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776B1 -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 Google Patents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776B1 KR101150776B1 KR1020090121447A KR20090121447A KR101150776B1 KR 101150776 B1 KR101150776 B1 KR 101150776B1 KR 1020090121447 A KR1020090121447 A KR 1020090121447A KR 20090121447 A KR20090121447 A KR 20090121447A KR 101150776 B1 KR101150776 B1 KR 1011507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ff
- knob
- cosmetic container
- coupling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공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와, 하부에 퍼프가 안착되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를 포함하며, 가압노브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산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smetic container having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rotatably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the pressure is moved up and down It includes a knob and a puff seated on the lower part,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pressure knob, and the pressure knob is moved down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is pressed to discharge the contents. .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안착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퍼프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손에 내용물이 묻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퍼프와 유출구를 이격시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pump by using the pressurized portion on which the puff is seat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tabl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without necessarily using both hands. It is intended to pressurize the pump so that the contents do not get on the hand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uff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to separate the puff and the outlet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화장품 용기, 가압노브, 퍼프, 퍼프결합부, 펌프, 토출 Cosmetic container, pressurized knob, puff, puff joint, pump, discharge
Descrip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분야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liquid cosmetics.
종래의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중 펌프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한손으로 펌프를 가압하고, 펌프의 유출구에 손 또는 퍼프를 근접시켜 펌프의 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을 묻혀서 사용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for accommodating liquid cosmetics, the pump pressurized cosmetic container was used by pressurizing the pump with one hand and bringing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pump by bringing the hand or puff close to the outlet of the pump.
이러한 펌프가압식 화장품 용기는 한손으로 펌프를 가압하고, 다른 한손은 화장품 용기의 몸체 또는 퍼프를 파지하거나, 펌프의 유출구에 근처로 가져가 펌프에서 유출되는 화장품을 묻혀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The pump-pressure cosmetic contain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essurized pump with one hand, and the other hand to hold the body or puff of the cosmetic container, or to take it near the outlet of the pump to bury the cosmetic flowing out of the pump.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손을 이용하지 않고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irst,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ressurize the pump without using a hand.
둘째, 퍼프에 묻은 내용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Second, to prevent the contents of the puffs from getting in the hands of the user.
셋째, 퍼프를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출구에서 이격시켜 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rd, the puff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공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삽입공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와, 하부에 퍼프가 안착되며, 본체부의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고, 가압노브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를 포함하며, 가압노브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분산부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smetic container having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rotatably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the pressure is moved up and down It includes a knob and a puff seated on the lower part,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pressure knob, and the pressure knob is moved down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is pressed to discharge the contents. .
여기서,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분산부의 외벽과 퍼프결합부의 돌출부 가 맞닿아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pressure knob is moved down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all of the dispers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abuts to press the dispersion portion.
여기서, 가압노브가 하부로 이동되면, 분산부의 바닥면과 퍼프결합부에 안착된 퍼프 하면이 맞닿아 분산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pressure knob is moved down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on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uff seated on the puff coupling portion abuts to pressurize the dispersion portion.
여기서, 가압노브는 가압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가압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와 이격되어,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맞닿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sure knob is formed from the pressing plate, the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pressing plate and coupled to the puff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edge direction of the pressing plate. It is preferred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insertion hole of the body portion.
여기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되어, 테두리부재와 탄성부재는 서로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n edge member having a lower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edge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제2결합부에는 본체부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 사이에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groov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and mov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또한, 가이드홈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제1가이드홈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preferably made of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또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uff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uff support member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uff support member,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insertion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Preferably, the subguide groove to be inserted is formed.
또한, 서브가이드홈은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과, 제1서브가이드 홈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guide groove is a first sub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sub-channel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b guide groove It is preferably made of a sub guide groove.
또한, 퍼프결합부는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와, 퍼프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어댑터와 제1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uff coupling portion is made of a puff support member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and an adapter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puff suppor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dapt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는 내측 하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와 분산부 사이에는 일측이 수용부에 연통되고 타측이 분산부의 유출구에 연통되는 펌프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ents in the inner low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ump 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ispersion portion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dispersion portion.
또한, 유출구에는 중앙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출구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관통공의 내부에서, 고정편과 이격 배치되는 분산편과, 일측이 고정편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산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편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고정편과 분산편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는 분산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the fixing piece disposed at the outlet, the dispersion pie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 inside the through hol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ispersion piec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nnecting pieces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dispersion member having a slot is formed between the fixed piece and the dispersion piece.
또한, 연결편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또한, 연결편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안착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적 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퍼프를 이용하여 펌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손에 내용물이 묻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퍼프가 결합되는 퍼프결합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퍼프와 유출구를 이격시켜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pump by using the pressurized portion on which the puff is seat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tabl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without using both hands. It is intended to pressurize the pump so that the contents do not get on the hand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a protrusion on the puff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puff is coupled to separate the puff and the outlet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220)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izing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노브(220)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이하 '화장품 용기'라 함)는 몸체부(100)와 가압부(20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smetic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는 일측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출구(111)가 형성된 분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부(110)는 몸체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어 분산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0) 내측의 평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산부(110)는 평편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평편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토출된 내용물이 분산부(110)의 가장자리와 몸체부(100) 사이에 형성된 갭(gap)을 통해 몸체부(100)의 하부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분산부(110)의 가장자리는 분산부(110)의 상부로 토출된 내용물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부(110)의 사시도인 도 4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절곡하여 외벽(1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edg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200)의 분해사시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00)는 중공형상의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상부 방향에서 본체부(2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노브(220)와, 본체부(210)의 하부 방향에서 본체부(210)에 삽입되고, 가압노브(220)과 결합되는 퍼프결합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체부(210)의 상부에는 도 2 및 화장품 용기의 작동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가 삽입되는 상부삽입공(211)(도 3 참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퍼프결합부(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삽입공(211)과 연통되는 하부삽입공(213)(도 2 참조)이 형성된다. An upper insertion hole 211 (see FIG. 3) into which the
상부삽입공(211)에 삽입되는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에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가압노브(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250)이 안착되는 퍼프결합부(230)와 상호결합된다. The
가압노브(22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결합부(230)에 안착된 퍼프(250) 하면은 분산부(110)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분산부(110)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이러한 퍼프결합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지지부재(231)와 연결부재(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230)의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지지부재(231)와 연결부재(232) 및 돌출부(233)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퍼프지지부재(231)는 퍼프(250)가 안착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가 삽입되는 본체부(210)의 평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연결부재(232)는 가압노브(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The
이러한 연결부재(23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232)는 중공형 원통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32)의 외주면에는 가압노브(220)와 암수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32a)가 형성된다. The
또한, 연결부재(232)의 외주면에는 연결부재(232)와 가압노브(220)가 암수결합될 때, 연결부재(232)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돌출부(233)는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가 맞닿게 되어 분산부(1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퍼프지지부재(23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형성되어 가압노브(22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분산부(110)의 외벽(112)을 가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otruding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퍼프결합부(230)와 퍼프(250)의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걸림턱(233a)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이러한 퍼프걸림턱(233a)은 퍼프(250)과 결합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의 돌출부(233)에는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는 퍼프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2a)와 후술할 가압노브(220) 결합공(222b)이 암수결합되는 실시예만 도시되었으나, 퍼프결합부(230)와 가압노브(220)는 나사체결방식,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소재 등을 이용하여 상호결합될 수도 있다.2, 3, 5, and 6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embodiment in which the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되는 가압노브(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221)와,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퍼프 결합부(23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222)와,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가압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222)와 이격되어, 본체부(210)의 상부삽입공(211)과 맞닿는 제2결합부(22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가압플레이트(221)는 사용자가 가압노브(220)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인 도 2에서는 대략 원판 형상의 가압플레이트(221)가 채용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제1결합부(222)는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The
제1결합부(222)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퍼프결합부(230)와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형성될 수 있다. The
제1결합부(222)의 외주면에는 퍼프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2a)가 삽입되는 결합공(222b)이 관통형성되며, 본체부(210)에 삽입시 후술할 본체부(210)의 테두리부재(212)에 걸림결합되는 삽입돌기(222a)가 형성된다. A
본 실시예에서 결합공(222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2)의 일측 중앙에 한쌍이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최소한 결합공에(222b)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2a)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은 형성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제1결합부(222)의 하단부에는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 삽입되어 삽입돌기(222a)와 테두리부재(212)가 맞닿는 경우, 제1결합부(222)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개홈(222c)이 형성된다.When the
삽입돌기(222a)와 테두리부재(212)가 맞닿는 경우, 절개홈(222c)이 형성된 제1결합부(222)는 내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어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가압노브(220)의 삽입돌기(222a)는 테두리부재(212)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When the
따라서, 테두리부재(212)의 저면에 걸리는 삽입돌기(222a)는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제2결합부(223)는 본체부(210)에 삽입시 상부삽입공(211)에 맞닿는 것으로, 가압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압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1결합부(222)로부터 이격 형성된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플레이트(221)를 가압하는 경우, 제2결합부(223)는 상부삽입공(211)에 맞닿아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르면 제2결합부(22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 방향으로 걸림돌기(223a)가 형성되고, 본체부(210)의 상부삽입공(211)과 하부삽입공(213) 사이에는 걸림돌기(223a)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214) 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ngaging
제2결합부(22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3a)와 본체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4)은 가압노브(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The locking
이러한 가이드홈(214)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14a)과, 제1가이드홈(214a)의 일측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1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세로방향이란 도 1에 도시된 몸체부(100)의 상하 방향을 말하며, 가로방향이란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말한다. Here,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이때, 제1가이드홈(214a)은 가압노브(220)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2가이드홈(214b)는 가압노브(220)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제2가이드홈(214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214a)의 양단부와 연통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본 명세서에서의 제2가이드홈(214b)을 제1가이드홈(214a)의 상단부와 연통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14b)라 정의하고, 제1가이드홈(214a)의 하단부와 연통형성되는 가이드홈(214)을 제3가이드홈(214c)라 정의하여, 제1가이드홈(214a), 제2가이드홈(214b) 및 제3가이드홈(214c)에 걸림돌기(223a)가 위치된 경우, 가압노브(220)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걸림돌기(223a)가 제1가이드홈(214a) 내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돌기(223a)는 제1가이드홈(214a)에 삽입되므로, 가압노브(2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locking
또한, 걸림돌기(223a)가 제2가이드홈(214b)과 제3가이드홈(214c) 내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돌기(223a)는 제2가이드홈(214b)와 제3가이드홈(214c)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압노브(2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단지 회전운동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ocking
이러한 가이드홈(2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내측면에 한쌍이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a pair of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4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2 and 3, an
탄성부재(24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가압노브(2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탄성부재(240)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 탄성부재(240)가 삽입되는 경우, 본체부(2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삽입공(213)이 형성되는 테두리부재(2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러한 테두리부재(212)는 본체부(2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222)와 제2결합부(223)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2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또한, 테두리부재(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222a)와 걸림결합이 되어 본체부(210)에서 가압노브(2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암수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었으나,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결합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내측 하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수용부(120)와 분산부(110) 사이에는 일측이 수용부(120)에 연통되고 타측이 분산부(110)의 유출구(111)에 연통되는 펌프(1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inside the
수용부(12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펌프(130)와 연통형성된다. Receiving
펌프(130)는 수용부(120)의 압력과 유출구(111) 측의 압력차를 이용해 수용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유출구(111)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용물(12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유출구(111)로 토출시킨다. The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노브(22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퍼프(250)와 분산부(110)가 맞닿게 되며, 분산부(1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130)를 가압시킨다. 이때, 가압노브(220)와 본체부(210)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240)는 가압노브(22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3, when the
가압노브(220)를 가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 펌프(130)는 수용부(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분산부(110)의 상면으로 토출시키며, 토출된 내용물은 퍼프(250)에 묻게 된다. When the pressing of the
퍼프(250)에 내용물이 묻게 되면, 사용자는 가압부(200)와 몸체부(100)를 분리시키고, 가압노브(22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가압노브(220)를 회전시켜 제3가이드홈(214c)에 가압노브(220)의 걸림돌기(223a)가 위치시킨다. When the contents are buried in the
제3가이드홈(214c)에 걸림돌기(223a)가 위치하게 되면 가압노브(220)는 본체부(21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When the locking
또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가압노브(2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회전시켜, 걸림돌기(223a)를 제2가이드홈(214b) 내로 위치시켜 가압노브(22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storing without usi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부(110)의 유출구(1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11)를 개폐시키고, 토출되는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14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a
분산부재(140)는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및 연결편(140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140a)은 중앙측에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유출구(111)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환형(環形)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고정편(140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분산편(140b)이 고정편(140a)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편(140a)와 분산편(140b) 사이에는 복수 개의 연결편(140c)이 상호 이격형성되어 분산편(14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이때 고정편(140a)와 분산편(140b) 사이에는 슬롯(140d)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분산시킨다.At this time, a
이러한 연결편(140c)은 관통공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에 대응되는 슬롯(140d)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connecting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사이에 형성된 슬롯(140d)은 고정편(140a)과 분산편(140b) 사이에서 미세한 유출로를 형성하므로 펌프(130)를 통해 이송된 내용물을 분산부(110)의 상부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이러한 연결편(140c)은 분산편(140b)에 탄성력 가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3에 도시된 펌프(13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분산편(140b)은 펌프(130)의 유출구(도면 미도시)가 형성된 상부면에 밀착되어 펌프(130)의 유출구를 폐쇄시킨다. When the
펌프(130)에서 내용물이 상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경우, 분산편(140b)은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upward in the
이때 분산편(140b)와 연결된 연결편(140c)은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복원력은 분산편(140b)에 전달되어, 분산편(140b)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가압시켜 분산편(140b)의 주변으로 분산시키고, 슬롯(140d)을 통해 분산부(110)의 상부면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이러한 분산부재(140)는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소정 정도 상향이동될 때,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며, 압력에 따라 다시 하향이동되면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구체적으로, 내용물에 의해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의 분산편(140b)은 유출구와 맞닿아 유출구를 폐쇄시키며, 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면, 상부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며 유출구를 개방시킨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분산부재(140)는 펌프(130)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펌프(130)의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기능과, 토출되는 내용물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0)의 분해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면 퍼프결합부(230)의 연결부재(232) 측면에는 삽입돌기(232b)가 형성되고, 제1결합부(222)의 하부에는 삽입돌기(232b)가 삽입되는 서브가이드홈(222d)이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izing
삽입돌기(232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22)의 내측에 형성된 서브가이드홈(222d)에 삽입되는 것으로, 퍼프결합부(230)와 가압노브(220)의 결합과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As shown in FIG. 7, the
서브가이드홈(222d)은 제1결합부(222)의 내측면에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형성위치는 삽입돌기(23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삽입돌기(232b)의 형성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로 변경형성이 가능하다. The
이러한 서브가이드홈(222d)은 삽입돌기(23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222)의 하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가이드홈(222d1)과, 제1서브가이드홈(222d1)의 상측과 연통되어 가로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제2서브가이드홈(222d2)로 이루어진다.The
삽입돌기(232b)가 제1서브가이드홈(222d1)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삽입돌기(232b)가 제2서브가이드홈(222d2)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노브(220)와 퍼프결합부(230)는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결합부(230)는 퍼프(250)가 결합되는 퍼프지지부재(231)와,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어댑터(234)로 이루어지고, 어댑터(234)와 제1결합부(22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퍼프지지부재(231)의 상면에는 어댑터(234)와 결합되는 연결부재(23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돌출부(233)가 형성된다. A
또한, 지지부재어댑터(234)의 상면에는 어댑터결합부재(234b)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연결부재(232)와 상호 결합되는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연결부재(232)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는 암수결합,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부재(232)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결합되었다.The
어댑터결합부재(234b)에는 전술한 가압노브(220)의 결합공(222b)에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돌기(234c)가 형성되며, 결합공(222b)에 어댑터결합돌기(234c)가 삽입되는 경우, 어댑터결합부재(234b)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절개홈(234d)이 형성된다. When the
지지부재어댑터(234)와 가압노브(220)가 결합되면, 어댑터지지부재(234a)의 가장자리는 본체부(210)의 테두리부재(212)의 저면과 맞닿아 가압노브(220)가 본체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퍼프결합부(230)는 퍼프(250)가 결합된 퍼프지지부재(231)와 지지부재결합돌기(234e)가 나사결합되므로, 퍼프지지부재(231)를 지지부재결합돌기(234e)에서 보다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Th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with a pressing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작동도이다.3 is an opera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a pressur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분산부의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r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ff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퍼프결합부와 퍼프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ff coupling portion and pu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몸체부 110 : 분산부100: body 110: dispersion
111 : 유출구 112 : 외벽111
120 : 수용부 130 : 펌프 140 : 분산부재 140a : 고정편 140b : 분산편 140c : 연결편
140d : 슬롯 200 : 가압부120: accommodating part 130: pump 140:
140d: slot 200: pressuriz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210 : 본체부 211 : 상부삽입공210: body portion 211: upper insertion hole
212 : 테두리부재 213 : 하부삽입공212: rim member 213: lower insertion hole
214 : 가이드홈 214a : 제1가이드홈214: guide
214b : 제2가이드홈 214c : 제3가이드홈214b:
220 : 가압노브 221 : 가압플레이트220: pressure knob 221: pressure plate
222 : 제1결합부 222a : 삽입돌기222:
222b : 결합공 222c : 절개홈222b:
222d : 서브가이드홈 223 : 제2결합부222d: sub guide groove 223: second coupling portion
223a : 걸림돌기 230 : 퍼프결합부223a: locking projection 230: puff coupling part
231 : 퍼프지지부재 232 : 연결부재231: puff support member 232: connection member
232a : 결합돌기 232b : 삽입돌기232a: Coupling
233 : 돌출부 231a : 결합돌기233: protrusion 231a: coupling protrusion
240 : 탄성부재 250 : 퍼프240: elastic member 250: puff
삭제delet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447A KR101150776B1 (en) | 2009-12-08 | 2009-12-08 |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
PCT/KR2010/008723 WO2011071302A2 (en) | 2009-12-08 | 2010-12-07 | Cosmetics container having a press kno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447A KR101150776B1 (en) | 2009-12-08 | 2009-12-08 |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4731A KR20110064731A (en) | 2011-06-15 |
KR101150776B1 true KR101150776B1 (en) | 2012-06-08 |
Family
ID=4414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1447A KR101150776B1 (en) | 2009-12-08 | 2009-12-08 |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776B1 (en) |
WO (1) | WO2011071302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83891A1 (en) * | 2013-12-03 | 2015-06-11 | 강성일 |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
KR101981125B1 (en) * | 2018-01-08 | 2019-05-22 | 펌텍코리아(주)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pressing of the push button is restricted within a regulation ang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568B1 (en) * | 2013-02-25 | 2014-11-03 | (주)연우 | The Cream type vacuum cosmetic vessel |
KR101364103B1 (en) * | 2013-04-01 | 2014-02-21 | 이넬화장품 주식회사 | Makeup fluid case assembly |
KR101563083B1 (en) * | 2014-02-03 | 2015-10-26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CN110419846B (en) * | 2014-02-03 | 2022-05-10 | 株式会社Lg生活健康 | Cosmetic container |
KR200491820Y1 (en) * | 2019-03-26 | 2020-06-10 | 코스맥스 주식회사 | Cosmetic Case for Push Bott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29108A (en) | 1988-06-27 | 1990-05-29 | L'oreal | Applicator venting arrangement |
KR100705690B1 (en) | 2006-06-02 | 2007-04-09 | 변영광 | Cosmetics cas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7508B1 (en) * | 2005-08-12 | 2007-09-11 | 변영광 | Cosmetics brush |
KR100789295B1 (en) * | 2006-03-07 | 2007-12-28 | 변영광 | A make up case easy to discharge of powder |
-
2009
- 2009-12-08 KR KR1020090121447A patent/KR10115077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12-07 WO PCT/KR2010/008723 patent/WO201107130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29108A (en) | 1988-06-27 | 1990-05-29 | L'oreal | Applicator venting arrangement |
KR100705690B1 (en) | 2006-06-02 | 2007-04-09 | 변영광 | Cosmetics cas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83891A1 (en) * | 2013-12-03 | 2015-06-11 | 강성일 |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
US9718073B2 (en) | 2013-12-03 | 2017-08-01 | Sungil Kang |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
KR101981125B1 (en) * | 2018-01-08 | 2019-05-22 | 펌텍코리아(주)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pressing of the push button is restricted within a regulation ang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71302A3 (en) | 2011-11-10 |
WO2011071302A2 (en) | 2011-06-16 |
KR20110064731A (en)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0776B1 (en) | Cosmetic vessle having pressure knob | |
EP2407049B1 (en) | Cosmetics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before use | |
KR101123050B1 (en) | Cosmetic vessle having rotation knob | |
US10493217B2 (en) | Inhalator and inhalator set | |
KR101715180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1910428B1 (en) | Vessel for Dispensing different kind of fluid | |
KR200460321Y1 (en) | Dual vessel | |
US20070017932A1 (en) | Counter mounted dispensing system | |
KR20180108068A (en) |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 |
US8827117B2 (en) | Easily operated liquid dispenser | |
US4792064A (en) | Liquid soap dispenser | |
JP2009505682A (en) | Soap dispensing equipment | |
KR20180012622A (en) | A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JP3163023U (en) | Dispenser container | |
JP2007509014A5 (en) | ||
JP2007509014A (en) | Universal color | |
CN102159123A (en) | Dispenser system | |
KR20150022355A (en) | a container | |
KR101123049B1 (en) | Pumping type make-up receptacle having movable shoulder member | |
KR100819764B1 (en) | Dispenser receptacle | |
US8453884B2 (en) | Diaphragm pump actua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dome shaped deformable membrane | |
KR20180093275A (en) | Discharging pump for shampoo container | |
KR200465757Y1 (en) |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 |
JP4968736B2 (en) | Liquid ejector | |
JP5881991B2 (en) | Double syri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