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005B1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9005B1 KR100779005B1 KR1020060120435A KR20060120435A KR100779005B1 KR 100779005 B1 KR100779005 B1 KR 100779005B1 KR 1020060120435 A KR1020060120435 A KR 1020060120435A KR 20060120435 A KR20060120435 A KR 20060120435A KR 100779005 B1 KR100779005 B1 KR 100779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onductivity type
- type
- diffusion layer
- epitaxial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9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125 Al-S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182 Al—Cu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520 Al—S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594 Si-Cu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8465 Si—Cu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QJQOUPTWCFRMM-UHFFFAOYSA-N tungsten disilicide Chemical compound [Si]#[W]#[Si] WQJQOUPTWCF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342 tungsten silic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08 vapor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0 phosph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8 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3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0405, H01L21/0445, H01L21/06, H01L21/16 and H01L21/18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48—Combination of bipolar and 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49—Bipolar and MOS technolog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1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 H01L27/062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bipolar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21—Collecto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04—Base region of bipolar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272—Silicon vertical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2—Vertical transistors
- H01L29/7322—Vertical transistors having emitter-base and base-collector junctions leaving at the same surface of the body, e.g. planar transis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1—PN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분리 영역을 구성하는 P형의 매립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 폭이 넓어지는 등에 의해, 원하는 내압 특성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 상에 2층의 에피택셜층(7, 8)이 형성되고, 에피택셜층(8)은 에피택셜층(7)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이다. 에피택셜층(7, 8)은, 분리 영역(3, 4, 5)에 의해 복수의 소자 형성 영역에 구분되고, 소자 형성 영역 중 하나에는, NPN 트랜지스터(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사이에는 N형의 확산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려워져,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형의 매립 확산층,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 N형의 에피택셜층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내압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NPN 랜지스터
2 :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3 : 분리 영역
4 : 분리 영역
5 : 분리 영역
6 :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
7 : N형의 에피택셜층
8 : N형의 에피택셜층
12 : P형의 확산층
14 : N형의 확산층
27 : N형의 확산층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9-283646호 공보(제3∼4, 6페이지, 도 1, 도 5∼도 7)
본 발명은, 내압 특성을 유지하면서,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하는 반도체 장 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하기의 NPN 트랜지스터(61)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형의 반도체 기판(62) 상에는, N형의 에피택셜층(63)이 형성되어 있다. 에피택셜층(63)에는, 기판(62) 표면으로부터 상하방향(깊이 방향)으로 확산되는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과 에피택셜층(63) 표면으로부터 확산되는 P형의 확산층(66, 6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피택셜층(63)은,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과 P형의 확산층(66, 67)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영역(68, 69)에 의해, 복수의 소자 형성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소자 형성 영역 중 하나에는,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61)가 형성되어 있다. NPN 트랜지스터(61)는, 주로,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매립 확산층(70) 및 N형의 확산층(71),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72) 및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확산층(73)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반도체 기판(62) 상에 에피택셜층(63)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68, 69)에 의해 구획된 에피택셜층(63)에는 NPN 트랜지스터(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피택셜층(63)은 N형의 저불순물 농도 영역이다. 이 구조에 의해, P형의 매립 확산층(64)이나 P형의 확산층(72)의 형성 영역이 어긋남으로써, 양 확산층(64, 72) 사이의 이격 거리 L2가 짧아져, 공핍층이 넓어지는 영역이 좁아진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61)에서는,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쉬워져, 원하는 내압 특성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 가 있다. 또한, 이격 거리 L2의 변동에 의해, NPN 트랜지스터(61)의 내압 특성이 안정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에피택셜층(63)의 막 두께는, NPN 트랜지스터(61) 등의 내압이 고려되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파워용의 반도체 소자와 제어용의 반도체 소자가, 동일한 반도체 기판(62)에 모노리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파워용 반도체 소자의 내압 특성에 따라서, 에피택셜층(63)의 막 두께가 결정된다. 그리고, 분리 영역(68, 69)을 구성하는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은, 기판(62) 표면으로부터 에피택셜층(63)에 기어 올라가 있다. 한편, 분리 영역(68, 69)을 구성하는 P형의 확산층(66, 67)은, 에피택셜층(63) 표면으로부터 기어 내리가 있다. 이 구조에 의해,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은, 그 기어오름 폭에 따라서, 그 가로 방향 확산 폭 W4, W5도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61)의 원하는 내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P형의 확산층(72)과 분리 영역(68)의 P형의 매립 확산층(64)의 이격 거리 L2가 일정한 폭 이상인 것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4, W5가 넓어짐으로써, NPN 트랜지스터(61)의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각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일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역도전형의 제1 에피택셜층과, 상기 제1 에피택셜층 상에 형성된 역도전형의 제2 에피택셜층과, 상기 제1 및 제2 에피택셜층을 복수의 소자 형성 영역으로 구분하는 일 도전형의 분리 영역 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1 에피택셜층에 걸쳐 형성된 역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형성되며,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형성되며,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에 형성되며,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갖고,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는, 상기 분리 영역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 사이에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에피택셜층은, 상기 제1 에피택셜층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고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를 높게 하여,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은, 상기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역도전형의 확산층이, 일 도전형의 베이스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 간이 쇼트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상기 분리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상기 분리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연결되는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리 영역을 구성하는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이 억제되어,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일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에 역전도형의 제1 매립 확산층 및 역도전형의 제2 매립 확산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역도전형의 제1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에피택셜층의 원하는 영역에 일 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상기 제1 에피택셜층 상에 역도전형의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피택셜층에 걸쳐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에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연결되는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 사이에 배치되는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과, 백게이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4 확산층을 동일한 이온 주입 공정에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역도전형의 제4 확산층에 소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3 확산층 및 드레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4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과 백게이트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역도전형의 제4 확산층을 동일 공정에서 형성한다. 이 제조 방법으로부터, 마스크 매수를 저감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2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가, 상기 제1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되도록, 상기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를 높게 하여,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을 확산하기 위한 열 확산 공정을 행하지 않고,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 전용의 열 확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제1 에피택셜층의 막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LOCOS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LOCOS 산화막 상으로부터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일 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의 형성 영역에서의 결정 결함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 도 1∼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인 반도체 장치의 내압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영역(3, 4, 5)에 의해 구획된 하나의 소자 형성 영역에는 NPN 트랜지스터(1)가 형성되고, 다른 소자 형성 영역에는 P채널형 M0S(Metal 0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그 밖의 소자 형성 영역에는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PNP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NPN 트랜지스터(1)는, 주로,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과, N형의 에피택셜층(7, 8)과,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매립 확산층(9, l0)과,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확산층(11)과,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12)과,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확산층(13)과, N형의 확산층(14)으로 구성되어 있다.
N형의 에피택셜층(7, 8)은,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기판(6) 상에는, 2층의 에피택셜층(7, 8)이 적층되어 있다. 1층째의 에피택셜층(7)은, 예를 들면, 그 막 두께가 0.6∼1.0(㎛) 정도로 되고, 비저항값이 1.25(Ω·㎝)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은, 예를 들면, 그 막 두께가 1.0∼1.5(㎛) 정도로 되고, 비저항값이 0.50(Ω·㎝)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N형의 매립 확산층(9)은, 기판(6)과 1층째의 에피택셜층(7)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N형의 매립 확산층(10)은, 1층째의 에피택셜층(7)과 2층째의 에피택 셜층(8)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N형의 매립 확산층(10)은, N형의 매립 확산층(9)과 연결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11)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11)은, N형의 매립 확산층(10)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N형의 매립 확산층(9, 10) 및 N형의 확산층(11)은, NPN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P형의 확산층(12)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고,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N형의 확산층(13)은, P형의 확산층(12)에 형성되고,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N형의 확산층(14)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14)은, P형의 확산층(12)과 분리 영역(3) 사이이고, N형의 확산층(11)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N형의 확산층(14)은, P형의 확산층(1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일환상으로 배치되는 경우라도 된다.
LOCOS 산화막(15, 16, 17)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어 있다. LOCOS 산화막(15, 16, 17)의 평탄부에서는, 그 막 두께가, 예를 들면, 3000∼10000Å정도로 된다. LOCOS 산화막(15, 17)의 하방에는, P형의 분리 영역(3, 4)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8)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8)은, NSG(Nondoped Silicate Glass)막 및 BPSG(Boron Phospho Silicate Glass)막 등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CHF3 또는 CF4계의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절연층(18)에 컨택트 홀(19, 20, 21)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홀(19, 20, 21)에는, 예를 들면, Al-Si막, Al-Si-Cu막, Al-Cu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막(22)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23), 베이스 전극(24) 및 콜렉터 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2)는, 주로,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과, N형의 에피택셜층(7, 8)과, N형의 매립 확산층(26)과, 백게이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N형의 확산층(27, 28)과, 소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29, 31)과, 드레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30, 32)과, 게이트 전극(33)으로 구성되어 있다.
N형의 에피택셜층(7, 8)은,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 상에 형성되어 있다.
N형의 매립 확산층(26)은, 기판(6)과 1층째의 에피택셜층(7)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27)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27)에는, 그 형성 영역을 중첩시키도록, N형의 확산층(28)이 형성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28)은, 백게이트 인출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P형의 확산층(29, 30)이, N형의 확산층(27)에 형성되어 있다. P형의 확산 층(29)은, 소스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P형의 확산층(30)은, 드레인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P형의 확산층(29)에는 P형의 확산층(31)이 형성되고, P형의 확산층(30)에는 P형의 확산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드레인 영역은 DDD(Double Diffused Drain) 구조로 된다. 그리고, P형의 확산층(29, 30) 사이에 위치하는 N형의 확산층(27)은, 채널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채널 영역 상방의 에피택셜층(8) 상면에는 게이트 산화막(3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33)은, 게이트 산화막(34)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33)은,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막과 텅스텐 실리사이드막에 의해 원하는 막 두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텅스텐 실리사이드막의 상면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다.
LOCOS 산화막(17, 35, 36)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8)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CHF3 또는 CF4계의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절연층(18)에 컨택트 홀(37, 38, 39)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홀(37, 38, 39)에는, 예를 들면, Al-Si막, Al-Si-Cu막, Al-Cu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막(40)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드레인 전극(41), 소스 전극(42) 및 백게이트 전극(4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은, 1층째의 에피택셜층(7)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P형의 확산층(12)과 N형의 에피택셜층(8)의 PN 접합 영역으로부터 넓어지는 공핍층에 관하여, N형의 에피택셜층(7, 8)측으로 넓어지는 공핍층이, N형의 에피택셜층(8)에 의해 넓어지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P형의 분리 영역(3)과 N형의 에피택셜층(7, 8)의 PN 접합 영역으로부터 넓어지는 공핍층도, N형의 에피택셜층(8)에 의해 넓어지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기 공핍층의 넓이를 N형의 에피택셜층(8)의 불순물 농도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려워져,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OCOS 산화막(15) 하방의 에피택셜층(8)에 N형의 확산층(14)을 형성하고 있다. N형의 확산층(14)은,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N형의 확산층(14)이 배치됨으로써,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사이의 에피택셜층(8)의 불순물 농도가, 또한, 높아진다. 이 구조에 의해, P형의 확산층(12)과 N형의 에피택셜층(8)의 PN 접합 영역으로부터 넓어지는 공핍층에 관하여, N형의 에피택셜층(7, 8)측으로 넓어지는 공핍층이, N형의 확산층(14) 및 N형의 에피택셜층(8)에 의해 넓어지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P형의 분리 영역(3)과 N형의 에피택셜층(7, 8)의 PN 접합 영역으로부터 넓어지는 공핍층도, N형의 확산층(14) 및 N형의 에피택셜층(8)에 의해 넓어지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기 공핍층의 넓이를 N형의 확산층(14) 및 N형의 에피택셜층(8)의 불순물 농도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려워져,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N형의 확산층(14)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LOCOS 산화 막(15) 상에 형성된 배선층의 영향에 의해, 에피택셜층(8) 표면이 반전되어,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횡축은 베이스 영역(P형의 확산층(12))과 분리 영역(3)의 이격 거리 L1을 나타내고, 종축은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실선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이 고불순물 농도이며, N형의 확산층(14)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점선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이 고불순물 농도이고, N형의 확산층(1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일점쇄선은, 2층째의 에피택셜층이 저불순물 농도이고, N형의 확산층(1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격 거리 L1은,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에 영향을 주는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의 거리로 한다.
실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까지는, 이격 거리 L1이 길어질수록,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은 향상되어 있다. 그리고,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 이후에서는,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은 15.0(V) 정도로 안정되어 있다. 즉, NPN 트랜지스터(1)에서는,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을 고불순물 농도로 하고, N형의 확산층(14)을 형성함으로써, 이격 거리 L1의 영향이 적어, 그 내압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점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까지는, 이격 거리 L1이 길어질수록,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은 향상되어 있다. 그리고,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 이후에서는,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은 18.0(V) 정도로 안정되어 있다. 즉, NPN 트랜지스터(1)에서는, 2층째의 에피택셜 층(8)을 고불순물 농도로 함으로써, 그 내압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선의 구조와 비교하면,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까지는, 이격 거리 L1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 때문에, 이격 거리 L1이 1.0(㎛) 정도까지는, N형의 확산층(14)을 배치함으로써,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이 안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점쇄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이 저불순물 농도로 형성되고, N형의 확산층(1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격 거리 L1이 길어질수록,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실선이나 점선의 경우와 비교하면,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은 안정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영역(3, 4, 5)은, 1층째의 에피택셜층(7) 표면으로부터 확산되는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과, 2층째의 에피택셜층(8) 표면으로부터 확산되는 P형의 확산층(47, 48, 49)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은, 기판(6)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에피택셜층(7, 8)의 막 두께가, 합계로 2.1(㎛) 정도로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층째의 에피택셜층(7)의 막 두께를 0.6(㎛) 정도로 하고, 2층째의 에피택셜층(8)의 막 두께를 1.5(㎛) 정도로 한다. 이 경우에는,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은, 에피택셜층(7)측으로 0.6(㎛) 정도 기어오른다. 그리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은, 0.48(㎛) 정도로 된다. 이것 은, 에피택셜층의 결정 상태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 폭은, 확산층의 기어오름 폭(혹은, 기어내림 폭)에 대하여 약 0.8배 정도로 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 기판(62) 상에 그 막 두께가 2.1(㎛)로 되는 1층의 에피택셜층(63)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기판(62) 표면으로부터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을 확산시키기 위해,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은, 에피택셜층(63)측으로 1.2(㎛) 정도 기어오른다. 그리고, P형의 매립 확산층(64, 65)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4, W5는,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96(㎛) 정도로 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이, 1층째의 에피택셜층(7) 표면으로부터 상하 방향(깊이 방향)으로 확산됨으로써, 그 확산 폭을 억제하여,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을 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의 이격 거리 L1에서는,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에 따라서, 일정 폭이 필요하다. 그러나,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을 좁힘으로써, NPN 트랜지스터(1)의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N형의 확산층(14)을 형성하고, N형의 에피택셜층(8)을 고불순물 농도로 함으로써, 내압 특성을 유지하면서 이격 거리 L1을 짧게 할 수도 있어, NPN 트랜지스터(1)의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N형의 확산층(14)의 배치 영역은,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사이에 N형의 확산층(11)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는, N형의 확산층(14)은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4)의 이격 거리 L1에 의해, 원하는 내압 특성이 확보되는 영역에도, N형의 확산층(14)은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4) 사이에 N형의 확산층(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고, P형의 확산층(12)과 P형의 분리 영역(3, 4)의 이격 거리 L1이 짧은 영역에는, 적어도 N형의 확산층(14)이 배치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6) 상에 2층의 에피택셜층(7, 8)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판 상에 3층 이상의 복수의 에피택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도, 베이스 영역과 분리 영역 사이에 N형의 확산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영역이 형성되는 N형의 에피택셜층을 고불순물 농도로 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은 기판(6)과 1층째의 에피택셜층(7)의 경계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6)은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고, 에피택셜층(7)에는 기판(6)으로부터 기어오른 P형의 확산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은 상기 P형의 확산 영역과 연결됨으로써,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은, 또한, 억제된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1)의 디바이스 사이즈도, 더욱, 축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층째의 에피택셜층(7) 표면으로부터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을 확산시키고, 상기 2층째의 에피택셜층(8) 표면으로부터 P형의 확산층(47, 48, 49)을 확산시켜서 분리 영역(3, 4, 5)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또한, 기판(6) 표면으로부터 P형의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과 P형의 확산층(47, 48, 49)에 의해 분리 영역(3, 4, 5)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을, 더욱, 좁힐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3∼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형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6)을 준비한다. 기판(6) 상에 실리콘 산화막(50)을 형성하고, N형의 매립 확산층(9, 26)의 형성 영역 상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실리콘 산화막(50)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실리콘 산화막(50)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기판(6)의 표면에 N형 불순물, 예를 들면, 안티몬(Sb)을 포함하는 액체 소스(51)를 회전 도포법에 의해 도포한다. 그 후, 안티몬(Sb)을 열 확산하여, N형의 매립 확산층(9, 26)을 형성한 후, 실리콘 산화막(50) 및 액체 소스(51)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6)을 기상 에피택셜 성장 장치의 서셉터 상에 배치하고, 기판(6) 상에 N형의 에피택셜층(7)을 형성한다. 이 때, 예를 들면, 그 막 두께가 0.6∼1.0(㎛) 정도로 되고, 비저항값이 1.25(Ω·㎝) 정도로 되도록, 에피택셜층(7)을 형성한다. 이 에피택셜층(7)의 형성 공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상기 N형의 매립 확산층(9, 26)이 열 확산된다. 그리고, 에피택셜층(7) 상에 실리콘 산화막(52)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N형의 매립 확산층(10)의 형성 영역 상에 개구부를 갖는 포토레지스트(도시 생략)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면, 이온 주입법에 의해, N형의 매립 확산층(10)을 형성한다. 또한, 이 N형의 매립 확산층(10)의 형성 공정은 생략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기상 에피택셜 성장 장치는, 주로, 가스 공급계, 반응로, 배기계, 제어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엽형의 반응로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성, 에피택셜층의 막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실리콘 산화막(52) 상에 포토레지스트(53)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이 형성되는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53)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 후, 에피택셜층(7)의 표면으로부터, P형 불순물, 예를 들면, 붕소(B)를 가속 전압 180∼200(keV), 도입량 1.0×1012∼1.0×1014(/㎠)로 이온 주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 주입된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불순물 농도 피크는, 상기 에피택셜층(7)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0.2∼0.3(㎛)의 깊이 위치이다. 더 말하면, 이 이온 주입에 의 한 불순물 농도 피크 위치를 이온 주입의 가속 전압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그 피크 위치에 의해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형성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을 열 확산하지 않고, 실리콘 산화막(52) 및 포토 레지스트(53)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6)을 기상 에피택셜 성장 장치의 서셉터 상에 배치하고, 에피택셜층(7) 상에 N형의 에피택셜층(8)을 형성한다. 이 때, 예를 들면, 그 막 두께가 1.0∼1.5(㎛) 정도로 되고, 비저항값이 0.50(Ω·㎝) 정도로 되도록, 에피택셜층(8)을 형성하고, 에피택셜층(7, 8)의 합계의 막 두께가, 예를 들면, 2.0∼2.1(㎛) 정도로 되도록 한다. 이 에피택셜층(8)의 형성 공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상기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이 열 확산된다.
그 후, 에피택셜층(8) 상에 실리콘 산화막(54)을 형성하고, 실리콘 산화막(54) 상에 포토레지스트(55)를 형성한다.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N형의 확산층(14, 27)이 형성되는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55)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에피택셜층(8)의 표면으로부터, N형 불순물, 예를 들면, 인(P)을 가속 전압 70∼90(keV), 도입량 1.0×1011∼1.0×1013(/㎠)으로 이온 주입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55)를 제거하고, 열 확산하여, N형의 확산층(14, 27)을 형성한 후 실리콘 산화막(54)을 제거한다(도 6 참조).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NPN 트랜지스터(1)의 N형의 확산층(14)과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2)의 N형의 확산층(27)은, 동일 마스크, 동일 이온 주입 공정 에서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스크 매수를 늘리지 않고, NPN 트랜지스터(1)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피택셜층(8)의 원하는 영역에 LOCOS 산화막(15, 16, 17, 35, 36)을 형성한다. 에피택셜층(8) 상면에 게이트 산화막(34)으로서 이용하는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실리콘 산화막 상에 포토레지스트(56)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P형의 확산층(47, 48, 49)이 형성되는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56)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 후, 에피택셜층(8)의 표면으로부터, P형 불순물, 예를 들면, 붕소(B)를 가속 전압 150∼170(keV), 도입량 1.0×1012∼1.0×1014(/㎠)로 이온 주입한다. 그리고, 포토레지스트(56)를 제거하고, 열 확산하여, P형의 확산층(47, 48, 49)을 형성한다(도 7 참조).
이 때, 에피택셜층(8)을 형성한 후에,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을 확산시키기 위한 열 확산 공정을 행하지 않고, P형의 확산층(47, 48, 49)을 형성한다. 이 제조 방법은, 에피택셜층(7)의 막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요했던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을 확산시키기 위한 열 확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종래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에 대해서, 상기 1회의 열 확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도 1 참조)을 좁힐 수 있어, NPN 트랜지스터(1)의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LOCOS 산화막(15, 17, 36)을 형성한 후에, LOCOS 산화막(15, 17, 36) 상으로부터 붕소(B)를 이온 주입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비교적 분자 레벨이 큰 붕소(B)를 이온 주입함으로써 데미지를 받은 에피택셜층(8) 표면으로부터, LOCOS 산화막(15, 17, 36) 형성 시의 열에 의해 결정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의 확산층(11)의 형성 영역 상에 개구부를 갖는 포토레지스트(도시 생략)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면, 이온 주입법에 의해, N형의 확산층(11)을 형성한다. 또한, 해당 N형의 확산층(11)의 형성 깊이에 따라서, 이온 주입한 후에, 확산 공정을 갖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P형의 확산층(12)의 형성 영역 상에 개구부를 갖는 포토레지스트(도시 생략)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면, 이온 주입법에 의해, P형의 확산층(12)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산화막(34) 상에,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막, 텅스텐 실리사이드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33)을 형성한다. 그 후, 게이트 산화막(34)으로서 이용하는 실리콘 산화막 상에 포토레지스트(57)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P형의 확산층(29, 30)이 형성되는 영역 상의 포토레지스트(57)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에피택셜층(8) 표면으로부터, P형 불순물, 예를 들면, 붕소(B)를 이온 주입하여, P형의 확산층(29, 30)을 형성한다. 이 때, LOCOS 산화막(17, 35) 및 게이트 전극(33)을 마스크로서 이용함으로써, 위치 정밀도 좋게 P형의 확산층(29, 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57)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P형의 확산층(31, 32)을 형성한 후, N형의 확산층(13, 28)을 형성한다.
그 후, 에피택셜층(8) 상에 절연층(18)으로서, 예를 들면, NSG막 및 BPSG막 등을 퇴적한다. 그리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CHF3 또는 CF4계의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으로, 절연층(18)에 컨택트 홀(19, 20, 21, 37, 38, 39)을 형성한다. 컨택트 홀(19, 20, 21, 37, 38, 39)에는, 예를 들면, Al-Si막, Al-Si-Cu막, Al-Cu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합금막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에미터 전극(23), 베이스 전극(24), 콜렉터 전극(25), 드레인 전극(41), 소스 전극(42) 및 백게이트 전극(43)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층째의 에피택셜층(7) 표면으로부터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을 확산시키고, 2층째의 에피택셜층(8) 표면으로부터 P형의 확산층(47, 48, 49)을 확산시켜서 분리 영역(3, 4, 5)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또한, 기판(6) 표면으로부터 P형의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고,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과 P형의 확산층(47, 48, 49)에 의해 분리 영역(3, 4, 5)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P형의 매립 확산층(44, 45, 46)의 가로 방향 확산 폭 W1, W2, W3을, 더욱, 좁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6)과 1층째의 에피택셜층(7)에 걸쳐 N형의 매립 확산층(9, 26)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1)의 형성 영역에서, 1층째의 에피택셜층(7)과 2층째의 에피택셜층(8)에 걸쳐, N형의 매립 확산층(10)보다도 넓은 N형의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여, N형의 매립 확산층(9)과 연결시키는 경우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NPN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는, 하층의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고농도이다. 이 구조에 의해,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간이 쇼트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NPN 트랜지스터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NPN 트랜지스터 베이스 영역과 분리 영역 사이에 N형의 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베이스 영역―분리 영역 간이 쇼트 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NPN 트랜지스터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 상에 2층의 에피택셜층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을 구성하는 매립 확산층은 1층째의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확산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매립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 폭을 좁힐 수 있어,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NPN 트랜지스터의 내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N형의 확산층과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의 백게이트 영역인 N형의 확산층을 동일 공정에서 형성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마스크 매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 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층째의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분리 영역을 구성하는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여, 해당 매립 확산층을 확산시키는 전용의 확산 공정을 갖고 있지 않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매립 확산층의 가로 방향 확산 폭을 좁힐 수 있어, 디바이스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OCOS 산화막을 형성한 후, 분리 영역을 구성하는 확산층을 형성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해, 확산층의 형성 영역 표면 및 그 근방 영역에 발생하는 결정 결함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
- 일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역도전형의 제1 에피택셜층과,상기 제1 에피택셜층 상에 형성된 역도전형의 제2 에피택셜층과,상기 제1 및 제2 에피택셜층을 복수의 소자 형성 영역으로 구분하는 일 도전형의 분리 영역과,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1 에피택셜층에 걸쳐 형성된 역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형성되며,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형성되며,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에 형성되며,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갖고,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는, 상기 분리 영역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 사이에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이 형성되고,상기 제2 에피택셜층은, 상기 제1 에피택셜층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고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은, 상기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리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상기 분리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에피택셜층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연결되는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일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에 역전도형의 제1 매립 확산층 및 역도전형의 제2 매립 확산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역도전형의 제1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제1 에피택셜층의 원하는 영역에 일 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상기 제1 에피택셜층 상에 역도전형의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피택셜층에 걸쳐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콜렉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1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베이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 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에 에미터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과 연결하는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상기 일 도전형의 제1 확산층과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 사이에 배치되는 역도전형의 제3 확산층과, 백게이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역도전형의 제4 확산층을 동일한 이온 주입 공정에서 형성하는 공정과,상기 역도전형의 제4 확산층에 소스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3 확산층 및 드레인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 도전형의 제4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가, 상기 제1 에피택셜층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되도록, 상기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에피택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일 도전형의 매립 확산층을 확산 하기 위한 열 확산 공정을 행하지 않고,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기 위 한 이온 주입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에피택셜층에 LOCOS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LOCOS 산화막 상으로부터 상기 일 도전형의 제2 확산층을 형성하는 일 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56008 | 2005-12-09 | ||
JP2005356008A JP5261640B2 (ja) | 2005-12-09 | 2005-12-09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1361A KR20070061361A (ko) | 2007-06-13 |
KR100779005B1 true KR100779005B1 (ko) | 2007-11-22 |
Family
ID=3816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0435A KR100779005B1 (ko) | 2005-12-09 | 2006-12-01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560797B2 (ko) |
JP (1) | JP5261640B2 (ko) |
KR (1) | KR100779005B1 (ko) |
CN (1) | CN100585857C (ko) |
TW (1) | TWI3248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31866A (ja) * | 2005-07-25 | 2007-02-08 | Ibiden Co Ltd | 排ガス処理体の保持シール材用打抜板及びそれを用いた保持シール材の製造方法 |
JP2007158188A (ja) * | 2005-12-07 | 2007-06-2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165370A (ja) * | 2005-12-09 | 2007-06-28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227775A (ja) * | 2006-02-24 | 2007-09-06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US7466009B2 (en) * | 2006-06-05 | 2008-12-16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 for reducing dislocation threading using a suppression implant |
TWI581425B (zh) * | 2015-11-24 | 2017-05-01 | Macroblock Inc | And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edge terminal structure having a gradation concentration |
TWI726515B (zh) * | 2019-12-04 | 2021-05-01 | 台灣茂矽電子股份有限公司 | 瞬態電壓抑制二極體結構及其製造方法 |
CN111370403A (zh) * | 2020-03-19 | 2020-07-03 |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
CN112951904B (zh) * | 2021-03-29 | 2023-02-07 |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 一种低导通电阻、高放大倍数npn晶体管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5901A (ko) * | 1994-10-13 | 1996-05-22 | 기다오까 다까시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H09283646A (ja) * | 1996-04-10 | 1997-10-3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集積回路 |
KR20020052954A (ko) * | 2000-12-25 | 2002-07-04 | 다카노 야스아키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02633A (en) * | 1988-05-09 | 1990-02-20 | Motorola, Inc. | Process for making a bipolar integrated circuit |
JPH02197164A (ja) * | 1989-01-26 | 1990-08-03 | Olympus Optical Co Ltd | バイポーラ・cmos半導体デバイス |
US5455447A (en) | 1989-05-10 | 1995-10-03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Vertical PNP transistor in merged bipolar/CMOS technology |
JP2825169B2 (ja) * | 1990-09-17 | 1998-11-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DE69125390T2 (de) * | 1991-07-03 | 1997-08-28 | Cons Ric Microelettronica | Laterale Bipolartransistorstruktur mit integriertem Kontrollschaltkreis und integriertem Leistungstransistor und deren Herstellungsprozess |
JP3153358B2 (ja) * | 1992-11-09 | 2001-04-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3307489B2 (ja) | 1993-12-09 | 2002-07-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0170285B1 (ko) | 1995-05-12 | 1999-03-30 | 김광호 |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
KR0175368B1 (ko) | 1995-08-11 | 1999-02-01 | 김광호 | 고전압 및 저전압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형성하는 반도체 제조방법 |
JP3306273B2 (ja) | 1995-10-31 | 2002-07-24 | 三洋電機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とその製造方法 |
JP4623800B2 (ja) * | 2000-07-07 | 2011-02-02 | 三洋電機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JP2003197790A (ja) | 2001-12-28 | 2003-07-1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3197792A (ja) | 2001-12-28 | 2003-07-1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 |
JP4775684B2 (ja) | 2003-09-29 | 2011-09-21 |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JP2007158188A (ja) | 2005-12-07 | 2007-06-2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165370A (ja) | 2005-12-09 | 2007-06-28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2005
- 2005-12-09 JP JP2005356008A patent/JP526164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11-14 TW TW095142021A patent/TWI32482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01 KR KR1020060120435A patent/KR1007790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06 CN CN200610164045A patent/CN10058585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08 US US11/635,812 patent/US756079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5901A (ko) * | 1994-10-13 | 1996-05-22 | 기다오까 다까시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H09283646A (ja) * | 1996-04-10 | 1997-10-31 | Sanyo Electric Co Ltd | 半導体集積回路 |
KR20020052954A (ko) * | 2000-12-25 | 2002-07-04 | 다카노 야스아키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1361A (ko) | 2007-06-13 |
CN1983596A (zh) | 2007-06-20 |
US20070145520A1 (en) | 2007-06-28 |
CN100585857C (zh) | 2010-01-27 |
JP5261640B2 (ja) | 2013-08-14 |
US7560797B2 (en) | 2009-07-14 |
JP2007165369A (ja) | 2007-06-28 |
TWI324826B (en) | 2010-05-11 |
TW200802849A (en) | 2008-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9005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7932580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8946041B2 (en) | Methods for forming high gain tunable bipolar transistors | |
KR101480601B1 (ko) | 웰 영역들을 갖는 집적 회로 디바이스들 및 그 형성방법 | |
KR100825601B1 (ko)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0432887B1 (ko) | 다중격리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78984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9980032370A (ko) | 상보형 쌍극성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751642B1 (ko)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0787282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7791171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4959931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0854218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7557429B2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resistor element and dummy active region | |
US6878998B1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region that changes depth across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 |
JP5261642B2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088449A (ja)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8010627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040166625A1 (en) | Method for increasing the Beta of PNP BJT device in CMOS process | |
JP2010153634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311960A (ja) |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
JP2004128138A (ja) | 接合型fet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992742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 |
JP2007180472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