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SC초점] 설연휴 시상식, 누가 웃었나…'무도' 찬밥 MBC, '상 남발' SBS 이겼다

AI요약

기사 제목과 본문 내용을 자동 요약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AI챗이 열심히 분석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SC초점] 설연휴 시상식, 누가 웃었나…'무도' 찬밥 MBC, '상 남발' SBS 이겼다
'2024 MBC 연예대상'에서 대상을 받은 전현무. 사진 제공=MBC
[스포츠조선 정빛 기자] 최장 9일에 이르는 황금연휴지만, 마음껏 즐길 수만은 없었던 상황이었다. 이 어수선한 분위기 속, '예능인들의 뒤늦은 축제'가 이틀 연이어 안방을 찾았다. 재미와 웃음을 책임졌던 예능가의 대잔치는 이번에도 국민들의 근심을 달랠 수 있었을까.

지난해 연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결방했던 '2024 MBC 방송연예대상', '2024 SBS 연예대상', '2024 MBC 가요대제전'이 설 연휴 기간에 방송됐다. 국가적 비극으로 2024년에 완성하지 못했던 연말 행사를 설 연휴에 뒤늦게 전개한 것이다.

시청률 수치만 놓고 보면,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이 웃은 분위기다. 세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먼저 방송된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은 4.7%(이하 닐슨코리아 제공, 전국 기준), 다음날 전파를 탄 '2024 SBS 연예대상'은 3.7%를 기록했다. 시상식은 아니지만 지상파 연말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함께 거론되는 '2024 MBC 가요대제전'은 29일 1.8%, 30일 1.4%에 그쳤다.


사진 제공=MBC, SBS
세 프로그램의 편성 일시나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등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무리일 수 있지만,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이 '2024 SBS 연예대상'보다 무려 1%나 높은 시청률로 선방한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두 프로그램 모두 전년도 최고의 예능인을 가리는 포맷으로, 녹화 방송이 아닌 생방송으로 진행했기 때문이다. 또 편성 일자만 하루 차이났을 뿐, 방송 시간도 비슷했다.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은 28일 오후 8시 20분부터 익일 오전 0시 20분까지 방송됐고, 전현무 윤은혜 이장우가 진행했다. 이날 대상 트로피는 전현무 품으로 향했고, 시청자들이 선택한 프로그램상은 '나 혼자 산다'였다.

'2024 SBS 연예대상'은 29일 오후 8시 20분부터 익일 오전 0시 20분까지 방송됐고, 전현무 이현이 장도연이 MC 마이크를 잡았다. 대상은 유재석이 차지했고,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 프로그램상은 '런닝맨'에게 돌아갔다.

'2024 MBC 방송연예대상' 진행자 윤은혜, 전현무, 이장우(왼쪽부터). 사진 제공=MBC
그런가 하면, 일각에서는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이 시청률은 '2024 SBS 연예대상'을 이겼지만, 여러모로 아쉬웠다는 반응도 많다. 그도 그럴 것이,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은 역대 MBC 방송연예대상 중 최저 시청률을 기록한 터다. 설 연휴 기간에 방영됐다는 점을 고려한다 해도, 당시 동시간대 프로그램 중 MBN '현역가왕2'이 시청률 10%로 더 우위에 섰기에 마냥 만족할 결과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 대상 전현무, 프로그램상 '나 혼자 산다' 등 굵직한 수상 결과에 대해서는 모두가 수긍하는 모양새지만, 예능인이 아닌 배우들이 대부분 상을 가져가 의아함을 샀다. 이날 최강희, 구성환, 이장우, 최다니엘, 주우재, 유태오, 김석훈, 이이경 등 많은 배우가 트로피의 주인이 됐다. 물론 고정프로그램에서 꾸준히 활동해 수상해도 마땅하다 의견도 있지만, 몇 명은 시즌제 프로그램에 짤막하게 출연하거나 단순 게스트 출연에도 수상까지 이어졌다며 대다수가 갸우뚱하고 있다.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이 추억의 MBC 예능 주역들을 시상자로 초대했다. '오늘은 좋은 날' 이홍렬과 이경실(위 왼쪽부터), '구해줘 홈즈' 양세형과 '우정의 무대' 이상용(아래 왼쪽부터). 사진 제공=MBC
MBC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이 찬밥 신세가 된 것도 시청자들의 불만을 산 부분이다. 이날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은 'MBC 방송연예대상' 30년을 맞아 그간의 MBC 예능을 돌이키는 콘셉트로 꾸며져, '진짜 사나이', '스타의 친구를 소개합니다', '세바퀴', '오늘은 좋은 날-울 엄마, 허리케인 블루', '논스톱' 시리즈, '우리 결혼했어요', 'god의 육아일기', 시트콤 '하이킥' 시리즈, '목표달성 토요일-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 '나는 가수다', '무릎팍도사' 등이 MBC 인기 예능들이 거론됐다.

여기에 해당 프로그램들의 주역들도 시상자로 출격, 반가움을 샀다. 그러나 MBC 레전드를 넘어, 한국 예능 방송사에서도 가장 큰 변곡점으로 통하는 '무한도전'이 전혀 언급되지 않아, 궁금증을 키우고 있다. 더군다나 올해는 '무한도전'은 첫 방송된지 20주년으로, 더 의미 있는 해를 맞았다. 시청자들의 볼멘소리가 더 커진 이유다.

'2024 SBS 연예대상'에서 영예의 대상을 받은 유재석. 사진 제공=SBS
'2024 SBS 연예대상' 평가도 좋지 않다. '2024 MBC 방송연예대상'에 시청률 밀린 것에 이어, 역대 SBS 연예대상 중에서도 최저치를 기록했다. 동시간대 방송된 MBC 시사교양 프로그램 '손석희의 질문들'이 8.6%, KBS1 설 특선 영화 '파묘'가 8.2%, TV조선 예능 '미스쓰리랑'이 4.9%라는 것도 따져본다면, 더더욱 뼈아프다.

아울러 공동 수상, 일회성 수상 부문 신설 등도 지적받고 있다. '2024 SBS 연예대상'은 신인상에서 이름만 바꾼 격의 '라이징 스타상'을 함께 묶어 시상하는가 하면, 굿파트너상, 굿패밀리상, 베스트 케미상, 베스트 플레이어상, ESG상 등 일회성 수상 부문들이 신설됐기 때문이다.

'2024 MBC 방송연예대상'과 '2024 SBS 연예대상' 모두 시의성 있게 한 해를 마무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이 남지만,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듯 '설 연휴 특수'를 누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주요 성적 기준이 되는 시청률 면이나, 시상식 자체에 대한 반응 등을 보면, 결국 뜻밖의 대규모 참사만큼이나 씁쓸하게 마무리된 분위기다.

'2024 SBS 연예대상' MC 장도연, 전현무, 이현이(왼쪽부터). 사진 제공=SBS

정빛 기자 rightlight@sportschosun.com

故김창익, 폭설로 압사 당해 사망..형 김창완 “내 몸 잘려나간 느낌” 눈물 속 돌아온 17주기

노홍철, 히말라야서 사망 위기..뇌 손상 위험에 유언까지

김종민과 임신·결혼설 시달렸던 신지, 김종민 저격 “어디 가서 예쁨 받는 스타일 아냐”

배종옥, 충격 생활고 고백..“2~3년간 밥값 아까워 사람도 안 만났다”

이지아였어? 확 달라진 얼굴 “놀라실까 절반만 공개”

지상렬, 동거녀와 40년 째 한집에..“결혼 진심으로 바라고 있어”

김대호, 달동네 2억집 싹 고쳤다..리모델링 후 고급 호텔 된 집 최초 공개

김민희, 홍상수와 찐사랑..딸 불륜 품은 부모님 ‘경악’

생포된 북한군 “우크라와 싸우는지 몰랐다”..한국에 대해 아는 것은?

POLL

종영 '별들에게 물어봐' 어떻게 보셨나요?
VS

투표하기 결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