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혐오

Self-hatred

자기혐오는 자기혐오나 자신에 대한 증오, 혹은 자존감이 낮아[1] 자해를 초래할 수 있다.

심리학 및 정신의학 분야

"자기혐오자"라는 용어는 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지 않는데, 그들은 보통 자신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1]이라고 묘사한다.자기혐오, 자기책임 그리고 수치심은 일부 또는 많은 정신장애, 특히 자신의 인식된 결함을 수반하는 장애에서 중요한 요소이다.자기혐오는 우울증과 같은 감정장애뿐만 아니라 경계성 [2]인격장애를 포함한 많은 인격장애의 증상이기도 하다.그것은 또한 누군가의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 예를 들어 생존자[citation needed]죄책감과도 연관될 수 있다.

사회 집단에서

민족 집단, 성 집단, 종교의 구성원들에 의한 자기 증오는 지배적인 문화에서 온 이들 집단에 대한 증오의 내면화의 결과라고 가정한다.

흑인

흑인에 대한 인종적 고정관념과 흑인 남성과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미국 언론의 묘사는 전 세계 모든 인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3][4][5]자기혐오를 증가시키고 있다.

카톨릭 신자

자기혐오 또는 "반가톨릭"은 전통주의자 또는 보수적인 가톨릭 신자들에 의한 비판 용어이며, 특히 교리를 개혁하고, 가톨릭 교회를 세속적으로 비판하거나, 교회의 [6][7][8]가르침보다 세속적인 원칙을 우선시하는 사람들을 현대주의자 또는 자유주의적인 가톨릭 신자들을 묘사합니다.

유태인

Theodor Lessing은 그의 책, 유대인 자기혐오자(1930)에서 이것을 병리학으로 규정했다. "지배적인 문화와의 과도한 동일성과 편견의 내면화""유대인의 정신 질환은 종종 박해와 [citation needed]사회에서의 그들의 종속적 지위에서 비롯된 열등감과 자기 혐오감에서 비롯된다"는 학술 연구에 언급된 출처들의 연구들이 있다.

용어는 미국 [9] 반유대주의로 인한 사회정치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개종하거나 다른 신앙으로 자녀들을 결혼시키고 양육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숨긴 혐의를 받는 미국 유대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LGBT+개인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증은 동성애와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 신념, 낙인, 편견 등이 동성애자인지 [10][11][12]아닌지에 관계없이 스스로 돌아서는 것을 말한다.

관련 개념

자기비하

자기 비하란 자신을 [13]비하하거나 과소평가하거나 비하하거나 지나치게 [14][15]겸손한 행위를 말한다.유머와 긴장 [16]해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해

자해는 우울증, 불안, 분노의 배출구로서 신체적 자해를 강요당한다고 느낄 수 있는 질환으로 수많은 심리적 [17][18][19]장애와 관련이 있다.

어떤 경우, 자해는 사고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그러나 그것은 자살 욕망이나 심지어 자살에 대한 [20]고려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지표는 아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I Hate Melf", PsychAlive의
  2.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Symptoms". WebMD. Retrieved 17 June 2012.
  3. ^ Charles, Christopher A. D. (July 2003). "Skin Bleaching, Self-Hate, and Black Identity in Jamaica". Journal of Black Studies. 33 (6): 711–728. doi:10.1177/0021934703033006001. S2CID 143716772.
  4. ^ Hall, Ronald E. (December 2014). "Self-Hate as Life Threat Pathology Among Black Americans: Black Pride Antidote Vis-à-Vis Leukocyte Telomere Length (LTL)".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 (4): 398–408. doi:10.1007/s12111-014-9277-6. S2CID 143574951.
  5. ^ Hall, Ronald E.; Pizarro, Jesenia M. (March 2010). "Unemployment as Conduit of Black Self-Hate: Pathogenic Rates of Black Male Homicide via Legacy of the Antebellum". Journal of Black Studies. 40 (4): 653–665. doi:10.1177/0021934708318664. S2CID 144185874.
  6. ^ Weigel, George (21 June 2011). "Maureen Dowd's Catholic Problem". National Review Online. Retrieved 4 July 2016.
  7. ^ Arkes, Hadley (1 November 1996). "Life Watch: Anti-Catholic Catholics". Crisis Magazine. Retrieved 4 July 2016.
  8. ^ Lawler, Phil (13 July 2011). "Anti-Catholic Catholics". Catholic Culture. Trinity Communications. Retrieved 4 July 2016.
  9. ^ Alperin, Richard M. (September 2016). "Jewish Self-Hatred: The Internalization of Prejudice".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44 (3): 221–230. doi:10.1007/s10615-016-0577-2. S2CID 147008248.
  10. ^ Herek, Gregory M. (April 2004). "Beyond 'Homophobia': Thinking About Sexual Prejudice and Stigma in the Twenty-First Century" (PDF). Sexuality Research and Social Policy. 1 (2): 6–24. doi:10.1525/srsp.2004.1.2.6. S2CID 145788359.
  11. ^ Herek, Gregory M.; Cogan, Jeanine C.; Gillis, J. Roy; Glunt, Eric K. (1997). "Correlates of Internalized Homophobia in a Community Sample of Lesbians and Gay Men". Journal of the Gay and Lesbian Medical Association. 2 (1): 17–25. CiteSeerX 10.1.1.582.7247. OCLC 206392016.
  12. ^ Williamson, I. R. (1 February 2000). "Internalized homophobia and health issues affecting lesbians and gay men". Health Education Research. 15 (1): 97–107. doi:10.1093/her/15.1.97. PMID 10788206.
  13. ^ "Self-deprecation". The Free Dictionary. Farlex. Retrieved 2010-06-08.
  14. ^ 자기비하 - 성격과 영성
  15. ^ 자기비하 Dictionary.com에서 자기비하를 정의합니다.
  16. ^ Hill, Matthew. "The Funny Thing About Work". Society for Intercultural Training and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1-20. Retrieved 2011-05-04.
  17. ^ Laye-Gindhu, Aviva; Schonert-Reichl, Kimberly A. (October 2005). "Nonsuicidal Self-Harm Among Community Adolescents: Understanding the 'Whats' and 'Whys' of Self-Harm".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 (5): 447–457. doi:10.1007/s10964-005-7262-z. S2CID 145689088.
  18. ^ Klonsky, D. (2007), "The functions of deliberate self-injury: A review of the evidence",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27 (2): 226–239, doi:10.1016/j.cpr.2006.08.002, PMID 17014942
  19. ^ Muehlenkamp, Jennifer J. (2005). "Self-Injurious Behavior as a Separate Clinical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 (2): 324–333. doi:10.1037/0002-9432.75.2.324. PMID 15839768.
  20. ^ "Understanding Suicide and Self-harm". Psychology Today. Retrieved 2019-02-01.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