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서울·수도권(서울·首都圈)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군사분계선 이북 지역 제외)를 아울러 가리킨다.
수도권 | |
---|---|
나라 | 대한민국 |
주요 도시 | |
인구 (2024) | 26,048,160[1] |
1인당 GRDP[2] | 49,680 천원(KRW) |
수도권의 면적은 11,856 km²로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11.8%를 차지하는데,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4년 7월 말에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604만2천여명이고 대한민국 총인구의 50.8%이다.[1] 이 지역은 일본의 수도권, 중국의 상하이,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인도의 델리에 이은 세계 5위의 대도시권이다. 경기 지방(경인 지역)이라고도 한다.
법률상 수도권
편집-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 1. "수도권"이란 서울특별시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을 말한다.
-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대통령령)
- 제2조(수도권에 포함되는 서울특별시 주변 지역의 범위)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이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말한다.
- 서울특별시행정특례에관한법률시행령(대통령령)
- 제4조 (수도권광역행정의 조정) ① 법 제5조제1항에서 "수도권지역"이라 함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일원의 지역을 말한다.
역사
편집고려의 수도가 개경으로 정해지면서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경기 지방은 한국 전체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는 고려가 망하고 새로 들어선 조선에서도 이어졌으며 조선은 수도를 경기 지방의 한양(서울특별시의 한강 이북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도 이 지역은 조선의 중심지였고 남북 분단이 된 오늘날에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밀집해 살고 있다.
인구 집중의 현황
편집행정안전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592만5799명에 이른 2019년 12월에 대한민국 총인구의 50%를 넘었다. 이러한 수도권의 인구 및 경제, 행정 기능의 집중 현상은 주거지 부족 및 지역 불균형과 같은 여러 문제를 유발하였다. 인구과밀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 전역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토지 및 주택의 매매, 담보 등에 제약이 따르지만, 인구 집중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어 왔다. 이러한 집중 현상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충청권 수도 이전 정책에 대하여 공약하였다. 이에 따라 2004년에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10월에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 헌법이 존재한다며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 판결로 인해 청와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을 제외한 행정 부처만 세종특별자치시에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지리
편집전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이 많지만 양평, 가평, 연천 같은 동북부 지역에는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경기도의 동쪽에서 만나 한강이 되고, 경기 지방을 완전히 가로질러 황해로 흘러든다.
지리상 수도권 권역
편집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0년 7월) |
- 서울 도심권: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구, 용산구
- 서울 동북권: 서울특별시 도봉구, 강북구, 중랑구, 노원구, 성북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 서울 동남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서울 서북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
- 서울 서남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동작구
- 인천광역시
- 경기 서남부: 경기도 김포시(고촌읍)[3] ,부천시, 시흥시, 광명시, 안양시, 군포시, 안산시, 화성시, 평택시
- 경기 남부: 경기도 수원시, 과천시, 의왕시, 오산시
- 경기 동남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용인시,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
- 경기 북부: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 경기 동북부: 경기도 남양주시, 구리시, 양평군, 가평군
- 경기 서북부: 경기도 김포시[4], 고양시, 파주시
상세 인구
편집대한민국 수도권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대한민국 인구의 2분의 1, 남북한을 합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다음은 2024년 7월 말 주민등록에 따른 인구[1]로, 경기도의 시·군은 인구가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 수원시 (1,196,671 명) : 경기도청 소재지
- 용인시 (1,083,456 명)
- 고양시 (1,071,802 명)
- 화성시 (956,503 명)
- 성남시 (916,615 명)
- 부천시 (773,689 명)
- 남양주시 (733,244 명)
- 안산시 (624,788 명)
- 평택시 (594,712 명)
- 안양시 (548,005 명)
- 시흥시 (518,371 명)
- 파주시 (507,470 명)
- 김포시 (486,128 명)
- 의정부시 (460,663 명) : 경기도청 북부청사 소재지
- 광주시 (394,164 명)
- 하남시 (329,997 명)
- 양주시 (282,215 명)
- 광명시 (278,151 명)
- 군포시 (258,509 명)
- 오산시 (237,798 명)
- 이천시 (223,056 명)
- 안성시 (192,293 명)
- 구리시 (186,408 명)
- 의왕시 (155,329 명)
- 포천시 (142,135 명)
- 양평군 (126,668 명)
- 여주시 (114,696 명)
- 동두천시 (87,321 명)
- 과천시 (85,132 명) : 대한민국 정부과천청사 소재지
- 가평군 (62,445 명)
- 연천군 (41,035 명)
수도권 규제 지역 논란
편집-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서해 5도는 원래 황해도였지만, 현재 수도권으로 분류되어 규제를 받고 있다. 서해5도 등 인천광역시의 옹진군, 강화군과 경기도의 연천군을 수도권 규제 지역에서 제외하려는 정치권의 논의가 2011년에 있었지만, 경기도 가평군, 안산시 대부동, 화성시의 섬 지역 등이 잇따라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논란이 인근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되면 결국 수도권 규제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흐지부지되었다.[5][6]
교통
편집고속도로, 도시고속화도로
편집- 경부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중부고속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제2영동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경인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지방도 제330호선,제3경인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제2서해안고속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 용인서울고속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 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철도
편집-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경부선(서울~두정 구간은 ●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 경인선(전 구간 ●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 경부고속철도
- 호남고속철도
도시철도/광역철도
편집항공
편집교육
편집국공립대학교
편집국립대학
편집- 서울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舊 서울산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경인교육대학교(舊 인천교육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 한경국립대학교(舊 안성산업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인천대학교
전문대학
편집공립대학
편집사립 대학교
편집- 가천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강남대학교
- 건국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루터대학교
- 명지대학교
- 삼육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강대학교
- 서경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수원대학교
- 숭실대학교
- 세종대학교
- 신한대학교
- 아주대학교
- 안양대학교
- 연세대학교
- 용인대학교
- 인하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 칼빈대학교
- 평택대학교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양대학교
- 한성대학교
- 한세대학교
- 한신대학교
- 협성대학교
- 홍익대학교
여자대학교
편집스포츠
편집야구
편집리그명 | 팀명 | 창단년도 | 홈 경기장 |
KBO 리그 | LG 트윈스 | 1990년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두산 베어스 | 1982년 | ||
키움 히어로즈 | 2008년 | 고척스카이돔 | |
SSG 랜더스 | 2021년 | 인천SSG랜더스필드 | |
kt 위즈 | 2013년 | 수원KT위즈파크 | |
KBO 퓨처스리그 | 고양 히어로즈 | 2014년 |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한국야구독립리그 | 연천 미라클 | 2015년 | 연천 베이스볼파크 |
저니맨 외인구단 | 2017년 | 목동야구장 | |
파주 챌린저스 | 2017년 | 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
농구
편집축구
편집배구
편집아이스하키
편집리그명 | 팀명 | 창단년도 | 홈 경기장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 안양 한라 | 1994년 | 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 |
대명 상무 | 2013년 | 목동 아이스링크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4년 8월 7일 확인.
- ↑ “2021년 서울 1인당 GRDP 4만달러 돌파…전년대비 3.4%↑”. 2024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서울 서남부와 접해있으며 주요 생활권이 서울 서남부인 김포시 고촌읍은 경기 서북부로 보기에 상당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고촌읍은 비교적 인접한 부천시와 시흥시 북부와도 교류가 상당히 많은 지역으로서 경기 서북부로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보통 김포시 고촌읍까지는 경기 서남부로 보는 이유에서 때문인지 고촌읍의 서울 편입이나 다른 도시로서의 편입론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 ↑ 서울 서남부인 강서구와 접하며 서울 서남부 생활권인 김포시 고촌읍에 한해서 경기 서남부로 보기도 한다.
- ↑ 서해 5도 등 접경지역 '수도권'에서 빠질까 동아일보, 2011.12.6.
- ↑ 한나라당, 서해5도 등 수도권 범위 제외 추진 파이낸셜뉴스, 20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