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672B1 -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Google Patents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6672B1 KR0146672B1 KR1019940032014A KR19940032014A KR0146672B1 KR 0146672 B1 KR0146672 B1 KR 0146672B1 KR 1019940032014 A KR1019940032014 A KR 1019940032014A KR 19940032014 A KR19940032014 A KR 19940032014A KR 0146672 B1 KR0146672 B1 KR 0146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 lead
- transfer
- lead frame
- proces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92—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as a separate oper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3—Feeding of components with bending or straightening of the terminal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1—Beam lead frame or beam lead devi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43—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machine produ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이드 프레임의 이송, 흡착지지에 의한 개편의 이송, 피이드바에 의한 개별적인 이송 등, 이송방법이 상이한 이종제품의 가공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이드 가공기를 제공한다. 리이드 프레임(100)의 공급기구부와, 피가공품을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필요한 가공을 실시하는 기공조작부와, 그리고 가공후의 제품을 수납하는 수납기구부를 갖춘 리이드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작부에서 수지제거, 댐바절단, 리이드 선단부 절단 등의 가공을 실시하는 복수대의 다이(40,42)를 전단계의 다이(40)와 다음 단계의 다이(42)의 가공라인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질렬로 배치하고, 전단계의 다이(40)와 음 단계의 다이(42)의 중간위치에 리이드 프레임(100)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안내하여 다음 단계의 다이(42)로 이송하는 레일기구 (150a,150b))와, 그리고 전단계의 다이(40)에서 리이드 프레임(100)으로부터 제품부분을 분리하여 얻은 개편을 픽업하여 다음 단계의 다이(42)로 이송하는 픽업기구 (190,196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법용의 리이드 가공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의 가공부 및 조작부에 대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에 설치된 이송구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1 다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제2 다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2 다이의 이송아암의 설치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의 다이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다이에 사용되는 이송봉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다이에서 이송기구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레일기구 및 배출슈터기구의 측면도.
제12도는 레일기구의 평면도.
제13도는 레일기구 및 배출슈터기구의 정면도.
제14도는 픽업기구의 측면도.
제15도는 픽업기구의 푸쉬 플레이트의 구동부를 도시한 설명도.
제16도는 픽업기구의 흡착기구의 배치를 도시한 설명도.
제17도는 픽업기구의 풀리 등으로 벨트를 걸어옮기는 제1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18도는 픽업기구의 풀리 등으로 벨트를 걸어옮기는 제2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19도는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20도는 종래의 다른 리이드 가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21도는 종래의 또 다른 리이드 가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공급기구부 B:가공조작부
C:수납기구부 30:척
31:실린더 32:벨트
33:레일 34:(매거진의) 지지대
40:제1다이 42:제2다이
44,220:배출슈터 46,48:프레스장치
50:X-Y 구동 스테이지 52:수납픽업헤드
54:수납트레이 60:(스프레스장치의) 베이스
62,64:스레스램 70a,70b:(이송구동기구의) 실린더
71a,71b:패드 72a,72b:(이송구동기구의) 푸셔
74a,74b:모터 76a,76b:볼나사
78a,78b:너트 82a,82b:미끄럼 안내부
90,110,130:가공 스테이지 92a,92b,111a,111b,134a,134b:이송 플레이트
93,172,174:하동기구 94a,94b,112:이송아암
95:이송핀 96:연결봉
97:(이송아암의 수평유지용)플레이트 98:단부블록
100:리이드 프레임 101,102:(이송아암의) 정지부
103:반출아암 104,179,207:공기실린더
105:(반출아암의) 흡착패드 112a:(이송아암의) 지지판
112b:(이송아암의) 아암 114:(이송아암의) 흡착패드
116:(이송 플레이트의) 미끄럼 안내부 120:(리이드 프레임의) 개편
112:(이송아암의) 단부블록 124:(제2 다이의) 미끄럼 안내부
132:이송봉 132a:(이송봉의) 포켓
136a,136b:미끄럼봉 138a,138b:연결판
140:푸쉬아암 142:(푸쉬아암의) 지지판
144:(푸쉬아암의) 단부블록 146:(푸쉬아암의) 미끄럼 안내부
148a,148b:(푸쉬아암의) 정지부 150a,150b:가동레일
152:나사축 154:전동모터
156 :고정지지판 158,212:벨트
160a,160b:(가동레일의)미끄럼안내부 162a,162b:(가동레일의)미끄럼판
164a,164b:너트 160a,166b:(가동레일의) 지지아암
168a,168b:(지지아암의)미끄럼 안내부 170:결합판
180:스프링 또는 공기실린더 182:배출안내부
190:회전판 192:서보모터
193:(서보모터의) 기판 194a,194b:(회전판의) 가동로드
196a,196b:(가동로드의) 흡착패드 198:고정판
198a,198b:공기튜브 200:고정파이프
202:(회전식)공기연결부 206a,206b:(푸쉬아암의)푸쉬플레이트
208:푸쉬아암 209:(가동로드의) 탄성스프링
210a,210b:풀리 214a,214b:제1 풀리
216a,216b:제2 풀리 218,218':고정풀리
219:플레이트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리이드성형 등의 여러 가지 가공에 사용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수지성형타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리이드 프레임에 반도체 칩을 탑재하여 수지성형한 후, 수지제거, 댐바(dam bar)커트, 리이드 선단커트, 및 리이드성형 등의 요구되는 여러 가지 가공이 실시된다. 리이드 가공기는 이러한 수지성형 후의 리이드성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가공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예비 성형 단계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리이드 가공기는 하나 이상의 다이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업은 두가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리이드 프레임을 스트립 형태로 이송하여 가공하고나서 최후에 개편으로 분리하는 경우와, 또는 리이드커트 및 댐바커트를 먼저 수행한 후에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제품부분을 개편으로 분리하고 이와같이 분리된 개편을 이송하여 굽힘가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다른 이송방법을 채용하고 있는 것은, 리이드 프레임을 스트립 형태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이 이송안내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이송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반하여, 메달림 핀(즉, 패키지부를 메다는 핀치 리이드)에 의해서 제품부분이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에 메달려 있지 않거나 또는 메달림 핀의 강도부족으로 인해서 제품의 이송시 낙하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하지 않으면 굽힘가공 등을 위한 이송을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19도는 리이드 프레임의 레일구멍안에 삽입된 핀에 의해서 리이드 프레임이 스트립 형태로 이송되면서 굽힘가공까지의 여러 작업이 수행되는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리이드 프레임(5)이 리이드 가공기의 좌측에서 가대(6)상의 제1 다이(7)와 제2 다이(8)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가공된다. 레일구멍안에 삽입된 핀에 의해서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유니트(10)가 다이의 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제품은 굽힘가공 후에 최종공정에서 개편(11)으로 분리되고 제2 다이로부터 이송되어서 수납부(12)에 수납된다. 개편(11)으로 분리된 후의 불필요한 프레임은 직접 제2 다이로부터 배출되어서 낙하한다. 또한, 가공공정의 수와 리이드 프레임상의 반도체 칩의 수에 따라서, 리이드를 가공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다이를 나란히 배열시킬 수도 있다.
제19도의 가공기에는 DIP, ZIP, SOJ, PLCC 등과 같이 메달림 핀이 있는 모든 제품에 사용된다. 특히, 리이드 프레임이 그 내부로 분리되어 있는 얇은 패키지의 측면에 대해서 정밀하게 위치되기가 어려운 TSOP에 사용하면 매우 적합하다.
제20도는 리이드 프레임(5)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제1 다이(7)와 제2 다이(8)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이며, 제1 다이(7)에서는 리이드 프레임을 그대로 이송하면서 댐바커트나 리이드 선단커트 등의 가공을 실시하고, 최종단계에서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한 후, 제1 다이(7)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들 개편을 제2 다이(8)로 반출하고, 제2 다이(8)를 통해서 개편을 다음의 가공단계로 이송시킨다. 제2 다이(8)에서는, 이송봉(14)에 의하여 개편이 다이상에서 미끄럼식으로 이송되어서, 연속적으로 리이드가 굽힘가공된 후에 수납부(12)안으로 수납된다. 불필요한 프레임(15)은 제1 다이에서 직접 배출된다. 제2 다이(8)에 평행하게 이송봉의 이송유니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제20도의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는 외부 리이드가 한방향, 혹은 두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DIP, ZIP, SOJ, SOP 등의 제품에 사용된다. 굽힘 다이의 구조상,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가공기는 측면이동에 의해서 높은 정밀도로 리이드 프레임을 위치시킬 수 있는 관계로 SOP 및 SOJ에 사용하면 특히 적합하다.
제21도는 제1 다이(7)를 통해서 리이드 프레임이 이송되면서 댐바커트나 리이드 선단커트 등의 가공을 실시하고, 최종 단계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개편(11)을 분리한 후, 제1 다이(7)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편(11)을 반출하여서, 제2 다이(17), 제3 다이(18), 제4 다이(19)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개편(11)을 흡착식으로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예이다. 각각의 다이간에 개편(11)을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2 다이(17), 제3 다이(18), 제4 다이(19)에 평행하게 흡착식 이송유니트(20)가 제공되어 있다. 제21도의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굽힘가공 공정의 수와 같은 수의 다이가 필요하다.
제21도의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는 외부 리이드가 네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QFP, PLCC등의 제품에 사용된다. 특히, 메달림 핀에 의해서 이송되는 중에 낙하할 염려가 있는 대형 패키지인 QFP 및 PLCC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지금가지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리이드 가공기에는 제품에 따라 적절한 이송방법을 선택하여 필요한 작업이 수행된다. 예를들면, TSOP는 리이드 프레임의 이송이, SOP, SOJ는 공급봉의 이송이, 그리고 QFP, PLCC는 흡착식 이송이 각각 적당한 이송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을 가공할 경우는 개개의 제품에 적합한 리이드 가공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제품마다 다른 리이드 가공기를 사용하는 것은 제조비용면에서 대단히 불리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다품종 소량생산이 진행되고 있는 최근의 배경으로 볼 때, 여러 가지 이종제품의 가공에 관하여 범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리이드 가공기에 대한 요망이 한층 높아져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리이드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가공할 경우와 개편으로 이송시켜 가공하는 2가지 서로 다른 방법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한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다음의 구성을 갖추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즉 수지성형된 스트립, 개편, 또는 후우프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공급하는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기구부와, 피가공품을 이송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는 가공조작부와, 그리고 가공후의 제품을 수납하는 수납기구부를 갖추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작부에서 수지제거, 댐바절단, 리이드 선단부 절단, 및 리이드 2차 성형 등의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복수 다이를 전단계의 다이와 다음의 다이의 가공라인의 방향의 일치되도록 직렬로 배치하고, 상기 전단계의 다이와 다음의 다이의 중간위치에서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여 다음의 다이로 이송하는 레일기구와, 그리고 전단계의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제품 부분을 분리하여 얻은 개편을 픽업하여 다음의 다이로 이송하는 픽업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는 레일기구와 픽업기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기구에는 전단계의 다이와 다음의다이의 중간위치에서 전단계의 다이로부터 개편으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불필요한 프레임을 배출하는 배출슈터를, 전단계의 다이와 동일한 라인상에서 피가공품의 이송높이의 위치보다 아랫쪽의 후퇴위치와, 불필요한 프레임을 도입시키는 상부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기구가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폭방향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가동레일과, 그리고 이 가동레일의 폭의 간격을 피가공품에 맞추어 조절하는 구동기구를 갖추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기구는 전단계의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개편을 지지하는 픽업부와, 그리고 이 픽업부를 상기 전단계의 다이에서 다음의 다이로 이동시켜서 상기 픽업부에 지지된 개편을 다음의 다이로 이송하는 이동동작부를 갖추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동작부는 전단계의 다이에서 개편의 반출 단부의 상부위치와 다음의 다이에서의 개편의 반입단부의 상부위치에 상당하는 2개의 위치에 각각 픽업부를 설치한 회전판을 상기 전단계의 다이와 다음의 다이의 중간 위치의 상부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을 이송조작하여 180°씩 회전시켜서 상기 픽업부에 지지된 개편을 전단계의 다이에서 다음의 다이로 이송하는 회전구동부를 설치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을 180°회전하여 전단계의 다이에서 다음의 다이로 개편을 이송할 때 개편의 방향을 전단계의 다이의 반출단부에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방법과, 상기 반출단부에 있어서의 방향으로 부터 90°로 방향을 바꾸어 이송하는 방법의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음의 다이상으로 피가공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아암 등의 가동부를 각각의 다이측에 설치하고, 이들 다이에 설치한 가동부를 진퇴운동시키는 이송구동기구를 가공조작부의 각각의 다이의 측방에 설치하고, 상기 다이를 가공조작부에 설치할 때 상기 이송구동기구와 상기 가동부가 연계하도록 설치하였다.
또한, 각각의 다이를 구동하는 이송구동기구가 각각의 다이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이송구동으로서 다이에 설치된 가동부를 전진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기구와, 이 푸쉬기구에 의하여 전진한 가동부를 원위치로 후퇴시키는 후퇴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푸쉬기구와 상기 후퇴기구의 한쪽을 볼나사로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가공조작부에 설치하는 다이로서, 리이드 프레임의 이송을 위한 다이, 흡착방법에 의한 개편의 이송을 위한 다이, 혹은 이송봉을 이용한 개편의 이송을 위한 다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가공조작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다이에서 가공될 피가공품에 따라서 소정의 가공내용을 기억한 기억부를 설치하고, 각각의 다이를 가공조작부에 설치함으로써,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측의 제어구동부에서 상기 가공내용이 판독되어 상기 가공내용에 따라서 레일기구나 픽업기구 등의 부분이 자동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소망하는 가공이 실시된다.
전단계의 다이에서 다음의 다이로 리이드 프레임을 그대로 이송할 경우에는 레일기구에 의하여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면서 이송하며, 전단계의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하여 다음의 다이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픽업기구에 의하여 전단계의 다이에서 반출된 개편을 픽업하여 다음의 다이로 이송시킨다.
전단계의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이 개편으로 분리된 후에, 불필요한 프레임은 배출단부에서 배출슈터내로 도입되어 배출된다.
픽업기구의 픽업부에 의하여 전단계의 다이의 배출단부에서 개편을 픽업하고, 이동동작부에 의하여 개편을 지지한 상태로 다음의 다이상으로 이송한다. 회전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판을 180°회전시킴에 따라 전단계의 다이에서 다음의 다이로 개편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가공조작부에 설치한 이송구동기구는, 가공조작부에 다이를 설치함에 따라서 각각의 다이의 가동부를 진퇴운동시키면서 다이상에서 피가공품을 이송한다. 이송구동기구에 볼나사의 구동에 의한 진퇴운동기구에 설치함에 따라서, 적당한 위치에서 이송구동기구를 정지시키면서 진퇴운동을 시킬 수가 있다.
가공조작부에는 리이드 프레임의 이송을 위한 다이, 흡착방법에 의한 개편의 이송을 위한 다이, 혹은 이송봉을 이용한 개편의 이송을 위한 다이를 선택적으로 설치함에 따라서, 여러 가지 타입의 이종제품의 가공에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범용 리이드 가공기의 전체 구성]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제1도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며, 제2도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는 수지성형된 리이드 프레임을 가공스테이지로 공급하는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기구부(A)와, 리이드 프레임을 가공하는 가공조작부(B)와, 그리고 가공후의 제품을 수납하는 수납기구부(C)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부와(A)와 가공조작부(B), 그리고 수납기구부(C)는 일렬로 배치되며, 피가공품이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가공부(A)로부터 가공조작부(B)로 공급되어서 가공되며, 가공된 제품이 수납기구부(C)로 수납된다.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기구부(A)에서는, 수지성형된 후에 매거진내에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 리이드 프레임이 1장씩 가공조작부(B)의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매거진내에 수납된 리이드 프레임은 공급기구부(A)의 작동에 따라서 매거진의 하부에 설치된 리프터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부터 밀려올려지면서, 위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가공조작부(B)로 공급된다.
제2도는 참조하면, 척(30)과, 이 척(30)을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31)와, 척(30)을 옆쪽으로 이동시키는 벨트(32)와, 리이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레일(33)과, 그리고 매거진의 지지대(3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리이드 프레임의 길이나 폭은 제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수납하는 매거진의 크기도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기구부(A)는, 크기가 다른 여러 매거진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매거진내에 수납된 각각의 리이드 프레임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중심위치가 척(30)의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매거진을 설치할 수 있으며, 리이드 프레임의 중심위치와 척(30)의 중심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레일(33)상으로 리이드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양쪽 레일(33) 사이의 폭방향의 간격은 각각의 리이드 프레임의 폭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으며, 리이드 프레임이 폭방향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공조작부(B)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가공조작부(B)에서는 공급기구부(A)로부터 공급된 리이드 프레임이 각각의 가공스테이지상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소정의 가공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다이(40)를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단부에 배치하고, 제1 다이(40)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제2 다이(4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다이(4)와 제2 다이(42)는 프리생크 방식(free-shank fashion)으로 프레스장치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다이가 프레스장치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될 수가 있다.
프레스장치내에 설치되는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는 리이드 프레임이 스트립의 형태로 그대로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경우와 개편으로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경우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와같이, 프레스장치내에 범용적으로 다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의 가공조작부(B)는, 피가공품을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경우와 리이드 프레임에서 분리된 개편을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두가지 형태의 방법에 모두 사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의 중간에 설치된 다음의 3가지 기구를 포함하는데, 즉 리이드 프레임을 제2 다이(42)로 이송하기 위한 레일기구와, 제1 다이(40)에서 배출되는 불필요한 프레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터(44)와, 그리고 제1 다이(40)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개편을 제2 다이(42)로 이동시켜서 교체하는 픽업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제2도에는,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를 각각 구동시키는 프레스장치(46,48)가 도시되어 있다.
가공조작부(B)에서 가공되어 배출되는 제품은 수납기구부(C)에 배치된 수납 트레이안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X-Y 구동스테이지(50)가 제2 다이(42)에서 배출된 제품을 흡착식으로 지지하여 수납트레이안으로 수납시킨다. 제2도에는, X-Y 구동스테이지(50)에 설치한 수납픽업헤드(52), 및 배출된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트레이(54)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수납트레이(54)는 지지부내에 적층된 상태로 쌓여져 있으며, 각각의 제품이 X-Y 구동스테이지(50)에 의하여 하나씩 수납위치에서 정렬된 상태로 수납트레이(54)내에 수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리이드 가공기는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기구부(A), 가공조작부(B), 및 제품의 수납기구부(C)를 직렬로 배치하고, 피가공품을 공급하는 공급기구부(A)의 위치로부터 피가공품이 가공된 상태의 제품을 수납하는 수납기구부(C)의 위치까지, 피가공품을 선형으로 이송하면서 필요한 가공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리이드 가공기의 구성은 소형화되며, 또한 피가공품을 설치하거나 가공용 다이를 설치 혹은 분해하는 작업이 모두 작업자와 마주하는 리이드 가공기의 전면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는 기본적으로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면서 작업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공급기구부 및 수납기구부에 최소한의 변형을 제공함으로써 후우프(hoop)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이나 또는 각각의 분리된 개편으로 이루어진 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도 가공조작부(B)를 변경시키지 않고서 작업을 수행 할 수가 있음을 물론이다.
[가공조작부의 구성]
본 발명의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는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를 직렬로 배치하고, 피가공품으로서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가공하는 경우와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하여 가공하는 경우의 어느 것으로도 선택하여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를 위한 구성상의 특징은 가공조작부(B)에 있다. 이하, 가공조작부(B)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가공조작부(B)의 사시도이다.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는 프레스장치의 베이스(60)상에 설치되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램(62 및 64)과 프리생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가 작업자와 마주하는 전면으로 부터 장치의 안쪽으로 삽입된 후에 베이스(60)상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리이드 가공기의 후면쪽으로 밀려지게 되면, 이들 다이가 각각 프레스 램(62,64)과 결합하여서 구동상태로 된다. 설치되는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의 칫수 및 프레스 램(62,64)과 결합되는 높이를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가공되는 제품을 포함한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가공조작부(B)내에서 여러가지 다이를 교체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다이(40)가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가공하는 다이로, 그리고 제2 다이(42)가 개편을 이송하여 가공하는 다이로 각각 설치된 경우이다. 이들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에는 복수의 가공스테이지가 설치되며, 피가공품이 각각의 가공스테이지로 이송되면서 가공된다. 피가공품을 이송하는 방법에는,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공급핀을 설치한 이송아암에 의하여 방법과,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흡착패드로 개편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방법과, 그리고 마찬가지로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이송봉내의 포켓에 개편을 넣어서 이송하는 방법의 3가지가 있다.
이송아암은 각각의 가공스테이지상에서 1피치만큼 왕복이동하여 리이드 프레임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하는 것이다.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할 경우에는, 리이드 프레임의 레일에 설치된 구멍안으로 공급핀을 삽입함으로써 정확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흡착패드에 의하여 개편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경우나 또는 공급봉의 포켓에 개편을 넣어서 이송하는 경우에는, 각각 개편이 1피치씩 소정의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다이상에서의 이송피치는 제품에 따라 다르므로, 범용적으로 여러 유형의 다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리이드 가공기에 설치되는 각각의 다이에 대해서 일정하게 소정의 피치만큼씩 이송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의 칫수에 따라서 이송아암 등과 같이 피가공품의 이송에 이용되는 가동부를 다이상에 설치하고, 반면에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상에는 이 가동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이송구동기구를 설치하도록 구성했다.
[피가공품의 이송구동기구]
제4도에는 베이스(60)상에 설치한 이송구동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구동기구는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 2개의 별도의 이송구동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송방법이 다른 다이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이송구동기구의 구성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의 각각의 위치에 임의의 다이를 교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다이에 설치한 이송구동기구는 작동시 동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다이상에 설치한 이송아암 등의 가동부를 피가공품의 이송방향으로 평행하게 왕복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구동기구가 이들 부품을 이송방향으로 평행하게 전진시키는 방향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실린더(70a 및 70b)는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의 가동부를 전진방향으로 각각 밀어주도록 작동되는 반면에, 푸셔(72a 및 72B)는 가동부를 후퇴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한다. 실린더(70a,70b)의 푸쉬로드는 푸셔(72a,72b)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가 푸쉬로드와 접촉 할 때 압축식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실린더(70a 또는 70b)의 푸쉬로드의 말단에는 큐션을 제공하는 패드(71a 또는 71b)를 설치하였으며, 푸셔(72a 또는 72b)는 쇼크 업소버(완충기)로서 작용한다.
푸셔(72a 및 72b)는 볼나사와 함께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밀려진다. 제4도에는 모터(74a,74b), 볼나사(76a,76b), 및 이들 볼나사와 각각 맞물리는 너트(78a,78b)가 도시되어 있다. 볼나사(76a,76b)는 벨트(80a,80b)에 의하여 모터(74a,74b)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너트(78a,78b)는 미끄럼 안내부(82a,82b)를 통해서 푸셔(72a,72b)와 연결된다. 미끄럼 안내부(82a,82b)는 푸셔(72a,72b)를 피가공품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볼나사(76a,76b)는 그 축선이 미끄럼 안내부(82a,82b)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피가공품의 구동기구는 실린더(70a,70b)와, 푸셔(72a,72b)와, 그리고 모토(74a,74b) 등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가공품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해서, 실린더(70a,70b)에 의하여 이송아암 등의 가동부를 모터(74a,74b)에 의해서 제어되는 푸셔(72b,72b)와 접촉될 때까지 작동시킨다.
가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에는, 모터(74a,74b)에 의하여 푸셔(72a,72b)를 후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모터(74a,74b)와 연관된 실린더(70a,70b)의 작동에 의해서 피가공품이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송구동기구의 작동은 볼나사(76a,76b)를 사용한 모터를 갖추고 있는 구동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볼나사(76a,76b)에 의하여 푸셔(76a,76b)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푸셔(72a,72b)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피가공품을 이송하는 도중에 피가공품을 정혹한 위치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제공된다. 즉, 볼나사(76a,76b)의 회전을 제어함에 따라 푸셔(72a,72b)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70a,70b)에 의해서 다이의 가동부를 전진시킬 때, 푸셔(72a,72b)를 그 전체 행정중의 중도위치에 설정함으로써 피가공품을 이송하는 전체 거리를 일정한 비율로 분할시킨 소정의 거리만큼씩 피가공품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푸셔(72a,72b)의 복귀 경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도위치에서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로 구동되는 실린더(70a,70b) 및 볼나사(76a,76b)의 구성을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이상에 정지부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볼나사(76a,76b)에 의한 구동부를 다소 작동이 거칠어지기는 하지만 벨트에 의한 구동부나 랙 및 피니언에 의한 구동부로 교체하는 것도가능하다.
[제1 다이의 실시예]
제5도에는 제1 다이(40)이 하형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하형의 다이면에는 복수의 가공스테이지(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다이(40)의 하형에는 각각의 가공스테이지(90)의 양측면을 따라서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여 이송하기 위한 한쌍의 이송플레이트(92a,92b)가 설치되어 있다. 피가공품으로서 수지성형된 리이드 프레임(100)이 제1 다이(40)의 일단부로부터 공급되는데, 이송플레이트(92a,92b)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여 있는 그루우브 안으로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이송플레이트(92a,92b)의 양단부에는 하동기구(93)가 설치되어서, 프레스가공시에 이송플레이트(92a,92b)가 아랫쪽으로 밀어주는 힘을 가한다.
리이드 프레임(100)을 제1 다이(40)의 하형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아암(94a,94b)이 도시되어 있다. 가공스테이지(90)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리이드 프레임(100)의 진입측에 하나의 이송아암(94a)이 제공되고, 반면에 이송아암(94b)은 배출측에 배치된다. 이들 이송아암(94a,94b)의 하부면에는 리이드 프레임(100)의 상하부레일에 레일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맞추어 아랫쪽으로 이송핀(95)을 세워서 설치한다. 이송핀(95)은 리이드 프레임(100)을 연속적으로 이송할 때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레일에 형성된 레일구멍과 결합되며, 이러한 그 상태로 리이드 프레임(100)을 이송함으로써, 리이드 프레임(100)의 하나의 가공스테이지(90)로부터 다음의 가공스테이지까지 정확하게 이송할 수가 있다.
이들 이송아암(94a,94b)은 제품마다 서로의 간격을 적당히 설정하여 연결봉(96)에 고정된다. 연결봉(96)에는 이송아암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플레이트(97)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평유지용 플레이트(97)는 제1 다이(40)의 하형의 외측면에 설치한 미끄럼 안내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미끄럼 안내부는, 수평유지용 플레이트(97)를 통해서 이송아암(94a,94b)이 리이드 프레임(100)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플레이트(97)의 외측면으로부터 리이드 가공기의 안쪽으로 단부블록(98)이 돌출하여 있다. 이 단부블록(98)은, 제1 다이(40)가 베이스(60)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될 때, 피가공품의 이송구동기구인 실린더(70a)와 푸셔(72a) 사이의 중간위치로, 그리고 이들 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이송아암(94a)의 후퇴위치를 제한하는 정지부(101) 및 이송아암(94b)의 전진위치를 제한하는 정지부(102)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이들 정지부(101,102)는 각각의 이송아암(94a,94b)의 기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제1 다이(40)의 하형에 설치된 것이다. 정지부(101,102)는 판형상으로 또는 쇼크업소버(완충기)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정지부(101,102)의 설치위치를 규정함에 따라, 각각의 다이에 대해서 이송아암의 각각의 이동행정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이상에 이들 정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이송구동기구는 그 작동이 다소 거칠어도 상관없다.
피가공품의 이송구동기구를 이루는 2개의 주요 부재인 실린더(70a)와 푸셔(72a)가 단부블록(98)의 단부면을 서로 역방향으로 번갈아서 밀어줌으로써 이송아암(94a,94b)을 왕복운동시킨다. 이송아암(94a,94b)의 이동위치는 정지부(101,102)에 의하여 각각 제한되므로, 이들 아암이 소정의 거리만큼씩 정확하게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다이(40)가 리이드 프레임(100)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수지제거, 댐바커트, 리이드 선단커트 등과 같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 후에, 리이드 프레임은 개편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개편은 제2 다이(42)상으로 이송된다. 이를 위해서, 제1 다이(40)는 분리된 개편을 흡착하여 제2 다이(42)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구동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제 5도를 참조하면, 개편을 흡착식으로 지지하여 제2 다이(42)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반출아암(103)은 이송아암(94a,94b)의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왕복운동하도록 제1 다이(40)의 하형의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되며, 공기실린더(104)에 의하여 구동된다. 반출아암(103)의 선단부는 리이드 프레임(100)을 개편으로 분리하는 제1 다이(40)의 하형내의 최종 가공스테니지의 상부위치까지 연장하여 있으며, 반출아암(103)의 상부면상에는 개편을 공기식으로 흡착하는 흡착패드(1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편의 배출단부에서 반출아암(103)과 이송아암(94b)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이송아암(94b)의 약간 윗쪽에서 반출아암(103)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반출아암(103)에 의해서 지지된 개편들이 이송아암(94b)을 가로지르며 제1 다이(40)의 배출단부로 이송된다.
제1 다이(40)의 상형에는, 하형과의 사이에서 피가공품을 지지하는 녹아웃(knock-out) 및 펀치를 설치한다. 또한 제1 다이(40)의 상형에는, 리이드 프레임(100)에서 분리한 개편을 흡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내부에 공기채널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흡착패드가 제공된 로드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제1 다이(40)의 최종 가공스테이지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개편들이 제1 다이(40)의 상형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의 단부에 제공된 흡착패드에 의해서 공기식으로 흡착된다.
반면에, 불필요한 프레임은 이송아암(94a,94b)에 의해 제1 다이(40)에서 배출단부로 이송된다. 반출아암(103)은 제1 다이(40)의 상형이 윗쪽으로 이동함에 다라서 배출단부로 부터 제1 다이(40)안으로 진입하여서, 상형에 의해서 지지된 개편의 바로 아랫쪽에서 정지되며, 그리고나서 상형의 로드가 하강하여 개편들을 반출아암(103)상의 흡착패드(105)에 의해서 흡착되도록 이동시킨다. 반출아암(103)상에서 흡착식으로 지지된 개편은 공기실린더(104)에 의해서 반출아암(103)을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출된다.
이제, 제1 다이(40)에 의한 가공단계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다이(40)의 좌측단부로 부터 공급되는 라이드 프레임(100)이 제1 다이(40)의 표면과 약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상태, 즉 이송플레이트(92a,92b)가 상부위치에 놓여져 있는 상태가 되면, 이송핀(95)이 리이드 프레임(100)의 상하부레일에 형성된 레일구멍과 결합되는데, 이송구동기구의 실린더(70a)에 의한 이송아암(94a,94b)의 작동에 따라서 리이드 프레임(100)이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리이드 프레임(100)의 소정의 이송위치에서 이송플레이트(92a,92b)가 하강되며, 제1 다이(40)의 상하형 사이에서 프레스가공이 실시된다. 프레스가공중에, 이송아암(94a,94b)은 구동기구의 볼나사(76a)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까지 후퇴하여, 다음의 이송에 대비한다.
이와같이, 리이드 프레임(100)은 여러 가공스테이지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며, 최종 가스스테이지상에서 리이드 프레임(100)으로 부터 개편들이 분리된다. 분리된 개편은 반출아암(103)에 의해서 배출방향으로 이송되고, 반면에 불필요한 프레임은 그대로 제1 다이(40)이 하형상에서 배출방향으로 이송되어서 리이드 가공기로 부터 배출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의 제1 다이(40)의 실시예는 최종 가공스테이지상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개편을 분리하는 타입의 다이이다. 제1 다이(40)가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개편이 분리되지 않는 타입의 다이인 경우에는,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이 제2 다이(42)쪽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개편을 제1 다이로 부터 반출하는 반출아암(103)이나 이들 개편을 흡착하도록 상형에 설치된 흡착기구가 필요치 않다. 또한, 제2 다이가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반출하는 다이로 구성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제2 다이에도 반출아암(103)이나 상형내에서 개편을 흡착하는 흡착기구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개편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그러한 반출아암(103) 및 흡착기구가 부설되어야 한다.
[제2 다이의 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가공기에서 제2 다이(42)의 하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 다이(42)는, 제1 다이(40)와는 달리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분리된 개편들을 한개씩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다이이다.
제2 다이(42)의 하형에는 가공스테이지(1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에서는 3개의 가공스테이지(11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다이(42)가 제1다이(40)와 마찬가지로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하지 않은 형태로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다이인 경우에는, 피가공품의 이송이 이송플레이트에 의해서 안된다. 물론, 제6도에 도시된 제2 다이(42)에도 이송플레이트(111a,111b)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송플레이트(111a,111b)는 수직방향으로만 구동될 뿐이며, 피가공품을 안내하는 수단은 아니다.
제2 다이(42)의 입구부로 공급되는 피가공품인 개편(120)이 연속적으로 각각의 가공스테이지를 통과한다.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10)상에는 하나씩의 개편(120)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들 개편은 흡착패드에 의해서 동시에 흡착식으로 지지되면서 다음의 가공스테이지(110)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10)상에서의 가공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가공스테이지(110)에 상응하는 지역이 직사각형으로 개방된 프레임 형태의 이송아암(112)을 설치하고, 이 이송아암(112)에 흡착패드(114)를 부착시켜서 각각의 개편(120)을 동시에 이송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송아암(112)은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10)의 폭방향으로 양측면상에 미끄럼부를 갖추고 있는데, 이들 미끄럼부는 이송아암(112)이 개편(120)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미끄럼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마주하는 지지판(112a)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판(112a)의 밑면에는 하향의 흡착패드(114)를 부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판(112a)을 4장 설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지판(112a)에 하나씩의 흡착패드(114)를 부착하였다. 각각의 흡착패드(114)는 진공발생기와 같은 부압흡인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송아암(112)의 미끄럼부는 이송플레이트(111a,111b)상에 설치된 미끄럼안내부(116)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7도는 이송아암(112)이 미끄럼 안내부(11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 다이(40)의 이송아암(94a,94b)과 마찬가지로, 이송아암(112)도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측에 설치된 이송구동기구에 의해서 왕복식으로 구동된다. 이를 위해서, 이송아암(112)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아암(112b)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아암(112b)의 단부를 제2 다이(42)의 하형의 외측면을 따라서 아랫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아암(112b)의 하단부에는 바깥쪽을 향한 단부블록(122)을 부착하였다. 단부블록(122)은 실린더(70b)와 푸셔(72b)의 높이에 맞추어 부착하였다. 단부블록(122)의 안내 및 이동을 위해서, 제2 다이(42)의 하형의 미끄럼 안내부(124)가 부착되었는데, 이 미끄럼 안내부(124)가 단부블록(122)을 지지하는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편(120)은 이송중에 흡착패드(114)에 의해서 흡착되므로, 이들 개편(120)이 가공스테이지(110)의 표면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지된다. 개편(120)이 다음의 가공스테이지(110)가지 이동된 상태에서 이송아암(112)이 하강하여 가공스테이지(110)상에서 개편(120)을 교체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를 위해서, 이송플레이트(111a,111b)는 제2 다이(42)의 하형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수직방향 구동기구에 연결되어서 상하로 이동한다. 즉, 이송아암(112)은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미끄럼 안내부(124)에 의해서 지지되는 동시에, 도브테일 형태의 그루우브를 통하여 미끄럼 안내부(124)와 결합되어서 수직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송아암(112)은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의 본측에 설치된 실린더(70b)가 단부블록(122)의 측면과 접촉하여 단부블록(122)을 전진방향으로 밀어주면 전방으로 이동되며, 반면에 마찬가지로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측에 설치된 푸셔(72b)가 단부블록(122)의 측면과 접촉하여 이를 후퇴방향으로 밀어주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은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이송아암(112)의 왕복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송아암(112)이 이동하는 전체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정치부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제품에 대한 이송행정을 설정하여 소정의 거리만큼씩 이송아암을 이송시킬 수가 있다.
이제, 제2 다이(42)에 의한 가공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피가공품인 개편(120)이 제2 다이(42)의 하형으로 공급되면, 이송아암(112)의 가장 앞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흡착패드(114)가 개편(120)의 상부면 중앙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흡착패드(114)가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10)상에 이미 놓여져 있는 개편(120)에 대해서도 각각의 중앙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111a,111b)가 아랫쪽으로 이동하여서 각각의 개편(120)이 흡착패드(114)에 의해서 흡착된다. 다음으로, 이송플레이트(111a,111b)는 상승되고, 이송아암(112)은 1피치분의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된다. 이 위치에서, 이송플레이트가 하강하고 흡착패드(114)에 의한 흡착이 해제되어서, 개편(120)은 인접한 다음의 가공스테이지(110)상으로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이송플레이트(111a,111b)는 윗방향으로 가세되지만 하동기구(93) 등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개편(120)을 설치한 후, 프레스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흡착패드(114)를 지지하는 지지판(112a)이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10)의 중간위치에 놓여지도록, 이송아암(112)이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가공스테이지(110)에 상응하는 하형의 부분은 공간부가 되어서 제2 다이(42)의 상하형을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스에 의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다음의 싸이클을 수행하도록 동일한 이송조작이 반복되고, 이어서 다음의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아. 이송아암(112) 등을 제어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프레스가공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리이드가공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를 직렬로 배치하고, 제1 다이(40)에 의한 가공에 이어서 제2 다이(42)에 의한 가공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측에 설치한 피가공품을 이송구동기구에 의해 각각의 다이에서 이송조작을 수행하는 동시에,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상에서 작용하는 이송구동기구를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에 의한 연속적인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각각의 다이가 설치되는 이송구동기구의 부분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이들 다이에 의해서 여러 종류의 이종제품에 대한 가공을 수행할 수가 있다. 소정의 거리만큼의 이송피치 및 제품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대해서도, 각각의 다이상에 필요한 조절수단들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는 여러 종류의 이종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다.
[기타 다이의 실시예]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개편을 소정의 거리만큼씩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타입의 다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8도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이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공스테이지(130)가 설치되어 있는 다이의 하형에 대한 평면도이다. 피가공품을 이송하는 이송봉(132)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늘고 긴 판형상에 부재이며, 하형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슬릿형태의 구멍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송봉(132)의 상연부를 따라서 피가공품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포켓(132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포켓(132a)은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30)의 설치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가공스테이지(130)의 수에 따라 설치된다. 즉, 포켓(132a)의 수는 가공스테이지의 수 보다 하나더 많다.
이송봉(132)은 하형의 전체 표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진 또는 후퇴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위치에서는 이송봉(132)의 포켓(132a)에 수용된 피가공품을 1피치분의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하며, 하부위치에서는 이송봉(132)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한다. 따라서, 이송봉(132)은 수직방향으로의 상하이동과 전진 또는 후퇴이동을 조합한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피가공품을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는 이송플레이트(134a,134b)를 가공스테이지(130)의 양측에 설치하고, 이송플레이트(134a,134b)의 하부면에 의해서 피가공품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럼봉(136a,136b)이 지지되고 있다. 미끄럼봉(136a,136b)의 양단부는 각각 연결판(138a,138b)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138a,138b)에는 이송플레이트(135a,135b)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이송플레이트(134a,134b)가 그 길이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송봉(132)을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서 미끄럼봉(136a,136b)이 왕복이동 되어야만 한다. 미끄럼봉(136a,136b)의 왕복이동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 설치한 이송구동기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쪽 미끄럼봉(136a)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 부터 리이드 가공기의 바깥쪽으로 푸쉬아암(140)이 수평하게 연장하여 있다. 푸쉬아암(140)의 단부에는 하향의 지지판(142)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142)의 외부면에는 외향의 단부블록(144)이 고정되어 있다. 이 단부블록(144)은 실린더(70a,70b) 및 푸셔(72a,72b)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단부블록(144)이 하형의 외측면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이동하도록, 지지판(142)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미끄럼 안내부(146)가 제공되어 있다.
단부블록(144)의 이동범위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부블록(144)을 충격흡수재가 부착된 정지부(148a,148b)의 사이로 배치하였다. 단부블록(144)이 전진 또는 후퇴이동함에 따라서, 단부블록(144)의 측면이 정지부(148a,148b)에 접촉됨으로써 단부블록(144)의 이동위치가 제한되며, 이에 따라서 이송봉(132)의 이동행정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의 다이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리이드 가공기에 설치되며, 따라서 이송봉에 의해서 피가공품을 소정의 가공위치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가 있다.
이제, 본 실시예의 다이에 의한 가공동작을 설명한다. 다이상에서 프레스 가공을 실시할 경우에 이송봉(132)은 다이의 표면 아랫쪽의 후퇴위치에 놓여진다. 프레스가공 후, 다이의 상형이 상승함과 동시에 이송플레이트(134a,134b)가 위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이송봉(132)이 들어올려져서, 각각의 가공스테이지(130)에서 가공된 피가공품이 포켓(132a)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송봉(132)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어서, 단부블록(144)이 정지부(148b)와 접촉될 때까지 이송봉(132)에 의해서 밀려져서 정지한다. 이러한 전진위치에서, 이송봉(132)이 하강하도록 구동되고, 피가공품은 각각 다음의 가공스테이지로 이송된다.
다이의 하형 안으로 하강하여 하부위치에 놓여져 있던 이송봉(132)이 후퇴하여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이송에 대비한다. 이송봉(132)의 후퇴는 리이드 가공기의 이송구동기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정지부(148a)와 단부블록(144)이 접촉하는 시점에서 이송봉(132)은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이송봉(132)에 의한 전진 및 후퇴이동과 이송플레이트(134a,134b)의 수직방향 상하이동에 의해서 피가공품이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의 가공스테이지(130)로 이송되어 연속적으로 가공이 행해진다.
[피가공품의 이송가구]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여러 가지 이종제품에 따라서 여러 가지 타입의 다이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라이드 가공기의 범용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피가공품이 리이드 프레임이거나 또는 개편인 경우에 대해서 각각 제1도 다이로 부터 제2 다이로 제품을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피가공품을 제1 다이에서 제2 다이로 이송하는 방법은 제품의 가공내용에 따라서, 리이드 프레임채로 이송하는 경우와, 그리고 제1 다이에서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제품부분으로 개별적으로 분리된 개편의 상태에서 제2 다이로 이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2가지의 이송을 모두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제1 다이와 제2 다이의 사이에,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는 레일기구와, 제1 다이에서 개편으로 분리한 후의 불필요한 프레임을 배출하는 배출슈터기구와, 그리고 제1 다이에서 분리된 각각의 개편을 제2 다이로 이송하는 픽업기구를 설치하였다.
제11도는 이러한 레일기구와 배출슈터기구의 정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레일기구는 제1 다이 및 제2 다이 모두에서 피가공품을 리이드 프레임인채로 이송하여 가공할 경우에 사용되며, 반면에 배출슈터기구는 제1 다이에서 개편을 분리한 후의 불필요한 리이드 프레임부분을 배출할 때에 사용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제1 다이 및 제2 다이에서 피가공품을 리이드 프레임인채로 이송하여 가공하는 경우에는 배출슈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반면에, 피가공품이 개편으로 제1 다이에서 제2 다이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레일기구를 사용하지 않는다.
[레일기구]
먼저 제12도를 참조하면,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는 구루우부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레일(150a,150b)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가동레일은(150a,150b)은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의 사이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양쪽 가동레일(150a,150b)은 그 사이의 폭의 간격이 조정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의 각각의 이송플레이트(92a,92b 그리고 111a,111b)와 동기적으로 수직방향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동레일(150a,150b)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기구는, 나사축(152)을 이들 가동레일(150a,150b) 사이의 폭방향으로 직각으로 설치하고 전동모터(154)에 의해 회전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152) 이외에도 랙 및 피니언, 벨트, 가동레일(150a,150b)을 소정의 정지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3도에는 전동모터(154)에 의해 가동레일(150a,15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3도에는 레일기구를 지지하는 고정지지판(156)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지지판(156)은 베이이스(60)에 고정된다. 전동모터(154)는 가동레일(150a)의 외측으로 고정지지판(156)상에 고정되어서, 벨트(158)를 통해 나사축(152)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지지판(156)상에는 가동레일(150a,150b)의 폭방향으로 각각 미끄럼 안내부(160a,160b)를 통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판(162a,162b)이 제공되어 있는데, 미끄럼 안내부(160a,160b)가 가동레일(150a,150b)의 폭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한다. 나사축(152)과 맞물리는 너트(164a,164b)가 각각 미끄럼판(162a,162b)상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152)은 역방향 나선부에 의해서 각각의 너트(164a,164b)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축(152)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동레일(150a,150b)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가동레일(150a,150b)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끄럼판(162a,162b)상에 설치된 지지아암(166a 또는 166b)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전동모터(154)에 의해서 나사축(152)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레일(150a,150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미끄럼판(162a,162b) 사이의 간격도 조정될 수가 있다.
지지아암(166a,166b)에는 가동레일(150a,150b)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며 이동시키는 미끄럼 안내부(168a,168b)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레일(150a,150b)의 양단부 하부면에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다이(40)의 이송플레이트(92a,92b)와 제2 다이(42)의 이송플레이트(111a,111b)의 각각의 단부와 결합하는 결합판(170)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플레이트(92a,92b 및 111a,111b)의 하향 이동동작과 함께 가동레일(150a,150b)이 하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상에 설치한 이송플레이트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동기구(172,174)가 제공되어 있다. 이 하동기구는 피가공품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조작을 맞추어 이송플레이트(92a,92b) 및 이송플레이트(111a,111b)를 각각 동기적으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가동레일(150a,150b)은 이들 이송플레이트(92a,92b 및 111a,111b)의 수직방향 이동동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라이드 프레임을 정확하게 안내하면서 이송할 수가 있다.
또한 가동레일(150a,150b)을 상부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은 제13도에 도시한 스프링(180)의 탄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스프링(180) 대신에 공기실린더 등의 구동부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기구는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의 중간에 가동레일(150a,150b)을 배치함으로써, 제품형태에 따라서 가동레일(150a,150b)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이종제품에 대히셔 리이드 가공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송플레이트992a,92b 및 111a,111b)의 수직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가동레일(150a,150b)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피가공품을 이송하면서 연속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가공작업을 행할 때에는 가동레일(150a,150b)가 결합판(170)에 의해서 제1 다이(40)의 이송플레이트(92a,92b) 및 제2 다이(42)의 이송플레이트(111a,111b)와 각각 결합한다. 그러나, 다이를 교체할 가동레일(150a,150b)과 제1 다이(40) 및 제2 다이(42)의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다이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레일(150a,150b)의 아랫쪽에 공기실린더(179)를 설치함으로써, 다이가 교환되기 전에 가동레일(150a,150b)이 결합위치로 부터 하강될 수가 있다.
[배출슈터기구]
이제 제11도를 참조하면, 제1 다이(40)로 부터 불필요한 프레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터(44)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슈터(44)는 가동레일(150a,150b)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출슈터(44)는 직사각형 단면의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불필요한 프레임이 진입되는 측면으로 도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슈터(4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공기실린더(180)가 제공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슈터(44)는 그 상단부가 고정지지판(156) 보다도 아랫쪽에 놓여지는 하부 위치와, 배출슈터(44)의 도입구가 제1 다이(40)의 이송플레이트(92a,92b)의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놓여지는 상부위치중의 어느 한쪽에 설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배출슈터(44)의 아랫쪽에는 배출안내부(18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안내부(182)는 배출슈터(44)의 아랫쪽으로 낙하하는 불필요한 프레임을 수용한 후에 스크랩 박스(scrap box)로 이를보낸다. 배출안내부(182)는 배출슈터(44)의 바깥쪽으로 끼워 지는데, 그 하부가 스크랩박스쪽으로 경사져 있다.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 사이에서 피가공품으로서 리이드 프레임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가동레일(150a,150b)의 작동에 지장을 주니 않도록 배출슈터(44)가 후퇴위치인 하부 위치로 하강된다. 제1 다이(40)가 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개편을 피가공품으로서 사용하는 다이인 경우에는, 배출슈터(44)를 상부위치에 설정하여 사용한다.
제1 다이가 리이드 프레임에 소정의 가공을 실시한 후에 제품부분을 개편으로 분리하여 가공하는 다이인 경우에는, 공급된 리이드 프레임을 차례차례로 이송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프레임이 배출된다. 배출슈터(44)는 제1 다이로부터 배출되는 불필요한 프래임을 도입구를 통해서 수용한 후에 이를 배출안내부(182)안으로 낙하시켜서 스크랩박스로 배출시킨다.
이와같이,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의 배열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고서도, 이들 다이의 사이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프레임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가 있다.
[픽업기구]
다음은, 제1 다이(40)에서 제2 다이(42)로 개편을 이송하는 픽업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업기구는 제1 다이(40)로 부터 개편을 집어올리는 픽업부와, 그리고 픽업부에 의해서 지지된 개편을 제2 다이(42)로 이동시키는 이동탑재 동작부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예의 픽업기구는 제1 다이(40)의 배출단부로 이송된 개편을 공기식으로 흡착하는 흡착패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픽업기구가 개편을 위로 들어올려서 제2 다이(42)의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개편을 제2 다이(42)의 표면상으로 올려놓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 사이의 중간위치의 상방에 회전판(19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회전판(190)은 서보모터(192)에 의해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회전판(190)에는 개편을 흡착식으로 지지하기 의한 흡착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서보모터(192)는 기판(193)에 아랫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하단부면에 회전판(190)이 고정되어 있다.
흡착기구는 회전판(190)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가동로드(194a,194b) 및 이가동로드(194a,194b)의 하단부에 각각 부착된 흡착패드(196a,196b)를 갖추고 있다. 가동로드(194a,194b)는 수직방향의 상하이동 뿐만아니라 자체의 축선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회전판(190)에 장착되어 있다. 흡착패드(196a,196b)는 공기튜브(198a,198b)를 통해서 공기와 연결되는데, 공기튜브(198a,198b)의 일단부가 흡착패드(196a,196b)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기판(193)에 하향으로 고정된 고정파이프(200)를 통하여 공기공급부와 소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보모터(192)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중심부분에 구멍이 관통되어 있으며, 고정파아프(200)가 이구멍을 관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공기튜브(198a,198b)는 회전식 공기연결부(2020)에 의해서 고정파이프(200)와 연결되어 있어서, 흡착기구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192)가 회전구동부를 구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이와같은 서보모터(192) 외의 다른 회전구동부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동로드(194a,194b)의 수직방향 상하구동을 위해서, 가동로드(194a,194b)의 상단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서 공기실린더(207)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는 푸쉬플레이트(206a,206b)가 제공된다. 제15도에는 공기실린더(207)에 의해 푸쉬플레이트(206a,206b)를 밀어주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제15도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고정된 푸쉬플레이트(206a,206b)를 갖추고 있는 푸쉬아암(208)이 도시되어 있다. 푸쉬아암(208)은 서보모터(192)가 설치된 사이로 그 양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푸쉬아암(208)의 양단부에는 각각 공기실린더(207)의 구동로드가 고정되어 있다. 공기실린더(207)의 구동로드를 돌출시킴으로써 푸쉬플레이트(206a,206b)가 바깥쪽으로 밀려지게 된다. 또한, 가동로드(194a,194b)의 수직방향 이동은 가동로드(194a,194b)의 윗쪽에 끼워져 있는 탄성스프링의 탄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6도에는 회전판(190) 및 이 회전판(190)에 대한 흡착패드(196a,196b)의 상대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흡착패드(196a,196b)는 회전판(190)이 180°만큼 회전할 때마다 제1 다이(40)로부터 제2 다이(42)로 개편을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판(190)의 중심둘레로 대칭위치에 각각의 흡착패드(196a,196b)를 정확하게 배열하는데, 한쪽 흡착패드를 제1 다이(40)의 배출위치와 윗쪽으로 그리고 다른 흡착패드를 제2 다이(42)의 공급위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이와같이 한쌍의 흡착기구를 대칭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회전판(190)이 180° 만큼 회전할 때마다 흡착패드(196a,196b)의 위치가 서로 교환되어서 제1 다이(40)로 부터 제2 다이(42)로 개편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제1 다이(40)에서 제2 다이(42)로 개편이 이송될 때, 피가공품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이송하는 경우와, 피가공품의 방향을 90°만큼 바꾸어 이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제품에 따라 가공 스테이지상에서 개편을 순차적으로 이송할때, 특정한 방향을 선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이와같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다시 제14도를 참조하면, 회전판(190)의 아랫쪽에서 가동로드(194a,194b)에 각각 고정시킨 풀리(210a,210b)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판(190)이 회전할 때 풀리(210a,210b)의 둘레로 벨트(212)가 감겨지는데, 이러한 회전작용은 가동로드(194a,194b)를 그 축선의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7도 및 제18도는 회전판(190)상에서의 풀리(210a,210b)의 배열과, 그리고 회전판(190)상에 배치한 제 1 풀리(214a,214b), 제 2 풀리(216a,216b), 및 고정풀리(218)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판(198)이 회전판(190)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파이프(20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고정풀리(218)는 리이드가공기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회전판(190)은 고정풀리(218)에 대해서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풀리(218)는 작은 직경부와 큰 직경부가 2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정풀리(218)의 작은 직경부와 큰 직경부가 2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정풀리(218)의 작은 직경부의 둘레길이는 풀리(210a,210b)의 둘레길이의 1/2 이며, 큰 직경부의 둘레길이는 풀리(210a,210b)의 둘레길이와 동일하다. 제 1 풀리(214a,214b)는 풀리(210a,210b)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제 2풀리(216a,216b)는 고정풀리(218)를 사이에 두고 대칭위치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된다.
제17도와 제18도는 풀리(210a,210b)와 제 1폴리(214a,214b)의 둘레로 벨트(21)가 감겨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7도의 경우에는 벨트(212)가 고정풀리(218)의 작은 직경부와 접촉하는데 비해서, 제18도의 경우에는 벨트(212)가 고정풀리(218)의 큰 직경부와 접촉하고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회전판(190)을 180°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편이 90°회전된 상태에서 이송되거나, 또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편이 제1 다이에서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제2 다이까지 이송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벨트(212)가 감겨지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2가지 방향으로 개편이 이송될 수 있다. 고정풀리(218)는 0°에서 90°까지 개편을 회전시키기 위한 풀리이고, 고정풀리(218′)는 180°회전에 사용되는 풀리이다. 즉, 벨트(212)는 고정풀리(218)로 부터 고정풀리(218′)의 둘레까지 감겨져서, 풀리(210 및 214)의 회전이 고정된다. 동시에, 플레이트(219)가 제1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판(190)이 회전된다. 회전판(190)이 180°만큼 회전함으로써, 제17도에 도시된 경우에는 개편은 90°만큼 회전된 상태로 제2 다이상에 놓여지게 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개편을 이송시키는 방법을 서택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벨트(212)를 교환한 후에 플레이트(219)를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벨트(212)의 길이가 재조절될 수 있다.
회전판(19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개편은 그 방향이-90°(270°)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제2 다이상에 놓여질 수 있다. 고정풀리(218)에 벨트를 걸지 않은 경우에는, 개편을 180°만큼 회전시킨 상태로 이송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픽업기구에 의한 피가공품을 제1 다이로 부터 제2 다이까지 이송하는 과정은, 회전판(190)에 의한 회전작동과, 그리고 가동로드(194a,194b)의 수직방향 상하이동의 작동과, 그리고 흡착패드(196a,196b)의 흡착작동을 연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다이(40)로 부터 배출된 개편은 하향 이동하는 가동로드(194a)의 흡착패드(196a)에 의해서 흡착식으로 지지되고, 가동로드(194a)가 상승한 후에 회전판(190)이 180°회전하여서 제2 다이(42)의 윗쪽의 지점까지 이동하며, 이어서 가동로드(194a)가 하강하고 개편은 흡착패드(196a)로 부터 제2 다이(42)상으로 놓여지는 것이며, 이러한 이송과정중에 다른쪽 흡착패드(196b)는 다음의 개편을 흡착식으로 지지하도록 제1 다이(40)의 윗쪽에 위치하여 있다.
이렇게 하여, 회전판(190)이 180°씩 회전할 때마다 제1 다이(40)로 부터 흡착식으로 지지된 개편이 제2 다이(42)상으로 이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픽업기구는 회전판(190)이 180°씩 회전할 때마다 제1 다이로 부터 개편을 이송시켜서 제2 다이상에 올려놓는다. 따라서, 이송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고,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송기구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다이가 서로 근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이송중에 피가공품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 수도 있으므로, 리이드 가공기의 범용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부를 회전판(190)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개씩 배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90°간격으로 픽업부를 4군데에 배치하고 회전판(190)의 회전각을 90°간격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다이 사이로 개편을 이송하는 중간과정에서 피가공품의 검사, 예를들어 개편에 대한 품질검사나 화상에 의한 댐바(dam bars)의 잔류량 검사에 의해 결함을 검출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제품의 수납기구부]
제2 다이(42)에서의 모든 가공이 종료된 제품은 수납기구부(C)에 제공된 수납트레이에 수용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기구부(C)의 수납픽업헤드(52)는 제2 다이(42)로 부터 반출되는 개편을 흡착하여서 수납트레이안으로 정렬하여 수납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 다이(42)에서 피가공품을 개편의 형태로 이송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와, 그리고 제1 다이(40)로 부터 제2 다이(42)로 리이드 프레임 형태로 피가공품을 가공한 후에 제2 다이(42)에서 최종적으로 개편을 분리하는 2가지 경우가 있다. 제2 다이(42)에서 개편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프레임이 제2 다이(42)내에서 배출되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다이(42)의 배출단부에 배출슈터(220)를 설치하여서 개편을 수납픽업헤드(52)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시에 불필요한 프레임은 고정된 배출슈터(220)로 부터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또, 제1 다이(40)와 제2 다이(42) 모두에서 리이드 프레임을 개편으로 분리하지 않고 반출하는 경우에는, 배출슈터(220)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배출슈터(2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는 여러 가지 이종제품의 가공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이의 구성과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 측에 설치되는 이송구동기구의 구성을 공통화하고, 각각의 다이의 사이로 레일기구, 비출슈터기구, 및 픽업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리이드 프레임 형태의 이송이나 개편 형태의 이송 모두에 대한 가공방법의 차이를 불문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 의해 가공할 수 있는 대상물 및 가공내용을 예로들면 다음과 같다.
(1) 피가공품으로서는, 스트립의 형태나 개편의 형태 또는 후우프(hoop)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모두 대상으로 할 수가 있다.
(2) 제1 다이에서의 가공으로서는, ①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그대로 이송하면서 가공의 방법, ②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여 최종 가공스테이지에서 개편으로 분리하는 방법, ③ 개편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방법, ④ 감겨지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후우프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가공하는 방법, 그리고 ⑤ 감겨지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후우프 형태의 프레임을 최종 가공스테이지에서 개편으로 분리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3) 2개의 다이의 중간부분에 제공되는 레일기구에 의한 이송방법이나, 혹은 픽업기구 및 배출슈터기구의 사용에 의한 이송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4) 제2 다이에서의 가공으로서는, ①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그대로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방법, ②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여 최종 가공스테이지에서 개편으로 분리하는 방법, ③ 개편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이송하면서 가공하는 방법, ④ 감겨지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후우프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가공하는 방법, 그리고 ⑤ 감겨지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후우프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최종 가공스테이지에서 개편으로 분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5) 스트립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이 그대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수납기구부를 본 실시예의 리이드 가공기의 공급기구부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리이드 가공기는 개편을 수납트레이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수납기구부를 변경함으로써 피가공품이 리이드 프레임의 형태로 또는 후우프에 감겨진 상태로 수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6) 피가공픔의 공급기구부에 대해서도,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트립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공급하는 방법외에, 공급기구를 변경함으로써 개편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의 공급이나 감겨지지 않은 후우프 형태의 리이드 프레임을 공급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각각의 다이에서 이송구동기구 등을 구동하는 타이밍이나 그 이외의 제어가 서로 상이하므로, 각각의 다이마다 해당하는 가공시의 가공내용을 기억시킨 기억부를 설치해두고, 리이드 가공기에 다이를 설치했을 때 해당 다이의 제어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해독하여 컴퓨터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리이드 가공기에 다이를 설치할 때에는 베이스(60)상에서 앞쪽으로 부터 안쪽으로 다이를 미끄럼이동시켜서 밀어넣도록함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다이를 위치시킬 수가 있고, 다이를 설치했을 때 해당 다이와 리이드 가공기 본체의 전기계통 및 공기배관 등의 제어계통이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이드 가공기에서는 가공조작부(B)에 2개의 다이를 설치하였으나, 가공공정의 수가 많은 제품을 가공할 경우에는 3대 혹은 그 이상의 다이를 직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다이간에 유사한 이송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타입의 제품을 가공하는데에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다이를 직렬로 배치하여 각각의 다이간에 피가공품을 리이드 프레임 또는 개편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면서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는 다른 종류의 가공기를 사용하였던 제품이라 하더라도 동일한 가공기에 의해 가공할 수가 있게 되므로, 다품종의 제품을 가공하는데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리이그 가공기가 제공된다.
또, 리이드 가공기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어서, 설치가 용이해짐과 동시에 다이의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
그리고, 이송구동기구를 리이드 가공기의 본체측에 설치하여 다이의 구성을 공통화함으로써, 다이의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해지고, 제품에 따라 다이를 바꾸어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여러가지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5)
-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로서, (1) 가공될 수지성형의 리이드 프레임을 스트립, 개편, 또는 후우프의 형태로 공급하는 리이드 프레임 공급기구부와, (2) ① 앞단계의 다이와 다음 단계의 다이의 가공라인의 방향이 서로 정렬된 상태로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다이. ② 상기 다수의 다이들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리이드 프레임을 안내하는 안내수단, 및 ③ 상기 다수의 다이들 중에서 어느 한 다이로 부터 상기 리이드 프레임의 제품부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제공되는 개편을 다음 단계의 다이로 이송하기 위해서 상기 개편을 집어내는 픽업수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리이드 프레임의 가공처리를 수행하는 가공조작부와 그리고 (3) 상기 가공조작부로 부터 가공된 제품을 수용하는 수납기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는 레일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법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이가 각각 수지제거, 댐바절단, 리이드 선단부 절단, 및 리이드 2차 성형의 가공처리를 수행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가공될 수지성형의 리이드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안내수단 및 상기 픽업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다수의 다이들 중 어느 하나의 다이내에 있는 프레임으로 부터 개편들이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불량한 프레임을 방출시키는 배출슈터를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터가 상기 하나의 다이와 상기 하나의 다이에 직렬로 연결된 다음의 다이의 사이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슈터는 제품의 이송높이 아랫족에 위치하는 후퇴위치와 상기 불량한 프레임이 방출되는 상부위치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폭이 변화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상기 리이드 프레임의 상하부레일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동레일과, 그리고 이송되는 리이드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한쌍의 가동레일 사이의 폭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이 상기 다수의 다이들 중 어느 하나의 다이내에서 상기 리이드 프레임으로 부터 분래되는 개편을 지지하는 픽업부와, 그리고 상기 하나의 다이로 부터 상기 다음의 다이로 상기 픽업부를 이동시켜서 상기 다음의 다이상에서 상기 픽업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개편을 교체시키는 교체작동부를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작동부가 상기 하나의 다이와 상기 다음의 다이 사이의 2개 위치의 윗쪽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그리고 상기 회전판을 상기 교체작동부의 각각의 교체작동시마다 180°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위치에 각각 픽업부를 갖추고 있고, 하나의 상기 픽업부는 상기 개편의 이송의 시작되는 상기 하나의 다이의 출구단부 윗쪽으로 위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픽업부는 상기 개편이 이송되는 상기 다음의 다이의 입구단부 윗쪽으로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픽업부가 상기 교체작동부의 각각의 교체 작동시마다 각각의 상기 개편이 상기 하나의 다이로 부터 이동되어서 상기 다음의 다이상으로 교체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작동부는, 상기 회전판이 180°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개편이 상기 하나의 다이로 부터 이동되어 상기 다음의 다이상에서 상기 하나의 다이의 상기 출구단부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교체되는 제1 방법과, 그리고 상기 개편이 상기 다음의 다이상에서 상기 하나의 다이의 상기 출구단부에서의 방향으로 부터 90°편향된 방향으로 교체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을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작부가, 상기 다수의 다이상으로 피가공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아암을 갖추고 있고 상기 다수의 다이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동부와, 그리고 상기 다수의 다이가 각각 다수의 다이상에 설치된 상기 가동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는 공급구동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구동기구 및 상기 가동부는 상기 다수의 다이가 상기 가공처리부 안에 설정되어 있을 때 작동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에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이를 구동시키는 상기 공급 구동기구가 각각의 상기 다이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킨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동기구가 각각의 상기 구동부를 각각의 상기 다이상에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쉬기구 및 푸쉬기구에 의해서 전진된 상기 구동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후퇴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푸쉬기구와 상기 후퇴기구 중 어느 한나가 볼나사에 의해서 구동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내로 설정되는 다이가 상기 리이드 프레임의 이송에 관련된 다이, 흡착에 의한 개편의 이송에 관련된 다이, 및 이송봉에 의한 개편의 이송에 관련된 다이중에서 선택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내로 설정된 각각의 다이에는 상기 다이내에서 처리될 특정가공에 대한 소정의 가공내용이 담긴 메모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가공조작부내에서의 상기 다이의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가공내용이 상기 리이드 가공기의 주몸체내의 제어구동부에서 판독되어서, 상기 안내수단 및 상기 픽업수단 그리고 다른 부분들이 필요한 가공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가공내용에 따라서 제어되는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3-299902 | 1993-11-30 | ||
JP29990293A JP3542365B2 (ja) | 1993-11-30 | 1993-11-30 | 汎用リード加工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5741A KR950015741A (ko) | 1995-06-17 |
KR0146672B1 true KR0146672B1 (ko) | 1998-08-01 |
Family
ID=1787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2014A KR0146672B1 (ko) | 1993-11-30 | 1994-11-30 |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636430A (ko) |
EP (1) | EP0655883B1 (ko) |
JP (1) | JP3542365B2 (ko) |
KR (1) | KR0146672B1 (ko) |
CN (1) | CN1057423C (ko) |
DE (1) | DE69413503T2 (ko) |
MY (1) | MY111918A (ko) |
SG (1) | SG59942A1 (ko) |
TW (1) | TW26796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1003997C2 (nl) * | 1996-09-10 | 1998-03-16 | Ps Systems B V | Pers voor het bewerken van voorwerpen van micro-elektronica. |
JP3744086B2 (ja) * | 1996-11-21 | 2006-02-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フープ材料のマガジン式巻取り装置 |
TW353649B (en) * | 1996-12-03 | 1999-03-01 | Ishii Tool & Engineering Corp | IC leadframe processing system |
JP2000164781A (ja) * | 1998-12-01 | 2000-06-16 | Towa Corp | リードフレームの加工方法及び装置 |
JP4680362B2 (ja) * | 2000-09-22 | 2011-05-11 | 株式会社石井工作研究所 |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KR100810378B1 (ko) * | 2006-07-26 | 2008-03-04 | 이유경 | 트윈 포밍 머신 |
CN101656389B (zh) * | 2008-08-21 | 2011-03-16 | 上海慧高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盘头引线加工设备 |
TWI361124B (en) * | 2008-12-03 | 2012-04-01 | Ind Tech Res Inst | Feed drive mechanism and flexible connecting plate thereof |
FR3092957B1 (fr) * | 2019-02-14 | 2021-01-29 | Mga Tech | Machine de preparation des broches electriques de composants |
CN110181248B (zh) * | 2019-07-03 | 2023-03-14 | 厦门科鑫电子有限公司 | 全自动精密胶芯智能插端子装盒机 |
CN114192673B (zh) * | 2021-12-03 | 2024-04-02 | 重庆至信实业集团有限公司 | 冷冲压控制回弹模具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64917A (en) * | 1976-10-18 | 1977-12-27 |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 Apparatus for cutting and forming flexible beam leads of an integrated circuit chip |
JPS5511345A (en) * | 1978-07-10 | 1980-01-26 | Nec Kyushu Ltd | Lead frame transport device in semiconductor inner connection device |
JPS59115532A (ja) * | 1982-12-23 | 1984-07-04 | Fuji Seiki Seizosho:Kk | リ−ドフレ−ム連続加工装置 |
US4624358A (en) * | 1983-03-07 | 1986-11-25 |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 Device for transferring lead frame |
JPS6126229A (ja) * | 1984-07-16 | 1986-02-05 | Oki Electric Ind Co Ltd |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
JPS6165461A (ja) * | 1984-09-07 | 1986-04-04 | Matsumura Seisakusho:Kk | Icリ−ドフレ−ム切断用自動プレス装置 |
CN1007692B (zh) * | 1985-05-20 | 1990-04-18 | Tdk株式会社 | 在印刷电路板上安装芯片型电路元件的方法及其所用装置 |
KR910001118B1 (ko) * | 1985-11-13 | 1991-02-23 |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 Ic 시이트 절단 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ic 시이트 가공장치 |
JPH0763792B2 (ja) * | 1985-11-21 | 1995-07-12 | 株式会社山田製作所 | 半導体装置の外部リード用フォーミング装置 |
US4731923A (en) * | 1986-03-15 | 1988-03-22 | Tdk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ircuit element on printed circuit board |
JPS6443225A (en) * | 1987-08-10 | 1989-02-15 | Nippon Kansen Kogyo Kk | Execution of cleaning of outer wall of building |
JPH0212654A (ja) * | 1988-06-29 | 1990-01-17 | Canon Inc | 記録または再生装置 |
JP2918240B2 (ja) * | 1989-05-23 | 1999-07-12 | 三菱製紙株式会社 | 熱転写材 |
JPH0359774A (ja) * | 1989-07-28 | 1991-03-14 | Hitachi Ltd | 検索支援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
JP2641301B2 (ja) * | 1989-08-09 | 1997-08-13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樹脂封止半導体装置の外部リードの折曲方法およびフォーミング装置 |
JP2515415B2 (ja) * | 1990-02-28 | 1996-07-10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素子の外部リ―ドの成型方法 |
JP2648381B2 (ja) * | 1990-03-16 | 1997-08-27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外部リードの曲げ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装置 |
US5070916A (en) * | 1990-06-11 | 1991-12-10 |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 Apparatus for processing a molded carrier ring device |
JP2858898B2 (ja) * | 1990-07-10 | 1999-02-17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Ic加工機 |
NL9001999A (nl) * | 1990-09-11 | 1992-04-01 | Asm Fico Tooling | Stelsel van bewerkingsinrichtingen. |
JP3144696B2 (ja) * | 1991-08-23 | 2001-03-12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リードフレームの加工機 |
JP3051532B2 (ja) * | 1991-11-28 | 2000-06-12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リードフレームの加工機 |
US5307555A (en) * | 1993-02-12 | 1994-05-03 | Ford Motor Company | Part pitch independent electrical component feeder |
-
1993
- 1993-11-30 JP JP29990293A patent/JP354236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11-29 EP EP94118795A patent/EP065588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1-29 DE DE69413503T patent/DE6941350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29 SG SG1996003377A patent/SG59942A1/en unknown
- 1994-11-30 TW TW083111256A patent/TW267968B/zh active
- 1994-11-30 US US08/352,106 patent/US563643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30 KR KR1019940032014A patent/KR01466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1-30 MY MYPI94003191A patent/MY111918A/en unknown
- 1994-11-30 CN CN94118901A patent/CN105742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5741A (ko) | 1995-06-17 |
DE69413503D1 (de) | 1998-10-29 |
US5636430A (en) | 1997-06-10 |
TW267968B (ko) | 1996-01-11 |
CN1108161A (zh) | 1995-09-13 |
MY111918A (en) | 2001-02-28 |
JPH07148600A (ja) | 1995-06-13 |
JP3542365B2 (ja) | 2004-07-14 |
SG59942A1 (en) | 1999-02-22 |
DE69413503T2 (de) | 1999-04-01 |
CN1057423C (zh) | 2000-10-11 |
EP0655883B1 (en) | 1998-09-23 |
EP0655883A1 (en) | 1995-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481092B (zh) | 一种双工位机床加工系统 | |
CN109176119B (zh) | 一种喷头加工机床自动上下料的机械手系统 | |
KR0147460B1 (ko) | 흡착식 이송다이 | |
KR0146672B1 (ko) |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 |
CN109866463B (zh) | 自动上下料机 | |
CN107716350B (zh) | 一种ic双下料装置 | |
KR100715422B1 (ko) |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 |
CN209773892U (zh) | 一种自动化油泵端盖销钉装配装置 | |
CN210653851U (zh) | 电子元件管式自动化包装设备 | |
CN217050336U (zh) | 自适应式回流设备 | |
JP3304569B2 (ja) | 排出シュータ付き搬送レール機構 | |
CN110697410A (zh) | 一种叠片玻璃分片取出机构、方法及玻璃片输送设备 | |
CN212286683U (zh) | 一种回转类工件生产线 | |
CN114486508A (zh) | 一种叠层封装用推拉力测试装置 | |
JP4370041B2 (ja) | 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及び樹脂封止装置 | |
JP3332519B2 (ja) | リード加工機のピックアップ機構 | |
CN112490163A (zh) | 一种太阳能硅晶片抗光衰设备及抗光衰处理方法 | |
CN217832646U (zh) | 磁铁自动组装设备 | |
CN218619123U (zh) | 一种激光切割机喷嘴生产用送料装置 | |
CN111546076A (zh) | 一种回转类工件生产线 | |
CN220825511U (zh) | 弹性体表面加工设备 | |
CN211003484U (zh) | 一种叠片玻璃分片取出机构及玻璃片输送设备 | |
CN210390439U (zh) | 一种丝网印刷机 | |
CN219443130U (zh) | 自动上下料的整形装置 | |
CN212387257U (zh) | 一种用于工件自动卸装的下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5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