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3승과 성문승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3승과 성문승== |
==3승과 성문승== |
||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이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의 [[열반]]의 [[성취]]에만 치중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 |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이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의 [[열반]]의 [[성취]]에만 치중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利他)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 (불교)|수행]]과 다른 [[유정 (불교)|유정]]을 위한 [[보시]]의 실천을 함께 실행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자리이타]](自利他)를 실천하는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보고, [[성문승]]{{.cw}}[[연각승]]{{.cw}}[[보살승]]의 [[3승]]의 교의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3승]]의 교의에서 정의하는 [[성문승]]의 수행자를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ref name="글로벌-삼승"/><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
||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성문승'''(聲聞乘)은 [[4제현관]](四諦現觀) 즉 고제{{.cw}}집제{{.cw}}도제{{.cw}}멸제의 [[4성제]]를 [[현관 (불교)|현전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성문승]]이란 [[열반]]의 [[증득]]에 이르는 탈것 즉 길 또는 방편으로서의 [[4제현관]]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문승]]의 수행자인 '''성문'''은 열반을 증득하는 수행으로써 [[4제현관]]을 닦는 이를 말하는데, 이들은 특히 [[이타]](利他)는 고려하지 않고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한다는 성격을 가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聲聞乘(성문승): |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성문승'''(聲聞乘)은 [[4제현관]](四諦現觀) 즉 고제{{.cw}}집제{{.cw}}도제{{.cw}}멸제의 [[4성제]]를 [[현관 (불교)|현전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성문승]]이란 [[열반]]의 [[증득]]에 이르는 탈것 즉 길 또는 방편으로서의 [[4제현관]]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문승]]의 수행자인 '''성문'''은 열반을 증득하는 수행으로써 [[4제현관]]을 닦는 이를 말하는데, 이들은 특히 [[이타]](利他)는 고려하지 않고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한다는 성격을 가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聲聞乘(성문승): |
2013년 4월 20일 (토) 16:35 판
불교 |
---|
성문(聲聞, 산스크리트어: śrāvaka 스라바카, 팔리어: sāvaka 사바카)의 팔리어의 원어 사바카(sāvaka)의 뜻은 단순히 '듣는 자 (hearer)' 또는 '제자 (disciple)'이며,[1] 한자어 성문(聲聞)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직접적인 가르침[聲]을 듣는다[聞]'로, 낱말의 뜻 그 자체로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 즉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뜻한다.[2][3][4]
이후 불교교단이 확립된 부파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출가자만을 뜻하게 되었고,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 · 연각승(緣覺乘) · 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乘]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 4성제의 현관, 4성제를 현전에서 관찰함)을 의지하여 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로,[5][6] 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이며, 그 최고의 깨달음의 지위가 '아공(我空)을 깨친 아라한'에서 그치고 마는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2종성문(二種聲聞) · 3종성문(三種聲聞) · 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성문의 성격을 세분하였다.[7][8][9]
하지만 《품류족론》《발지론》《대비바사론》《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아비달마 논서 어디에도 4제현관(四諦現觀)을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주요 수행법으로 한다는 것외에는 성문에 대한 이러한 성격 규정과 분류는 존재하지 않으며,[7] 현대학자들도 '성문승 · 성문'과 '보살승 · 보살'간에는 후자가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강조하는 반면 전자가 자리(自利)에 치중한다는 측면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라고 본다.[9] 전통적으로도, 대승불교 경전인 《법화경》 등에서는 3승의 구분은 방편설(方便說)에 불과하며 진실로는 오직 1불승(一佛乘) 즉 하나의 깨달음의 길만이 있을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10]
개요
《아함경》 등의 초기불교 경전에는 출가자 뿐만 아니라 재가신자도 모두 성문(聲聞)이라 불리고 있다. 즉 초기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문자 그대로의 뜻 그대로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의미했다. 그 후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7]
이후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 · 연각승(緣覺乘) · 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乘]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을 의지하여 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다. 대승불교에서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는 아라한을 목표로 하며 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라고 보았고, 그 깨달음의 지위도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은 부처의 지위 즉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서의 아라한'이 아니라 '아공의 도리만을 깨달은 아라한'의 지위에서 그치고 만다고 보았다.[8][9] 이러한 이유로 대승불교에서 성문 · 성문승과 연각 · 연각승은 보살 · 보살승에 대해 폄하하는 호칭이 되었고,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승 · 연각승의 2승(二乘)을 저열한 탈것 즉 저열한 교법 또는 저열한 길이라는 뜻에서 소승(小乘)이라 폄칭하였으며,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성문과 성문승을 무조건 기피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9]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의 성격에 대해 여러 가지로 구분하여, 2종성문(二種聲聞) · 3종성문(三種聲聞) · 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2종성문은 성문을 정성성문(定性聲聞) · 부정성성문(不定性聲聞)으로 구분하는 것인데, 정성성문은 성문으로서의 성격[性]이 고정[定]되어서 성문승 즉 성문의 길에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갈 여지가 없는 수행자를 말하고, 부정성성문은 아직 성문으로서의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성문이다.[7][9]
하지만, 3승의 교의와 성문에 대한 이러한 분류는 모두 대승불교에 의한 것으로, 《품류족론》《발지론》《대비바사론》《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아비달마 논서 어디에서도 4제현관(四諦現觀)을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주요 수행법으로 한다는 것외에는 성문에 대한 이러한 성격 규정이나 분류는 존재하지 않으며, 성문에는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특히 불교의 근본 교의인 4성제에 따라 열반을 증득하기 위해 수행에 전념하는 출가 수행자라는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7]
현대학자들도 성문의 길 즉 '부파불교의 수행자의 길 또는 방편'인 4제현관과 그 계위인 성문4과는 보살의 길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길 또는 방편'인 6바라밀과 그 계위인 보살 10지와 마찬가지로 깊은 수행을 요구하며 그 경지가 높은 것으로, 모두 부처의 지위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길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성문과 보살은 모두 불제자이지만 보살에는 다른 유정을 위한 실천 즉 이타(利他)가 있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강조하는 반면, 성문은 자리(自利) 즉 자신의 깨달음 즉 열반의 증득에 치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본다.[9]
또한, 이러한 취지의 전통적인 견해 역시 존재하는데, 대승불교의 경전인 《법화경》 등에서는 성문 · 연각의 2승의 수행자도 역시 최종적으로는 부처가 되며, 성도(聖道) 즉 '불교라는 길'을 성문승 · 연각승 · 보살승의 세 가지 길로 구별하는 것은 수행자의 자질이나 능력에 따라 시설된 방편설(方便說)에 불과하며 진실로는 오직 1불승(一佛乘) 즉 하나의 불승 즉 하나의 깨달음의 길만이 있을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10]
3승과 성문승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이 자리(自利) 즉 자신의 열반의 성취에만 치중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리(自利)와 이타(利他)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과 다른 유정을 위한 보시의 실천을 함께 실행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자리이타(自利他)를 실천하는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보고, 성문승 · 연각승 · 보살승의 3승의 교의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3승의 교의에서 정의하는 성문승의 수행자를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8][9]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성문승(聲聞乘)은 4제현관(四諦現觀) 즉 고제 · 집제 · 도제 · 멸제의 4성제를 현전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성문승이란 열반의 증득에 이르는 탈것 즉 길 또는 방편으로서의 4제현관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문승의 수행자인 성문은 열반을 증득하는 수행으로써 4제현관을 닦는 이를 말하는데, 이들은 특히 이타(利他)는 고려하지 않고 자리(自利)에만 치중한다는 성격을 가진다.[5][6][9]
그리고,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연각승(緣覺乘)은 12연기를 현관하는 것을 말한다. 원래 연각(緣覺) 또는 독각(獨覺)은 고타마 붓다의 무사독오(無師獨悟) 즉 고타마 붓다가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 것을 나타내는 말인데, 대승불교의 3승의 교리에서는 연각승의 수행자 즉 홀로 12연기를 관찰하여 미혹을 끊고 진리를 깨닫는 이로서, 성문과 마찬가지로 자리(自利)에만 치중하는 이들을 말한다.[9][11][12]
이에 비해 보살승(菩薩乘)은 6바라밀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6바라밀의 첫 번째 요소는 보시바라밀인데, 보시(布施)에는 재물을 보시하는 재시(財施)[13]와 교법을 보시하는 법시(法施)[14]와 계를 지키어 남을 침해하지 아니하고 또한 두려워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무외시(無畏施)[15]가 있다.[16][17] 따라서,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보살은 성문과 연각과는 달리 자신과 남의 깨달음 즉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추구하는 수행자이다.[18][19][20]
그리고, 대승불교에서는 이러한 3승의 교의에 의거하여, 성문과 연각이 자리(自利)에만 치중하는 수행자로서, 이러한 태도에 의해 결과적으로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을 수 있을 뿐 법공(法空)의 이치는 깨닫지 못한다고 보았다. 즉, 성문과 연각이 완전히 깨달았다고 하는 상태는 단지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상태일 뿐으로 부처의 상태가 아니며 따라서 그들이 이상으로 하고 있는 아라한이란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서의 아라한'이 아니라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성자일 뿐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승(聲聞乘) · 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는 '아라한' 즉 '아공(我空)의 이치는 완전히 깨달은 성자'는 될 수 있어도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은 성자'인 부처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보아, 부처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길 즉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을 수 있게 하는 길로서의 자신들의 보살승과 구별하였고, 성문승 · 연각승의 2승(二乘)을 통칭하여 소승(小乘)이라고 폄칭하였다.[9][21][22][23] 달리 말하면, 대승불교에서는 대자비심(大慈悲心)을 갖추고 있는 길인 6바라밀을 통해서는 부처가 될 수 있지만 다른 유정의 깨달음을 돕는 실천이 결여된, 즉 재시 · 법시 · 무외시의 보시가 결여된, 즉 대자비심(大慈悲心)이 결여된 4제현관이나 12연기의 현관만을 통해서는 부처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23]
성문의 분류
2종성문
3종성문
4종성문
5종성문
성문의 수행계위
성문4과
성문10지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 (1921-5).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Chipstead: Pali Text Society.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주석
- ↑ 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 & 1921-5, "sāvaka".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聲聞(성문)".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성문(聲聞)",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4월 9일에 확인.
"성문(聲聞):
요약: 석가의 음성을 들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불제자를 이르는 말.
원어명: Srāvaka
후에 부파불교(部派佛敎)에서는 석가의 가르침을 그대로 충실히 실천하는 출가자 일반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석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석가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연기(緣起)의 이법(二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사람을 연각(緣覺) 또는 독각(獨覺)이라고 하였다.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는 대승을 향해 나아가는 자를 보살(菩薩)이라 하고 소승의 수행을 하는 자를 성문이라 하였다.
대승에 의하면, 보살은 널리 다른 사람을 구제하며 부처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성문은 자기만의 수양에 힘쓰며 아라한(阿羅漢:Arhan)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부처는 될 수 없다고 한다. 대승을 보살승(乘) 또는 불승(佛乘)이라고 하는 데 반하여, 소승을 성문승이라고 한다.
이같이 초기의 대승불교를 성문과 연각의 2승(二乘)과 보살을 구별하여 3승을 말하기도 하였으나 《법화경(法華經)》에서는 회삼귀일(會三歸一) 사상을 고취하여 성문·연각·보살을 구분하면 참된 일승(一乘)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 ↑ 가 나 운허,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가 나 星雲, "聲聞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가 나 다 라 마 星雲,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가 나 다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삼승,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승: 三乘 삼승이란 3종의 탈것이라는 뜻으로 대승불교가 일어난 후 부처를 목표로 하는가 아라한을 목표로 하는가의 차이에 따라 타는 것도 달라진다는 생각에서 대승 편에서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스스로는 부처를 목표로 하는 불보살승(佛菩薩乘)이며 소승은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서 아라한은 될 수 있어도 부처로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하여 구별한 것이다. 우선 성문(聲聞)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서 도에 정진하는 자라는 뜻으로서 불제자를 가리킨다. 따라서 성문승이란 불제자의 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처의 교법에 의해서 4체(四諦)의 이(理)를 보고 스스로 아라한으로 될 것을 이상으로 하는 낮은 수행자라고 한다. 연각승의 연각(緣覺)은 독각(獨覺)이라고도 하며, 원래 고타마가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無師獨悟) 면을 나타낸 말인데 교리(敎理)상으로는 12연기를 관찰하여 미(迷)를 끊고 이법(理法)을 깨닫는다(斷惑證理)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독각은 제자도 없고 설교하지도 않으므로 이념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한국사전연구사 (1998). 《종교학대사전》 "성문(聲聞)",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4월 9일에 확인.
"성문(聲聞):
정의: 불교의 교설(敎說)을 듣고 스스로의 해탈을 위하여 정진하는 출가 수행자.
내용: 연각(緣覺)·보살(菩薩)과 함께 삼승(三乘)이라고 한다. 원래의 의미는 석가모니 당시의 제자들을 말하였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일어나고, 중생의 제도를 근본으로 삼는 보살이라는 이상적인 인간상이 부각됨에 따라, 성문은 소승(小乘)에 속하게 되었다. 이 성문은 사제(四諦)의 진리를 깨닫고 몸과 마음이 멸진(滅盡:모두 사라짐.)한 무여열반(無餘涅槃:남김이 없는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 성문은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을 뿐, 법공(法空)의 이치를 깨닫지 못한다. 즉, 일반적으로 중생이 참다운 나라고 주장하는 실아(實我)는 정신적이고 물질적인 기본 요소들이 화합하여 생겨난 것일 뿐 영원불변의 참된 나가 될 수 없다는 사실[我空]은 깨닫지만,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인연이 모여서 생겨났으므로 절대의 실체와 자성(自性)이 없는 것은[法空]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성문은 스스로의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여열반을 증득하기는 하지만, 그 아(我)가 법(法)의 일부요 아와 법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관계에 있으므로 혼자만의 해탈을 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성문에 대한 분류는 2종·4종·5종 성문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신라 정토학(淨土學) 연구에서는 2종 성문에 대한 논란이 많았고, 천태종(天台宗) 계통에서는 4종성문의 분류를 따랐다. 2종 성문은 정성(定性)과 부정성(不定性)으로 나뉜다. 정성 성문은 완전히 성문의 길에 고착된 자이며, 부정성 성문은 아직은 보살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성문이다. 신라의 정토학자들 중에서 원효는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주장과는 달리 2종 성문이 모두 정토에 왕생할 수 있음을 천명하였으나, 현일(玄一)과 경흥(憬興)은 임종 전에 보살심을 일으킨 부정성 성문은 왕생할 수 있지만, 정성 성문은 왕생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원효는 정성 성문도 무여열반에 든 뒤에, 다시 발심하면 정토에 왕생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법화경종요 法華經宗要≫에서도 일승(一乘)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4종 성문은 ① 처음부터 끝까지 소승과 관계를 같이하는 결정성문(決定聲聞), ② 아공에 집착하고 그 경지에 만족하여 교만심을 일으키는 증상만성문(增上慢聲聞), ③ 대승에 뜻을 두었으나 성문의 공부를 닦다가 다시 대승으로 돌아오는 퇴보리심성문(退菩提心聲聞), ④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성문의 모습을 취한 응화성문(應化聲聞) 등으로 나뉜다.
천태종의 이와 같은 분류는 소승의 길에서 대승보살의 길로 인도하려는 정신에 입각한 것이다. 그리고 성문으로서 해탈하는 길은 ‘성문사과(聲聞四果)’라고 하여,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陀含)·아나함(阿那含)·아라한(阿羅漢)의 4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수다원은 역류(逆流)로 번역되며, 생사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서 육진(六塵)에 물들지 않고, 한결같이 번뇌가 없는 행을 닦아 거칠고 무거운 번뇌가 생기지 않게 된 이로서, 내세에 지옥·축생·아수라 등의 몸을 받지 않게 된다고 한다.
사다함은 일왕래(一往來)로 번역되며, 욕망을 모두 버리고 번뇌를 끊었으므로 죽은 뒤 천상(天上)에 태어났다가 다시 인간으로 온 뒤 천상에 태어나는 1왕복의 과정을 거쳐 완전히 해탈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 및 우리 나라의 선사들은 이것을 망상과 관련시켜서, 앞의 생각이 그릇된 것을 일으켰다면 뒤의 생각에서 곧 멈추고, 앞의 생각에 집착이 있었다면 뒤의 생각에서 이를 멈출 수 있는 수행의 경지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나함은 불환(不還:돌아오지 않음.) 또는 출욕(出欲:욕심으로부터 나옴.)으로 번역된다. 즉, 욕심을 벗어나서 다시는 욕심의 세계로 돌아오지 않는 경지를 뜻한다. 아라한은 무쟁(無諍)으로 번역된다.
끊어야 할 번뇌가 없고 떠나야 할 탐심과 분노와 어리석음이 없으며, 정(情)에 대한 위순(違順)과 주객(主客)에 대한 분별이 없어서 항상 고요한 해탈의 경지에 있는 성자를 뜻한다.
성문사과의 입장에서 보면 성문은 매우 깊은 수행을 하여야 하며, 아라한의 경지는 대승의 해탈과 조금도 다를 바 없는 경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단지 자기만의 해탈이 문제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하여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성문을 무조건 기피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
조선 중기의 고승 휴정(休靜)은 ≪선가귀감≫에서, “성문은 고요한 데 머무는 것으로써 수행을 삼기 때문에 마음이 움직이고, 마음이 움직이니 귀신이 보게 된다. 그러나 보살은 성품이 본래 빈 것임을 깨달아 그 마음이 스스로 고요하므로 자취가 없고, 자취가 없으니 외도와 마군(魔軍)들이 보지 못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별은 올바른 보살과 성문의 대비라고 볼 수 없다.
모두가 불제자이지만 보살은 중생을 위한 실천이 있고, 성문은 자기의 해탈에 치중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참고문헌:
『법화론(法華論)』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원효)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원효)
『선가귀감(禪家龜鑑)』(휴정)" - ↑ 가 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일불승,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불승: 一佛乘 소승의 2승에 대해서 대승불교가 스스로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 일불승 또는 일승(一乘)이다. 일불승은 불교의 진실한 가르침은 오직 한가지로서 그 가르침에 의해서 어떠한 사람들도 똑같이 성불(成佛)할 수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대승의 도에 따르는 수행자는 모두 석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살의 이름으로 불리고 석존이 전생에 무량(無量)의 선근공덕(善根功德)을 쌓은 것처럼 대승의 보살들은 중생제도를 위하여 자신의 깨달음은 뒤로 돌리고 우선 다른 사람들을 구한다(自未得度先度他)고 하는 이타행(利他行)이 그 임무라고 한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들이 구제받지 못하는 한 스스로 이상의 세계로 들어가지 아니하고(無住處涅槃) 항시 현실세계에 있어서 세상을 위해 봉사한다는 입장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성문·연각의 2승도 역시 최종적으로는 부처가 되어야 할 것이며, 3승의 도를 구별하는 것은 사람의 자질이나 능력에 따라 방편설(方便說)에 불과하며 진실로는 오직 부처의 1승만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가 <법화경> 등에 의해 강조되며 그것이 일불승의 본의로 되었다." - ↑ 운허, "緣覺乘(연각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星雲, "緣覺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財施(재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法施(법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無畏施(무외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報施婆羅蜜(보시바라밀)".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布施(보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菩薩乘(보살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星雲, "菩薩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星雲, "布施".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운허, "小乘(소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星雲, "二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
- ↑ 가 나 星雲, "小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