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로신

Tyrosine
티로신
Skeletal formula of the L-isomer
L-티로신의 골격식

생리학적 pH에서 L-Tyrosine
이름
IUPAC명
(S-티로신
기타명
L-2-아미노-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산
식별자
3D 모델(JSmol)
ChEBI
CHEMBL
켐스파이더
드럭뱅크
ECHA 인포카드 100.000.419 Edit this at Wikidata
케그
펍켐 CID
유니
  • InChI=1S/C9H11NO3/c10-8(9(12)13)5-6-1-3-7(11)4-2-6/h1-4,8,11H,5,10H2,(H,12,13)/t8-/m0/s1 checkY
    Key: OUYCCCASQSFEME-QMMMGPOBSA-N checkY
  • Key: OUYCCCASQSFEME-UHFFFAOYSA-N
  • Key: OUYCCCASQSFEME-MRVPVSSYSA-N
  • N[C@@H](Cc1ccc(O)cc1)C(O)=O
  • Zwitterion: [NH3+][C@@H](Cc1ccc(O)cc1)C([O-])=O
특성.
C9H11NO3
어금니 질량 181.191 g·mol−1
외모 흰 고체
.0453 g/100 mL
-105.3·10−6 cm3/mol
위험성
NFPA 704 (파이어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Health 1: Exposure would cause irritation but only minor residual injury. E.g. turpentineFlammability 1: Must be pre-heated before ignition can occur. Flash point over 93 °C (200 °F). E.g. canola oilInstability 0: Normally stable, eve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and is not reactive with water. E.g. liquid nitrogenSpecial hazards (white): no code
1
1
0
보충자료페이지
티로신(데이터페이지)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25°C [77°F], 100kPa).

L-티로신 또는 티로신(기호 Tyr 또는 Y)[2] 또는 4-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세포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사용하는 20가지 표준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극성 측기를 가진 비필수 아미노산입니다. "티로신"이라는 단어는 1846년 독일 화학자 유스투스 리비히가 치즈의 단백질 카제인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치즈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티로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3][4] 작용기 또는 측쇄라고 할 때 티로실이라고 합니다. 티로신은 일반적으로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분류되지만 페닐알라닌보다 친수성이 강합니다.[5] 메신저 RNA코돈 UAC와 UAU에 의해 암호화됩니다.

한 글자 기호 Y는 사용 가능한 문자 중 알파벳으로 가장 가깝기 때문에 티로신에 할당되었습니다. T는 구조적으로 더 단순한 트레오닌에 할당되었고, U는 발린에 대해 V와 유사성 때문에 회피되었으며, W는 트립토판에 할당된 반면 X는 미결정 또는 비정형 아미노산에 대해 예약되었습니다.[6] 기억력 있는 Yrosine도 제안되었습니다.[7]

기능들

티로신은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 외에도 페놀 기능 때문에 특별한 역할을 합니다. 히드록시기는 특히 인산염과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인산기는 단백질 키나제를 통해 티로신 잔기로 전달됩니다. 이것은 번역수정 중 하나입니다. 인산화된 티로신은 신호 전달 과정의 일부인 단백질에서 발생합니다.

세린트레오닌에서도 비슷한 기능성이 나타나는데, 이들의 측쇄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지지만 알코올입니다. 이 세 아미노산의 부분(티로신 포함)의 인산화는 이들의 말단에 음전하를 생성하는데, 이는 음전하를 띤 유일한 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의 음전하보다 더 큽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은 포스포티로신, 포스포세린 및 포스포트레오닌을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유용한 이러한 특성을 유지합니다.[8]

신호 전달 인단백질의 결합 부위는 화학적 구조가 다양할 수 있습니다.[9]

하이드록실 그룹의 인산화는 표적 단백질의 활성을 변화시키거나 SH2 도메인 결합을 통한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10]

티로신 잔기는 광합성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엽록체(광계 II)에서는 산화된 엽록소환원에 전자 공여체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페놀성 OH-기의 수소 원자를 잃게 됩니다. 이 라디칼은 이후 네 개의 코어 망간 클러스터에 의해 광계 II에서 감소됩니다.[11]

식이 요구 사항 및 출처

티로신의 식이 기준 섭취량은 일반적으로 페닐알라닌과 함께 추정됩니다. 추정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인체는 이와 같은 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두 아미노산의 이상적인 비율은 60:40(페닐알라닌:티로신)으로 생각됩니다.[12] 페닐알라닌으로부터 체내에서도 합성될 수 있는 티로신은 고기, 생선, 치즈, 코티지 치즈, 우유, 요구르트, 땅콩, 아몬드, 호박씨, 참깨, 콩 단백질리마콩과 같은 많은 고단백 식품에서 발견됩니다.[13][14] 예를 들어, 달걀의 흰자는 달걀 한 개당 약 250mg을 가지고 있는 반면,[15]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참치, 연어, 닭고기, 칠면조는 3온스(85g) 당 약 500-1000mg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5][16]

생합성

프리페네이트로부터 티로신의 식물 생합성.

티로신은 식물과 대부분의 미생물에서 시키메이트 경로의 중간체인 프리페네이트를 통해 생성됩니다. 프리페네이트는 산화적으로 하이드록실기의 보유와 함께 탈카르복실화되어 p-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을 제공하며, 이는 질소 공급원으로 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여 티로신과 α-케토글루타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트랜스아민화됩니다.

포유류는 음식에서 유래한 필수 아미노산 페닐알라닌(Phe)에서 티로신을 합성합니다. Phe에서 Tyr로의 전환은 모노옥시게나제인 효소 페닐알라닌 하이드록실라제에 의해 촉매됩니다. 이 효소는 페닐알라닌의 6-탄소 방향족 고리의 말단에 하이드록실기를 추가하여 티로신이 되는 반응을 촉매합니다.

대사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유도체로의 전환.

인산화 및 황산화

티로신 잔기 중 일부는 단백질 키나제에 의해 인산기(인산화)로 태그(hydroxyl group)될 수 있습니다. 티로신은 인산화된 형태로 포스포티로신이라고 불립니다. 티로신 인산화는 신호 전달 및 효소 활성 조절의 핵심 단계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포스포티로신은 특정 항체를 통해 검출될 수 있습니다. 티로신 잔기는 또한 티로신 설페이트화로 알려진 과정인 황산염기의 첨가에 의해 변형될 수 있습니다.[17] 티로신 황산화는 티로실 단백질 황전이효소(TPST)에 의해 촉매됩니다. 상기 포스포티로신 항체들과 마찬가지로, 최근에는 설포티로신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항체들이 기술되고 있습니다.[18]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의 전구물질

의 도파민성 세포에서 티로신은 티로신 하이드록실화효소(TH)에 의해 L-DOPA로 전환됩니다. 이것은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의 합성에 관여하는 속도 제한 효소입니다. 도파민은 이후 노르에피네프린(노레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과 같은 다른 카테콜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갑상선콜로이드에 있는 갑상선 호르몬인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과 티록신(T4)도 티로신에서 유래합니다.

카테콜아민미량아민인체[19][20][21] 내 생합성 경로
The image above contains clickable links
티로신은 아민 화합물과 카테콜아민을 추적하는 전구체입니다.

기타 화합물의 전구체

아편 양귀비인 Papaver somniferum의 라텍스는 티로신을 알칼로이드 모르핀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체 합성 경로는 카본-14 방사성 표지 티로신을 사용하여 생체 내 합성 경로를 추적하여 티로신에서 모르핀으로 확립되었습니다.[22]티로신 암모니아 분해효소(TAL)는 천연 페놀 생합성 경로의 효소입니다. L-티로신을 p-쿠마린산으로 변환시킵니다.티로신은 멜라닌 색소의 전구체이기도 합니다. 티로신(또는 그 전구체 페닐알라닌)은 조효소 Q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벤조퀴논 구조를 합성하는 데 필요합니다.[23][24]

열화

티로신이 아세토아세테이트푸마르산염으로 분해되는 것. 분해 경로에는 두 가지 디옥시게나제가 필요합니다. 그런 다음 최종 제품은 시트르산 순환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citation 필요]

L-티로신(syn. para-hydroxyphenylalanine)의 분해는 티로신 트랜스아미나제를 통해 파라-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으로 α-케토글루타레이트 의존성 트랜스아미네이션으로 시작됩니다. 위치 설명 파라, 약칭 p는 페닐 고리의 하이드록시기와 측쇄가 서로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아래 그림 참조).

다음 산화 단계는 p-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 다이옥시게나제와 CO2 호모젠티세이트(2,5-디하이드록시페닐-1-아세테이트)를 분리하여 촉매합니다.[25] 호모젠티세이트의 방향족 고리를 쪼개기 위해서는 호모젠티세이트 1,2-다이옥시게나제가 더 필요합니다. 이로써, 추가적인2 O 분자의 혼입을 통해 말레일레이스가 아세테이트로 생성됩니다.

푸마릴아세토아세테이트는 산화를 통해 하이드록실기에서 생성된 카르복실기의 회전을 통해 말레일아세토아세토아세테이트 시스-트랜스-이성질화효소에 의해 생성됩니다. 이 시스-트랜스-이성질화효소는 글루타티온조효소로 함유하고 있습니다. 푸마릴락토아세테이트는 물 분자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푸마릴락토아세테이트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리됩니다.

이로써 푸마르산염(시트르산 회로의 대사산물이기도 함)과 아세토아세테이트(3-케토부티로에이트)가 유리됩니다. 아세토아세테이트는 숙시닐-CoA로 활성화된 케톤체로, 이후 아세틸-CoA로 전환되어 시트르산 회로에 의해 산화되거나 지방산 합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플로레틱산은 쥐의 티로신의 소변 대사산물이기도 합니다.[26]

오르토- 및 메타티로신

페닐알라닌 하이드록실화효소(위)에 의한 티로신의 효소적 산화 및 하이드록실 자유 라디칼(중, 아래)에 의한 비-효소적 산화.

L-tyrosine의 구조 이성질체는 3가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라 이성질체인 공통 아미노산 L-티로신(para-tyr, p-tyr 또는 4-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외에도 자연에서 발생하는 메타-티로신(meta-tyrosine, L-m-tyr 및 m-tyr이라고도 함)과 오르토-티로신(o-tyr 또는 2-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의 두 가지 추가 영역 이성질체가 있습니다. 드물지만 m-tyr 및 o-tyr 이성질체는 산화 스트레스 조건에서 페닐알라닌의 비효소적 자유 라디칼 하이드록실화를 통해 발생합니다.[27][28]

의료용

티로신은 신경전달물질의 전구물질이며 혈장 신경전달물질 수치(특히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29]를 증가시키지만 정상적인 피험자의 기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30][31][32]

2015년 체계적인 검토에 따르면 "티로신 부하는 극한 날씨나 인지 부하와 같은 까다로운 상황 조건에 의해 유발되는 작업 기억 및 정보 처리의 감소에 급성으로 대응한다"며 따라서 "티로신은 까다로운 상황 조건에 노출된 건강한 개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33]

산업합성

L-티로신은 의약품, 식이보충제식품첨가물에 사용됩니다. 이전에 L-티로신을 제조하는 데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화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원하는 아미노산을 추출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티로신 페놀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페놀, 피루브산 및 암모니아로부터 효소 합성을 활용합니다.[34] 유전공학의 발전과 산업 발효의 출현으로 L-tyrosine의 합성이 E. coli의 조작된 균주의 사용으로 전환되었습니다.[35][34]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Frey MN, Koetzle TF, Lehmann MS, Hamilton WC (1973). "Precision neutron diffraction structure determination of protein and nucleic acid components. X. A comparison between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L-tyrosine and L-tyrosine hydrochloride". J. Chem. Phys. 58 (6): 2547–2556. Bibcode:1973JChPh..58.2547F. doi:10.1063/1.1679537.
  2. ^ "Nomenclature and Symbolism for Amino Acids and Peptides".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198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08. Retrieved 5 March 2018.
  3. ^ "Tyrosine". The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6th ed. Infoplease.com —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Retrieved 2008-04-20.
  4. ^ Harper D (2001). "Tyrosine". Online Etymology Dictionary. Retrieved 2008-04-20.
  5. ^ "Amino Acids - Tyrosine". www.biology.arizona.edu. Retrieved 2018-01-31.
  6. ^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A One-Letter Notation for Amino Acid Sequence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3 (13): 3557–3559. 10 July 1968. doi:10.1016/S0021-9258(19)34176-6.
  7. ^ Saffran M (April 1998). "Amino acid names and parlor games: from trivial names to a one-letter code, amino acid names have strained students' memories. Is a more rational nomenclature possible?". Biochemical Education. 26 (2): 116–118. doi:10.1016/S0307-4412(97)00167-2.
  8. ^ Hunter T (2012-09-19). "Why nature chose phosphate to modify protei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7 (1602): 2513–2516. doi:10.1098/rstb.2012.0013. ISSN 0962-8436. PMC 3415839. PMID 22889903.
  9. ^ Lu ZC, Jiang F, Wu YD (2021-12-11). "Phosphate binding sites prediction in phosphorylation-dependent protein-protein interactions". Bioinformatics (Oxford, England). 37 (24): 4712–4718. doi:10.1093/bioinformatics/btab525. ISSN 1367-4811. PMID 34270697.
  10. ^ Liu BA, Nash PD (2012-09-19). "Evolution of SH2 domains and phosphotyrosine signalling network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7 (1602): 2556–2573. doi:10.1098/rstb.2012.0107. ISSN 0962-8436. PMC 3415846. PMID 22889907.
  11. ^ Barry BA (January 2015). "Reaction dynamics and proton coupled electron transfer: studies of tyrosine-based charge transfer in natural and biomimetic system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847 (1): 46–54. doi:10.1016/j.bbabio.2014.09.003. ISSN 0006-3002. PMID 25260243.
  12. ^ Pencharz PB, Hsu JW, Ball RO (June 2007). "Aromatic amino acid requirements in healthy human subjects". The Journal of Nutrition. 137 (6 Suppl 1): 1576S–1578S, discussion 1597S-1598S. doi:10.1093/jn/137.6.1576S. PMID 17513429.
  13. ^ 영양 순위 도구. MyFoodData.com . https://tools.myfooddata.com/nutrient-ranking-tool/tyrosine/all/highest
  14. ^ "Tyrosine".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04. Retrieved 2011-03-17.
  15. ^ a b 티로신이 가장 많이 함유된 10대 식품
  16. ^ 영양 순위 도구. MyFoodData.com . https://tools.myfooddata.com https://tools.myfooddata.com/nutrient-ranking-tool/tyrosine/meats/highest/ounces/common/no
  17. ^ Hoffhines AJ, Damoc E, Bridges KG, Leary JA, Moore KL (December 2006). "Detection and purification of tyrosine-sulfated proteins using a novel anti-sulfotyrosine monoclonal antibody".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1 (49): 37877–87. doi:10.1074/jbc.M609398200. PMC 1764208. PMID 17046811.
  18. ^ Kanan Y, Hamilton RA, Sherry DM, Al-Ubaidi MR (December 2012). "Focus on molecules: sulfotyrosine". Experimental Eye Research. 105: 85–6. doi:10.1016/j.exer.2012.02.014. PMC 3629733. PMID 22406006.
  19. ^ Broadley KJ (March 2010). "The vascular effects of trace amines and amphetamines". Pharmacology & Therapeutics. 125 (3): 363–375. doi:10.1016/j.pharmthera.2009.11.005. PMID 19948186.
  20. ^ Lindemann L, Hoener MC (May 2005). "A renaissance in trace amines inspired by a novel GPCR family".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6 (5): 274–281. doi:10.1016/j.tips.2005.03.007. PMID 15860375.
  21. ^ Wang X, Li J, Dong G, Yue J (February 2014). "The endogenous substrates of brain CYP2D".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4: 211–218. doi:10.1016/j.ejphar.2013.12.025. PMID 24374199.
  22. ^ Battersby AR, Binks R, Harper BJ (1962-01-01). "692. Alkaloid biosynthesis. Part II. The biosynthesis of morphine".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3534–3544. doi:10.1039/JR9620003534. ISSN 0368-1769.
  23. ^ Bentinger M, Tekle M, Dallner G (May 2010). "Coenzyme Q--biosynthesis and function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96 (1): 74–9. doi:10.1016/j.bbrc.2010.02.147. PMID 20494114.
  24. ^ Acosta MJ, Vazquez Fonseca L, Desbats MA, Cerqua C, Zordan R, Trevisson E, et al. (2016). "Coenzyme Q biosynthesis in health and diseas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857 (8): 1079–1085. doi:10.1016/j.bbabio.2016.03.036. PMID 27060254.
  25. ^ Zea-Rey AV, Cruz-Camino H, Vazquez-Cantu DL, Gutiérrez-García VM, Santos-Guzmán J, Cantú-Reyna C (27 November 2017). "The Incidence of Transient Neonatal Tyrosinemia Within a Mexican Population". Journal of Inborn Errors of Metabolism and Screening. 5: 232640981774423. doi:10.1177/2326409817744230.
  26. ^ Booth AN, Masri MS, Robbins DJ, Emerson OH, Jones FT, DeEds F (1960). "Urinary phenolic acid metabolities of tyrosin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5 (9): 2649–2652. doi:10.1016/S0021-9258(19)76930-0.
  27. ^ Molnár GA, Wagner Z, Markó L, Kó Szegi T, Mohás M, Kocsis B, et al. (November 2005). "Urinary ortho-tyrosine excretion in diabetes mellitus and renal failure: evidence for hydroxyl radical production". Kidney International. 68 (5): 2281–7. doi:10.1111/j.1523-1755.2005.00687.x. PMID 16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