상태임이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해 인식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안전스위치(7)를 조작하면, 이는 N단으로의 변속조작으로 해석되어,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컨트롤러(3)의 인식 상태만 N단 선택상태로 전환하고, 그에 따라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여 변속기(T)를 N단으로 제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ND고정점(N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N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R단 선택 상태인데, 운전자가 D단 변속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체(1)를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ND고정점(Nd)으로 이동시킨 후, 연이어 D임시점(D)까지 밀었다가 놓으면, 상기 조작체(1)는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되는데, 이와 같은 조작체(1)의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센서(S)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체(1)를 NR고정점(Nr)에서 R단 선택 상태로부터 상기 ND고정점(Nd)을 거친 후 상기 D임시점(D)까지 밀었다가 놓아야만 D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전진단인 D단과 후진단인 R단 사이에는 반드시 중립 상태인 N단이 존재해야 한다는 법규 때문이기도 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Nr)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5)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N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5)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R고정점(Nr)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참고로, 이상 도 5 내지 도 13의 경우는 상기 조작체(1)가 NR고정점(Nr)에서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R단 선택상태 중의 하나였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고, 이후의 도 14 내지 도 22는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서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D단 선택상태 중의 하나였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도 5 내지 22에 표시된 제1장애물(S1) 내지 제4장애물(S4)은 각 변속 상태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3)가 제어하여 상기 조작체(1)의 움직임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가능하도록 상기 직선경로(L)에서 적절히 제거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장애물(S1) 내지 제4장애물(S4)이 그대로 모두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N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D)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안전스위치(7)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 유지된 상태를 N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N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D)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D)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Nd)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N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5)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Nr)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R고정점(Nr)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R)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R)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Nr)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1)가 상기 ND고정점(Nd)으로부터 상기 M고정점(M)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M고정점(M)으로부터 +임시점 또는 -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S)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매뉴얼모드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매뉴얼모드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매뉴얼모드 변속조작을 위한 상기 M고정점(M)으로 상기 조작체(1)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조작체(1)가 ND고정점(Nd)에서 D단 선택상태인 경우를 거쳐야 하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의 개념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작체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의 조작체가 이동하는 실질적인 경로인 변속패턴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3과 같은 변속패턴으로 상기 조작체가 이동될 때, 사용자가 느끼도록 하기 위한 가상의 변속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3은 조작체가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R단 선택상태 중의 하나였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22는 조작체가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상태, N단 선택상태 또는 D단 선택상태 중의 하나였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속하게 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조작체 3; 컨트롤러
5; P작동체 7; 안전스위치
L; 직선경로 S; 센서
T; 변속기 L-1; 제1경로
L-2; 제2경로 L-3; 제3경로
P1; 제1고정점 P2; 제2고정점
P3; 제3고정점 R; R임시점
D; D임시점 Nr; NR고정점
Nd; ND고정점 M; M고정점
S1; 제1장애물 S2; 제2장애물
S3; 제3장애물 S4; 제4장애물

Claims (52)

  1. 삭제
  2.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두 고정점들 중 하나는 다른 직선경로와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두 고정점들 중 인접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점을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와 이와 만나는 다른 직선경로를 각각 제1경로와 제2경로로 구분하면,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2고정점에서 상기 제1경로와 만나고;
    상기 제2경로는 또 다른 직선경로인 제3경로와 만나며;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3경로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인 제3고정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의 양단은 상기 제2고정점과 상기 제3고정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점과 상기 제3고정점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경로는 상기 제3고정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상기 조작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3고정점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 중 상기 제1고정점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이고;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 중 상기 제2고정점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이며;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은 각각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과 ND고정점이고;
    상기 제3고정점은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이며;
    상기 제M고정점 양쪽의 임시점들은 +임시점과 -임시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 또는 상기 ND고정점에 위치할 때, 별도의 조작에 의해 P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P작동체를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P작동체는 상기 조작체에 구비된 P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 또는 ND고정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NR고정점과 상기 ND고정점은 상기 P작동체의 조작에 의해, 각각 P단 선택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위치하면,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R단 선택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 위치하면,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D단 선택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R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D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ND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상기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체는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R단 선택 상태일 때, N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ND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5. 청구항 14에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R단 선택 상태일 때, D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일 때, R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일 때, D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R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D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일 때, 상기 안전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체는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일 때, R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일 때, D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3. 청구항22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일 때, N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4. 청구항23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일 때, 상기 P작동체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체는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일 때, R단 변속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6. 청구항25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일 때, 매뉴얼모드 조작을 위한 상기 조작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M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M고정점으로부터 +임시점 또는 -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7. 상호간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직선경로들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작체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선경로들 중 하나에는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고정점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두 고정점들 중 하나는 다른 직선경로와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는 상기 두 고정점의 양쪽 외측으로 각각 상기 조작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두 고정점들 중 인접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점을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으로 구분하고, 상기 두 고정점을 구비한 직선경로와 이와 만나는 다른 직선경로를 각각 제1경로와 제2경로로 구분하면,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2고정점에서 상기 제1경로와 만나고;
    상기 제2경로는 또 다른 직선경로인 제3경로와 만나며;
    상기 제2경로가 상기 제3경로와 만나는 지점은 상기 조작체가 외력이 없는 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점인 제3고정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의 양단은 상기 제2고정점과 상기 제3고정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점과 상기 제3고정점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경로는 상기 제3고정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상기 조작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3고정점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된 임시점들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 중 상기 제1고정점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R단을 선택하기 위한 R임시점이고;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 중 상기 제2고정점 외측의 상기 임시점은 D단을 선택하기 위한 D임시점이며;
    상기 제1고정점과 제2고정점은 각각 N단을 선택하기 위한 NR고정점과 ND고정점이고;
    상기 제3고정점은 매뉴얼모드 중립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M고정점이며;
    상기 제M고정점 양쪽의 임시점들은 +임시점과 -임시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 또는 상기 ND고정점에 위치할 때, 별도의 조작에 의해 P단을 선택하도록 하는 P작동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P작동체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고정점 또는 임시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R임시점과 NR고정점, NR고정점과 ND고정점, ND고정점과 D임시점 및 상기 ND고정점과 M고정점 사이에 각각 제1장애물, 제2장애물, 제3장애물 및 제4장애물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장애물, 제2장애물, 제3장애물 및 제4장애물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외에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안전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전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 또는 ND고정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P작동체가 조작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있는 상태 및 상기 ND고정점에 있는 상태 모두를 각각 P단 선택 상태로 판단하여,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R단 선택 상태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P단 이외에 상기 N단 또는 D단 선택 상태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ND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안전스위치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유지된 상태를 N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ND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1. 청구항 40에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R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D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R고정점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P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안전스위치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 유지된 상태를 N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D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D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D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D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D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49. 청구항4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N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N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50. 청구항4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N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P작동체를 조작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P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 유지된 상태를 P단 선택 상태로 인식하며, P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NR고정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NR고정점으로부터 상기 R임시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R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스스로 상기 NR고정점으로 복귀하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R단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R단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52. 청구항5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에서 D단 선택 상태이었고,
    이후, 상기 조작체가 상기 ND고정점으로부터 상기 M고정점까지의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와, 상기 M고정점으로부터 +임시점 또는 -임시점까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직선 이동경로를 차례로 이동한 것을 상기 센서의 신호로 입력 받으면, 매뉴얼모드 변속조작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매뉴얼모드 변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KR1020090119747A 2009-12-04 2009-12-04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KR10121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47A KR101210214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JP2010167325A JP2011116344A (ja) 2009-12-04 2010-07-26 車両の変速機操作装置
US12/886,293 US8434383B2 (en) 2009-12-04 2010-09-20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0037954.9A DE102010037954B4 (de) 2009-12-04 2010-10-04 Getriebeschalt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47A KR101210214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88A KR20110062888A (ko) 2011-06-10
KR101210214B1 true KR101210214B1 (ko) 2012-12-07

Family

ID=4397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747A KR101210214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34383B2 (ko)
JP (1) JP2011116344A (ko)
KR (1) KR101210214B1 (ko)
DE (1) DE102010037954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85A (ko) 2017-03-30 2018-10-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031B2 (en) * 2008-09-30 2017-09-26 Dura Operating, Llc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US8755978B2 (en) * 2010-10-13 2014-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shifter position
KR101305787B1 (ko) * 2011-07-29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KR101305824B1 (ko) * 2011-07-29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KR101349404B1 (ko)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DE102011087330A1 (de) * 2011-11-29 2013-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KR20130064916A (ko)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시스템
KR20140008648A (ko) 2012-07-11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393973B1 (ko) * 2012-12-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8188A (ko) * 2013-08-09 201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레버 작동장치
KR101432993B1 (ko) * 2013-10-01 2014-08-22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시프트 레버 장치
KR101459960B1 (ko) * 2013-10-17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KR101543085B1 (ko) 2013-10-22 201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조작장치의 변속조작상태 인식 방법
KR101575414B1 (ko) 2013-11-18 2015-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KR101558781B1 (ko) 2014-06-11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레버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238729B1 (ko) * 2014-12-30 2021-04-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822244B1 (ko) 2015-12-09 2018-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식 변속 타입의 고장 판단 시스템
KR101953184B1 (ko) * 2018-08-03 2019-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변속기 조작 시스템
JP7352859B2 (ja) * 2019-10-10 2023-09-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変速操作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353A (ja) 1998-09-29 1999-06-1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変速ガイド板構造
JP2003513207A (ja) * 1999-10-26 2003-04-08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子制御式の車両用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シフト装置
JP2006007885A (ja) 2004-06-23 2006-01-12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装置のシフトレバー装置
WO2008011946A1 (de) 2006-07-28 2008-01-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iertes oder automatisches 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958A (ja) 1989-11-09 1991-07-01 Aisin Aw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択装置
JP2658717B2 (ja) 1992-02-12 1997-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バイワイヤ自動変速機用変速制御装置
JPH05223151A (ja) 1992-02-14 1993-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イレクトパワーシフト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185720B2 (ja) * 1997-07-29 2001-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マニュアルシフト機能付き自動変速機の制御回路
DE19737296C2 (de) 1997-08-27 1999-11-18 Daimler Chrysler Ag Selbsttätige Schaltvorrichtung eines Gangwechselgetriebes mit einem Handwählorgan
JP3558111B2 (ja) * 1997-08-29 2004-08-25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
WO2001008919A1 (en) * 1999-07-29 2001-02-0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park lock and neutral lock
JP4456721B2 (ja) 2000-04-27 2010-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1304395A (ja) 2000-04-27 2001-10-31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EP1239192B1 (en) * 2001-03-02 2010-12-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 shift device for vehicle
DE10206985B4 (de) * 2002-02-20 2012-07-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triebeschalteinrichtung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KR100488740B1 (ko) * 2003-08-27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시프팅 장치
JP4199714B2 (ja) * 2004-09-02 2008-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フ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05048875B4 (de) 2005-10-12 2008-03-27 Audi Ag Schalteinheit für ein elektronisch geschaltet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TW200801513A (en) 2006-06-29 2008-01-01 Fermiscan Australia Pty Ltd Improved process
KR100800126B1 (ko) * 2006-08-17 2008-01-3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JP4609418B2 (ja) * 2006-11-15 2011-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切換機構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687708B2 (ja) 2007-12-18 2011-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9168223A (ja) 2008-01-18 2009-07-30 Toyota Motor Corp シフト切替装置
KR101125036B1 (ko) 2008-05-16 2012-03-21 (주) 전시나라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353A (ja) 1998-09-29 1999-06-1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変速ガイド板構造
JP2003513207A (ja) * 1999-10-26 2003-04-08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子制御式の車両用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シフト装置
JP2006007885A (ja) 2004-06-23 2006-01-12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装置のシフトレバー装置
WO2008011946A1 (de) 2006-07-28 2008-01-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iertes oder automatisches getrieb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85A (ko) 2017-03-30 2018-10-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37954A1 (de) 2011-06-09
US8434383B2 (en) 2013-05-07
JP2011116344A (ja) 2011-06-16
US20110132124A1 (en) 2011-06-09
DE102010037954B4 (de) 2023-06-15
KR20110062888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214B1 (ko)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KR20110062880A (ko) 차량의 전자식 변속 조작장치
CN102725165B (zh) 换档装置
CN101523087B (zh) 用于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的换档装置
KR20140008648A (ko) 차량의 전자식 변속 장치
CN105637261A (zh) 用于选定行驶级的线控换挡操作装置和方法
KR101795181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4500327B2 (ja) シフト装置
KR10245712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238050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2124255A (zh) 控制机动车辆的变速器的方法
KR20120064260A (ko)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KR20190050374A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KR10241837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50042106A (ko) 차량의 변속 장치
CN107002862A (zh) 包括自动变速器和可手动操纵的换挡元件的车辆
KR20150018188A (ko) 차량의 변속레버 작동장치
US20050235769A1 (en) Shift-by-wire shifting with P position
KR100939792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US6885925B2 (en) Haptic controller which performs control using a force pattern that is represented by prescribed functions each connecting particular points
JP4190281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作動装置およびトランスミッション作動装置の作動方法
KR101953184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KR102084562B1 (ko) 변속기 조작 시스템
JP4529123B2 (ja) 自動変速機用故障検出装置
KR102210583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