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실어증을 가진 사람들은 명사보다 동사를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실어증 대상자에게 동사를 가르치기 위해 그림,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다양한 자극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적인 증강현실 자극이 정적인 그림 자극보다 동사 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실어증이 있는 사람들의 동사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일반 성인 20명과 표현성 실어증을 가진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0개의 정적 이미지와 동적 증강현실 자극을 출력하였다. 동사는 4가지 유형(비대격 10개, 비능격 10개, 도구 10개, 비도구 10개)으로 분류하였다. 증강현실 콘텐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그림과 3D 증강현실 콘텐츠로 동사의 카드를 만들었으며 증강현실 어휘 산출에 따른 정반응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 증강현실 자극에 대한 정반응 점수가 그림 자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동사의 4가 자극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비능격 동사, 도구 동사, 비도구 동사의 경우 증강현실 자극이 그림자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반응 점수가 높았다. 비대격 동사의 경우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증강현실 콘텐츠는 동사 이름대기를 유도하는 데 정적 이미지보다 효과적이다. 이와 함께 실어증 환자에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적용할 때는 동사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Purpose : People with aphasia (PWA) have been reporte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verbs than nouns. Various stimuli such as pictures, animati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e used to help PWA re-learn verbs. It is also unclear whether dynamic image stimuli elicit better responses in PWA than do static picture stimuli.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verb utterances in PWA.
Methods : Twenty healthy adults and twelve people with expressive aphas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ty pictorial verbs were presented via an augmented reality program. The verb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10 unacussative verbs, 10 unergative verbs, 10 non-instrument verbs, and 10 instrument verb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picture and 3D augmented reality cards describing target verbs were created. The correct response scores on the augmented reality task were compared to those on the picture card task.
Results : Correct response scores of PWA when provid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stimuli were higher than when provided with the picture stimuli. With the dynamic stimuli, the scores for unergative verbs, non-instrument verbs, and instrument verbs were higher than those for unacussative verbs.
Conclusions :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more effective than static images for prompting verb nam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appl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 person with aphasia, type of the verb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Reference
참고문헌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37-001107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