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본문으로 이동

아비달마장현종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종론에서 넘어옴)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산스크리트어: Abhidharmakośa-śāstra-kārikā-vibhāṣya, Abhidharma-kośa-samaya-pradīpikā)은 인도 불교의 카슈미르계 정통 설일체유부의 종장(宗匠: 경전에 밝고, 논서를 잘 짓는 사람)이었던 중현(衆賢, Saṃghabhadra: 5세기)이 지은 아비달마 논서이다. 줄여서 《현종론》(顯宗論)이라고도 한다. 총 40권 9품으로 이루어져 있다.[1][2][3]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1년 4월에서 652년 11월 사이에 한역하였다.[1][4]

중현은 세친이 저술한, 경량부의 교학을 비롯한 당시의 불교 교학 전반을 참조하여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비판적으로 집대성한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을 카슈미르계 정통 설일체유부의 관점에서 반박하는 《아비달마순정리론》을 저술하였는데, 그 후 이 책의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체계적이지 않으므로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 · 요약하여 《현종론》을 저술하였다.[5]

중현은 《현종론》의 서문에서 《구사론》의 내용 중 이치에 합당한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그대로 기술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반드시 찾아 밝혀 삭제하고 물리쳐서 설일체유부의 종의(宗義)를 드러내고자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취지에서 논서의 제목을 종의를 드러낸다는 의미의 '현종(顯宗)'이라 칭하겠다고 말하고 있다.[6][7] 이와 같이 《순정리론》이 《구사론》의 문장 하나 하나에 대해 논의하고 필요한 경우 반박하는 파사(破邪)를 위주로 하는 광박(廣博)한 논서인 반면 《현종론》은 카슈미르계 설일체유부의 종의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현정(顯正)을 목적으로 약술한 논서이다. 이러한 이유로 《순정리론》을 흔히 《광론》(廣論)이라 부르고, 《현종론》을 《약론》(略論)이라 부른다.[4][5][8]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운허, "阿毘達磨藏顯宗論(아비달마장현종론)".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阿毘達磨藏顯宗論(아비달마장현종론): 【범】 Abhidharmakośaśāstrakārikāvibhāṣya. 40권. K-957, T-1563. 중현 지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1년 4월에서 652년 11월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현종론』이라 한다. 전체 내용은 총 9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사론(俱舍論)』을 반박한 『순정리론(順正理論)』의 중요한 것을 뽑아 정의를 말한 논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4EBB984EB8BACEBA788EC9EA5ED9884ECA285EBA1A0rowno1 阿毘達磨藏顯宗論(아비달마장현종론)]". 2013년 3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곽철환 200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약어: 현종론(顯宗論)
    중현(衆賢) 지음, 당(唐)의 현장(玄奘) 번역.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취지를 밝힌 저술."
  3. 佛門網, "阿毘達磨藏顯宗論".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阿毘達磨藏顯宗論:
    出處: Buddhistdoor
    解釋: The Apidamozang xianzong lun; *Abhidharma-samayapradīpika or *Abhidharmakośa-śāstra-kārikā-vibhāṣya (Revealing the Tenets of the Abhidharma Treasury). 40 fascicles, T 1563.29.777-end. By Saṃghabhadra 衆賢, translated by Xuanzang during 651-652. This and the Nyāyānusāra (阿毘達磨順正理論) are two Abhidharmic commentaries by Saṅghabhadra (a younger Sarvāstivādin 有部 contemporary of Vasubandhu 世親) translated by Xuanzang. This work criticizes Vasubandhu's Kośa (倶舍論) from an orthodox Sarvāstivādin position.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名 Abhidharma-kośa-samaya-pradīpikā。凡四十卷。印度眾賢造,唐玄奘譯。又稱顯宗論。收於大正藏第二十九冊。眾賢先曾作順正理論,以論破世親之俱舍論,後以順正理論之文廣博而難把握,乃摘要更作本論,專主顯正,分為九品,即:序品、辯本事品、辯差別品、辯緣起品、辯業品、辯隨眠品、辯賢聖品、辯智品、辯正品。除序品敘述作論因緣外,其餘八品之品目均同於順正理論。本書與順正理論同為研究俱舍論之學者所不可或缺之參考資料。〔大唐內典錄卷九、開元釋教錄卷八、至元法寶勘同總錄卷九〕(參閱「阿毘達磨順正理論」3648)
    頁數: p3649"
  4. 진현종 2007,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인도의 논사 중현이 지었고 7세기 중엽 당나라의 학승 현장이 번역하였다. 총 40권 9품으로 구성된 이 논은 필자 중현이 「아비달마순정리론」에서 자기 부파의 주장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부파의 여러 가지 견해들을 전면적으로 논박한 다음 다시 이 논을 지어 불교의 기본 교리들에 대한 일체유부의 견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논과 내용이 유사한 것으로는 같은 필자의 「아비달마순정리론」(80권)이 있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진현종2007"[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1628908categoryId109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2013년 3월 2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 45-46 / 57
    "『구사론』이 저술되어 반포된 직후 한편으로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해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설을 비판하고서 설일체유부의 정통학설을 밝힌 논서로서 세 종류가 현존한다. 현장(玄奘)의 한역(漢譯)으로만 존재하는 카슈미르의 정통유부의 종장(宗匠) 중현(衆賢, Sanghabhadra)이 지은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80권, 한글대장경178-181)과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40권, 한글대장경200·201), 그리고 아비달마의 등불이라는 뜻의 작자 미상의 『아비달마디파(Abhidharmad pa)』가 바로 그것이다. 앞서 진제의 전승에 따라 중현은 비바사의 교의를 서술한 1만 송의 『광삼마야론』과 비바사의 교의를 옹호하면서 『구사론』을 논파한 12만 송의 『수실론』을 저술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는 아마도 『현종론』과 『순정리론』으로 생각된다.11) 그러나 『현종론』 서문에 의하면, 중현은 먼저 『순정리론』을 짓고 그 문구가 너무나 번잡하고 찾아보기 어려워 그 요점만을 간추려 『현종론』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12) 말하자면 『순정리론』이 본론의 일언 일구에 대해 파사(破邪)를 위주로 하는 광박(廣博)한 논서라면 『현종론』은 적극적으로 카슈미르 유부종의 정의(正義)를 간추려 현정(顯正)을 목적으로 하는 약론(略論)으로, 후자의 경우 「서품(序品)」이 덧붙여진 것을 제외하면 『구사론』을 비롯한 세 논은 논의의 체계가 동일하다.13) 그리고 『아비달마디파』는 게송으로 이루어진 「아비달마디파」와 그것의 산문의 주석인 「비바사프라바(Vibhasaprabhavritti)」를 일컫는 일군의 문헌으로 1959년 P.S. Jaini에 의해 교정 출간되었는데(Tibetan Sanskrit Works Series, vols.Ⅳ, Patna, 1967), 본론의 작자는 스스로를 등불을 밝히는 자(D pakara)로, 세친을 구사논주(Kosakara)로 칭하면서 『구사론』을 비판하고, 카슈미르의 정통 유부의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
    이 같은 정통 유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구사론』은 여전히 설일체유부 학설의 정요로서, 또한 불교학의 기초 입문서로서 그 명성을 떨쳐 인도에서는 덕혜(德慧, Gunamati)·세우(世友, Vasumitra)·안혜(安慧, Sthiramati) ·진나(陳那, Dignaga)·칭우(稱友, Yasomitra)·만증(滿增, Purna-vardhana)·적천(寂天, amthadeva) 등이 주석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범본으로 현존하는 것은 안혜의 『탓트바아르타(Tattvartha)』(한역은 『俱舍論實意疏』란 명칭으로 일부만 현존)와 칭우의 『스푸타아르타(Sphutar-tha-abidharma-kosavyakhya)』뿐이며, 이것과 더불어 만증의 『락샤나아누사린(Laksananusarin)』, 진나의 『카르마프라디파(Karmaprad pa)』, 적천의 『우파이카(Upaika)』는 티베트 역으로만 존재한다. 티베트의 전승에 따르면 칭우는 현장의 스승이었던 계현(戒賢) 논사(AD 529-645)와 동시대 인물로서, 그는 세우(世友)나 덕혜(德慧)의 주석에 왕왕 세친의 진의를 잘못 이해한 곳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아 진의를 드러내기 위해 '명백한 뜻'이라는 의미의 『스푸타아르타』를 저술하였다고 하는데, 19세기 초 네팔에서 수집되어 부르누프에 의해 보고된 이래 가장 고전적인 주석으로 꼽히고 있다.(후설)
    11) 현장의 『대당서역기』 권제4(대정장51, p.891)에서는 2만 5천 송 80만 언으로 이루어진 『구사박론(俱舍雹論)』을 지었는데, 세친이 나중에 논의 제목을 『순정리론』으로 고쳐 지었다고 한다.
    12) 『현종론』 권제1(한글대장경200, p.1).
    13) 다만 『현종론』에서는 본론의 600여 본송 가운데 5송을 완전히 삭제하였고, 8송은 완전히 개작하였으며, 23송은 부분적으로 개작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졸고, 「중현의 구사론본송의 개작과 삭제에 대하여」 (『한국불교학』 제25집, 1999)를 참조할 것."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45 45-46 / 57]"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3, 제1권. p. T29n1563_p0777a07 - T29n1563_p0777a17. 서품(序品)
    "序品第一
      諸有遍於一切法  最極難知自共相
      獨能悟解無邪亂  是一切智今敬禮
      我以順理廣博言  對破餘宗顯本義
      若經主言順理教  則隨印述不求非
      少違對法旨及經  決定研尋誓除遣
      已說論名順正理  樂思擇者所應學
      文句派演隔難尋  非少劬勞所能解
      為撮廣文令易了  故造略論名顯宗
      飾存彼頌以為歸  刪順理中廣決擇
      對彼謬言申正釋  顯此所宗真妙義"
  7.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7, T.1563, 제1권. pp. 1-2 / 1762. 서품(序品)
    "서품(序品)
      모든 존재[諸有]에 두루하는 일체법 가운데
      가장 알기 어려운 자상(自相)과 공상(共相)에 대해
      홀로 능히 깨달아 아신, 그릇되고 뒤섞임이 없는
      이러한 일체지(一切智)께 지금 공경 예배드리옵니다.
      나 중현(衆賢)은 이치에 부합하는 광박(廣博)한 언사로써
      다른 종의를 비판하고, 본 종(宗)의 뜻을 드러내고자 함에
      만약 경주(經主, 즉 世親)의 말이 이치에 부합하는 가르침이라면
      바로 그것에 따라 술(述)하여 그릇된 것을 구하지 않겠지만
      조금이라도 대법(對法)의 취지나 경(經)에 어긋남이 있다면
      반드시 찾아 밝혀 삭제하고 물리치기를 서원하옵니다.
      이미 『순정리(順正理)』라고 이름한 논을 설한 바 있어
      사택(思擇)을 즐기는 자라면 마땅히 배워야 하겠지만
      문구가 번잡하고 끊겨있어 헤아리기 어려우며
      적은 노력으로 능히 이해할 바가 되지 못하기에
      광문(廣文)의 요점을 간추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보다 간략한 논을 지어 『현종(顯宗)』이라 일렀습니다.
      일단 거기서의 게송을 늘어놓고 귀의처로 삼지만
      『순정리』 중에서의 번잡한 결택(決擇)은 지워버리고
      그것의 잘못된 말에 대해서는 올바로 해석하여
      종의가 되는 참된 묘의(妙義)를 드러내려 하옵니다."
  8. 고려대장경연구소 & 고려대장경연구소, 아비달마장현종론 해제
    "전체 내용은 총 9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품을 제외하고 제2품부터 제9품에 이르기까지 각 품의 이름이 아비달마순정리론의 제1품부터 제8품에 이르는 각 품의 이름과 동일하다. 제1 서품(序品)에서는 본 논서를 짓게 된 배경 인연과 부처님의 위덕을 밝히고 있다. 특히 견집법계경(見集法契經)을 인용하여 유부의 학설을 통해서 번뇌를 끊을 수 있다고 말한다. 제2 변본사품(辯本事品)에서는 만유(萬有) 제법(諸法)의 체(體)를 분석한다. 유루법과 무루법, 유위법과 무위법, 5온, 12처, 18계 등을 분류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3 변차별품(辯差別品)에서는 만유 제법의 용(用)에 대해서 말하며 유루와 무루, 색(色), 심(心), 심소(心所), 불상응행, 무위, 6인(因), 4연(緣) 등을 말한다. 제4 변연기품(辯緣起品)에서는 인연에 의한 과(果)에 대해서 말하며, 12인연법, 세간(世間), 기세간(器世間) 등을 설명한다. 제5 변업품(辯業品)에서는 모든 원인이 되는 업의 종류를 분석하여 설명한다. 여러 경론에서 언급하는 선악의 표업과 무표업, 수계(受戒) 등을 거론하고 있다. 제6 변수면품(辯隨眠品)에서는 연(緣)에 대해서 설명하며, 98수면(隨眠)의 성질과 작용, 3세 실유 등을 논의한다. 제7 변현성품(辯賢聖品)에서는 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4성제, 3현(賢), 4선근위(善根位), 성자위(聖者位), 37보리분법(菩提分法)에 대해서 말한다. 제8 변지품(辯智品)에서는 인(忍)과 지(智)에 대해서 분별하여 설명하고 18불공법(不共法), 6신통법(神通法) 등에 대해 상세히 논의한다. 제9 변정품(辯定品)에서는 4정려와 4무색정, 4무량(無量), 8해탈(解脫) 등을 논의한다. 중현(衆賢)이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K-956)의 자매편이라고 할 수 있는 본 논서는 흔히 약론(略論)이라 부르며, 아비달마순정리론은 광론(廣論)이라 부른다. 아비달마순정리론이 아비달마구사론을 논박하기 위해서 저술되었다면 본 논서는 단지 유부(有部)의 교설을 전개하는 데 그 뜻이 있었다는 것이 두 논서의 차이점이다. 또한 아비달마순정리론의 방대한 분량과 난해함을 덜고자 본 논서를 저술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