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이동/안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제 1 용지 이송 경로; 상기 제 1 용지 이송 경로와 상이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상류 위치와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제 2 용지 이송 경로; 상기 제 1 용지 이송 경로와 상기 제 2 용지 이송 경로가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상류 측에서 합류하는 합류 이송 경로; 및 상기 합류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용지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이동/안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이동/안내 유닛;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이동/안내 유닛 사이에 상기 용지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상기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안내 부재;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상기 용지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상기 용지 이송 경로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제 2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안내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유지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유지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상기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256g/m2 내지 300g/m2의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 이송 유닛은 상기 용지의 선단이 예각의 충돌각으로 상기 벨트의 이송면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256g/m2 내지 300g/m2의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저장하는 용지 공급 유닛; 원본의 화상을 스캔하는 원본 스캔 유닛; 상기 용지 공급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 공급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에 상기 원본 스캔 유닛에 의해 스캔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원본 스캔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 유닛; 및 상기 용지 공급 유닛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지 이송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를 향해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용지 공급 유닛 내의 용지들로부터 분리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 이송 유닛은 상기 용지의 선단이 예각의 충돌각으로 상기 벨트의 이송면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유지 및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이동/안내 유닛;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이동/안내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용지를 상기 이동/안내 유닛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안내 유닛은 상기 용지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이송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이송 유닛은 상기 벨트, 상기 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벨트 유지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 유지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둘레에 걸리며, 상기 벨트 유지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 부재의 축방향 중심보다 높고 상기 제 1 안내 부재의 하류 가장자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상기 용지를 이동/안내하는 이동/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안내 유닛은 상기 용지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쪽으로 이송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 이송 유닛은 상기 벨트, 상기 벨트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벨트 유지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 유지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둘레에 걸리며, 상기 벨트 이송 유닛은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벨트의 이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면은 상기 벨트 유지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벨트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제 2 이송 유닛은 상기 용지를 유지 및 이송하는 유지부를 갖는 유지/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 이동/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안내 유닛은 상기 용지를 상기 제 2 이송 유닛의 유지부 쪽으로 이동/안내하며, 상기 이동/안내 유닛은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용지 폭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용지 폭 방향으로 상기 용지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제 2 이송 유닛을 향하는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1 이송 유닛; 및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 유닛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상기 제 1 용지 이송 방향과 상이한 제 2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회전 이송 부재를 구비한 제 2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제 2 이송 유닛은 상기 용지를 유지 및 이송하는 유지부를 갖는 유지/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고, 상기 유지/이송 유닛은 서로 면하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 중 하나는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다른 부재로 전달하는 회전 이송 구동 유닛이며, 상기 다른 부재는 상기 제 1 이송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연장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이동/안내 유닛이며, 상기 이동/안내 유닛은 상기 용지를 상기 유지부 쪽으로 이동/안내하는 상기 회전 이송 구동 유닛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용지를 간단한 비용 절감형 구성으로 이송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성능과 비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콤팩트한 크기의 공간 절약형 용지 이송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 스캔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컨대 실시예, 변형례 및 사용례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동일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지정하였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이 필요 없는 요소는 편의상 도면에서 생략될 수 있다. 특허 공보에서 발췌한 요소의 참조 번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참조 번호와 구별하기 위해 대괄호[]로 표시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의 제 1 실시예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복사기(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복사기(1)는 원본 표면의 화상을 스캔하여 기록 용지, 전사 용지, 종이 용지 및 OHP 투명 용지와 같은 다양한 시트 형태의 기록 매체(이하 “용지”라 함)에 복사된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복사기이다. 복사기(1)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를 지지하는 급지 장치(3) 및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원본 스캔 장치(4)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는 스캔된 원본 화상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화상 형성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를 포함한다. 급지 장치(3)는 한 번에 한 장의 용지(S)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공급한다. 원본 스캔 장치(4)는 원본 화상을 스캔하여 원본 화상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보낸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부에는 배지 트레이(9)가 제공되어 원본 스캔 장치(4) 아래에 공간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를 통과한 용지들은 배지 트레이(9)로 배출되어 쌓인다. 급지 장치(3)로부터 배지 트레인(9)로 용지 이송 경로(R1)(이하 “이송 경로(R1)”라고도 함)가 이어져 있다. 이송 경로(R1)의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급지 장치(3)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부 사이로 연장된다. 이송 롤러 쌍들과 종속 롤러 쌍들을 포함하는 용지 이송 유닛들이 최소 용지(S) 치수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송 경로(R1)를 따라 제공된다. 이들 용지 이송 유닛들 중의 일부는 용지(S)를 속박(개재)하도록 구성되어 용지(S)가 이송 경로(R1)를 따라 연속 이송되는 것을 확고히 한다. 또한, 급지 장치(3)는 급지 장치(3)의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S)를 공급/이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 장치(5)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부에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의 역할을 하는 광전도체 유닛(10)과 정착기(11)가 이송 경로(R1)의 상류 쪽으로부터 하류 쪽 순서로 배치된다. 용지(S)가 이송 경로(R1)의 상류 쪽으로부터 하류 쪽으로 이송됨에 따라, 광전도체 유닛(10)은 발생시킨 토너 화상을 용지(S)에 전사하고 정착기(11)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토너 화상이 정착되는 용지(S)는 이송 경로(R1)의 단부에 배치된 배지 트레이(9)에 배출된다.
광전도체 유닛(10)은 화상 담체의 역할을 하는 단일의 드럼 형태 광전도체(10A)를 포함한다. 광전도체(10A)는 실질적으로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부의 측면 패널(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광전도체(10A)는 미리 정해진 직경의 원통 형태와 공지된 구성을 갖는다. 광전도체(10A)는 그 일단 또는 광전도체 유닛이나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제공된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광전도체(10A)는 일정 속도로 연속해서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광전도체(10A) 주변에는 현상기(12), 전사(transfer) 장치(13), 광전도체 청소 장치(18), 방전 장치 및 대전 장치(14)가 이 순서대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치된다. 반시계방향으로 광전도체(10A)의 일회전에 대응하는 범위에는, 각각 의 전술한 장치(12-14)를 위한 현상 위치, 전사 위치, 청소 위치, 방전 위치 및 대전 위치가 상류 위치로부터 하류 위치 순서로 배치된다.
대전 위치와 현상 위치 사이에는 잠상 형성 위치가 배치된다. 광전도체(10A)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 이격된 위치에 노광 장치(47)가 배치된다. 잠상 형성 위치에서, 노광 장치(47)는 광전도체(10A)에 미리 정해진 레이저빔을 방사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보이지 않는 잠상을 형성한다. 반시계방향의 광전도체(10A)의 회전에 동기하여, 전술한 장치(12-14) 및 노광 장치(47)는 연동된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 통합된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을 실행한다.
현상 장치(12)는 토너 입자들이 반경 방향으로 현상 장치(12)의 표면에서 곧추서게 하여 토너 브러시를 발생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비롯한 적절한 공지 구성을 갖는다. 잠상이 광전도체(10A)의 회전에 따라 광전도체(10A)의 원자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상 위치를 통과할 때, 현상 장치(12)는 토너 브러시의 말단에서 토너 입자가 광전도체(10A)의 표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보이지 않는 잠상은 볼 수 있는 단색 토너 화상으로 바뀐다.
전사 장치(13)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 개의 지지 롤러(15, 16) 및 지지 롤러(15, 16) 둘레에 걸린 무단 벨트인 전사 벨트(17)를 포함한다. 전사 장치(13)는 토너 화상을 광전도체(10A)의 원주 표면으로부터 용지(S)에 전사하고,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S)를 이송 경로(R1)의 하류 쪽으로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사 벨트(17)가 걸린 하부 지지 롤러(16)의 일부는 광전도체(10A)의 실질적으로 대각선 하향 우측 부분에 압박되고, 전사 위치는 광전도체(10A)의 표면과 전사 벨트(17)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부 지지 롤러(15)는 정착기(11)의 입구 전방에 배치된다.
광전도체 청소 장치(18)는 블레이드 부재(도시 생략)와 회전 브러시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부재는 미리 정해진 압력 수준을 유지하면서 광전도체(10A)의 청소 위치에 맞닿는 말단에 블레이드 가장자리가 있다. 회전 브러시는 청소 위치와 접하고 광전도체(10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광전도체 청소 장치(18)는 전사 동작 후에 광전도체(10A)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방전 장치는 미리 정해진 강도의 광선을 방출할 수 있는 램프로 구성된다. 이 램프는 방전 위치를 통과하는 광전도체(10A)의 대전된 면을 중화시키도록 방전을 위해 사용되는 광선을 방전 위치에 방사한다. 이에 따라, 방전 장치는 전사 위치를 통과한 광전도체(10A)의 표면 전위를 초기화한다.
정착기(11)는 열원으로 작용하는 내장 전열 히터를 갖는 가열 롤러(31) 및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가열 롤러(31)를 향하고 이에 압박되는 압박 롤러(32)를 포함한다. 가열 롤러(31)가 모터와 같은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하면, 가열 롤러(31)와 접한 압박 롤러(32)는 가열 롤러(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가열 롤러(31)와 압박 롤러(32)가 서로 접하는 부분은 미리 정해진 가열 온도와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갖게 되어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하기 위한 닙부로 작용하게 된다.
도 1에서, 20은 사용하지 않은 새 토너를 보관하는 토너 용기인 토너 저장 용기를 나타낸다. 도시하지 않은 토너 이송 경로가 토너 보관 용기(20)로부터 현상 장치(12)로 연장되어 있다. 현상 장치(12)가 내부에 제공된 토너를 소비하고 토너 보관량이 존재할 때, 새로운 보충 토너는 토너 보관 용기(20)로부터 현상 장치(12) 안으로 공급된다.
자동 또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용지 크기가 선택될 수 있도록 급지 장치(3)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아래에 제공된다. 급지 장치(3)는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된 용지 보관 유닛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급지 트레이(51)를 포함한다. 각각의 급지 트레이(51)는 각각의 급지 트레이(51)에 해당하는 적절한 수의 용지가 보충되도록 급지 장치(3)의 외부로 개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용지 크기를 갖고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수평 방향으로 향한 서로 다른 형태의 용지(S)가 급지 트레이(51)에 적재/보관된다.
원본 스캔 장치(5)는 그 얼개가 되는 스캔 장치 본체(4A)를 포함한다. 스캔 장치 본체(4A) 상부의 미리 정해진 범위에 걸쳐 노광 유리(57)가 배치된다. 노광 유리(57)의 미리 정해진 범위를 스캔하여 원본 화상을 광학 스캔하기 위한 스캔 유닛이 스캔 장치 본체(4A) 내부에 수용된다. 보통 스캔 유닛은 제 1 body 이동체(53), 제 2 이동체(54), 화상 처리 렌즈(55) 및 CCD와 같은 스캔 센서(56) 등을 포함한다.
원본 스캔 장치(4)는 노광 유리(57)를 덮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플래튼 커버(platen cover)(58)를 포함한다. 플래튼 커버(58)는 스캔 장치 본체(4A)의 상면에 배치된다. 플래튼 커버(58)는 노광 유리(57)보다 큰 길이/폭 치수를 갖고, 한 측면이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도록 스캔 장치 본체(4A)의 상면에 고정된다.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복사기(1)의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복사기(1)로 원본을 복사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작업으로 원본 스캔 장치(4)의 플래튼 커버(58)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개방하고, 원본을 노광 유리(57)에 놓은 다음 플래튼 커버(58)를 수작업으로 폐쇄 위치에 놓는다. 이에 따라, 원본은 원본 면이 정밀하게 스캔될 수 있도록 노광 유리(57)와 밀착된 평탄한 상태로 벌어지고, 원본은 노광 유리(57)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복사기(1)에 제공된 동작 패널부의 시작 키(도시 생략)를 누름에 따라, 원본 스캔 장치(4)의 스캔 동작이 즉시 시작되고,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제 1 이동체(53)와 제 2 이동체(54)를 이동시킨다. 광선이 제 1 이동체(53)의 광원으로부터 원본 쪽으로 방사되고, 광선이 원본 면으로부터 제 2 이동체(54)를 향해 반사되고, 제 2 이동체(54)거울에 의해 반사되며, 광선은 화상 처리 렌즈(55)에 의해 스캔 센서에 진입한다. 그 결과, 원본의 화상은 광전 전환되어 스캔 센서(56)에 의해 스캔된다.
시작키를 누르면, 광전도체 유닛(10)의 광전도체(10A)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스캔된 원본 화상에 기초하여 광전도체(10A)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특히, 광전도체(10A)가 회전함에 따라, 광전도체(10A)의 원주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가 대전 장치들(14), 노광 장치(47), 현상 장치(12), 전사 장치(13), 광전도체 청소 장치(18) 및 대전 장치 사이의 각각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광전도체(10A) 표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가 미리 정해진 대전 상태로 대전되어 잠상이 형성된다. 잠상은 가시 토너 화상으로 바뀌고, 토너 화상이 용지(S)에 전사되고, 잔류 토너가 광전도체(10A)로부터 제거되며, 대전 상태가 제거되어, 전술한 순서로 하나의 동작 사이클이 완료된다. 이 사이클은 형성될 화상의 크기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광전도체(10A)의 원주면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영역에 토너 화상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시작키를 누르면, 하나의 용지(S)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된 유형의 용지(S)를 보관하는 급지 스테이지(stage)에 해당하는 급지 장치(3) 내의 급지 트레이(51)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용지(S)는 해당 급지 스테이지에 부착된 용지 이송 장치(5)에 의해 미리 정해진 용지 이송 경로를 경유해 이송 경로(R1)로 이송된다. 이 용지(S)는 이송 롤러들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용지 이송 경로(R1)를 통해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이송되고, 용지(S)의 선단이 항 쌍의 저항 롤러(21)에 맞닿으면 일시 정지한다.
수동 급지가 수행되는 경우, 용지(S)는 우회 트레이(67)에 얹히고, 우회 트레이(67)를 위해 제공된 급지 롤러(67A)의 회전에 의해 말린다. 복수의 용지(S)가 우회 트레이(67)에 적재되는/얹히는 때, 분리 롤러(67B, 67C)가 용지들(S)을 낱장으로 분리한다. 용지는 우회 급지 경로(R2)로 이송되어, 급지 경로(R2)로부터 이송 경로(R1)로 이송되고, 용지(S)의 선단이 한 쌍의 저항 롤러(21)와 맞닿으면 일시 정지한다.
한 쌍의 저항 롤러(21)는 회전하는 광전도체(10A) 표면의 토너 화상의 상대적인 움직임과 동기하여 정밀한 타이밍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일시 정지한 시트(S) 를 전사 위치로 보낸다. 그 결과,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13)에 의해 용지(S)에 전사된다.
그렇게 되면, 정착되지 않은 단색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S)는 이송 경로(R1)의 일부로 작용하는 전사 장치(13)의 전사 벨트(17)에 의해 정착기(11)로 이송된다. 용지(S)는 정착기(11)의 닙부를 통과한다. 닙부는 미리 정해진 열과 압력을 용지(S)에 가하여 화상를 용지(S)에 정착시킨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S)는 손톱 형태의 스위치 부재(34)에 의해 배지 트레이(9)로 이어진 이송 경로(R1)에 이송되고, 배지 롤러(35-38)에 의해 배지 트레이(9)로 배출되어, 배지 트레이(9)에 적재된다. 사용자는 배지 트레이(9)에 쌓인 용지(S)를 개방부를 통해 회수할 수 있고, 개방부는 배지 트레이(9)와 장치의 정면을 향한 원본 스캔 장치(4) 사이에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양면 복사 모드가 선택되면, 일면에 화상이 정착된 용지(S)는 스위치 부재(34)에 의해 용지 역전 장치(42) 쪽으로 이송된다. 용지 역전 장치(42)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66)와 안내 부재들(도시 생략)이 용지(S)를 역전 이송 경로(R3)를 따라 후진 및 전진시켜 용지(S)를 뒤집는다. 그런 다음, 용지(S)는 광전도체 유닛(10)의 정면 위치로부터 한 쌍의 저항 롤러(21)를 통해 용지 이송 경로(R1)로 다시 이송된다. 용지(S)는 이송 경로(R1)를 따라 상향 이송되어 다시 전사 위치로 안내되어, 이번에는 화상이 용지(S)의 뒷면에 전사 및 정착된다. 마지막으로, 용지(S)는 배지 롤러(35-38)에 의해 배지 트레이(9)에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2와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이송 장치(5)는 도 1에 도시한 급지 장치(3) 내의 미리 정해진 스테이지(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스테이지)의 급지 트레이(51)에 적재/보관된 용지(S)의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용지(S)를 추출하고, 추출한 용지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여, 용지(S)를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로 이송한다.
용지 이송 장치(5)는 용지(S)를 이송하기 위한 제 1 이송 유닛(6), 제 1 이송 유닛(6)에서 받은 용지(S)를 제 1 이송 유닛(6)의 이송 방향과 다른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제 1 이송 유닛(6)의 용지 이송 방향의 하류 쪽에 배치된 제 2 이송 유닛(7), 그리고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제 1 이송 경로(A)를 포함한다.
용지 이송 장치(5)에서,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양자는 한 쌍의 회전 이송 부재로 용지(S)를 잡아 이송하는 속박/이송 유닛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이송 유닛(6)은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제 1 쌍의 회전 이송 부재의 역할을 하는 2 개의 회전 이송 부재, 즉,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를 포함한다. 제 2 이송 유닛(7)은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의 역할을 하는 2 개의 회전 이송 부재, 즉, 그립 롤러(81)와 롤러 형태 풀리(83, 84) 둘레에 걸린 이송 벨트(82)를 포함한다.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 중의 한 부재는 용지(S)의 선단과 이송 벨트(82)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용지(S)를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닙부) 쪽으로 이동/안내하도록 이송 벨트(82)가 제공된 벨트 이송 유닛(8)(이동/안내 유닛)이다. 벨트 이송 유닛(8)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이동면인 이송 면(82a)은 제 1 이송 경로(A)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를 포함하는 제 1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의 용지 이송 방향은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의 용지 이송 방향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의 용지 이송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대각선으로 우상 위치 쪽을 향하지만,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의 용지 이송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을 향한다. 이에 따라,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제 1 이송 경로(A)는 작은 반경의 만곡 구역(곡률 구역)을 포함하고, 이 만곡 구역은 제 1 이송 경로(A)의 지 이송 반향을 갑자기 변화시킨다.
제 1 및 제 2 이송 유닛(6, 7)의 용지 이송 방향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이송 유닛(6)의 닙부의 중심과 직 교차하는 용지 이송 방향은 3 지점, 즉, 공급 롤러(61)의 회전 중심, 역전 롤러(62)의 회전 중심 및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의 속박 구역(“닙부”라고도 함)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의 중심과 교차하는 용지 이송 방향은 3 지점, 즉, 그립 롤러(81)의 회전 중심, 롤러 형태 풀리(83)의 회전 중심 및 그립 롤러(81)와 이송 롤러(82)의 속박 구역(“닙부”라고도 함)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즉,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에 의해 형성된 용지 이송 경로 에서, 용지 이송 방향이 변한다. 용지 이송 경로는 용지(S)의 두께 방향으로 이송 용지(S)의 방향을 정하는 2 개의 면한 면을 포함한다. 용지(S)가 제 1 이송 유닛(6)에서 공급되면, 용지(S)의 선단은 전술한 면들 중의 하나인 이송 안내면에 맞닿는다. 이송 안내면은 미리 정해진 범위 안에서, 적어도 용지(S)가 이송 안내면과 맞닿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용지 이송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 쪽으로 연속해서 일정하게 이동한다. 이 이송 안내 면은 벨트 이송 유닛(8)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이동면(이송면(82a))에 해당한다. 제 1 이송 유닛(6)의 용지 이송 방향을 따른 연장선과 제 2 이송 유닛(7)의 용지 이송 방향을 따른 연장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내부 영역이라고 하고, 나머지 영역들은 외부 영역이라 한다. (내측은 내부 영역에 인접한 부분으로 외측은 외부 영역에 인접한 부분으로 각각 부른다.) 용지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평탄한 벨트 이동면인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은 내부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용지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교차한다.
도 3과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벨트 이송 유닛(8)은 이송 벨트(82) 및 롤러 형태 풀리(83, 84)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롤러 형태 풀리(83, 84)는 이송 벨트(82)를 회전 가능하게 잡는 한 쌍의 벨트 속박 회전 부재를 구성한다.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이송되는 용지(S)의 선단은 이송 벨트(82)가 롤러 형태 풀리(83, 84)에 의해 속박되는 부분 이외의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맞닿아야 (접촉해야) 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롤러 형태 풀리(83)의 축방향 중심(풀리 샤프트(84a)의 중심)이 역전 롤러(62)의 바닥 가장자리 위와 이 송 안내 부재(71)의 안내면(71a)의 하류 단부의 높이 아래에 배치되도록, 벨트 이송 유닛(8)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은 이송 벨트(82)의 복부(롤러(83, 84) 사이의 “유효 이송 영역”)와 충돌하고, (용지(S)와 충돌할 때) 이송 벨트(82)는 이 복부에서 항상 적절하게 탄성 변위/변형되어, 용지(S)의 선단은 되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벨트 이송면(82a)”이라고도 함)과 맞닿음이 유지되어, 아래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용지(S)의 선단이 롤러 형태 풀리(83, 84)에 의해 속박(접촉)하는 이송 벨트(82)의 부분과 맞닿을 (접촉할) 수 있도록 이송 벨트(82)가 배치된다면, 아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송 벨트(82)가 롤러 형태 풀리(83, 84)에 의해 속박되는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이송 벨트(82)의 복부보다 딱딱하여, 복부처럼 탄성 변위/변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배치 형태는 롤러 형태 풀리(83, 84)에 의해 속박되는 이송 벨트(82)의 부분과 용지(S)의 선단이 맞닿을 때 이송 벨트(82)가 항시 적절하게 탄성 변위/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용지(S)가 이송 벨트(82)로부터 되튀는 단점이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변형례 및 사용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 “다른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라고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벨트 이송 유닛(8)은 제 1 이송 유닛(6)에서 이송된 용지(S)의 선단이 예각의 충돌 각도로 이송면(82a)에 도달하게 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벨트 이송 유닛(8)을 이와 같이 배치하면, 용지(S)의 선단은 이송 벨트(82)의 복부와 항시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은 이송 면(82a)과 맞닿음을 유지하여, 아래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용지(S)의 선단이 실질적으로 직각 또는 수직의 충돌 각도(θ)로 이송면(82a)에 도달하도록 벨트 이송 유닛(8)을 배치한다면, 용지(S)의 선단은 불규칙하게 이송면(82a)과 맞닿을 수 있다. 예컨대, 용지(S)는 이송 벨트(82)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이송 벨트(82)로부터 되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배치 형태는 불리하다. (이는 다른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급지 장치(3)의 스테이지의 각각의 급지 트레이(51)는 복사기(1)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용지(S)를 보관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평면 형태를 갖는다. 각각의 급지 트레이(51)는 상부 개방부가 있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자이고, 바닥에 제공된 바닥판(50)은 용지 적재 유닛의 역할을 한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닥판(50)의 후단은 바닥판(50)이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 안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즉, 전후로 피벗(진동)하도록 급지 트레이(51)에 의해 지지된 수평 샤프트(50A)에 고정된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닥판(50)의 자유단은 급지 트레이(51) 안에서 샤프트(50A)에 대해 전후로 피벗할 수 있다.
급지 트레이(51)의 바닥에는 미리 정해진 형태의 중공 구역이 존재한다. 이 중공 구역에는 상승 암(51)이 제공된다. 상승 암(52)의 후단은 상승 암(52)이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 안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즉, 빈 구역 안에서 전후로 피벗하도록 수평 샤프트(52A)에 고정된다. 수평 샤프트(52A)는 회전 구동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무작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수평 샤프트(52A)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암(52)은 미리 정해진 경사 위치에 오도록 수평 샤 프트(52a)에 대해 피벗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승 암(52)의 자유단은 바닥판(50)에 적재된 꼭대기 용지(S)의 가장자리가 미리 정해진 높이를 유지하도록 바닥판(50)을 들어 올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1)에서, 용지들(S)은 바닥판(50)에 적재되고 보관된다. 또한, 바닥판(50)이 기울어지고 적재된 용지들(S)이 들어 올려 지도록 도 2의 우측에 도시되는 바닥판(50)의 자유단이 올라간다. 이에 따라, 용지들(s)이 한 장씩 공급되고 적재된 용지의 수가 감소하더라도, 용지들(S)의 최상면은 미리 정해진 높이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1)는 급지 장치(3)의 본체에 대해 자유로이 부착/탈락 및 삽입/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지 트레이(51)는 급지가 수행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한 급지 장치(3)의 본체 안에 삽입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급지 트레이(51)는 용지(S)를 공급하거나 다른 크기의 용지(S)로 교체할 수 있도록, 급지 장치(3)의 본체로부터 도 1의 정면 쪽인 탈락 위치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제 1 이송 유닛(6), 제 2 이송 유닛(7) 및 제 1 및 제 2 이송 유닛(6, 7) 사이에 배치된 용지 이송 경로는 급지 트레이(51)를 인출한 때에도 본체에 유지된다. 비록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배지 트레이(9)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안에 위치하는) 본체 내 배지 방식(in-body paper eject type)이지만, 이동/안내 유닛(벨트 이송 유닛(8))을 제공하면, 이송 경로의 곡률은 종래 기술의 것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폭은 증가할 필요가 없으므 로, 본체 내 배지 방식의 장점은 감소하지 않는다.
급지 장치(3)의 본체에 제공된 구조체의 외부 형태를 구성하는 하우징(80)에 의해 픽업 롤러(60)가 미리 정해진 높이로 올라간 용지들(S)의 최상면과 접촉하도록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픽업 롤러(60)가 용지(S)를 추출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선에는 용지(S)의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용지(S)를 분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분리 기구가 제공된다. 급지 분리 기구에서,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는 미리 정해진 압력 수준으로 서로 접촉하여 그 사이에 닙부를 형성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것과 같이, 픽업 롤러(60)는 코어 바(도시 생략)와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60a)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고 자유 회전하도록 샤프트(60a)와 함께 지지되는 공지의 롤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샤프트(60a)와 코어 바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도시 생략)가 제공될 수 있고, 픽업 롤러(60)는 구동되지 않을 때 샤프트(60a)에 대해 자유 회전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원주면을 포함하는) 픽업 롤러(60)의 원주 구역은 용지(S)와의 접촉에 의해 용지(S)를 용이하게 집어 올리도록 용지(S)에 대해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고마찰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픽업 롤러(60)의 전체 원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톱니 형태를 한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다.
여러 장의 급지를 방지하도록( 즉, 복수의 용지가 한 번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지들(S)의 적층체로부터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급지 방식이 존재한다. 본 예에서, 복귀 분리 방식인 FRR 급지 방식이 채용된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60)가 2 이상의 용지(S)를 집으면, 공급 롤러(61)와 접촉한 하나의 용지는 역전 롤러(62)와 접촉한 다른 시트로부터 분리된다. 공급 롤러(61)가 접촉 중인 용지를 용지 이송 방향으로 계속해서 보내는 반면 역전 롤러(62)는 다른 용지를 용지 적층체의 원위치로 용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려보낸다. 또한, 역전 롤러(62)는 공급 롤러(61)에 의해 수행되는 용지 이송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용지 분리 기구로 FRR 급지 방식을 채용하는 급지 분리 기구는 용지 이송 방향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공급 롤러(61)와 토크 제한기에 의해 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을 받아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 롤러(62)를 포함한다. 공급 롤러(61)는 바닥판(50)으로부터 공급되는 최상부 시트(S)의 상면과 접촉하는 반면 역전 롤러(62)는 공급 롤러(61) 아래의 적어도 한 장의 용지(S)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공급 롤러(61)는 코어 바(도시 생략)와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61a) 둘레에 일체로 고정되고 자유 회전하도록 샤프트(61a)와 함께 지지되는 롤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급 롤러(61)는 픽업 롤러(60)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픽업 롤러(60)와 마찬가지로, (원주면을 포함하는) 공급 롤러(61)의 원주 구역은 용지(S)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S)를 용이하게 이송하도록 용지(S)에 대해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고마찰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급 롤러(61)의 전체 원주면에 실질적으로 톱니 형태를 한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역전 롤러(62)는 코어 바(도시 생략)와 일체로 형성되고, 토크 제한기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받아 자유 회전하도록 하우징(80)에 의해 역전 롤러 구동 샤프트(62a)와 함께 지지된다.
FRR 분리 방식에서, 역전 롤러(62)는 토크 제한기(도시 생략)에 의해 공급 롤러(6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낮은 수준의 토크를 받는다. 이에 따라, 역전 롤러(62)가 공급 롤러(61)와 접촉할 때나 한 장의 용지(S)가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에 진입할 때, 역전 롤러(62)는 공급 롤러(6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토크 제한기의 기능은 역전 롤러(62)가 역전 롤러 구동 샤프트(62a) 표면에서 활주하게 하여, 역전 롤러(62)가 공급 롤러(61)와 유사하게 급지 방향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거꾸로, 역전 롤러(62)가 공급 롤러(61)에서 분리될 때나 2 이상의 시트(S)가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에 진입할 때, 역전 롤러(61)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용지(S)가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에 진입할 때, 역전 롤러(62)는 공급 롤러(61)와 접한 최상부 용지(S) 이외의 용지들(S), 즉, 역전 롤러(62)와 접한 용지들(S)을 용지 이송 방향의 상류 쪽으로 돌려보낸다. 이에 따라, 용지(S)의 다중 급지(하나 이상의 용지(S)를 한 번에 공급하는 것)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역전 롤러(62)로부터 이와 접한 용지(S)에 역방향으로 충분한 이송력이 가해져 용지(S)를 용지(S) 적층체의 원위치로 돌려보낸다. 하지만, 이송력은 용지(S)를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공급 롤러(61)로부터 용지(S)에 가해지는 이송력보다 훨씬 작아서, 공급 롤러(61)가 용지(S)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따라, 공급 롤러(61)로부터 용지(S)에 가해지는 이송력은 역전 롤러(62)로부터 용지(S)에 가해지는 면하는 이송력에 의해 감소된다.
도 3에서, 65는 급지 장치(3)의 본체에 제공된 구동력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 유동 기어를 나타낸다. 유동 기어(65)는 급지 장치(3)로부터 기어 맞물림이나 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 구동력을 픽업 롤러(60)와 공급 롤러(61)에 분배 및 전달하여 이들을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시킨다.
공급 롤러(61)의 대각선 상방에는 제 2 이송 유닛(7)을 구성하는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의 다른 회전 이송 부재인 그립 롤러(81)가 제공된다. 그립 롤러(81)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 구동 샤프트(81a)를 통해 하우징(8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급 롤러(61)와 유사하게, (원주면을 포함하는) 그립 롤러(81)의 원주 구역은 용지(S)에 대해 높은 마찰 계소를 갖는 연질의 고마찰 재료로 구성되어, 용지(S)와의 접촉을 통해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S)를 용이하게 이송한다.
풀리(83)는 그립 롤러(81) 부근에 제공된다. 풀리(83)는 하우징(80)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송 벨트(82)를 통해 그립 롤러(81)의 원주면과 접촉하며, 수평 방향으로 그립 롤러(81)를 향한다.
풀리(83)는 풀리 샤프트(83a)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80)에 의해 풀리 샤프트(83a)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84)는 풀리(83)의 대각선 좌하 좌측 위치에 배치되고, 하우징(80)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84)는 풀리 샤프트(84a)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80)에 의해 풀리 샤프트(84a)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83, 84)는 이송 벨트(82)를 회전 가능하게 속박하기 위한 벨트 속박 회전 부재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풀리 샤프트(83a, 84a)는 단일의 연속 샤프트이고, 강과 같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벨트 이송 유닛(8)의 구성은 전술한 기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 이송 유닛(8)은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79]는 하우징(80)에 대해 개폐되는 개폐 가이드를 나타내며, 이 개폐 가이드[79]는 용지 이송 장치(5)의 본체의 일부이다. 개폐 가이드(79)는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우징(80) 아래의 지레 샤프트 힌지(도시 생략)에 대한 피벗에 의해 개폐되어, 사용자가 제 1 이송 경로(A) 또는 실질적으로 상향 연장된 수직 이송 경로에서 용지 걸림을 더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용지 이송 장치(5)에 개폐 가이드[79]가 제공되면, 풀리(83, 84) 및 이들의 해당 풀리 샤프트(83a, 84)는 개폐 가이드[7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송 벨트(8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83, 84) 둘레에 걸린 무단 벨트이다. 풀리(83, 84)의 축들은 미리 정해진 거리로 떨어져 있다. 풀리(83, 84) 사이의 이송 벨트(82)의 선형 벨트 이동면(이송면(82a))은 제 1 이송 유닛(6)에서 공급된 용지(S)의 선단과 확실히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83)의 원주면 둘레에 걸린 이송 벨트(82)의 원주면은 미리 정해진 압력 수준으로 그립 롤러(81)의 원주면과 직접 접촉한다.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과 접촉하는 부분은 속박 구역(닙부)에 해당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 생략한 가압 유닛(forcing unit)(예컨대, 도 20에 도시하고 후술하는 스프링(92))이 도시 생략한 베어링 부재 또는 지지 부재(예컨대 도 20에 도시하고 후술하는 벨트 지지 부재(86))에 부착된다. 이 가압 부재는 이송 벨트(82)를 그립 롤러(81)에 대해 압박한다.
이송 벨트(8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송 벨트(82)의 표면의 마찰 계수는 이송되는 용지(S)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으로 특정된다. 마찰 계수는 벨트 재료의 자체 특성이나 적절한 공정에 따른 처리에 의해 정해진다. 구체적으로, 마찰 계수는 이송면(82a)으로 작용하는 이송 벨트(82)의 표면이 이송 벨트(82)와 접한 용지(S)의 면에 이송력/추진력을 확실히 전달하여 용지면이 벨트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없게 되도록 특정된다.
용지 이송 방향에 수직인 용지 폭 방향의 이송 벨트(82)의 폭은 이송되는 최대 크기 용지의 폭과 실질적으로 적어도 동일하다. 즉, 이송 벨트(82)의 폭은 이송될 최대 크기 용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크다. 이송 벨트(82)가 걸린 풀리(83, 84)와 이송 벨트(82)와 대면/접촉하는 그립 롤러(81)의 용지 폭 방향(축 길이 방향)의 크기들은 전술한 이송 벨트(82)의 폭과 같거나 더 크다. 이에 따라, 제 1 이송 유닛(6)에서 공급되는 용지(S)의 전체 폭이 이송 벨트(82)와 접촉하게 되어, 이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된다. 그 결과, 용지(S)를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 벨트(82)로부터 용지(S)로 전달되는 이송력/추진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립 롤러(81)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 전기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 생략)이 기어 또는 벨트와 같은 구동력 전달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그립 롤러(81)의 회전 구동 샤프트(81a)에 연결된다. (구동력 전달 유닛의 예로는 도 23과 24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동 기구(22)가 있다.) 그립 롤러(81)는 회전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 전달 유닛을 통해 미리 정해진 속도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그에 따라, 그립 롤러(81)는 구동 롤러로 작용하고, 그립 롤러(81)와 접한 이송 벨트(82)는 종속 벨트로 작용하여 구동 롤러로 작용하는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 이송 벨트(82)와 벨트 내부로부터의 그립 롤러(81) 사이의 접촉부를 지지하는 풀리(83)는 종속 벨트(이송 벨트(8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물론, 풀리(84)는 종속 벨트(이송 벨트(82))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종속 롤러로도 작용한다.
도 23과 2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 4 실시예의 효과가 특히 바람직하지는 않다면, 그립 롤러(8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시스템은 그립 롤러(81)가 종속 측으로 작용하도록 구동 기구(2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송 벨트(82)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와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송 안내 부재(7)가 용지 이송 장치(5)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고, 용지(S)가 접촉하게 되는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막곡 안내면(70a)을 포함한다. 이송 안내 부재(71)는 용지 이송 장치(5)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이송 안내 부재(70)에 따라 만입 형상으로 만곡된 안내면(71a)을 포함한다. 또한, 이송 안내 부재(71)는 이송 안내 부재(70)의 안내면(70a)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이송 안내 부재(70, 71)는 공히 하우징(80)에 고정 된다. 그에 따라, 제 1 이송 경로(A)는 이송 안내 부재(70)의 안내면(70a), 이송 안내 부재(70)와 면하는 이송 안내 부재(71)의 안내면(71a) 및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에 의해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다.
도 2와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 이송 유닛(7)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향 연장된 수직 이송 경로의 외측을 따라 이송 안내 부재(72)가 위치하고, 이 이송 안내 부재(72)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안내면(70a)과 면한 수직 이송 안내면(72a)을 포함한다. 이송 안내 부재(73)는 공급 롤러(61)와 연전 롤러(62) 사이에 급지 트레이(51)로부터 속박 구역(닙부)으로 연장된 용지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용지(S)를 닙부 안으로 안내하기 위한 입구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용지 이송 경로(R1)와 통하는(연결된) 수직 이송 경로가 이송 안내 부재(72)의 이송 안내면(72)와 이송 안내 부재(70)의 안내면(70a)에 의해 형성된다. 이송 안내 부재(70)의 만곡면(안내면(70a))은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들을 연결하는 선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외측에 제공된 이송 안내 부재(71) 쪽으로) 볼록하다. 볼록한 정도는 용지(S)가 완만하게 구부러져 용지(S)의 선단이 이송면(82a)에 확실히 도달하도록 정해진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급지 장치(3)의 상부 스테이지의 구성은 종래기술의 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하부 스테이지와의 차이점은 용지 이송 장치(5) 대신 용지 이송 장치(5')가 채용된 것이다. 용지 이송 장치(5')는 제 2 이송 유닛(7) 대신 제 2 이송 유닛(7')을 채용한 점에서 용지 이송 장치(5')와 구별된다. 제 2 이송 유닛(7')은 제 2 쌍의 회전 이송 부재들이 그립 롤러(81)와 (사실상 풀리(83) 와 동일한 크기/형태로) 그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종속 롤러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 2 이송 유닛(7)과 상이하다. 상부 스테이지의 급지 트레이(51)와 용지 공급 장치(5')는 일반용지와 같이 비교적 강성이 낮은 용지(S)와 판지 또는 편지봉투와 같이 비교적 강성이 높은 용지(S)를 위해 사용된다.
이어, 급지 장치(3) 내의 미리 정해진 스테이지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동작 및 이 급지 동작과 연계하여 시작되는 용지 이송 장치(5)의 이송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닥판(50)에 적층된 용지(S)는 최상면이 미리 정해진 높이가 되도록 상승 암(52)의 피벗/상승 운동에 의해 올라간다. 먼저, 픽업 롤러(60)가 회전하여 최상단 용지(S)를 추출하여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를 포함하는 급지 분리 기구로 보낸다. 급지 분리 기구에서,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는 최상단 용지만을 다른 용지들로부터 분리하도록 서로 협동한다. 분리된 용지(S)는 용지 이송 경로의 하류 쪽으로 이송된다. 도 2와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의 선단은 벨트 이송면(82a)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이송 벨트(82)가 이동함에 따라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안내 및 이동된다. 용지(S)의 선단이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 사이의 닙부에 도달할 때,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는 용지(S)를 잡아(속박하여) 수직 상방으로 더 이송하여, 최종적으로 용지(S)를 수직으로 배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용지(S)의 선단은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의 닙부에 의해 속박되어, 닙부로부터 배출되고, 그런 다음 이송 벨트(82)의 벨트 이송 면(82a)에 도달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송면(82a)이 화살표(a)로 지시한 방향의 이송 벨트(82)의 이동에 의해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용지(S)는 선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구부러진다. 용지(S)가 더 구부러짐에 따라, 벨트 이송면(82a)과 용지(S) 면 사이의 접촉면적은 더 커진다. 그에 따라, 용지(S)가 강성이 큰 용지라 하더라도, 충분한 양의 이송력/추진력이 벨트 이송면(82a)으로부터 용지(S)의 면에 가해져 용지(S)를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강성이 큰 용지(S)가 이송되어 현저히 구부러지는 동안 이송 저항이 발생하는 때에, 제 1 이송 유닛(6) 단독으로 용지(S)에 가하는 이송력/추진력은 용지(S)를 이송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 불충분한 힘은 벨트 이송 유닛(8)으로부터 용지(S)에 가해지는 이송력/추진력에 의해 완전히 보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이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에 도달하도록 적어도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서 용지(S)의 이송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은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이송면(82a)과 접하는 용지(S)의 선단이 속박 구역(닙부)에 원활하게 일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이송 유닛(6)에 의해 이송되는 높은 강성의 용지(S)는 그 선단이 벨트 이송면(82a)과 확실히 접촉하도록 완만하게 구부러지게 된다. 벨트 이송면(82a)은 접한 용지(S)의 선단에 유효 이송/안내 효과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용지(S)는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벨트 이송면(82a)로부터 제 2 이송력/추진력을 받는다. 그 결과, 용지(S)는 더 많이 구부러져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에 도달한다.
용지(S)의 선단이 제 2 이송 유닛(7)에 도달한 후에, 용지(S)는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양자에 의해 속박 및 이송된다. 그에 따라,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양자로부터 충분한 양의 이송력이 용지(S)에 가해진다. 따라서 높은 강성의 용지(S)를 원활하게 연속 이송할 수 있다. 용지(S)의 후미가 제 1 이송 유닛(6)에서 분리된 후에는, 용지(S)는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더 이상 이송력을 받을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이 손실은 용지(S)가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과 후미 사이에서 벨트 이송면(82a)과 접하는 방식에 따라, 벨트 이송면(82a)로부터 용지(S)에 다시 한 번 가해지는 이송력/추진력에 의해 보상된다. 또한, 용지(S)는 점차 덜 구부러진다. 따라서, 용지(S)의 후미가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용지(S)를 연속 이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지 이송 장치(5)에서, 용지(S)의 강성과 무관하게, 용지(S)가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제 2 이송 유닛(7)으로, 그런 다음 하류 용지 이송 경로로 일정하게 보내지는 것을 확고히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 이송 유닛(8)은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제 1 이송 경로(A)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벨트 이송 유닛(8)은 용지(S)의 선단이 벨트와 접촉한 상태의 용지(S)를 제 2 이송 유닛(7) 쪽으로 이동/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 유닛의 역할을 한다.
이 예에서, 이동/안내 유닛의 역할을 하는 벨트 이송 유닛(8)은 이송 벨트(82)와 함께 용지(S)의 이송 방향을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닙부) 쪽 방향으로 변경한다.
<제 1 사용례>
이어 본 발명의 참조적인 제 1 사용례(이하 “제 1 사용례”라 함)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용지 이송 (용지 통과) 성질(표 1에 “벨트 방식”으로 나타냄)을 종래 방식의 것(표 1에 “종래 방식”으로 나타냄)과 비교하기 위해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리코(RICOH)가 제작한 “imagio Neo 453”의 구성요소들 가운데 급지 장치만이 본 시험의 “벨트 방식”에 사용하기 위해 변형되었다. “벨트 방식”에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급지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용지 공급 장치(5)의 급지 장치(3)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사양을 갖는다. “종래 방식”을 위해 리코에서 제작한 “imagio Neo 453”을 사용하였다. 이 예에서, 이 제품은 종래의 용지 이송 장치의 급지 장치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 이송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급지 장치(3)의 종래의 용지 공급 장치(5')에 해당하며, 롤러 형태 풀리(83)는 그립 롤러(81)와 면하여 접촉하는 유일한 회전 이송 부재이며, 이송 벨트(82)와 롤러 형태 풀리(84)는 생략된다.)
(종래 방식을 비롯한) 벨트 방식에서 이 비교 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벨트 이송 유닛(8)과 주변 구성의 상세는 아래와 같다.
이송 벨트(82)의 재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이송 벨트(82)의 경도: JIS K6253 A 타입 40도
용지에 대한 이송 벨트(82)의 마찰 계수: 2.6
이송 벨트(82)의 두께: 1.5mm
풀리(83)의 직경: 13mm
풀리(84)의 직경: 7mm
풀리(83, 84) 사이의 간격: 13mm (풀리 샤프트(83a)와 풀리 샤프트(84a)의 축들 사이의 거리)
이송 벨트(82)의 신장 인자: 7%
롤러(60, 61, 62, 81)의 직경: 모두 20mm
기본적인 시험조건으로서, 용지의 무게(미터 평량)를 채용하여 용지의 딱딱함(강성)을 표시하였다. 서로 다른 무게의 6 종의 용지를 정상 온도 환경(20℃, 상대 습도 50%)에서 동일한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급지 트레이로부터 전술한 복사기를 통과시켰다. 서로 다른 종류의 용지 사이의 이송 시간 차이를 시험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기재된 다른 시험 조건도 역시 적용하였다. 이송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가 도 5에 도시되며, 표 1은 도 5에 도시한 시험 결과에 기초한 용지 통과 성질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지 센서(88)가 픽업 롤러(60)가 집은 용지(S)의 선단을 검출하고, 수직 이송 센서(89)가 제 2 이송 유닛(7)(벨트 방식)과 롤러 형태 풀리(83)(종래 방식)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의 선단을 검출한다. 급지 센서(88)와 수직 이송 센서(89) 양자는 반사형 광센서이다.
급지 센서(88)와 수직 이송 센서(89)가 배치된 위치들 사이의 이송 경로 길 이(용지 이송 거리)는 벨트 방식과 종래 방식에서 공히 57mm이다. 급지 센서(88)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의 닙부까지의 이송 경로 길이는 10mm이다.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의 닙부로부터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까지(벨트 방식) 또는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의 닙부로부터 그립 롤러(81)와 롤러 형태 풀리(83) 사이의 닙부까지(종래 방식)의 이송 경로 길이는 모두 38mm이다.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와 수직 이송 센서(89)가 배치된 위치 사이(벨트 방식) 또는 그립 롤러(81)와 롤러 형태 풀리(83) 사이의 닙부와 수직 이송 센서(89)가 배치된 위치 사이(종래 기술)의 이송 경로 길이는 모두 9mm이다. 따라서, 전체 이송 경로 길이는 양쪽 방식에서 57mm이다.
용지 이송 장치(5)의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의 만곡된 용지 이송 경로(제 1 이송 경로(A))의 중심의 곡률 반경은 벨트 방식과 종래 방식 모두 20mm이다.
벨트 방식과 종래 방식 양자에 있어서, 픽업 롤러(60)의 픽업 압력(급지 압력)을 나타내는 2 개 값의 매개변수, 즉, 1.1N과 2.2N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동 측의 공급 롤러(61)와 구동 측의 그립 롤러(81) 양자의 선속은 154mm/s였다. 급지 센서(88)로부터 수직 이송 센서(89)까지 57mm의 이송 경로만큼 용지(S)의 선단이 이송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5 종의 용지에 대해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다. 서로 다른 종류의 용지의 이송 시간들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가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된다.
도 5의 시험 결과는 종래 방식에서 용지가 256g/m2 이상의 평량을 가지면 이송 시간이 현저히 변하고(길어지고) 용지가 현저히 미끄러지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방식에서는 용지가 256g/m2 이상의 평량을 가지더라도 이송 시간은 거의 변하지 않고(종래 방식만큼 길어지지 않고) 용지는 거의 미끄러지지 않게 됨을 나타낸다. 또한, 픽업 압력이 감소하면, 이송력은 감소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방식에서는 픽업 압력이 감소하더라도 이송력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방식을 채용하면 픽업 압력을 더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 모터의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장치가 콤팩트해질 수 있다.
표 1은 도 5에 도시한 시험 결과에 기초한 용지 통과 성질을 요약한 것이다.
표 1에서, “미터 평량”은 평방미터당 용지의 무게(그램)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작은 미터 평량을 갖는 용지는 “가벼운 용지” 또는 “얇은 용지”라 하고, 큰 미터 평량을 갖는 용지는 “무거운 용지” 또는 “두꺼운 용지”라고 한다.
표 1에 제시한 제 1 시험 결과에서, O로 표시한“용지 통과 성질 양호”는 급지 센서(88)가 켜져 용지(S)의 선단을 검출한 후의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용지(S)의 선단이 수직 이송 센서(89)에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X로 표시한 “용지 통과 성질 불량”은 급지 센서(88)가 켜져 용지(S)의 선단을 검출한 후의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용지(S)의 선단이 수직 이송 센서(89)에 도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미터 평량 |
종래 방식 |
벨트 방식 |
80 g/m2 |
O |
O |
100 g/m2 |
O |
O |
170 g/m2 |
O |
O |
210 g/m2 |
O |
O |
256 g/m2 |
X |
O |
300 g/m2 |
X |
O |
O: 용지 통과 성질 양호
X: 용지 통과 성질 불량
표 1에 제시한 제 1 시험 결과에서, 용지 종류가 256g/m2 평량 이상인 경우, 종래 방식의 결과는 “용지 통과 성질 불량”였지만,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방식에서는 모든 결과가 “용지 통과 성질 양호”였다.
시험에서 관찰한 용지 통과/이송 성질을 비교하면, 종래 방식에서는 용지 종류가 256g/m2 평량 이상이라면 용지는 만곡된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구부러지기엔 너무 딱딱함을 알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은 그립 롤러(81)와 면한/접하는 롤러 형태 풀리(83)에 대해 불리하게 부딪힌다(도 1 내지 4 참조).
또한, 256g/m2 평량 이상의 코팅 및 비코팅 표면을 갖는 용지에 시험을 실시하여 용지 통과/이송 성질에 차이가 나는지 관찰하였다. 하지만, 표 1에 도시한 제 1 시험과 구별되는 구체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
후술하는 결론은 제 1 사용례에서 관찰한 시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즉, 256g/m2 평량 이상의 고강성 용지를 제 1 이송 경로(A)를 통해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벨트 이송 유닛(8)의 이송면(82a)으로 이송할 때, 다음의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고강성 용지가 수직 방식으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이송 경로(A)를 구성하는 다양한 안내 부재들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이송 하중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다양한 안내 부재를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고강성의 용지(S)를 이송하기 위한 전용의 용지 이송 장치에서, 필수 구성은 제 1 이송 유닛(6), 제 2 이송 유닛(7) 및 용지(S)의 선단이 벨트 이송 유닛(8)과 접촉한 상태인 용지(S)를 제 2 이송 유닛(7)에 안내하기 위한 벨트 이송 유닛(8)(이동/안내 유닛)이다. 벨트 이송 유닛(8)은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제 1 이송 경로(A)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 안내 부재들은 불필요하다.)
전술한 이유로, 일반용지(PPC)와 같은 비교적 저강성의 용지(S)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 1 이송 경로(A)를 형성하는 다양한 안내 부재들은 필요하다. 이러한 PPC 용지(S)는 판지와 같은 고강성 용지(S)의 경우와 비교할 때 직각 방식으로 이송할 수 없으므로, 용지(S)를 벨트 이송 유닛(8)의 이송면(82a)에 안내하는 단점을 보상하기 위해 제 1 이송 경로(A)를 구성하는 다양한 안내 부재들이 필요하다. 즉, 용지(S)의 강성이 낮을수록 용지는 덜 직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지(S)가 직각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제 1 이송 경로(A)의 다양한 안내 부재들의 안내면들은 적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의 복부에 확실히 닿도록 해야 한다.
이는 용지(S)의 강성이 높을수록(미터 평량이 클수록), 용지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다양한 안내 부재의 형태와 위치를 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의 곡률 구역으로 설계하는 자유도를 얻을 수 있다.
이송 벨트(82)의 재료는 전술한 비교 시험의 재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재료로는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이 있다. 이송 벨트(82)의 고무의 경도는 JIS (Japan Industrial Standard) K6253 A 타입 40도 내지 80도일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이를 포함하는 복사기(1)로부터 콤팩트하고 공간을 절약하며, 간단하고 저가의 구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용지를 이송할 수 있는 용지 이송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 구성은 제 2 이송 유닛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종래 롤러 둘레에 걸린 이송 벨트로 구성된 벨트 이송 유닛(8)을 추가하여 구현되고, 벨트 이송 유닛(8) 전용의 구동원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간단한 구성을 갖는 비용 절감형 용지 이송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고강성 용지 종류를 이송할 때 이송 실패가 생긴다. 이 실패는 용지가 이송 안내 부재(70)와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큰 이송 저항에 의해 또는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의 제 1 이송 경로(A)의 이송 하중에 의해 생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는 고강성 용지를 실패 없이 이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용지 종류를 이송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구성은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제공할 뿐이고 그에 따라 이동 물체인 이송 용지와 고정된 안내 부재 사이의 속도차를 제거하지 못한다. 그 결과, 이송 저항이 항상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와 복사기에서, 이송 저항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용지를 하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력/추진력을 활발하게 가해 용지를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이송 유닛(6)의 이송력에 더해 제 2 이송 유닛(7)의 이송력을 용지에 가하여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의 제 1 이송 경로(A)에서 이송 하중에 대항하여 용지를 하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용지 이송 장치(5)에서, 용지(S)와 이송 벨트(82) 사이의 마찰 저항은 용지(S)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마찰 저항은 이송력/추진력을 용지(S)에 가하는 부성 저항(negative resistance)으로 작용한다. 즉, 마찰 저항은 용지(S) 이송을 방해하지 않지만 이송력/추진력을 용지(S)에 가하는 유리한 부성 저항으로 전환된다.
더욱이, 용지(S)의 이송 방향에서,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동면(이송면)과 맞닿은 다음 이송 벨트(8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용지(S)의 선단은 비록 용지 종류의 강성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이송 벨트(82)의 점차 이동면과 중첩된다. 그 결과, 벨트의 이동면과 접촉하는 용지의 면적은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용지와 이송 벨트(82)의 이동면 사이의 저항은 증가하므로, 용지(S)를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훨씬 더 큰 이송력/추진력이 이송 벨트(82)로부터 용지(S)에 가해질 수 있다. 더욱이, 이송 벨트(82)는 용지(S)의 방향을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 사이의 닙부 쪽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이 구성은 이송 벨트(82)의 이동면(이송면)으로부터 용지면으로 전달되는 이송력/추진력의 일정한 증가를 보장한다.
그에 따라, 용지(S)가 고강성을 갖더라도, 이 강성을 이겨내고 용지(S)를 두께 방향으로 적절하게 변형시킴(구부림)으로써, 용지(S)가 하류 방향으로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 쪽으로 일정히 이송되도록 보장한다. 이와 같이, 용지(S)가 고강성을 갖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주요한 이송 실패의 인자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S)의 선단이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에 도달한 후에 용지(S)를 일정히 이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지 이송 장치(5)는 다양한 종류의 용지를 이송하고 뛰어난 용지 이송 성질을 달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이송 유닛(6)에서 서로 면하는/접하는 한 쌍의 롤러 중의 한 부재는 벨트 이송 유닛(8)일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이송 유닛(6)에서 서로 면하는/접하는 한 쌍의 롤러 중의 한 부재와 제 2 이송 유닛(7)에서 서로 면한/접하는 한 쌍의 롤러 중의 한 부재는 각각 벨트 이송 유닛(8)과 벨트 이송 유닛(8')일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개별의 독립적인 벨트 이송 유닛은 상류 쪽에 배치된 제 1 이송 유닛(6)에서 한 쌍의 롤러 중의 한 부재 또는 하류 쪽에 배치된 제 2 이송 유닛(7)에서 한 쌍의 롤러 중의 한 부재 대신 이동/안내 유닛으로 제공되어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의 바닥에 도시한 변형례의 벨트 이송 유닛(8)에는 외경이 역전 롤러(62)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중간 롤러 형태의 풀리(도시 생략)가 제공된다. 중간 롤러(62)는 축방향으로 시스케밥(shish kebab, 꼬치 요리의 일종) 구조로 분할되고, 중간 롤러 형태 풀리는 역전 롤러(62)를 속박하는 샤프트의 외주에 구름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역전 롤러(62)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 분할된 역전 롤러(62) 내부에 배치된다. 중간 롤러 형태 풀리는 (용지(S)를 복귀시키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 롤러(62)의 분리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 중간 롤러 형태 풀리를 제공하면, 이송 벨트(82)는 용지(S)를 이송 경로 하류 쪽의 제 2 이송 유닛(7) 또는 벨트 이송 유닛(8')에 이송하도록 시계방향으로 이동/회전할 수 있다. 이송 벨트(82)는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의 닙부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역전 롤러(62)의 원주면보다 한 단(one step)이 낮다. 이에 따라, 용지(S)가 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사이에의 닙부에서 나머지 용지로부터 분리된 후에, 이송 벨트(82)가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모든 변형례에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방치(5)의 구성/부재에 해당하는 구성/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들의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특정하지 않았지만, 제 2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용지 이송 장치 등의 구성과 동작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제 1 사용례의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도 7 내지 9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제 1 용지 이송 경로로 작용하는 제 1 이송 경로(A)에 덧붙여 제 2 용지 이송 경로로 작용하는 제 2 이송 경로(B)가 형성된다. 제 1 이송 경로(A)와 구별되는 제 2 이송 경로(B)는 제 2 이송 유닛(7)의 상류 위치로부터 제 2 이송 유닛(7)으로 이어진다. 제 1 이송 경로(A)와 제 2 이송 경로(B)는 제 2 이송 유닛(7)의 상류 쪽에서 합류하여 합류 이송 경로를 형성된다. 제 2 이송 유닛(7)의 부재들 가운데 하나인 벨트 이송 유닛(8)은 제 1 이송 경로(A)와 제 2 이송 경로(B)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차이점들을 제외하면, 도 7 내지 9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는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하다.
즉, 벨트 이송 유닛(8)에서, 이송 벨트(82)가 걸린 풀리(84)는 한 쌍의 로러 형태 풀리(83, 84)의 한 부재로서, 하우징(80)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간격을 두고 풀리(83) 아래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 1 이송 유닛(6)에 의해 제 1 이송 경로(A)로 이송되는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맞닿는 것과, 이송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제 2 이송 경로(B)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S)가 제 2 이송 유닛(7)에 도달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 것을 확고히 할 수 있다.
이송 안내 부재(71)는 도면에서 볼 때 우측에 수직 이송 안내면(71c)이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송 안내 부재(72)는 전술한 수직 이송 경로로부터 하향 연장한 제 2 이송 경로(B)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또한, 제 2 이송 경로(B)의 상류 쪽으로부터 이송되는 용지(S)를 안내하기 위한 수직 이송 안내면(72a)l 이송 안내 부재(72)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이송 경로(B)는 이송 안내 부재(71)의 수직 이송 안내면(71c)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수직 이송 안내면(71c)과 면한 수직 안내 부재(72)의 수직 이송 안내면(72a)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 도 7 내지 9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의 이송 동작을 설명한다. 급지 트레이(51)에 수평으로 적재된 용지 적층체로부터 용지(S)를 추출하여 이송한다. 이에 따라, 제 1 이송 유닛(6)의 급지 분리 기구의 용지 이송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이다. 이어서, 용지(S)는 위쪽에 위치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화상 형성 유닛 쪽으로 상향 이송된다. 따라서, 용지(S)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급지 분리 기구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된 용지(S)는 이송되는 중에 완만하게 구부러져 이송 마찰을 최소화한다. 그런 다듬, 용지(S)의 선단은 이송 벨트(82)에 맞닿는다.
이송 벨트(82)는 도 8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실질적으로 직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송 벨트(82)와 맞닿은 용지(S)의 선단은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 사이의 속박 구역(닙부)으로 이송되고, 그런 다음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에 의해 잡힌 상태로 실질적으로 직상방으로 하류 쪽으로 이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S)를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송력/추진력이 이송 벨트(82)로부터 용지(S)로 전달된다. 또한, 이송 벨트(82)는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 사이의 닙부 쪽으로 용지(S)의 방향을 바꾼다. 그 결과, 강성이 큰 용지(S)라도 이송 실패 없이 일정하게 이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 내지 9에 도시한 합류 이송 경로를 갖는 용지 이송 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판지와 같은 강성이 큰 용지를 일정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용지를 이송할 수 있고, 뛰어난 용지 이송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용지 이송 장치(5)는 복수의 이송 경로, 적어도, 제 1 이송 경로(A)와 제 2 이송 경로(B)를 갖는 용지 이송 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어서, 광범위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덧붙이면, 제 2 실시에는 종래의 제 2 이송 롤러(81, 83) 쌍을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 이송 유닛(8)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변형례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 2 이송 롤러(81, 83)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구성/부재에 해당하는 구성/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들의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특정하지 않았지만, 제 2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용지 이송 장치 등의 구성과 동작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송 중에 구부러진 용지(S)의 후미는 이송 안내 부재(71)로부터 해제되고, 구부러진 용지(S)의 반력은 용지(S)의 후미를 도 10에 도시한 화살표(b)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용지 펄럭임(튀김)을 일으킨다. 특히, 용지(S)가 판지와 같이 뻣뻣한(강성이 큰) 경우에는 반력이 더 크므로, 이러한 펄럭임에 의해 일어나는 갑작스런 소음은 문제가 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용지(S)는 적어도 2 개의 지지점에서 속박되어 강제로 구부러진다. 용지(S)의 후미(Se)가 지지점 중의 하나로 작용하는 제1 이송 유닛(6) 또는 이송 안내 부재(71)의 속박 구역으로부터 해제될 때, 용지(S)는 선단에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구부러진 용지(S)의 탄성 복귀력은 용지(S)의 후미가 이송면(82a)에 즉각 충돌하게 한다. 충돌의 충격은 용지(S)의 강성이 높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용지(S)의 후미(Se)가 펄럭임에 의해 이송 벨트(82)에 충돌하게 될 때 생기는 갑작스런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생긴 것으로 오인시킬 수 있다. 즉, 용지(S)가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동안에도, 용지(S)가 일반 용지 또는 강성이 큰 종류인가에 무관하게, 전술한 갑작스런 소음은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가 오작동하고 있다고 오인하게 만든다.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벨트 이송 유닛(8)에서는 긴장 롤러(83)와 같은 접촉 부재가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 쪽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 긴장 롤러(85)는 이송 벨트(82)와 접촉하는 부재이며, 이송 벨트(82)가 걸린 한 쌍의 롤러 형태 풀리(83, 84)와 그립 롤러(81)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지(S)의 후미(Se)의 펄럭임에 의해 생기는 충격이 이송 벨트(82)의 탄성에 의해 흡수될 수 있도록, 이송면(82a)의 일부는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용지 이송 장치(5)는 판지와 같은 강성이 큰 용지(S)가 이송되는 동안에도 정숙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풀리(83, 84)에 걸린 이송 벨트(82)의 2 개의 선형부 중에서 이송면(82a) 쪽에는 긴장 롤러(85)가 배치되지 않지만, 반대쪽에서는 이송 벨트(82)의 내주와 접촉한다. 또한, 긴장 롤러(85)는 이송 벨트(82) 내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가압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도 10에서 볼 때 우측 방향인 바깥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긴장 롤러(85)는 이송 벨트(82)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바깥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압력을 일정하게 받으면서 이송 벨트(82)의 내주와 접촉하여, 이송 벨트(82)는 원주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고정된 장력을 유지한다.
그에 따라, 제 3 실시예의 용지 이송 장치(5)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달성한다. 즉, 용지 이송 방향의 용지(S) 선단이 제2 이송 유닛(7)에 잡혀 이송됨에 따라, 용지(S)의 후미(Se)는 이송 안내 부재(71)에 의한 지지로부터 해제되어 이송면(82a)과 충돌하게 된다. 하지만, 이송면(82a)은 도 1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충분히 탄성 변형하여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S)의 후미(Se)의 펄럭임에 의해 일어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어서, 용지 이송 장치(5)의 동작 중에 이상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용지 이송 장치에서는 이송 벨트(82)를 지지하는 접촉 부재들 중의 하나인 긴장 롤러(85)가 이송되는 용지(S)의 후미(Se)가 이송면(82a)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서 이송 벨트(82)와 접촉한다. 미리 정해진 크기로 구부러진 용지(S)가 이송되고 용지(S)의 후미(Se)가 제1 이송 유닛(6) 또는 이송 안내 부재(71)의 닙부로부터 해제될 때, 후미(Se)는 이송면(82a)과 충돌한다. 하지만, 이러한 충돌이 일어나는 이송 벨트(82)의 일부는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기에 충분할 만큼 탄성적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충돌에 의한 갑작스런 소음(펄럭거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즉, 용지(S)의 후미(Se)가 이송 벨트(82)의 운밤년(82a)과 접촉하면, 접촉 부재(긴장 롤러(85))는 용지(S)의 후미(Se)와 접한 이송 벨트(82)의 변형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는 용지(S)의 후미(Se)가 닿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충분히 구부러진다.
특히, 판지와 같은 강성이 큰 용지(S)가 이송되는 중에 용지 이송 방향의 용지(S)의 후미(Se)가 이송 벨트(82)에 강하게 충돌하면, 이송 벨트(82)의 탄성 변형 동작은 충돌에 의해 생기는 충격을 흡수 및 저감하여 충격 소음을 충분히 줄이게 된다.
그에 따라, 용지(S) 이송 중에 갑작스런 소음이 감소하므로, 불쾌한 소음을 방지하고 장치 고장을 오인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정숙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용지 이송 장치(5)의 유리한 유용성을 준다.
용지(S) 이송 과정에서,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먼저 접촉할 때 갑작스런 소음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구성은 여전히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즉, 이송 벨트(82)가 일정 크기만큼 탄성 변형하므로, 용지(S)의 선단이 이송면(82a)으로부터 되튀는 일이 방지된다. 그 대신, 용지(S)의 선단은 이송면(82a)과 유연하게 맞닿아 접촉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 유닛(6)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의 선단이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에 비스듬한 충돌 각도(θ)로 일차로 맞닿을 때(도 8 참조), 용지(S)의 선단이 이송면(82a)으로부터 되튀는 일이 방지된다. 오히려, 용지(S)의 선단은 이송면(82a)의 이동 방향을 따라가게 되어 이송 벨트(82)의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한다.
제 3 실시예는 용지 이송 장치(5)가 충분히 정숙 동작할 수 있는 한 도 10에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떨어진 한 쌍의 풀리(83, 84)에 걸린 이송 벨트(82)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2 개의 벨트 이동면 가운데, 이송 벨트(82)의 이송측 반대쪽, 즉, 제1 이송 유닛(6)과 면하지 않은 쪽의 선형면에만 긴장 롤러(85)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긴장 롤러(85)는 제1 이송 유닛(6)과 면한 벨트 이동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두께 방향의 용지(S)의 강성과 무관하게, 용지(S)의 후미는 벨트 이송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와 항상 접촉한다. 그에 따라, 긴장 롤러(85)는 벨트 변형을 허용하도록 용지(S)의 후미가 벨트 이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이송 벨트(8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제 3 실시예에서, 긴장 롤러(85)는 벨트를 바깥으로 신장시키는 압력을 안쪽으로부터 가하도록 전술한 위치에 배치된다. 역으로, 긴장 롤러(85)는 벨트를 안쪽으로 신장시키는 압력을 바깥으로부터 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 긴장 롤러(85)는 벨트에 장력을 주는 기능에 덧붙여 벨트의 원주면을 청소하는 기능 또한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은 긴장 롤러가 벨트에 압박 기능과 벨트 이송면 청소 기능을 모두 가지므로, 벨트 이송면은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에 긴장 롤러와 청소 롤러 양자를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청소 유닛으로 주로 기능하고 긴장 유닛으로는 주로 기능하지 않는 청소 롤러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기재한 용지 이송 장치(5)의 이송 벨트(82)는 이송되는 최대 크기 용지의 폭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용지 폭 방향(Y)의 폭을 갖는다. 즉,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은 용지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어, 이송될 최대 크기 용지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크다. 이송 벨트(82)가 걸린 풀리(83, 84)와 이송 벨트(82)와 면한/접하는 그립 롤러(81)는 용지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므로, 이들의 용지 폭 방향(Y)(축 길이 방향)의 크기는 이송 벨트(82)의 전술한 폭 이상이 된다. 그에 따라, 제1 이송 유닛(6)에서 공급된 용지(S)는 그 전폭에 걸쳐 이송 벨트(82)와 접촉하여,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용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 벨트(82)로부터 용지(S)에 항상 전달되는 이송 방향으로 용지(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력/추진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다른 용지 이송 장치(5A)는 도 11, 23 및 24를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23과 2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에서 제1 이송 유닛(6)과 제2 이송 유닛(7)의 급지 구동 유닛(급지 구동 시스템)의 역할을 하는 구동 기구(22)를 간략 도시한다. 도 11과 2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의 제2 이송 유닛(7)의 벨트 이송 유닛(8A)의 주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용지 이송 장치(5A)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용지 이송 장치(5A)에서 속박/이송 유닛으로 작용하는 제2 이송 유닛(7)의 구동 부재와 종속 피동 부재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한정한다. 이송 벨트(82)를 비롯한 벨트 이송 유닛(8A)의 요소들은 용지 폭 방향(Y)으로 용지(S)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즉 전체 용지 폭과 접촉하지 않도록)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즉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이들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는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용지 이송 장치(5A)의 제2 이송 유닛(7)에는 한 쌍의 서로 면한 부재, 즉, 그립 롤러(81)와 벨트 이송 유닛(8a)에 의해 닙부(속박 구역)가 형성된다. 한 쌍의 2 개 부재 가운데 하나인 그립 롤러(81)는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이송 구동 유닛/회전 이송 구동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부재 가운데 다른 하나인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A)(이동/안내 유닛)은 제1 이송 유닛(6)과 제2 이송 유닛(7) 사이에 형성된 용지 이송 경로(제1 이송 경로(A))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이송 벨트(82)는 그립 롤러(81)와 직접 접하고,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송 벨트(82)는 용지(S)의 선단과 이송 벨트(82)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용지(S)를 제2 이송 유닛(7)의 닙부 쪽으로 이송(이동/안내)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는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에서는 이송 벨트(82)의 폭이 이송될 최대 크기 용지의 폭과 같거나 더 크고, 풀리(83, 84)와 그립 롤러(81)는 그 폭이 전술한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같거나 크게 되도록 전체 용지 폭 방향(Y)에 걸쳐 형성된다. 이 구성 대신,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에 있어서,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A)의 구성요소들은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용지 폭 방향(Y)의 용지(S)의 선단부의 일부와 접촉한다. (선단부는 선단, 선단의 면, 선단의 모퉁이 및 선단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그립 롤러(81)는 용지 폭 방향(Y)으로 회전 구동 샤프트(81a)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고정/배치된 시스케밥 구조의 복수의 회전/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와 풀리(83, 84)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그립 롤러(81) 가운데 적어도 하나와 면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A)에는 3 개의 그립 롤러(81)가 속박/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는 제2 이송 유닛(7)의 회전 구동 샤프트(81a)를 따라 배치된다. 중앙 그립 롤러(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하나의 이송 벨트(82)가 3 개의 그립 롤러(81) 가운데 중앙의 롤러와 면하여 배치된다. 용지 폭 방향(^)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한 그립 롤러(81)는 그 외측 가장자리들이 용지 이송 장치(5A)가 제공된 복사기(1)에 사용되는 최소 크기 용지(S)의 폭(용지 폭 방향(Y)의 용지 크기) 안에 있게 되도록 배치된다.
도 23에서, 용지 이송 장치(5A)의 구동 기구(22) 기재상의 편의에 따라, 복수의 그립 롤러(81)는 의도적으로 회전 구동 샤프트(81a)의 방향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이들 그립 롤러(81)는 이송 벨트(82) 및 풀리(83)와 면하는 위치에서 동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2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기구(22)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 즉, 유일한 구동원/구동 유닛의 역할을 하는 스테핑 모터인 급지 모터(23); 급지 모터(23)의 출력 샤프트에 고정된 모터 기어(24); 모터 기어(24)와 맞물린 유동 기어(25); 유동 기어(25)와 맞물려 공급 롤러(61)의 샤프트(61a)의 일단에 고정된 공급 롤러 구동 기어(61B); 공급 롤러 구동 기어(61B)와 맞물린 유동 기어(26); 유동 기어(26)와 맞물려 그립 롤러(81)의 회전 구동 샤프트(81a)의 일단에 고정된 그립 롤러 구동 기어(81A); 공급 롤러(61)에 인접한 샤프트(61a)의 타단에 고정된 공급 롤러 기어(61A); 공급 롤러 기어(61A)와 맞물린 유동 기어(65); 및 유동 기어(65)와 맞물려 픽업 롤러(60)에 인접한 샤프트(60a)의 타단에 고정된 픽업 롤러 기어(60A)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는 제 1 이송 경로(A)가 제 1 사용례 등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의 만곡부를 갖도록 함으로써 콤팩트하고 공간 절약형으로 구성된다. 급지 모터(23)는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양자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 유일한 구동원이고,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데 기여한다.
역전 롤러(62)는 공급 롤러(61)로부터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예컨대 솔레노이드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23에서, 62b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하지 않고 전술한 토크 제한기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예에서, 픽업 롤러(60)와 공급 롤러(61) 사이의 회전/구동 관계는 간략히만 기재된다. 실제로, 도 24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픽업 롤러(60)와 공급 롤러(61)의 각각의 샤프트(60a, 61a)는 픽업 암 부재(64)에 의해 연결된다. 그에 따라, 픽업 동작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스프링 조합체가 픽업 롤러(60)로 하여금 픽업 암 부재(64)를 통해 공급 롤러(64)의 샤프트(61a) 둘레로 피벗/이동하게 한다.
실제 구동 기구(22)에는 기어와 타이밍 벨트와 같은 다수의 구동력 전달 부재가 급지 모터(23)와 공급 롤러(61) 사이에 배치된다. 하지만, 회전 이송 구동 부재의 역할을 하는 그립 롤러(81)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구동 기구(22)의 예는 도 23과 24에 간략하게만 도시된다.
물론, 구동 기구(22)는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지 이송 장치(5) 및 후술하는 실시예와 변형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는 구동 기구(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기구를 채용한다.
전술한 효과들을 특히 요망되는 것이 아니라면, 그립 롤러(8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시스템은 구동 기구(22)에서 제거하여 그립 롤러(81)가 종속측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고, 이송 벨트(82)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서,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는 풀리 샤프트(83a)의 길이 방향(축방향)으로 중앙 위치에서 그립 롤러(81)와 면하도록(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롤러 형태 풀리(8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속 롤러들은 중앙 그립 롤러(81) 양쪽의 그립 롤러들(81)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앙의 그립 롤러(81)와 면/접촉하도록 종속 롤러를 구성할 수 있고, 중앙 그립 롤러(81) 양쪽의 그립 롤러(81)와 면/접촉하도록 벨트 이송 유닛(8A)의 2 개의 이송 벨트(82)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변형례>
도 12는 제 4 실시예의 제 1 변형례를 도시한다. 제 1 변형례는 도 11, 23 및 24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제 1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B)에서,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이송 유닛 내의 서로 면한 모든 쌍의 부재들을 위해 이송 벨트들(82)이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3 개의 이송 벨트(8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3 개의 그립 롤러(81)와 면한다. 벨트 이송 유닛(8A)의 각각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각각 풀리 샤프트(83a, 834a)에 고정된 풀리(83, 84)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속박/배치되어, 3 개의 그립 롤러(81)를 각각 면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1 수정례에 따른 용지 공급 장치(5B)는 도 11, 23 및 24에 도시한 용지 공급 장치(5A)와 동일하다.
제 4 실시예와 제 1 변형례에 따르면, 사용자는 성능과 비용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지 이송 장치들(5, 5A, 5B)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비용을 고려할 때, 전체 폭 방향의 일부에 걸친 단지 하나의 이송 벨트(82)를 갖는 용지 공급 장치(5A)가 가장 저렴하고, 폭 방향으로 3 부분에 걸친 3 개의 이송 벨트(82)를 갖는 용지 이송 장치(5B)가 그 다음으로 저렴하다. 전체 폭 방향에 걸친 이송 벨트(82)를 갖는 용지 이송 장치(5)에 의해 최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성능과 비용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지 이송 장치들(5, 5A, 5B)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제 1 수정례에 따른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는 스프링(도시 생략)의 압력에 의해 풀리(83)를 구동하는 그립 롤러(81)에 대해 압박되어, 그립 롤러(81)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는 구동 기구(22)에 의해 회전하는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송 벨트(82)의 선속의 불규칙은 그립 롤러(81)가 구동되면 이송 벨트(82)가 구동되는 경우에 비해 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 쪽으로 회전하는 이송 벨트(82)를 제 1 이송 경로(A)의 전환 구역(만곡부)의 외측을 따라 배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제 1 이송 경로(A)의 전환 구역에서 판지와 같은 비교적 경질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벨트(82)가 자신과 면하거나 직접 접촉한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함으로써, 용지(S)는 제 2 이송 유닛(7)을 지나 일정한 선속으로 이송될 수 있다.
아래의 기술을 고려하면 이러한 장점/효과는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립 롤러(81)를 구동하면, 그립 롤러(81)의 선속은 그립 롤러(81)의 외경과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반대로, 이송 벨트(82)를 구동하려면 이송 벨트(82) 안쪽에 제공된 롤러 형태 풀리(83)(벨트 구동 풀리, 주 풀리)를 구동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이송 벨트(82)의 선속은 이송 벨트(82) 안에 제공된 풀리의 외경과 회전 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선속 또한 구성요소들의 불규칙에 기인한 이송 벨트(82)의 두께의 불규칙, 마찰에 의한 이송 벨트(82)의 두께의 변화, 또는 이송 벨트(82)와 풀리(83) 사이의 미끄러짐 작용에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의 선속의 불규칙은 이송 벨트(82) 구동보다는 그립 롤러(81) 구동에 의해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제 1 변형례에서,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들(82)은 길이 방향(축방향)으로 그립 롤러(81) 전체와 면/접촉하도록 풀리 샤프트(83a)에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풀리 샤프트(83a)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서 그립 롤러(81)와 면하는 이송 벨트(82)가 없을 수 있다. (그립 롤러(81)의 수는 벨트 이송 유닛들(8A) 또는 롤러 형태 풀리들(8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종속 롤러들의 수와 맞출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모든 벨트 이송 유닛들(8A)의 풀리들(83)은 풀리 샤프트(83a)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앙 이송 유닛(8A)의 풀리(83)가 중앙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를 통해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때에는, 그립 롤러(81)와 면/접촉하지 않는 양쪽 가장자리의 다른 벨트 이송 유닛들(8A)도 역시 회전하게 된다.
다음 도면의 순서가 어긋나더라도, 도 25A와 2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상의 종래 급지 장치와 유사하게, 제 2 이송 경로(B)는 도 3의 급지 장치(3)의 본체 내에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유닛으로 작용하는 개폐 가이드[79]는 도 25A와 25B에서 화살표(C, D)로 표시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다. 개폐 가이드(79)는 장치 본체(78)의 바닥에 제공된 지레 샤프트 힌지(76) 둘레로 피벗함으로써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하우징(80) 등을 수용하는 장치 본체(78)에 대해 개폐한다. 그와 같은 개폐 구성에 의해, 급지 장치(3)에 걸린 용지(용지 걸림)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 변형례>
도 13과 14는 제 4 실시예의 제 2 변형례를 도시한다. 제 2 변형례는 도 12에 도시한 제 1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B)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용지 이송 장치(5C)는 용지 이송 장치(5B) 대신 채용된다. 도 13과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이송 장치(5C)에서, 용지(S)가 이송 벨트(82)와 접하는 이송면(82a)은 이송 안내 부재(72)의 수직 이송 안내면(72a)으로부터 이송 경로 안쪽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2 변형례의 용지 이송 장치(5C)는 용지 이송 장치(5B)와 동일하다. 이송 경로의 내부는 이송 경로의 중간 부분과 동일하다. (이는 다른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폭 방향(Y)으로 제공된 이송 안내 리브들(72b)이 이송 벨트(82)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이송 안내 부재(72)의 수직 이송 안내면(72a)에서 용지 이송 경로 안쪽으로 돌출한다. (용지 이송 경로는 제 2 이송 경로(B)로부터 연속하여 수직 상방 연장된다.) 이송 안내 리브들(72b)은 이송 안내 부재(72)의 형태를 강화하고 유지한다. 이송면들(82a)은 풀리(83, 84) 둘레에 걸려 수직면을 형성하는 이송 벨트(82)가 이송 안내 리브(72b)로부터 약간 돌출하게 되도록 (단 높이/크기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돌출량(d)만큼 이송 경로 안쪽으로 돌출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지(S), 특히, (비교적 강성인) 판지 용지가 도 24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이송될 때, 용지(S)는 판지 용지의 선단이 잡힌/속박된 상태로 제 2 이송 유닛(7)의 닙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도 2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송 안내 리브들(72b)은 용지 폭 방향(Y)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3에서, 72c는 용지 이송 경로의 내부(중간 부분)에서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이송 안내 부재(72)의 개방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트 이송 장치(5)에 있어서, 이송 벨트(82)는 이송할 시트의 전촉과 접촉한다. 하지만, 제 4 실시예와 제 1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들(5A, 5B)은 용지의 일부만 접촉하므로 이송력이 작다. 하지만, 제 2 변형례의 용지 이송 장치(5C)에서,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용지 폭 방향(Y)으로 제공된 이송 안내 리브들(72b) 사이에 단 높이(5C)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송 안내 리브들(72b)과 용지(S) 사이의 마찰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 장치(5C)는 용지 이송 장치(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송력을 가질 수 있다.
이송 장치(5)와 살질적으로 동일한 이송력이 특히 요망되는 것은 아니라면, 단 높이(d)는 이송 안내 리브들(72b)보다 작거나 이들과 수평일 수 있다. 이송 안내 부재(72)에 이송 안내 리브(72b)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단 높이(d)는 수직 이송 안내면(72a)과 수평이 될 수 있다.
물론, 제 2 변형례의 특징은 제 4 실시예, 제 1 변형례 및 후술하는 제 5 실시예와 그 변형례에 적용할 수 있다.
제 2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S)가 이송 벨트(82)와 접촉하는 부분인 이송면(82a)은 이송 안내 부재(72)의 수직 이송 안내면(72a)로부터 이송 경로 안쪽으로 돌출하거나, 이송면(82a)은 수직 이송 안내면(72a)과 실질적으로 수평이이다. 따라서, 용지 이송 장치(5C)의 이송 벨트(82)가 용지 이송 장치(5)의 넓은 이송 벨터(82)에 비해 가늘고 비용 절감형이더라도, 용지 이송 장치(5C)는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한 용지 이송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3 변형례>
도 15는 제 4 실시예의 제 3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3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D)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1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와 구별된다. 즉, 용지 이송 장치(5D)는 풀리(83) 대신 풀리(83D)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풀리(83D)는 일체로 형성되어 원주면의 중심 둘레로 실질적으로 연장된 링 형태 돌기(100)를 포함한다. 풀리(83D)는 반경 방향으로 원주면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 플랜지(101)도 역시 갖는다. 용지 폭 방향(Y)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풀리(83D)의 풀리 폭은 용지 복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더 넓다. 이들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3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D)는 용지 이송 장치(5A)와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A)에서, 이송 벨트(82)는 좁은 그립 롤러(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그와 같은 구성에는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와 적절히 면하고 그립 롤러(81)와 풀리(83) 사이에 적절히 속박되도록 이송 벨트(82)가 구불구불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3 변형례에서, 돌기(100)는 풀리(83D)의 원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 벨트(82)에는 자기중심정렬(self-centering) 효과가 적용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는 구부러짐 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립 롤러(81)와 면하는 풀리(83D)만이 자기중심정렬 기능을 갖고, 바닥 풀리(84)는 자기중심정렬 기능 없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원주면을 갖더라도, 이송 벨트(82)에는 여전히 자기중심정렬 효과가 적용되는 것이 시험으로 입증되었다.
제 3 변형례에 따르면,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를 이동 가능하게 속박하는 풀리(83D)에는 이송 벨트(82)의 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전술한 자기정렬 기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가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용지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용지 걸림을 제거하다가 이송 벨트(82)를 우연히 건드리는 때에도, 플랜지(101)는 이송 벨트(82)를 제자리에 속박하여, 이송 벨트(82)가 풀리(83D)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성은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확고히 방지하는 높은 신뢰성의 용지 이송 장치(5D)를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82)는 풀리(83D)의 중심정렬 효과에 의해 풀리(83D)에서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제 3 변형례에서, 플랜지(101)는 필수가 아니며 생략할 수 있다.
비용이 허용한다면, 바닥 풀리(84)도 역시 풀리(83D)와 동일한 중심정렬 기능을 구비하여,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더욱 확고히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 3 변형례에 따른 풀리(83D)의 특징은 제 4 실시예, 제 1 및 제 2 변형례 및 후술하는 제 5 실시예와 그 변형례들에 적용할 수 있다.
<제 4 변형례>
도 16은 제 4 실시예의 제 4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4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E)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1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와 구별된다. 즉, 용지 이송 장치(5E)는 풀리(83) 대신에 풀리(83E)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풀리(83E)는 왕관형 풀리로서, 호 형태의 원주면의 중심부가 높고, 원주면 양쪽 가장자리에서 플랜지(101)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용지 폭 방향(Y)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풀리(83E)의 풀리 폭은 용지 폭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넓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4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E)는 용지 이송 장치(5A)와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A)에 따르면, 이송 벨트(82)는 좁은 그립 롤러(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와 적절히 면하고 그립 롤러(81)와 풀리(83) 사이에 적절히 속박되도록 이송 벨트(82)를 구부러지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4 변형례에서, 풀리(83E)는 호 형상의 원주면(호형 본체)을 갖는 왕관형 풀리이며, 이송 벨트(82)에 자기중심정렬 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는 구부러짐 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3 변형례와 유사하게, 그립 롤러(81)와 면하는 풀리(83E)만이 자기중심정렬 기능을 갖고 바닥 풀리(84)가 자기중심정렬 기능 없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원주면을 갖더라도, 이송 벨트(82)에는 여전히 자기중심정렬 효과가 적용되는 것이 시험으로 입증되었다.
제 4 변형례에 따르면, 벨트 이송 유닛(8A)의 이송 벨트(82)를 이동 가능하게 속박하는 풀리(83E)에는 이송 벨트(82)의 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술한 자기중심정렬 기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 요동이 방지되고 용지 이송이 일정하게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용지 걸림을 제거하다가 이송 벨트(82)를 우연히 건드리는 때에도, 플랜지(101)는 이송 벨트(82)를 제자리에 속박하여, 이송 벨트(82)가 풀리(83E)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구성은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확고히 방지하는 높은 신뢰성의 용지 이송 장치(5E)를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82)는 풀리(83E)의 중심정렬 효과에 의해 풀리(83E)에서 벗겨지지 않게 되므로, 제 3 변형례에서, 플랜지(101)는 필수가 아니며 생략할 수 있다.
비용이 허용한다면, 바닥 풀리(84)도 역시 풀리(83E)와 동일한 중심정렬 기능을 구비하여,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더욱 확고히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 4 변형례에 따른 풀리(83E)의 특징은 제 4 실시예, 제 1 및 제 2 변형례 및 후술하는 제 5 실시예와 그 변형례들에 적용할 수 있다.
<제 5 변형례>
도 17은 제 4 실시예의 제 5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5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F)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1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A)와 구별된다. 즉, 용지 이송 장치(5F)는 풀리(83) 대신에 풀리(83F)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폭 방향(Y)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풀리(83F)의 풀리 폭은 용지 폭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짧다. 또한, 플랜지(101)는 풀리(83F)의 양쪽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101)의 높이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보다 작다.
더 구체적으로,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은 풀리(83F)보다 더 넓다. 풀리(83F)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01)의 높이(h1)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그립 롤러(81)와 플랜지(101)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 크기(d1)를 갖는 간격이 존재한다. h2>h1>d1이 충족될 때, 이송 벨트(82)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랜지(101)는 용지(S)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용지(S) 손상이 방지되고 요망되는 용지 이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5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 폭 방향(Y)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풀리(83F)의 폭은 용지 폭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작다. 또한, 이송 벨트(82)를 이동 가능하게 속박하는 풀리(83F)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01)의 높이(h1)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h2)보다 작다. 따라서, 풀리(83F)의 플랜지(101)는 용지(S)가 손상되지 않고 이송 벨트(82)가 벗겨지지 않도록 용지(S)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의 용지 이송 장치(5F)를 구현할 수 있다.
제 3 및 제 4 변형례와 유사한 점으로서, 바닥 풀리(84)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원주면을 갖더라도, 전술한 효과와 후술하는 효과가 제 5 변형례와 후술하는 제 6 및 제 7 변형례에서 달성될 수 있음이 시험으로 입증되었다.
<제 6 변형례>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도 17에 도시한 풀리(83F)를 갖는 용지 이송 장치(5F)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6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풀리(83F)로부터 후술하는 구성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풀리(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즉, 제 6 변형례에 따른 풀리는 이송 벨트(82)를 속박하는 풀리(83F)의 플랜지(101)의 높이(h1)가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h2)보다 작은 조건을 배제한다.
제 5 변형례에 따른 풀리(83F)와 유사한 점으로서,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은 제 6 변형례에 따른 풀리보다 더 넓다. 이 풀리는 본체 둘레에 돌기가 없고, 이송 벨트(82)에 자기중심정렬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호 형상의 본체를 갖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송 벨트(82)는 풀리의 플랜지(101)와 그립 롤러(81) 사이에 속박되어,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확고히 방지한다.
제 6 변형례에 따르면 이송 벨트(82)를 이동 가능하게 속박하는 원주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01)가 제공되고, 풀리와 면한 그립 롤러(81)의 폭은 풀리보다 넓다. 이송 벨트(82)는 풀리의 플랜지(101)와 그립 롤러(81)의 원주면 사이에 (완전히 둘러싸인 채로) 속박되어, 제 3 및 제 4 변형례의 자기중심정렬 기능과 비교할 때 이송 벨트(82) 벗겨짐을 더욱 확고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높은 신뢰성을 갖는 용지 이송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제 7 변형례>
도 18은 제 5 변형례의 변형인 제 7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7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G)는 도 17에 도시한 제 7 변형례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용지 이송 장치(5G)는 풀리(83F) 대신 풀리(83G)를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쪽 원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01)가 풀리(83G)에서 생략되었다. 그 대신, 풀리(83G)의 양쪽 측면 부근에는 풀리(83G)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풀리 샤프트(83a)에 링 형태 플랜지(102)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플랜지(102)의 높이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보다 작다.
플랜지(102)의 외측 가장자리면 양쪽의 풀리 샤프트(83a)에는, 풀리(83G)가 용지 폭 방향(Y)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유지 링(103)이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풀리(83G)는 용지 폭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좁고, 이들 플랜지(102)는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풀리 샤프트(8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83G)의 원주면과 각각의 플랜지(102)의 원주면은 반경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원주 속도로 회전한다. 하지만, 이들이 풀리 샤프트(83a)에서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하므로, 이송 벨트(82)가 플랜지(102)와 접하게 되더라도, 이송 벨트(82)는 서로 다른 원주 속도 때문에 마모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 7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 폭 방향(Y)의 이송 벨트(82)의 벨트 폭과 풀리(83G)의 폭은 용지 폭 방향(Y)의 그립 롤러(81)의 롤러 폭보다 작다. 또한, 풀리(83G)에 이송 벨트(82)를 속박하기 위한 플랜지(102)의 높이(h1)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높이(h2)보다 작다. 따라서, 플랜지(102)가 용지(S)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용지(S) 손상이 방지되며, 이송 벨트(82) 벗겨짐이 방지된다. 또한, 이송 벨트가 플랜지(102)에 닿게 되더라도, 이송 벨트(82)는 서로 다른 원주 속도 때문에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5 및 제 6 변형례와 비교할 때 더욱 고도로 신뢰성 있는 용지 이송 장치(5G)를 구현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9와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H)를 설명한다. 용지 이송 방치(5H)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2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B)와 구별된다. 즉, 동일한 풀리 샤프트(83a, 84)에 각각 고정된 3 쌍의 풀리(83, 8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속박된 3 개의 이송 벨트(82)를 갖는 벨트 이송 유닛(8A) 대신, 용지 이송 장치(5H)는 벨트 이송 유닛(8H)을 채용한다. 복수의 벨트 이송 유닛(8H)(제 5 실시예에서는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은 3 쌍의 풀리(83, 84) 둘레에 걸린 복수의 이송 벨트(82)(도 19와 20의 예에서는 3 개의 이송 벨트)를 포함한다. 3 쌍의 풀리(83, 84)는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 배치된 개별적인 풀리 샤프트(83b, 83b)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3 쌍의 풀리(83, 84)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재 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용지 이송 장치(5H)는 용지 이송 장치(5B)와 동일하다.
용지 이송 장치(5H)에서,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아래와 같이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19와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이송 장치(5H0는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 각각의 벨트 이송 유닛(8H)에서 풀리(83)의 풀리 샤프트(83b)를 헐겁게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 부재(90), 및 스프링(압박 스프링)(92)을 포함한다. 이들 스프링(92)은 이송 벨트(82)가 도 20에 도시한 그립 롤러(81)와 항시 접촉하는 방향으로, 벨트 이송 유닛(8H)에 포함된 벨트 지지 부재(86)의 뒷면을 압박하기 위한 가압 유닛의 역할을 한다.
벨트 이송 유닛(8A)과 벨트 이송 유닛(8H) 사이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벨트 이송 유닛(8A)은 축방향으로 연속 연장된 긴 길이의 풀리 샤프트(83a, 84a)를 포함하며, 이들은 모든 벨트 이송 유닛(8A)에 공통 샤프트로 작용한다. 이와 달리, 벨트 이송 유닛(8H)은 축방향 길이가 짧은 3 개의 개별적인 금속 풀리 샤프트(83b, 83b)를 채용한다. 벨트 지지 부재(86)는 풀리 샤프트(83b, 84b)를 축방향으로 고정/지지하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벨트 지지 부재(86)는 우수한 매끄러움, 마모 저항 및 내구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단일 구성으로서, 경량이다. 각각의 벨트 지지 부재(86)의 뒷벽에는, 스프링(92)의 일단을 걸기 위한 스프링 스테이지(86a)가 벨트 지지 부재(8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풀리 샤프트(84b)가 벨트 지지 부재(86)로부터 돌출한 6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는, 풀리 샤프트(84b)가 미끄러져 나옴을 막는 유지 링들(도시 생략)이 제공된다.
샤프트 지지 부재(90)는 이송 안내 부재(72) 뒷벽에 고정되고, 미리 정해진 강도를 갖는 적절한 수지 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된 단일의 구성이다. 샤프트 지지 부재(90)는 벨트 이송 유닛(8H)의 각각의 풀리 샤프트(83b)의 양쪽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모두 6 개의 슬릿 모양 지지 구멍(90a)을 갖는다. 각각의 지지 구멍(90a)의 높이 방향 내경은 각각의 풀리(83b)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풀리(83b)는 지지 구멍(90a)에 헐겁게 끼워진다. 또한, 지지 구멍(90a)은 용지 폭 방향(Y)과 평행하게 제공되어 실질적으로 제 1 이송 유닛(6)(도시 생략)의 용지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풀리(83b)는 지지 구멍(90a)에 헐겁게 끼워지므로, 3 개의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은 용지 폭 방향(Y)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용지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용지 운바 반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풀리 샤프트(83b)는 샤프트 지지 부재(90)의 지지 구멍(9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풀리 샤프트(83b) 미끄러짐을 막도록 돌출형 풀리 샤프트(83b)의 6 개 부분 근처에 유지 링(도시 생략)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92)은 벨트 이송 유닛(8H)을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 부재(90)의 내벽과 벨트 지지 부재(86)의 스프링 스테이지(86a) 사이에 부착된다. 스프링(92)은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와 항시 접촉하는 방향으로 벨트 지지 부재(86)를 통해 이송 벨트(82)를 압박한다. 제 5 실시예에서, 모든 스프링(92)은 스프링 하중, 스프링 길이, 형태 등의 동일한 스프링 사양을 갖는다.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은 전술한 동일한 구성에 의해 조립된다. 구성 요소의 형태는, 벨트 이송 유닛(8H)이 샤프트 지지 부재(90)에 부착된 후에 이송 벨트(82)가 스프링(92)에 의해 압박될 때, 이송 벨트(82)의 3 개의 이송면(82a)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정렬되도록 특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회전하게 된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은 용지 폭 방향(Y)으로 불연속 배치되고, 이들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복수의 이송 벨트(82)가 단일의 풀리 샤프트(83a)에 의해 지지되는 도 12에 도시한 벨트 이송 유닛(8A)과 비교할 때, 이송 벨트(82) 또는 다른 요소의 불규칙에 의해 생기는 선속의 불규칙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회전하므로, 용지(S) 비뚤어짐 또는 자국(요철)이 방지된다. 또한, 고품질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와 그 변형례에 따르면, 사용자는 성능과 비용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용지 이송 장치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비용과 무관하게 최대 성능을 원할 때 사용자는 전체 폭 방향에 걸친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 장치(5)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5 실시예와 후술하는 변형례에 따르면, 성능과 비용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지 이송 장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에 덧붙여, 전술한 장점/효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제 8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동일한 사양의 3 개의 스프링(92)이 사용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 8 변형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용지 폭 방향(Y)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송 벨트(82) 중에서 중앙 이송 벨트(82)는 좌우측의 다른 벨트보다 고속으로 구동/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폭 방향(Y)으로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와 면한/접촉하는 용지 폭 방향(Y)의 중심에 배치된 구동측의 그립 롤러(81)의 외경은 좌우측의 다른 그립 롤러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는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보다 높은 선속으로 이동/회전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8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이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가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 중에서, 용지 폭 방향(Y)으로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는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보다 큰 선석으로 이동/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용지(S)의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9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인다. 동일 조건에서, 제 9 변형례는 다음 특징을 갖는다. 즉, 용지 폭 방향(Y)의 복수의 이송 벨트(82)의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의 속박 구역(닙부)의 속박 압력은 좌우측의 다른 벨트의 압력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용지 폭 방향(Y)의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와 면한/접촉한 용지 폭 방향(Y)의 중앙에 배치된 구동측의 그립 롤러(81)(도 19와 20에 도시 생략)의 속박 압력은 좌우측의 다른 그립 롤러(81)(도 19와 20에 도시 생략)의 속박 압력보다 높다. 즉, 중앙에 배치된 벨트 이송 유닛(8)의 이송 벨트(82)은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보다 강한 힘을 받는다. 이것은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를 위한 스프링(92)의 스프링 하중에 비해 더 높은 스프링 하중을 갖는 스프링을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용 스프링(92)으로 채용하여 구현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의 속박 압력은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의 속박 압력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9 변형례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은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 중에서, 용지 폭 방향(Y)으로 중앙에 배치된 이송 벨트(82)는 좌우측의 다른 이송 벨트(82)보다 더 높은 속박 압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용지(S)의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0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은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동일한 사양의 3 개의 스프링(92)이 사용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 10 변형례는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즉, 용지 이송 방향에서 제 1 이송 유닛(6)을 볼 때, 복수의 이송 벨트(82) 중에서 용지 폭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된 이송 벨트(82)는 상류 쪽으로부터 하류 쪽으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용지 폭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된 각각의 이송 벨트(82)의 하류 벨트 속박 회전 부재의 축은 중앙의 이송 벨트(82)의 하류 벨트 속박 회전 부재의 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도 21에 도시한 측면도는 도 19에 나타낸 V21 방향으로 본 것이고, V21은 실질적으로 제 1 이송 유닛의 용지 이송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지 폭 방향(Y) 좌우측의 이송 벨트(82)의 복수의 샤프트(83b)는 용지 폭 방향(Y) 중앙의 이송 벨트(82)의 풀리 샤프트(83b)에 대해 경사각(θ)만큼 경사져/기울어져 샤프트 지지 부재(9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용지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중앙 이송 벨트(82)의 좌우측에 있는 이송 벨트(82)는 경사진 상태로, 용지 이송 방향의 상류 쪽으로부터 하류 쪽으로 바깥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도 21에 도시한 제 10 변형례는 용지 폭 방향(Y) 좌우측의 이송 벨트(82)의 풀리 샤프트(83b)가 용지 폭 방향(Y) 중앙의 이송 벨트(82)의 풀리 샤프트(83b)에 대해 경사각(θ1)만큼 경사져/기울어져 샤프트 지지 부재(90)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점에서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를 벌리는 힘이 가해진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0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이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용지 폭 방향(Y) 양쪽의 이송 벨트(82)의 하류 풀리 샤프트(83b)는 용지 폭 방향(Y) 중앙의 이송 벨트(82)의 하류 풀리 샤프트(83b)에 대해 경사각(θ1)만큼 경사져/기울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이송 유닛(6)으로부터 용지 이송 방향으로 볼 때,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 중에서 좌우측에 있는 이송 벨트(82)는 용지 이송 방향의 상류 쪽으로부터 하류 쪽으로 바깥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송 중인 용지(S)의 자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지를 벌리는 힘이 가해진다.
<제 11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동일한 사양의 3 개의 스프링(92)이 사용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 8 변형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이송 벨트(82)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용지 폭 방향(Y) 중앙의 이송 벨트(82)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또는 우레탄 고무와 같은 고무 재료)는 좌우측 이송 벨트(82)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보다 경도가 높다. 그 결과, 좌우측 이송 벨트(82)의 탄성 변형량은 중앙의 이송 벨트(82)의 것보다 더 크다. 따라서, 용지(S)를 경사지게 벌리는 힘이 이송 용지(S)에 가해진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1 변형례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이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 벨트(82)는 서로 다른 경도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용지(S)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2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며, 동일한 사양의 3 개의 스프링(92)이 사용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 12 변형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벨트들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용지 폭 방향(Y) 중에의 이송 벨트(82)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예컨대 전술한 고무 재료)는 좌우측 이송 벨트(82)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보다 더 얇다. 물리적 외관에 의해 고무 부재의 경도를 변경하면, 좌우측 이송 벨트(82)의 탄성 변형량은 중앙 이송 벨트(82)의 것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용지(S)를 경사지게 벌리는 힘이 이송 용지(S)에 가해진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2 변형례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이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 벨트(82)는 서로 다른 두께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물리적 외관에 의해 고부 부재의 경도를 변경하면, 이송되는 용지(S)의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3 변형례>
도 19와 20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동일한 사양의 3 개의 스프링(92)이 사용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 12 변형례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벨트의 원주면의 형태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용지 폭 방향(Y) 좌우측의 이송 벨트(82)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예컨대 고무 재료)의 표면은 쐐기벌레 형태, 널링(knurling) 처리된 형태 또는 주름 형태 등의 (돌출부와 만입부가 있는) 요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관에 의해 고무 부재의 경도를 물리적 변경하면, 좌우측 이송 벨트(82)의 탄성 변형량은 중앙의 이송 벨트(82)보다 더 커진다. 따라서, 용지(S)를 경사지게 벌리는 힘이 이송 용지(S)에 가해진다.
제 5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3 변형례에 따르면, 복수의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H)이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벨트 이송 유닛(8H)의 복수의 (3 개의) 이송 벨트(82)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이송 벨트(82)의 외주면 형태가 서로 다르다. 물리적 외관에 의해 고부 부재의 경도를 변경하면, 이송되는 용지(S)의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4 변형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변형례는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은 제 14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J)를 나타낸다. 제 14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J)는 도 12에 도시한 제 1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B)와 상이하다. 즉, 제 2 이송 장치(5J)의 제 2 이송 유닛(7)은 아래와 같은 배치를 갖는다. 롤러 형태 풀리(8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속 롤러(83)는 종래의 예에서와 같이 그립 롤러(81)와 면/접촉하며, 벨트 이송 유닛(8A)의 종속 롤러(83)와 이송 벨트(82)는 동일한 풀리 샤프트(83a)를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런 차이점을 제외하면, 도 26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J)는 도 12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B)와 동일하다.
이송 벨트(82)가 걸린 (롤러 형태 풀리(8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속 롤러(83)는 롤러 형태 풀리(83)와 마찬가지로 풀리 샤프트(83a)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속 롤러(83)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될 때, 이송 벨트(82)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물론, 도 13 내지 21에 도시한 제 2 내지 제 13 변형례와 제 5 실시예의 관련 구성은 도 26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J)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제 14 변형례에 따르면, 벨트 이송 유닛(8A)의 전술한 기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 15 변형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변형례는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7 내지 29는 벨트 유닛(104)를 포함하는 제 15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K)를 나타낸다. 제 15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K)는 아래와 같은 점에서 도 12에 도시한 제 1 변형례의 용지 이송 장치(5B)와 구별된다. 즉, 3 개의 개별적인 벨트 이송 유닛(8A) 대신, 용지 이송 장치(5K)는 3 개의 개별적인 벨트 이송 유닛(8K)을 포함한다. 3 개의 벨트 이송 유닛(8K)은 공통 풀리 샤프트(83a, 83b)와 함께 하우징 케이스(105) 내에 초기 설치되어, 도 25a와 25b에 도시한 개폐 가이드(79)( 또는 하우징(80)에 제공된 장치 본체(78))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벨트 유닛(104)을 구성한다. 또한, 용지 이송 장치(5K)는 이송 안내 부재(72) 대신 이송 안내 부재(72K)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용지 이송 장치(5K0는 도 12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B)와 동일하다.
용지 폭 방향(Y) 최외측의 풀리(83)와 이송 벨트(82)의 외측 가장자리는 용지 이송 장치(5K)를 구비하는 복사기(1)에 사용되는 최소 크기 용지(S)의 폭(용지 폭 방향(Y)의 용지 크기) 안에 있게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용지 폭 방향(Y) 최외측의 그립 롤러(81)(도 27 내지 29에 도시 생략)는 용지 이송 장치(5K)를 구비하는 복사기(1)에 사용되는 최소 크기 용지(S)의 폭(용지 폭 방향(Y)의 용지 크기) 안에 있게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각각의 벨트 이송 유닛(8K)의 풀리(83, 84)는 우수한 매끄러움, 마모 저항 및 내구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단일 구성으로서, 경량이다. 풀리(83, 84)는 풀리 샤프트(83a)가 풀리(83)를 통해 삽입되고 풀리 샤프트(84a)가 풀리(8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풀리(83, 84)는 각각 풀리 샤프트(83a, 84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그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풀리 샤프트(83a, 84a)는 각각 3 개의 상부 풀리(83)와 3 개의 하부 풀리(834)의 풀리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삽입된 단일 샤프트이다.
하우징 케이스(105)는 우수한 매끄러움, 마모 저항 및 내구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단일 구성으로서, 경량이다. 하우징 케이스(105)는 서로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베어링으로도 작용하는 홀더부(105a); 풀리(83)와 이송 벨트(82)를 구획 및 지지하는 복수의 벨트 지지부(105b); 홀더부(105a)와 벨트 지지부(105b) 등을 일체로 결합, 부착 및 동작시키는 본체(105c);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해 용지 폭 방향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돌기(105d); 및 가압 유닛/가압 부재/탄성 부재로서 작용하는 도 29에 도시한 각각의 스프링(106)(압박 스프링)의 일단에 걸리기 위한 한 쌍의 좌우 스프링 스테이지(105e)를 포함한다. 하우징 케이스(105) 안의 용지 폭 방향(Y)으로 벨트 이송 유닛(8K) 양쪽의 벨트 지지부(105b)는 풀리 샤프트(84a)가 삽입되는 통공(105f)을 갖는다.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송 안내 부재(72K)는 수직 이송 안내면(72Ka), 가압 요소로 작용하고 스프링(106)의 타단에 걸리기 위해 이송 안내 부재(72K)의 뒷벽에 제공된 스프링 걸림부(72Kf), 스프링(106)과 같은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한 쌍의 좌우 리브(72Kd), 및 벨트 유닛(104)이 부착될 때 돌기(105d)와 접촉하고 용지 폭 방향(Y)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좌우 제한부(72Kg)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적절한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이송 안내 부재(72K)는 복수의 개구(72Kc)를 포함하며, 이들 개구(72Kc)에 의해, 벨트 유닛(104)이 부착될 때, 벨트 유닛(104)의 이송면(82a)은 수직 이송 안내면(72Ka)로부터 수직 이송 경로의 내부 또는 제 2 이송 경로(B)를 향하게 된다. 또한, 벨트(104)가 부착될 때, 풀리 샤프트(84a)가 삽입되는 통공(72Ke)은 각각의 리브(72Kd)에 제공된다.
이어, 벨트 유닛(104)를 도 25A와 25B에 도시한 개폐 가이드[79]에 부착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각각의 이송 벨트(82)를 상부 및 하부 풀리(83, 84) 둘레에 건다. 이어, 풀리 샤프트(83a)를 이들 풀리(83)에 삽입시킨다. 풀리 샤프트(84a)는 하우징 케이스(105)의 벨트 지지부(105b)의 통공(105f)을 통해 풀리(84)에 삽입된다. 이송 벨트(82)를 풀리(83, 84) 둘레에 건다. 이송 벨트(82)는 풀리(83, 84)의 축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질 때 미리 정해진 장력(긴장)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풀리(83, 84), 이송 벨트(82) 및 풀리 샤프트(83a, 84a0는 하우징 케이스(10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벨트 유닛(104)은 도 27과 2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된다. 이 지점에서, 홀더부(105a)의 좌우측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는 풀리 샤프트(83a)에 복수의 유지 링(도시 생략)들이 부착되어, 풀리 샤프트(83a)는 부착/지지되어 하우징 케이스(105)의 홀더부(105a)에서 용지 폭 방향(Y)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이어, 도 29를 참조하면, 벨트 유닛(104)은 개폐 가이드[79]의 이송 안내 부재(72K)에 다음과 같이 부착된다.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장 좌측 벨트 지지부(105b)의 좌측으로부터 돌출한 풀리 샤프트(84a)의 좌측 단부는 도 29에 도시한 화살표(Y1)로 나타낸 방향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송 안내 부재(72K) 내의 좌측 리브(72Kd)의 통공(72Ke)에 삽입된다. 이 지점에서, 벨트 유닛(104)의 돌기(105d)가 도 29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화살표(A1)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벨트 유닛(104)은 회전하여, 이송 안내 부재(72K)의 제한부(72Kg)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벨트 유닛(104)의 돌기(105d)가 경사진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도 29에 도시한 가장 우측 벨트 지지부(105b)의 우측으로부터 돌출한 풀리 샤프트(84a)의 우측 단부는 도 29에 도시한 화살표(Y2)로 나타낸 방향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 안내 부재(72K)의 우측 리브(72Kd)의 통공(72Ke)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벨트 유닛(104)은 벨트 유닛(104)의 돌기(105d)가 화살표(A2)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그에 따라, 좌우측 돌기(105d)가 좌우측 제한부(72Kg)와 접촉하여(끼워져), 벨트 유닛(104)이 용지 폭 방향(Y)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어, 스프링(106)은 좌우측의 스프링 스테이지(105e)와 스프링 걸림부(72Kf)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복수의 유지 링(도시 생략)이 이송 안내 부재(72K)의 좌우측 리브(72Kd)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한 풀리 샤프트(84a)의 양단에 부착되어, 풀리 샤프트(84a)가 운방 난내 부재(72K)의 좌우측 리브(72Kd)에 의해 부착/지지되고 이송 안내 부재(72K)의 용지 폭 방향(Y)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 유닛(104)은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이 미리 정해진 양(단 높이)만큼 이송 안내 부재(72K)의 개구(72Kc)로부터 돌출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좌우측 스프링(106)의 압력은 상부 풀리(83)가 풀리 샤프트(84a)에 대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벗하게 되는 방향으로 벨트 유닛(104)을 누른다. 이에 따라, 이송면(82a)은 미리 정해진 압력만큼 풀리(83)을 통해 도 29에 도시하지 않은 그립 롤러(81)에 대해 압박된다.
물론, 도 13 내지 21에 도시한 제 2 내지 제 13의 변형례와 제 5 실시예의 관련 구성은 도 27 내지 29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5 변형례에 따라 벨트 이송 유닛(8K)의 기본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다음의 추가적인 장점과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풀리(83, 84), 이송 벨트(82) 및 풀리 샤프트(83a, 84a)는 하우징 케이스(10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개폐 가이드[79]에 대해 수월하게 탈착될 수 있는 벨트 유닛(104)을 구성한다. 용지 이송 장치(5K)가 수월하게 탈착될 수 있으므로, 용지 이송 장치(5K)의 유지보수와 청소가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이송 벨트(82) 사이의 조립 오류가 도 11 내지 14 및 26에 도시한 예들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3, 23, 24 및 30 내지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를 설명한다. 도 23과 24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에서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의 급지 구동 유닛(급지 구동 시스템)의 역할을 하는 구동 기구(22)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13과 30 내지 33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에서 제 2 이송 유닛(7)의 벨트 이송 유닛(8M)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도 13, 23, 24 및 30 내지 33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용지 이송 장치(5M)에서는 속박/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는 제 2 이송 유닛(7)의 구동 부재와 종속 피동 부재 사이의 관계가 명확히 정의된다. 또한, 벨트 이송 유닛(8) 대신 벨트 이송 유닛(8M)이 채용되고,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M)의 요소들은 용지 폭 방향을 따라 불연속으로 배치되어 용지 폭 방향(Y)으로 용지(S)의 일부와 접촉한다. 이송 벨트(82)의 재료가 특정된다. 이들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는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용지 이송 장치(5M)의 제 2 이송 유닛(7)에서는 서로 면한 한 쌍의 부재가 속박/이송 유닛, 즉, 그립 롤러(81)와 벨트 이송 유닛(8M)을 구성한다. 한 쌍의 부재 가운데 하나인 그립 롤러(81)는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이송 구동 유닛/회전 이송 구동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부재 가운데 다른 하나인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M)(이동/안내 유닛)은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 사이에 형성된 용지 이송 경로(제 1 이송 경로(A))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 이송 벨트(82)는 그립 롤러(81)와 직접 접촉하고,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송 벨트(82)는 용지(S)의 선단과 이송 벨트(82)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용지(S)를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닙부) 쪽으로 이송(이동/안내)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는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에서는 이송 벨트(82)의 폭이 이송될 최대 크기 용지의 복 이상이고, 풀리(83, 84)와 그립 롤러(81)는 이들의 크기가 이송 벨트(82)의 전술한 벨트 폭 이상이 되도록 전체 용지 폭 방향(Y)과 교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 대신,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에서는 이송 벨트(82)를 비롯한 벨트 이송 유닛(8M)의 요소들은 용지 폭 방향(Y)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용지 폭 방향(Y)으로 용지(S) 선단부의 일부와 접촉한다. (선단부는 선단, 선단의 면, 선단의 모퉁이 및 선단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그립 롤러(81)는 시스케밥 형태의 구조로 용지 폭 방향(Y)으로 회전 구동 샤프트(81a)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고정/배치된 복수의 회전/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벨트 이송 유닛(8A)에서 이송 벨트(82)와 풀리(83, 84)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그립 롤러(81) 가운데 적어도 하나와 면하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3고 32에 도시한 것과 같이, 3 개의 그립 롤러(81)가 회전 구동 샤프트(81a)를 따라 배치되고 이들 그립 롤러(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3 개의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와 면하며 배치된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 설명한다.
제 6 실시예는 도 23과 24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구동 기구(22)를 채용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그립 롤러를 면하고 배치된 각각의 벨트 이송 유닛(8M)을 도 13과 30 내지 3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지 이송 장치(5M)의 벨트 이송 유닛(8M)은 도 1 내지 4와 도 7 내지 10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의 벨트 이송 유닛(8)과는 아래와 같은 점에서 주로 구별된다. 이하 그 특징을 설명하면, 이송 벨트(82)의 재료는 다음과 같이 특정된다. 3 개의 풀리(83)를 풀리 샤프트(83a)에 고정하는 대신, 3 개의 풀리(83)가 풀래 샤프트(8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83, 84)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재 재료로 구성된다. 벨트 지지 부재(86)는 풀리(83, 8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축 방향으로 연속 연장한 길이가 긴 풀리 샤프트(84a) 대신에, 축방향으로 짧은 길이의 3 개의 금속 풀리 샤프트(84b)가 벨트 이송 유닛(8M)에 제공된다.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립 롤러(81)와 이송 벨트(82)는 도 4에 도시한 예와 유사하게 그립 롤러(81)의 회전 구동 샤프트(81a)의 중심과 풀리 샤프트(83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서 서로 접촉한다. 이 접촉 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속박 구역(닙부)이 형성된다. 풀리(83, 84)는 우수한 매끄러움, 마모 저항 및 내구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단일 구성으로서, 경량이다.
3 위치에 제공된 이송 벨트(82)는 후술하는 스프링 하중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이송 벨트(82)만을 대표예로서 설명한다. 이송 벨트(82)는 기재를 사용하지 않고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으로 구성된 탄성 부재이다. (즉, 벨트는 제직사(weaving thread)로 만든 천과 같은 기재에 고무를 부착하여 형성함이 일반적이다.) 이송 벨트(82)는 고무로만 제조된다. 이송 벨트(82)는 우레탄 고무(U)로도 만들 수 있다.
이송 벨트(82)는 풀리 샤프트(8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83)와 풀리 샤프트(83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84) 둘레에 걸려있고, 풀리 샤프트(83b, 84b)를 통해 벨트 지지 부재(86)에 부착된 풀리(83, 84) 사이의 위치 관게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정해진 값의 장력을 받는다.
풀리 샤프트(83b, 84b)는 이들의 축간 거리가 고정 값을 유지하도록 벨트 지지 부재(86)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또한, 풀리 샤프트(83b, 84b)는 이송 벨트(82)가 홀로 있을 때(걸린 상태가 아닐 때)보다 풀리(83, 84)에 걸려 있을 때에 더 긴 원주를 갖게 되도록 벨트 지지 부재(86)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는 이송 벨트(82)가 홀로 있을 때(걸린 상태가 아닐 때)보다 벨트 이송 유닛(8M)이 벨트 지지 부재(86)에 조립될 때에 더 긴 원주를 갖게 되도록 탄성적으로 걸린다.
2 개의 베어링(87)이 3 개의 벨트 지지 부재(86)에 의해 속박되어 풀리 샤프트(83b)에 제공된다. 가압 유닛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91)이 베어링(87)을 통해 풀리 샤프트(83b)에 힘을 가하여, 용지(S) 이송을 위한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 샤프트(83b)와 풀리 샤프트(84b)는 이들의 축간 거리가 고정 값을 유지하도록 풀리 샤프트(84b)가 풀리 샤프트(83b)에 대해 전후로 피벗할 수 있도록 벨트 지지 부재(86)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벨트 지지 부재(86)는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단일 구성으로서, 경량이다. 각각의 벨트 지지 부재(86)의 뒷벽에는 스프링 스테이지(86a)가 스프링(92)의 일단에 걸리기 위한 벨트 지지 부재(8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풀리 샤프트(83b, 84b)가 벨트 지지 부재(86)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는 유지 링들이 제공되어 풀리 샤프트(83b, 84b)가 미끄러져 나옴을 방지한다.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벨트 지지 부재(86)와 스프링 지지 부재(93)의 스프링 스테이지(86a) 사이에 스프링(92)(압박 스프링)이 제공된다. 이들 스프링(92)은 이송 벨트(82)가 도 30에 도시한 그립 롤러(81)와 항시 접촉하게 되는 방향으로 벨트 지지 부재(86)의 뒷면을 압박하기 위한 가압 유닛의 기능을 한다.
도 31에 도시한 빗금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벨트(82)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 지지 부재(86)의 바닥에 위치결정부(86b)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송 벨트(82)의 위치는 위치결정부(86b)가 이송 안내 부재(72)와 접촉함에 따라 결정된다. 도 30과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위치결정부(86b)는 스프링(92)의 압력에 의해 이송 안내 부재(72)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는 벨트 돌출 높이(h)만큼 이송 안내 부재(72)로부터 돌출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다.
도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베어링(87)은 U자형 슬롯(87a)을 갖고, 풀리 샤프트(83b)는 U자형 슬롯(87a)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스프링(91)의 압력은 풀리 샤프트(83b)를 통해 이송 벨트(82)를 그립 롤러(81)에 대고 압박한다. 풀리 샤프트(83b)의 위치는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에 대해 압박됨에 따라 고정된다. 풀리 샤프트(84b)는 도 3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풀리 샤프트(83b)에 대해 전후로 피벗하도록 구성된다.
도 30 내지 33을 참조하여 기재한 것과 같이, 스프링(92)의 일단은 벨트 지지 부재(86)에 힘을 가한다. 스프링(92)의 타단은 스프링 압박 스테이지(94)에 의해 지지되어/걸려 있다. 스프링 압박 스테이지(94)는 스프링(92)의 압력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 부재(93)에 형성된 슬릿(9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0 내지 33에서, 스프링 압박 스테이지(94)는 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프링(92)은 압력, 즉, 스프링(92)의 압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하중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도록 임의의 서로 다른 길이로 압박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서, 2 개의 스프링(91)은 스프링 하중, 스프링 길이, 형태 등의 동일한 스프링 사양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3 개의 스프링(92)은 스프링 하중, 스프링 길이, 형태 등의 동일한 스프링 사양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이송 유닛(8M)의 이송 벨트(82)는 풀리 샤프트(83b, 84b)를 통해 벨트 지지 부재(86)에 부착된 풀리(83, 84)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정해진 장력으로 한 쌍의 롤러 형태 풀리(83, 84) 둘레에 걸려 있다. 스프링(92)의 압력에 의해 이송 벨트(82)는 풀리(83)를 구동하는 그립 롤러(81)에 대해 압박된다. 풀리(83)는 자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송 벨트(82)를 풀리(83, 84) 둘레에 걸 때, 이송 벨트(82)의 고무가 너무 경질이면, 풀리(83, 84) 사이의 이송 벨트(82)의 직선 부분들(선형 벨트 이동면)은 이송 벨트(82)의 경도에 따라 바깥으로 볼록해 지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송 벨트(82)의 신장률(stretch rate)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신장률이 증가하면, 이송 벨트(82)의 장력이 증가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여,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가 어려워 진다.
<제 2 사용례>
제 2 사용례로서, 도 5와 표 1을 참조하여 기재한 시험과 동일한 시험조간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2에 제시한 시험 결과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제조한 이송 벨트(82)의 고무 경도, 신장률 및 벨트 두께의 조합을 나타낸다. 이들 조합의 조건은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하중을 일으키지 않는 것임이 밝혀졌다.
고무 경도 JIS A(도) |
신장률(%) |
벨트 두께(mm) |
30 |
10 |
1.5 |
40 |
7 |
1.5 |
60 |
6 |
1.5 |
80 |
5 |
1 |
표 2에 제시한 결과는 신장률이 높더라도 고무 경도가 낮으면 이송 벨트(82) 회전이 방해받지 않음을 나타낸다. 고무 경도가 높을 때(80도 일 때)는 이송 벨트(82)의 두께를 줄이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송 벨트(82)의 두께를 줄이면, 이송 벨트(82)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른 마모를 고려할 때, 이송 벨트(82)의 두께/크기를 줄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송 벨트(82)의 고무 경도를 JIS A 치수로 30 내지 90도의 비교적 낮은 값으로 하면, 시간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감소나 마모 발생이 없이 후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장점/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먼저, 이송 벨트 유닛(8M)의 이송 벨트(82)는 구동 기구(22)에 의해 회전하는 그립 롤러(81)(회전 이송 구동 유닛/회전 이송 구동 부재)와 직접 접촉하여,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송 벨트(82)의 불규칙한 선속은 그립 롤러(81)를 구동함으로써 이송 벨트(82)가 구동되는 경우에 비해 더욱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이송 경로(A)의 전환 구역(만곡부)의 외측을 따라, 제 2 이송 유닛(7)의 속박 구역 쪽으로 회전하는 이송 벨트(82)를 배치하면 다음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제 1 이송 경로(A)의 전환 구역에서 판지와 같은 비교적 경질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 이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벨트(82)를 그와 면하는/직접 접촉하는 그립 롤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하면, 용지(S)는 제 2 이송 유닛(7)을 지나 일정한 선속으로 이송될 수 있다.
아래의 기술을 고려하면 이러한 장점/효과를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립 롤러(81)가 구동된다면, 그립 롤러(81)의 선속은 그립 롤러(81)의 외경과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역으로, 구동 벨트(82)를 구동하려면 구동 벨트(82) 내부에 제공된 롤러 형태 풀리(83)(벨트 구동 롤러, 주 풀리)를 구동해야함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이송 벨트(82)의 선속이 이송 벨트(82) 내부에 제공된 풀리(83)의 외경과 회전 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속은 구성의 불규칙에 의해 생기는 이송 벨트(82)의 두께 불규칙, 마찰에 의해 생기는 이송 벨트(82)의 두께 변화 또는 이송 벨트(82)와 풀리(83) 사이의 미끄러짐 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송 벨트(82)의 선속 불규칙은 이송 벨트(82) 구동보다는 그립 롤러(81) 구동에 의해 더욱 줄일 수 있다.
두 번째로, 풀리(83, 84)(벨트 속박 회전 부재)는 이들의 축간 거리가 고정 값을 유지하도록 벨트 지지 부재(86)(지지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풀리(83, 84)의 풀리 샤프트(83b, 84b)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 이송 벨트(82)가 홀로 있을 때(걸린 상태가 아닐 때)보다 풀리(83, 84)에 걸려 있을 때에 더 긴 원주를 갖게 되도록 벨트 지지 부재(86)에 배치된다. 제 6 실시예는 벨트에 장력을 주기 위한 기구로 통상 사용되는 긴장 장치(tightener)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송 벨트(82)는 2 개의 풀리(83, 84) 사이에 탄성적으로 걸려 있다. 따라서, 제 6 실시예는 긴장 장치와 같은 긴장 기구가 제공된 종래 구성에 비해 단순하고 공간 및 비용 절약형이다.
그에 따라, 제 1 이송 경로(A)의 전환 구역에 판지와 같은 비교적 경질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향상된 용지 이송 특성을 갖는 용지 이송 장치의 구성은 단순하고 공간 및 비용 절약형이다.
세 번째로, 이송 벨트(82)는 비교적 낮은 경도의 고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이송 벨트(82)의 고무 경도는 JIS A 치수로 30 내지 90도로 비교적 낮다. 따라서, 이송 벨트(82)의 회전 하중을 줄여, 이송 벨트(82)가 피동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즉, 이송 벨트(82)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이송 벨트(82)가 고무 경도가 낮아지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맞닿을 때 생기는 소음과 용지(S)의 후미가 이송 벨트(82)에서 펄럭임에 따라 용지(S)의 후미가 이송 벨트(82)의 이송면(82a)과 갑자기 맞닿을 때 생기는 용지 넘김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34 내지 38을 순서대로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의 변형례들을 설명한다. 단순화를 위해, 도 34 내지 38에서는 벨트 지지 부재(86)는 간략 도시하였고 유지 링들은 생략하였다. 이송 벨트를 제외하면, 후술하는 제 6 실시예의 변형례는 벨트 이송 유닛의 구성요소들의 조립과 형태 측면에서 제 6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이송 유닛(8M)과 동일하다.
<제 16 변형례>
도 34는 제 6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6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16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N)는 도 13, 23, 24 및 30 내지 33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5M)의 벨트 이송 유닛(8M)의 이송 벨트(82)(이하 간단히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82)”라고 한다)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N)와 접촉하게 되는 이송 벨트(82N)의 이송면(82a)에 자국 형태의 요철(crease)이 형성된다.
그립 롤러(81)와 용지(S)는 요철형 이송면(82a)의 돌출부에서만 이송 벨트(82N)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N)의 선속은 요철의 돌출부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이송 벨트(82N)는 요철의 오목부가 위치한 부분이 얇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송 벨트(82)와 비교할 때,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N)의 고무 경도는 감소한다.
도 34에 도시한 예는 실질적인 수평선과 평행한 방향의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비교적 얕은 요철을 갖는다. 대량 생산에서, 요철은 금속 몰드로 성형되면 좋다. 대량 생산이 필요하지 않다면, 예컨대 연마 공정에 의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은 실질적인 수평선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요철은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는 한 방향과 패턴에 구애받지 않는다.
제 16 변형례에 따라 요철이 있는 이송면(82a)을 갖는 이송 벨트(82N0를 채용하면, 물리적 외관 변경에 의해 이송 벨트의 고무 경도는 감소한다. 그 결과, 신장된 이송 벨트(82N)의 장력은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송 벨트가 높은 장력을 갖는다면, 이송 벨트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송 벨트의 회전 하중이 증가한다. 그 결과, 이송 벨트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동일한 선속으로 이동/회전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 진다.
제 16 변형례에 따라 이송 벨트(82N)의 장력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송 벨트(82N)의 회전 하중을 줄일 수 있어서, 이송 벨트(82N)가 피동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게 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즉, 이송 벨트(82N)가 그립 롤러(81)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이송 벨트(82N)가 낮은 고무 경도를 갖게 하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N)의 이송면(82a)과 맞닿을 때 생기는 소음과 용지(S)의 후미가 이송 벨트(82N)에서 펄럭임에 따라 용지(S)의 후미가 이송 벨트(82N)의 이송면(82a)과 갑자기 맞닿을 때 생기는 용지 넘김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제 17 변형례>
도 35a와 35b는 제 6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7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17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P)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82)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돌출부와 오목부가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P)와 접촉하게 되는 이송 벨트(82P)의 이송면(82a)에서 용지 이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그립 롤러(81)와 용지(S)는 이송면(82a0의 돌출부에서만 이송 벨트(82P)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P)의 선속은 이송 벨트(82P)의 돌출부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이송 벨트(82P)는 요철의 오목부가 위치한 부분이 얇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송 벨트(82)와 비교할 때,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P)의 고무 경도는 감소한다.
대량 생산에서, 이송 벨트(82P)의 볼록부/오목부는 금속 몰드로 성형되면 좋다. 대량 생산이 필요하지 않다면, 예컨대 연마 공정에 의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변형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 17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P)와 접하는 이송면(82a)은 용지 이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는다. 따라서,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P)의 고무 경도가 감소하며, 이송 벨트(82P)의 장력은 신장된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변형례와 동일한 장점/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제 18 변형례>
도 36은 제 6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18 변형레를 나타낸다. 제 18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Q)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82)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돌출부와 오목부는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Q)와 접촉하는 이송 벨트(82Q)의 이송면(82a)에서, 용지 이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그립 롤러(81)와 용지(S)는 이송면(82a)의 돌출부에서만 이송 벨트(82Q)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송 벨트(82Q)의 선속은 이송 벨트(82Q)의 돌출부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이송 벨트(82Q)는 오목부가 위치한 부분이 얇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송 벨트(82)와 비교할 때,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Q)의 고무 경도가 감소한다. 제 18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Q)와 접촉하는 이송면(82a)은 용지 이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는다. 따라서,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Q)의 고무 경도가 감소하며, 이송 벨트(82Q)의 장력은 신장된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변형례와 동일한 장점/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제 19 변형례>
도 37은 제 6 실시예의 변형례인 베 19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19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R)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82)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돌출부와 오목부는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즉, 널링 처리된 형태의 돌출부와 오목부는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R)와 접촉하는 이송 벨트(82R)의 이송면(82a)에 형성되어 있다. 도 37에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널링된 부분들은 이송면(82a)에 있는 돌출부를 나타낸다.
그립 롤러(81)와 용지(S)는 이송면(82a)의 돌출부에서만 이송 벨트(82R)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R)의 선속은 이송 벨트(82R)의 돌출부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이송 벨트(82R)는 요철의 오목부가 위치한 부분이 얇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송 벨트(82)와 비교할 때,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R)의 고무 경도는 감소한다.
제 19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R)와 접촉하는 이송 벨트(82R)의 이송면(82a)은 용지 이송 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는다. 따라서,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R)의 고무 경도가 감소하며, 이송 벨트(82R)의 장력은 신장된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변형례와 동일한 장점/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제 20 변형례>
도 38은 제 6 실시예의 변형례인 제 20 변형례를 나타낸다. 제 20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S)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 벨트(82)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즉, 돌출부와 오목부는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S)와 접촉하는 이송 벨트(82S)의 이송면(82a)에서,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 엇갈린(staggered)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립 롤러(81)와 용지(S)는 이송면(82a)의 돌출부에서만 이송 벨트(82S)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이송 벨트(82S)의 선속은 이송 벨트(82S)의 돌출부(제 20 변형례에서는 평탄한 부분에 해당)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이송 벨트(82S)는 요철의 오목부(제 20 변형례에서는 바닥이 막힌 홈에 해당)가 위치한 부분이 얇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이송 벨트(82)와 비교할 때,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S)의 고무 경도는 감소한다.
제 19 변형례에 따르면, 용지(S)의 선단이 이송 벨트(82S)와 접촉하는 이송 벨트(82R)의 이송면(82a)은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는다. 따라서,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면 이송 벨트(82S)의 고무 경도가 감소하며, 이송 벨트(82S)의 장력은 신장된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변형례와 동일한 장점/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돌출부와 오목부는 제 16 내지 제 20 변형례에 따른 이송 벨트(82N-82S)의 돌출부와 오목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송면(82a)의 돌출부와 오목부는 그 물리적 외관 변경에 따라 이송 벨트의 고무 경도가 감소하고 용지의 선단이 방해받지 않는 한 어떠한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 도 7 내지 10, 도 11 내지 21, 도 23, 24, 27 및 도 27 내지 33에 도시한 용지 이송 장치(5, 5A-5H, 5J, 5K, 5M)의 벨트 이송 유닛(8, 8A, 8H, 8K, 8M) 각각 용지(S)의 선단 또는 선단부와 제 2 이송 유닛(7)(속박/이송 유닛)의 한 쌍의 롤러들 가운데 하나의 부재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고 용지(S)의 강성에 따른 용지(S)와의 접촉면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그립 롤러(81)로 용지(S)를 닙부(속박 구역) 쪽으로 이동/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 유닛의 역할을 한다. (선단부는 선단, 선단의 면, 선단의 모퉁이 및 선단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다.) 이동/안내 유닛은 전술한 구성/기능을 갖고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벨트 이송 유닛(8,8A, 8H, 8K, 8M)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 사용례 및 변형례에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화상 형성 장치로 작용하는 복사기 내의 용지 저장 유닛(급지 트레이(51))로부터 용지를 이송 및 공급하기 위한 용지 공급 장치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용지(S)의 선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정착기(11)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향 배출되고 이어서 본체로부터 급지 트레이(9)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도 22B 참조)으로 배출되는 용지 이송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본체 외측에 제공된 실질적으로 수평의 우회 트레이(67)에 배치된 용지가 본체 내부에서 수평 방향을 유지하면서 안내된 다음 위쪽으로 방향을 바꿔 본체의 화상 형성부로 연장된 수직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용지 이송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변형례에서, 용지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상방(실질적으로 직상방)으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지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하방(실질적으로 직하방)으로, 수직 하방 또는 상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예컨대 도 22A 참조),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다른 비스듬한 방향으로 그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사용례 및 변형례에서, 제 1 이송 유닛(6)과 제 2 이송 유닛(7) 양자는 속박/이송 유닛이다. 하지만, 각각의 이송 유닛의 이송 방향에 따라, 이송 중에 이송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만이 필요하다면, 이송 유닛은 서로 면한 부재들에 의해 형성된 속박 구역을 포함하는 속박/이송 유닛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제 1 이송 유닛, 제 2 이송 유닛 및 픽업 롤러의 부재들이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회전축의 축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실질적으로 연장된 원통 또는 짧은 원통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롤러들이 단일의 회전 샤프트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 경로에 있어서, 몇 가지 안내 부재들은 안내면을 형성하도록 롤러들이 배치되지 않은 공간 내의 외측 또는 내측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안내면들이 이송 중심선에 대해 순서대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이들은 띠 형태 안내면,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내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사용례 및 변형례에서, FRR 급지 방식이 급지 분리 기구로서 채용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장의 용지만이 이송되도록 서로 겹친 여러 용지로부터 한 장의 용지가 분리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의 마찰 분리 방식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손톱 모양의 분리 부재를 채용하거나 고정 부재로 작용하는 마찰 패드가 공급 롤러에 대해 압박되는 마찰 패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마찰 패드 방식에서, 마찰 부재로 작용하는 마찰 패드는 적절한 분리 각도와 분리 압력 수준으로 공급 롤러에 대해 압박된다. 용지는 공급 롤러와 마찰 패드에 의해 형성된 닙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급지 분리 기구가 마찰 패드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2 개의 겹친 용지가 추출되더라도, 바닥 용지는 겹친 용지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저항보다 더 큰 저항을 마찰 패드로부터 받게 된다. 그 결과, 바닥 용지가 용지 이송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한편, 꼭대기 용지는 겹친 용지 사이의 마찰에 의한 저항과 마찰 패드에서 받는 저항보다 더 큰 이송력을 공급 롤러로부터 받게 된다. 그 결과, 꼭대기 용지만이 이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본 발명이 단색 복사기(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컬러 복사기, 또는 단색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또는 잉크 리본 프린터와 같은 프린터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사체(transfer body)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순서대로 전사 및 합성(중첩)되는 직접 전사 직렬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중간 전사체로서 작용하는 무단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 다음 용지에 일회 전사되는 직렬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컬러프린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단일의 무단 벨트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배지 트레이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부에 화상 형성 유닛과 스캐너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내 배지 방식(in-body paper eject type)의 화상 형성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배지 트레이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측부에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급지 장치(3)로부터 추출된 용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부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실질적으로 직상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경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급지 장치로부터 배지 트래에로 향한 이송 경로가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실질적으로 직상방)이 아닌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지를 용지 저장 유닛(급지 트레이) 또는 용지 적재 유닛(급지 스테이지)로부터 인쇄기 본체로 이송하기 위한 스텐실 인쇄기를 비롯한 인쇄기 내의 용지 이송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역할을 하는 전술한 복사기(1)에서, 스캔될 원본은 수작업으로 맞춰진다.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원본(용지)을 자동 스캔하기 위한 ADF(자동 원고 이송 장치)가 제공된 복사기 또는 인쇄기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ADF를 구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는 팩시밀리기, 프린터, 잉크젯 기록 장치, 원본에서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주 기능이 화상 스캐닝인 스캐너가 제공된 화상 스캔 장치, 또는 이들 가운데 2 이상을 조합한 다기능 주변장치일 수 있다. 이들 장치에서, 용지 이송 경로의 공간을 줄이면서 다양한 형태의 용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용지 이송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최적의 용지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지 공급 장치를 복수의 급지 스테이지에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급지 장치(3)가 단일 급지 트레이(51)와 단일 용지 이송 장치(5)만을 포함하도록 도 1에 도시한 급지 장치(3)로부터 상부 급지 트레이(51)와 용지 이송 장치(5')를 제거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가 제공된 화상 스캔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 및/또는 화상 스캔 장치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기, 프린터, 인쇄기, 잉크젯 기록 장치 또는 이들 가운데 2 이상을 조합한 다기능 주변장치일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39 내지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도 39는 급지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천연색 프린터(910)이다. 프린터(910)는 각각 노랑(Y), 마젠타(M), 시안(C) 및 검정(B)에 해당하는 4 개의 화상 형성부(921Y, 921M, 921C, 921K) 및 이들 화상 형성부(921Y, 921M, 921C, 921K)에 레이저빔으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유닛(924)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상 형성부(921Y, 921M, 921C, 921K)는 광전도체 드럼, 방전 장치, 현상 장치, 전사 장치 및 청소 유닛을 포함한다. 해당 광전도체 드럼 표면에는 노랑 토너 화상, 마젠타 토너 화상, 시안 토너 화상 및 검정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프린터(910)는 용지 공급 장치(930)를 구비한다. 용지 이송 장치(930)는 3 개의 급지 장치(919, 919a, 919b)를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급지 장치(919, 919a, 919b)로부터 공급된 기록 용지(S)는 화상 형성부(921Y-921K)와 면하여 배치된 전사 벨트(920)에 의해 이송된다. 각각의 색의 토너 화상은 화상 형성부(921Y-921K)로부터 이송된 기록 용지(S)에 적층 및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S)가 정착기(922)를 통과한다. 토너 화상이 기록 용지(S)에 정착되도록 열과 압력이 가해진다. 정착기(922)를 통과한 후에, 기록 용지(S)는 배지 트레이(925)에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용지(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유닛과 기록 용지(S)를 화상 형성 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급지 장치(919, 919a, 919b)를 포함한다. 제 1 급지 장치(919)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급지 트레이(911)에 배치한 기록 용지(P)를 공급하는 우회 급지 장치이다. 제 2 및 제3 급지 장치(919a, 919b)는 각각 급지 트레이(911a, 911b)에 적재된 기록 용지(P)를 공급한다.
급지 장치(919, 919a, 919b)는 적재된 용지(P)를 집기 위한 기록 용지 분리 유닛의 역할을 하는 픽업 롤러(912, 912a, 912b), 픽업 롤러(912, 912a, 912b)로부터 기록 용지 이송 방향의 하류에 배치된 공급 롤러(913, 913a, 913b), 및 공급 롤러(913, 913a, 913b)와 쌍을 이루거나 접촉한 역전 롤러(914, 914a, 914b)를 각각 포함한다. 공통 요소로는 그립 롤러(915, 915a, 915b), 한 쌍의 저항 롤러(923) 및 기록 용지 이송 방향의 하류 쪽에 배치된 저항 센서의 역할을 하는 기록 용지 검출 유닛(931)이 있다.
급지 트레이(911, 911a, 911b)에서 나온 기록 용지(S)는 한 쌍의 저항 롤러(923)와 맞닿아 일시 정지한다. 이어,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한 쌍의 저항 롤러(923)는 회전을 재개하여, 화상 형성부(921Y-921K)의 광전도 표면의 토너 화상이 기록 용지(S)에 적절하게 전사되는 타이밍으로 기록 용지(S)를 광전도체들과 전사 벨트(920) 사이로 공급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용지 공급 장치는 하부 스테이지에 배치된 급지 장치(919b)와 같은 급지 장치에 채용된다. 급지 장치(919b)에서, 기록 용지(P)는 공급 롤러(913b)로부터 공급된 후에 하류 쪽에 배치된 그립 롤러(915b)에 도달하기 전에 이송 방향으로 갑자기 바꾸게 되어 있어서, 장치의 전체 크기가 감소한다.
도 40은 전술한 프린터(910)의 급지 장치의 하나로서 하부 스테이지에 배치된 급지 장치(919b)의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급지 장치(919b)는 급지 트레이(911b)에 적재된 용지(P) 적층체로부터 한 장의 기록 용지(S)를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912b), 기록 용지(S)를 픽업 롤러(912b)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하류 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공급 롤러(913b) 및 역전 롤러(914b)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912b), 공급 롤러(913b) 및 역전 롤러(914b)는 기록 용지 분리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용지 이송 장치(930)는 안내부의 역할을 하는 상부 이송 안내부(917b)와 하부 이송 안내부(918b)를 포함한다. 안내부는 공급 롤러(913b) 및 역전 롤러(914b)로부터 받은 기록 용지(S)의 이송 방향을 기록 용지 이송 유닛의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한다. 상부 이송 안내부(917b)와 하부 이송 안내부(918b) 사이에는 만곡된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2)가 제공된다. 상부 이송 안내부(917b)와 하부 이송 안내부(918b)의 출구(하류 쪽)에는 기록 용지(S)를 안내부에 의해 변경된 방향(상방)으로 더 안내하도록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3)가 제공된다. 제 7 실시예에서, 2 개의 그립 롤러(915a, 915b)는 기록 용지(S)를 속박 및 이송하기 위한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3)에 배치된다. 제 7 실시예에서,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3)는 보조 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는 벨트 이송 유닛(940)을 더 포함한다.
도 41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930)의 사시도이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이송 유닛(940)은 구동 롤러(942)와 종속 롤러(943) 둘레에 걸린 전도성 합성수지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무단 벨트 부재(941)가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3)에 배치된다.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2)를 통과한 기록 용지(S)는 무단 벨트 부재(941)와 접촉하여 무단 벨트 부재(941)에 의해 안내된다.
제 7 실시예에서는 벨트 부재(941), 구동 롤러(942) 및 종속 롤러(943) 2 조가 서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병렬 배치된 이들 구동 롤러(942)는 회전 샤프트(944)에 의해 구동된다. 회전 샤프트(944)는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샤프트(947)에 의해 톱니 기어(945, 946)를 통해 구동된다. 이송 벨트(벨트 부재(941))의 회전 속도는 기록 용지의 이송 속도보다 크면 좋다.
제 7 실시예에서, 벨트 이송 유닛(940)은 용지 걸림을 해소하도록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수직 이송 커버(949)에 배치된다. 한편, 전술한 모터는 수직 이송 커버(949)가 페쇄될 때 톱니 기어(945, 946)가 서로 맞물리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배치된다.
제 7 실시예에서, 그립 롤러(915b)는 벨트 이송 유닛(940)의 모터가 아닌 모터에 의해 샤프트(934)를 통해 구동된다.
제 7 실시예에서, 기록 용지(S)가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2)를 통해 기록 용지 이송 경로(933)에 도달할 때, 기록 용지(S)의 선단은 회전되는 이송 벨트(벨트 부재(941))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이송력이 이송 벨트(벨트 부재(941))로부터 기록 용지(S)에 가해진다. 따라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이송 경로라도 기록 용지(S)는 일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서, 벨트 부재(941)는 전도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기록 용지(S)와 벨트 부재(941) 사이에 마찰 대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서는 이송 벨트의 회전 속도를 기록 용지의 이송 속도보다 높게 하고, 공급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 용지가 이송 벨트와 맞닿을 때의 충돌 하중을 감소시키며, 기록 용지의 선단이 접히는 등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이송 커버는 공간 절약형이고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 이송 유닛(940)은 하부 급지 장치(919b)에만 제공되지만, 벨트 이송 유닛(940)은 상부 급지 장치(919a)에 제공될 수 있다.
<제 8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도 42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의 간략한 단면도이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는 벨트 이송 유닛(950)을 포함한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벨트 이송 유닛(950)에서, 급지 장치(919a, 919b)의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급지 장치(919a, 919b)를 위한 하나의 벨트 이송 유닛(950)이 제공된다.
급지 장치(919a)는 픽업 롤러(912a), 공급 롤러(913a), 역전 롤러(914a), 그립 롤러(915a, 916a), 상부 이송 안내부(917a) 및 하부 이송 안내부(918a)를 포함한다. 급지 장치(919b)는 제 7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픽업 롤러(912b), 공급 롤러(913b), 역전 롤러(914b), 그립 롤러(915b, 916b), 상부 이송 안내부(917b) 및 하부 이송 안내부(918b)를 포함한다.
벨트 이송 유닛(950)은 급지 장치(919a, 919b)와 교차 배치된 무단 벨트 부재(951)를 포함한다. 무단 벨트 부재(951)는 구동 롤러(952)와 종속 롤러(953) 둘레에 걸려 있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 7 실시예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에 덧붙여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기록 용지의 선단이 접히는 등의 고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및 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들은 프린터이다.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기 또는 스캔 기능을 구비하는 다기능 주변장치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
<제 21 변형례>
제 21 변형례에 따른 용지 이송 장치를 설명하며, 본 변형례의 용지 이송 장치는 ADF(자동 원고 이송 장치)를 갖는 스캐너에 적용된다. 도 43은 본 변형례에 따른 스캐너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캐너 장치(200)는 스캐너 본체(202) 및 RADF(역전 자동 원고 이송 장치)(203)를 포함한다. RADF는 자동 원고 이송 유닛의 역할을 하는 ADF(자동 원고 이송 장치)의 일종으로 스캐너 본체(202)의 상부에 제공된다.
스캐너 본체(202)의 케이스(204)의 상면에는 원고 적치 유리(205)와 ADF 원고 유리(206)가 배치된다. 원고 적치 유리(205)에는 서적 원고 판독 모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할 때 원고가 위치하고, ADF 원고 유리(206)는 용지 원고 판독 모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할 때 사용하는 이송형 원고 판독 유리이다.
여기서, 서적 원고 판독 모드는 원고 적치 유리(205)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작동 모드이다. 용지 원고 판독 모드는 원고가 RADF(203)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고 자동 이송된 원고가 ADF 원고 유리(206)를 통과할 때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작동 모드이다. 이들 작동모드는 케이스(204) 외부에 구비된 주 조작판(도시 생략)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어, 용지 원고 판독 모드의 설정에 따라 사용하는 RADF(203)에 대해 설명한다. 용지 원고 판독 모드가 설정되면, 제 1 캐리지(210)와 제 2 캐리지(213)는 기준 위치(home position)인 ADF 원고 유리(206) 아래 정지한다. 그런 다음, RADF(203)가 원고를 자동 이송하여 스캔 및 판독되도록 한다.
RADF(203)는 용지 원고 판독 모드에서 원고를 판독할 때 원고(250)가 배치되는 원고 테이블(220), 판독 완료 후에 원고(250)를 전달하기 위한 용지 전달 유닛(221), 원고 테이블(220)로부터 용지 전달 유닛(221)으로 이어진 원고 이송 경로(222), 및 역전 판독 모드에서 원고(250)를 뒤집는 역전 유닛(223)을 포함한다. 역전 판독 모드는 용지 원고 판독 모드의 일종으로, RADF(203)가 원고(205)를 자동으로 이송하고 전면의 화상이 판독 및 스캔된 후에, 원구(250)를 뒤집어 뒷면의 화상을 판독 및 스캔하는 원고 판독 모드이다.
원고 테이블(220)에 놓인 원고용지를 한 장씩 분리 이송하기 위한 픽업 롤러(231)와 이송 롤러(232)가 원고 이송 경로(222)의 원고 테이블(220) 쪽에 배치된다. 이들 픽업 롤러(231)와 이송 롤러(232)는 급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즉, 급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픽업 롤러(231)와 이송 롤러(232)는 원고 테이블(220)에 놓인 원고(250)를 원고 이송 경로(222)로 한 장씩 이송한다.
또한, 원고 이송 경로(222)는 원고(250)를 원고 전달 유닛(221)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 드럼(233)을 포함한다. 이 이송 드럼(233) 아래에는 ADF 원고 유리(206)가 위치한다. 이송 드럼(233)은 스테핑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드럼(223)은 원고(250)를 원고 테이블(220)로부터 이송하여 ADF 원고 유리(206)에서 원고 이송 경로(222)로 안내한다.
이렇게 하면, 원고 테이블(220)에 놓인 원고(250)는 픽업 롤러(2310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된 다음 이송 롤러(232)와 이송 드럼(233)에 의해 ADF 원고 유리(206)로 이송된다. ADF 원고 유리(206)는 원고 판독 위치가 된다.
또한, 역전 유닛(223)은 역전 경로(235)가 형성된 역전 테이블(236)을 구비하며, 역전 경로(235)의 일단은 원고 이송 경로(222)가 중간에 분기된 분기 지점(234)에 이어진다. 역전 테이블(236)은 전후 방향으로 급지 및 역전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역전 롤러(237)를 구비한다. 또한, 역전 경로(235)에는 스핀들에 대해 자유 회전할 수 있는 분기 네일(branch nail)(238)이 장착된다. 분기 네일(238)은 역전 경로(235)를 스핀들의 회전을 통해 원고 이송 경로(235)에 대해 개폐하여, 이송 드럼(233)으로부터 용지 전달 유닛(270)에 이송된 원고(250)를 역전 유닛(223) 또는 용지 전달 유닛(221)에 분배한다. 즉, 용지 원고 판독 방식의 일종인 역전 판독 모드가 설정되면, 분기 네일(238)은 스핀들의 회전을 통해 역전 경로(235)를 원고 이송 경로(222)에 대해 개방함으로써, 이송 드럼(233)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250)를 역전 경로(235)로 안내한다. 그런 다음, 분기 네일(238)은 역전 원고(250)가 역전 롤러(237)에 의해 다시 원고 이송 경로(222)로 운받되도록 한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스캐너 장치(200)에 있어서, 전술한 용지 이송 장치는 판독 위치를 통과한 용지를 용지 전달 출구에 전달하는 용지 전달 유닛(270) 내의 만곡부(A)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용지 이송 장치는 역전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송 드럼(233)과 용지 전달 유닛(270) 사이의 용지 이송 방향이 갑자기 변하는 만곡부(A)와 용지면을 역전하는 역전 유닛(223)과 이송 드럼(233) 사이의 만곡부(B)는 제 1 이송 유닛(6)(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제 2 이송 유닛(7)(그립 롤러(81), 풀리(83), 풀리(84) 및 이송 벨트(82), 그리고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 긴장 롤러(85) 및 이송 안내 부재(70, 71)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부분을 제외하고도 용지 이송 경로에서 용지 이송 방향이 갑자기 바뀌는 모든 만곡부는 제 1 이송 유닛(6)(공급 롤러(61)와 역전 롤러(62)), 제 2 이송 유닛(7)(그립 롤러(81), 풀리(83), 풀리(84) 및 이송 벨트(82), 그리고 이송 벨트(82)를 포함하는 벨트 이송 유닛(8)), 긴장 롤러(85) 및 이송 안내 부재(70, 71)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