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102B1 - 배터리의 연결단자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연결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2102B1 KR100322102B1 KR1019990057436A KR19990057436A KR100322102B1 KR 100322102 B1 KR100322102 B1 KR 100322102B1 KR 1019990057436 A KR1019990057436 A KR 1019990057436A KR 19990057436 A KR19990057436 A KR 19990057436A KR 100322102 B1 KR100322102 B1 KR 100322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ion terminal
- circuit board
- battery
- protective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목적 : 조전지의 극성단자에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보호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 이를 조전지에 접속시킴으로써 작업공수 절감, 신뢰성 향상, 및 제조비용 감소 등을 이룰 수 있는 배터리의 연결단자에 대해 개시한다.
구성 :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는, 전지의 극성단자와 저항용접되는 연결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 삽입공을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을 마련하고, 연결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을 납땜하여 일체로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 연결단자를 보호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수작업에 따른 벤딩과정이 사라지므로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상 완충홈이 형성되어 낙하 및 진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전지의 극성단자에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보호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 이를 조전지에 접속시킴으로써 작업공수 절감, 신뢰성 향상, 및 제조비용 감소 등을 이룰 수 있는 보호회로기판의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컴퓨터의 사용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으며, 개인용 퍼스널 컴퓨터도 아직까지는 데스크-탑(Desk-Top)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앞으로는 휴대가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이하, '노트북'이라 함) 형태가 주류를 이루게 될 것이고, 현재 보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노트북에 사용하는 스마트 배터리의 소형화와 고용량화를 이루기 위해 연구가 계속 진행 중에 있다.
그러면, 종래의 조전지에 접속되는 연결단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의 조전지, 보호회로기판, 및 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전지(10, 10')가 조를 이루어 형성되며, 각 단전지(10, 10')의 일측 상단에는 (+) 또는 (-) 극성단자(12, 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극성단자(12, 12')에는 연결단자(20)가 결합되고, 이 연결단자(20)와 결합하는 보호회로기판(30)이 마련되며, 이 보호회로기판(30)에는 상기 연결단자(20)가 삽입되도록 연결단자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전지, 연결단자 및 보호회로기판의 결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의 조전지, 연결단자, 및 보호회로기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먼저 단전지(10)의 극성단자(12)에 연결단자(20)를 저항용접한다. 이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20)는 수평으로 접합되게 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용접된 연결단자(20)를 보호회로기판에 형성된 연결단자 삽입홈에 삽입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90°벤딩(bending)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90°벤딩된 연결단자(20)를 보호회로기판(30)의 연결단자 삽입홈에 삽입한다. 이후, 보호회로기판(30)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단자(20)를 90°벤딩시켜 보호회로기판(30)과 연결단자(20)가 밀착되도록 구부린다.
마지막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연결단자(20)와 보호회로기판(30)을 납땜(40)하여 결합 고정시킨다.
상기한 공정은 (+) 및 (-) 극성단자(12, 12')에 각각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단자, 보호회로기판, 및 단전지의 결합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협소한 공간에서 저항용접 및 납땜을 수행하므로 작업성이 없다.
둘째, 상기 벤딩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품질의 균일성이 없다.
셋째, 상기 벤딩작업이 360°이므로 신뢰성 테스트시 단락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넷째, 저항용접, 벤딩작업, 벤딩작업, 납땜등의 4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공정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전지의 극성단자에 결합하는 연결단자를 보호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시켜 이를 조전지에 접속시킴으로써 작업공수 절감, 신뢰성 향상, 및 제조비용 감소 등을 이룰 수 있는 보호회로기판의 연결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전지, 보호회로기판 및 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 제작과정 및 조전지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조전지, 보호회로기판, 및 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의 조전지, 연결단자, 및 보호회로기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전지 120 : 극성단자
200 : 연결단자 220 : 극성단자 접속돌기
240 : 완충홈 300 : 회로기판
320 : 연결단자 삽입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는, 전지의 극성단자와 저항용접되는 연결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 삽입공을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을 마련하고, 상기 연결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을 납땜하여 일체로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결단자는, 외주면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내주면부에 전지의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극성단자 접속돌기를 소정개소 형성시키되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와 극성단자의 결합에 따른 비틀림을 완화시키기 위해 완충홈을 극성단자 접속돌기 사이에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단자는 원형, 타원형 및 각형의 구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결단자는 컵(cup)형상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는 연결단자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전지, 보호회로기판 및 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전지(100, 100'), 극성단자(120, 120'), 연결단자(200), 및 보호회로기판(300) 등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고, 종래와 다른점은 보호회로기판(300)에 연결단자(200)가 일체로 형성된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가 단전지(100, 100')에 결합된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부인 연결단자(200)는, 환형 고리형태를 하고 있으며, 각형 및 타원형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결단자(200)는 일반적으로 컵(cup)형상을 하고 있다. 물론 캡(cap)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연결단자(200)의 외주면부에는 보호회로기판에 형성된 연결단자 삽입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그 내주면부에는 단전지의 극성단자와 결합하는 극성단자 접속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극성단자 접속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220) 사이에는 단전지의 극성단자와 연결단자(200)가 결합할 시 발생하는 비틀림을 완충하는 완충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220)는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극성단자 접속돌기(220)는 연결단자(200)로부터 분리도 가능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전지와 연결단자의 결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 제작과정 및 조전지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단전지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단자(200)를 보호회로기판(300)에 형성된 연결단자 삽입홈(320)에 삽입한다. 이후, 연결단자(200)의 상면 외주면부와 보호회로기판(300) 사이를 납땜하여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단전지(100)의 극성단자(120)와 결합한다. 이 때, 연결단자(200)의 극성단자 접속돌기가 단전지(100)의 극성단자(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저항용접한다.
이 때, 연결단자(200)와 보호회로기판(300) 및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단전지(100)와의 결합은 저항용접 및 납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4개의 공정에서 1개의 공정, 즉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단전지의 각 극성단자와의 1번의 저항용접으로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연결단자 크기가 소형화되어 재료비가 절감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결단자의 용접부위를 하나의 원기둥형태로 하지 않고 극성단자 접속돌기를 소정개소 형성시켜 접합시킴으로써 비틀림 등의 충격을 받아도 흡수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작업으로 벤딩하던 과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제품의 균일성 저하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회로기판의 연결단자는, 연결단자를 보호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수작업에 따른 벤딩과정이 사라지므로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상 완충홈이 형성되어 낙하 및 진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 전지의 극성단자와 저항용접되는 연결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 삽입공을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을 마련하고, 상기 연결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을 납땜하여 일체로 형성시킨 보호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연결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외주면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내주면부에 전지의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극성단자 접속돌기를 소정개소 형성시키되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와 극성단자의 결합에 따른 비틀림을 완화시키기 위해 완충홈을 극성단자 접속돌기 사이에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연결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원형, 타원형 및 각형의 구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연결단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컵(cup)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배터리의 연결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연결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단자 접속돌기는 연결단자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연결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7436A KR100322102B1 (ko) | 1999-12-14 | 1999-12-14 | 배터리의 연결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7436A KR100322102B1 (ko) | 1999-12-14 | 1999-12-14 | 배터리의 연결단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6041A KR20010056041A (ko) | 2001-07-04 |
KR100322102B1 true KR100322102B1 (ko) | 2002-02-06 |
Family
ID=1962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7436A KR100322102B1 (ko) | 1999-12-14 | 1999-12-14 | 배터리의 연결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21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99536B2 (en) | 2008-06-20 | 2015-04-0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KR101087036B1 (ko) | 2008-12-17 | 2011-11-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KR101040887B1 (ko) | 2009-12-22 | 2011-06-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금속탭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
KR101209981B1 (ko) | 2010-11-19 | 2012-12-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회로실장기판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
JP6353070B2 (ja) * | 2014-04-01 | 2018-07-04 | 深▲せん▼市智輪電動車駆動技術有限公司 | 動力電池及びその電池セル状態収集装置 |
CN107732049A (zh) * | 2016-08-10 | 2018-02-23 |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 一种电动汽车底盘结构 |
KR102428417B1 (ko) | 2017-10-11 | 2022-08-0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
-
1999
- 1999-12-14 KR KR1019990057436A patent/KR1003221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6041A (ko) | 2001-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54575B2 (ja) | 無溶接接続方式の二次電池 | |
KR100971367B1 (ko) | 조립방식의 전기적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팩 | |
KR101293591B1 (ko) | 이차전지 팩 | |
JP5805705B2 (ja) | 複数の電池の極性保護 | |
CN205882229U (zh) |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 |
KR20080027505A (ko) |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재 | |
US9530998B2 (en) |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 | |
CN101378111A (zh) | 导电接线片及包括该导电接线片的电池组 | |
US8691407B2 (en) | Battery pack | |
KR102409424B1 (ko) |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322102B1 (ko) | 배터리의 연결단자 | |
KR20050077480A (ko) | 무용접 접점 방식의 pcm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배터리 팩 | |
US6733919B1 (en) | Battery spacer and circuit board mounting apparatus | |
JP4984366B2 (ja) | 電池収納パック、これに用いられる電池保護素子を有する接続体及び電池収納パックの製造方法 | |
JP2006107808A (ja) | 電池用接続部材 | |
KR102395481B1 (ko) | 이차 전지 | |
CN111433942B (zh) | 电池模块 | |
WO2002091526A1 (fr) | Adaptateur a contact mecanique | |
KR101108445B1 (ko) | 이차전지의 기계적 접속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부재 | |
KR100695951B1 (ko) |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 제조방법 | |
JP2003263976A (ja) | 電池パック | |
KR20030094082A (ko) | 배터리 팩 전자 조립 | |
KR200424996Y1 (ko) |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팩 | |
CN217283372U (zh) | 一种扬声器模组 | |
CN211320191U (zh) | 一种高功率扣式电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