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사토시 콘

Satoshi Kon
사토시 콘
今 敏
태어난(1963-10-12)1963년 10월 12일
죽은2010.08.24.(2010-08-24)(46세)
일본 도쿄
기타이름
  • 와니부치 요시히로 ( 鰐淵 良宏)
모교무사시노 미술대학
직업
활동년수1984–2010
배우자.
콘쿄코
(m. 1995)
친척들.곤 츠요시[] (형)
웹사이트konstone.s-kon.net

사토시(, 1963년 10월 12일 ~ 2010년 8월 24일)홋카이도 삿포로시 출신일본의 영화 감독, 애니메이터, 각본가, 만화가이다.[1] 그는 무사시노 미술대학 그래픽 디자인과를 졸업했습니다. 그는 그의 호평을 받은 애니메이션 영화 퍼펙트 블루 (1997), 밀레니엄 여배우 (2001), 도쿄 대부 (2003), 파프리카 (2006)와 TV 시리즈 파라노이아 에이전트 (2004)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10년 8월 24일 췌장암으로 향년 46세를 일기로 별세하였습니다.[2][3]

전기

초기생

콘 사토시는 1963년 10월 12일에 태어났습니다.[4] 그의 아버지의 직장 이전으로 인해, 콘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교육은 삿포로에 기반을 두었습니다. 콘은 만화가 타키자와 세이호의 동급생이자 친한 친구였습니다. 홋카이도 쿠시로 고려 고등학교에 재학 중, 콘은 만화가가 되기를 열망했습니다.[5] 콘은 1982년 무사시노 미술대학의 그래픽 디자인 과정에 입학했습니다.[5]

초기경력

대학 시절, 콘은 단편 만화 토리코(1984)로 만화가로 데뷔했고 영 매거진(고단샤)이 개최한 제10회 지바 테츠야상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5][6][7] 그 후, 는 오토모 카츠히로의 조수로 일을 찾았습니다.[7][8] 1987년 대학을 졸업한 후,[5] 콘은 단권 만화 카이키센(1990)을 썼고 오토모의 실사 영화 월드 아파트 호러(World Apartment Horror)의 대본을 썼습니다.[7]

1991년, 콘은 오토모가 각본을 맡은 영화 "루진 Z"의 배경 디자인과 애니메이터로서 처음으로 애니메이션 작업을 했습니다.[5][7]

1992년부터 오토모 카츠히로 감독의 옴니버스 메모리즈(1995년 개봉)의 세 편의 단편 영화 중 하나인 마그네틱 로즈(모리모토 고지 감독)의 각본가, 레이아웃 아티스트, 배경 디자이너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5][7] 그가 '환상과 현실의 융합'이라는 주제를 작품의 주제로 채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9]

콘은 1993년에 다른 애니메이션 영화들과 함께 Mamoru Oshii의 Pat labor 2: The Movie에서 다섯 명의 레이아웃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일했습니다.[5] 1993-1994 OVA Jojo의 기괴한 모험의 2화에서 주요 애니메이터로 일했고, 5화에서 작가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일했습니다.[10]

그 후 콘은 만화 세라핌에서 오시이 마모루와 함께 작업했습니다. 오시이가 쓰고 콘이 그린 266,613,336의 날개. 이 만화는 1994년부터 월간 애니메이션 잡지인 애니메이지에 연재되었습니다. 그러나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콘과 오시이의 의견이 갈렸고, 시리즈는 중단되고 미완성으로 끝이 났습니다.[11]: 17 이 작품 이후 콘은 만화가로서의 경력을 끝내고 애니메이션 제작에 전념했습니다.

연출

1997년, 콘은 감독 데뷔작인 퍼펙트 블루 (타케우치 요시카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12]영화는 매드하우스가 제작한 콘의 첫 번째 영화였고, 프로듀서 마루야마 마사오는 콘의 조조의 기괴한 모험에 감명을 받아 그를 초대했습니다.[4][13][10][14] 팝 아이돌을 중심으로 한 서스펜스 스토리인 콘은 처음에는 원작을 바탕으로 한 첫 대본에 만족하지 못하고 수정을 요청했습니다.[15][16] 원작자인 타케우치 요시카즈의 허락을 받아, 콘은 소설의 세 요소(아이돌, 공포, 스토커)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가 원하는 어떤 변화도 할 수 있었습니다.[15] 각본은 현실 세계와 상상력 사이의 흐릿한 경계를 생각하며 작업한 [10]무라이 사다유키가 썼습니다.[15]

퍼펙트 블루 이후 콘은 1993년 야스타카 츠츠이 소설 파프리카를 그의 다음 영화로 각색하는 것을 고려했습니다. 그러나 퍼펙트 블루(렉스 엔터테인먼트)의 배급사가 파산하면서 이러한 계획은 중단되었습니다.[17] 공교롭게도 콘의 다음 작품에는 영화 스튜디오가 파산하는 장면도 나옵니다.[15]

2002년, 콘의 두 번째 영화인 밀레니엄 여배우가 대중에게 공개되었습니다. 북미 개봉의 배급사는 드림웍스 계열의 고피쉬 픽처스였습니다. 이 영화는 은퇴한 여배우가 그녀의 경력의 정점에 있을 때 대중의 시선에서 불가사의하게 물러나는 것을 중심으로 합니다. 퍼펙트 블루(약 1억 2천만 엔)와 동일한 추정 예산을 [18]가진 밀레니엄 여배우는 전작보다 더 높은 비평적, 재정적 성공을 거두었고 수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각본은 환상과 현실 사이의 매끄러운 연결을 이용하여 "트롬페일" œ일 종류의 영화를 만든 무라이 사다유키에 의해 쓰여졌습니다. 밀레니엄 여배우는 콘이 오랜 팬이었던 히라사와 스스무가 작곡가로 출연한 최초의 사토시 콘 영화였습니다.[20]

2003년, 콘의 세 번째 작품인 도쿄 대부가 발표되었습니다. 북미 개봉의 배급사는 소니 픽처스 계열의 데스티네이션 필름스였습니다. 이 영화는 크리스마스 이브에 아기를 발견하고 그녀의 부모를 찾아 나서는 도쿄의 노숙자 3인방을 중심으로 합니다. 도쿄 대부들은 곤 감독의 이전 두 편의 영화(약 3억 엔의 예산)보다 제작비가 더 많이 들었으며,[18] 노숙과 버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코미디적인 감각이 작용했습니다.[7][15] 각본은 [21]노부모토 케이코가 썼습니다. 이 작품은 셀룰로이드 애니메이션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습니다.

2004년 콘은 13부작 TV 시리즈 파라노이아 에이전트를 발표했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콘은 상상과 현실의 혼합이라는 주제를 재검토하고 추가적인 사회적 주제를 작업했습니다.[22] 이 시리즈는 콘이 좋다고 느꼈지만 그의 어떤 프로젝트에도 맞지 않았던 이야기와 편곡에 대한 사용되지 않은 아이디어들로부터 만들어졌습니다.[23]

2006년, 파프리카는 몇 년 동안 계획되고 구체화된 후 발표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꿈 분석을 활용하여 정신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형태의 심리 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다수의 영화상을 받았습니다. 콘은 영화를 "키혼테키나 스토리 이가이 와 수베테 카에타"(基本的なストーリー以外は全て変えた)로 요약했습니다. "근본적인 이야기를 제외한 모든 것이 바뀌었다." 콘 감독의 이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꿈과 현실의 시너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18]

2007년 NHK에서 방송된 TV 프로그램 Ani*Kuri15에 참여했습니다. 그의 1분짜리 단편 영화 오하요는 오시이 마모루, 신카이 마코토 등의 작품과 함께 방영되었습니다.[25] 같은 해 곤 회장은 일본 애니메이션 창작자 협회(JaniCA)의 설립을 도왔고 회원으로 활동했습니다.[26]

건강 악화 및 사망

오하요에 이어 콘은 그의 다음 영화인 꿈꾸는 기계를 작업하기 시작했습니다. 2010년 5월, 콘은 췌장암 말기 진단을 받았습니다. 살 수 있는 반년의 시간이 주어졌을 때, 콘은 그의 남은 인생을 그의 집에서 보내기로 선택했습니다. 콘은 죽기 직전 마지막 메시지를 작성했는데, 이것은 그의 가족에 의해 그의 블로그에 올려졌습니다. 콘 장관이 메시지에서 설명했듯이, 그는 자신의 몸이 얼마나 급격하게 수척해지고 황폐해졌는지에 대한 당혹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병에 대한 뉴스를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결과는 곤이 암이 진단된 후 몇 달 만에 말기 상태로 진행됨에 따라 비교적 최근의 공개 행사에서 질병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의 사망 발표가 광범위한 충격과 놀라움을 맞이했다는 것입니다.[27] 콘은 2010년 8월 24일,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3][28] 그가 죽은 후, 콘은 타임지 선정한 2010년 올해의 인물 중에 언급되었습니다. 대런 아로노프스키(Darren Aronofsky)는 그에게 추도사를 썼고, 그것은 그의 애니메이션 경력을 회고하는 일본의 책인 今敏アニメ全仕事 사토시 콘의 애니메이션 작품(Satoshi Kon's Animation Works)에 인쇄되었습니다.

드리밍 머신

2010년 11월, 콘의 작품을 제작했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매드하우스는 미완성 작품인 '유메미루 키카이'를 계속 제작하고, 애니메이션 감독 이타즈 요시미가 감독 대행을 맡는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만화가이자 콘 사토시와 자주 협력하는 타케시 혼다에 따르면, 콘은 영화 제작 도중에 사라졌다고 합니다. 는 마루야마 마사오 프로듀서를 포함한 대부분의 스태프들에게 췌장암에 대해 알리지 않았습니다. 마루야마 씨는 콘 씨의 임종 때 영화 대본을 녹음했고, 완성까지 프로젝트를 볼 것을 약속했습니다.[31] 하지만 2011년 재정적인 이유로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습니다. 2013년 현재 1,500장의 촬영 중 600장만이 애니메이션화 될 정도로 자금난으로 인해 드림머신의 완성이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2012년 오타콘에서, 퍼펙트 블루부터 파프리카까지 콘의 모든 영화에 참여하고 그의 친구이자 협력자였던 매드하우스 설립자 마루야마 마사오는 "불행하게도, 우리는 여전히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인 목표는 그가 합격한 후 5년 안에 받는 것입니다. 저는 지금도 그 목표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32][33][34][35]

2015년 7월, 마루야마는 드림 머신(Dreaming Machine)이 제작 중이지만 콘의 능력과 비슷한 비전에 부합하는 감독을 찾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36]

2016년 8월, 마파 프로듀서 마루야마 마사오는 인터뷰에서 "4~5년 동안 콘의 작품을 완성할 적합한 감독을 계속 찾아다녔습니다. 그가 죽기 전에 스토리보드와 대본, 심지어 키프레임 필름의 일부도 이미 완성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누군가가 콘의 작품을 흉내낼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은 모방일 뿐임이 분명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호소다 마모루가 감독직을 맡았다면 완성된 '꿈꾸는 기계'는 여전히 좋은 작품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곤의 영화가 아니라 호소다의 영화가 될 것입니다. '꿈꾸는 기계'는 다른 사람의 영화가 아니라 그와 그만이 콘의 영화가 되어야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것을 끝내기 위해 "타협"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마침내 이 어려운 결론에 도달하기까지 몇 년을 보냈습니다. 대신, 우리는 콘의 "원초적인 개념"만 가지고, 누군가 그것을 장편 영화로 바꾸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완성된 작품은 100% 그 사람의 작품이 될 수 있으며 저는 괜찮습니다. 콘의 다큐멘터리를 하는 것도 고려했습니다."[34][37]

하지만 마루야마 씨는 제작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닙니다. 그는 "해외에서 온 재능 있는 감독이 프로젝트를 맡을 의향이 있다면, 그것은 완전히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말하며, 프로젝트가 다시 시작될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님을 시사합니다.[38]

테마

'소설과 현실의 혼합'이라는 주제는 콘 사토시의 작품을 상징하는 키워드로, 그는 작품마다 다양한 접근법으로 '소설과 현실'의 관계를 반복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39][40] 퍼펙트 블루, 밀레니엄 여배우, 파라노이아 에이전트, 파프리카 등에서는 허구와 현실의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인물들이 허구와 현실을 오가며 그려졌습니다.[41][42] 도쿄 대부들은 언뜻 '소설과 현실'을 모티브로 다루지 않는 것 같지만, '기적과 우연'의 '소설'이 도쿄 노숙자들의 현실적인 삶에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장치를 갖추고 있습니다.[43] 캐릭터 디자인과 표현 방식 때문에 콘의 작품은 사실주의를 지향하는 것 같습니다.[43] 그러나 콘의 목표는 "실제처럼 보이는 풍경과 사람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처럼 보이는 풍경과 사람들이 갑자기 자신을 '소설'이나 '그림'으로 드러내는 순간을 묘사하는 것"입니다.[43] 오토모나 오시이의 작품 등 그동안 스태프로 참여한 영화에서 순서대로 보여준 사실적인 세계를 그려내는 그의 능력은 '현실에서 허구로의 전환'의 추락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자신의 작품에 활용되고 있습니다.[43] 콘의 작품 속에서 실제처럼 보이는 세계는 현실에 머물러 있지 않고, 관객을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갑자기 낯선 세계로 변합니다.[43] 그가 실사 대신 애니메이션 영화를 고집한 이유입니다.[44]

콘은 여성 캐릭터에 대한 관심을 묻는 질문에 남성 캐릭터와 같은 방식으로 캐릭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여성 캐릭터가 더 쓰기 편하다며 "나의 집착을 캐릭터에 투영하고 묘사하고 싶은 측면을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45] Susan J. Napier는 Tokyo Godfathers에 대한 언급의 틀로, 공연의 주제가 그의 작품에서 하나의 명백한 공통점이지만, 그녀는 남성의 시선에 대한 개념이 더 중요한 논의 주제임을 알게 되었다고 언급합니다. 네이피어는 콘의 시선 사용이 마그네틱 로즈퍼펙트 블루의 제한적이고 부정적인 측면에서 밀레니엄 여배우의 협력적인 시선으로 진화한 후 불확실성과 환상을 드러내는 도쿄 대부의 새로운 유형의 시선에 도달했습니다.[45]

디블로이스 학장은 "콘 사토시는 손으로 그린 매체를 사회적 낙인과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데 사용하여 실제 행동에서 실패했을 수도 있는 방식으로 우리의 복잡성을 조명했습니다. 그것의 대부분은 거칠고 강렬했으며 때로는 악몽과도 같았습니다. 콘은 그의 작품에서 성숙한 소재나 실사적인 감성을 외면하지 않았고, 그의 영화는 항상 '만화'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사이의 매혹적인 중간 지점을 차지할 것입니다."[46]

영향

콘은 2007년 히라사와 스스무의 음악이 그의 표현 스타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16][47] 콘은 히라사와의 음악과 제작에 대한 태도에서 많은 것을 배웠으며, 그가 만들어내는 이야기와 개념의 많은 것은 그의 영향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13][16] 영화의 프랙탈 컨트롤에 대한 콘의 아이디어는 프랙탈 생성 프로그램을 음악 제작에 적용한 히라사와 스스무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48] 히라사와의 가사는 고대 신화와 설화를 심리적으로 해독해온 일본 최고의 중안 심리학 전문가 가와이 하야오의 글과 중안 심리학에 대한 콘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그의 스토리텔링과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47] 퍼펙트 블루(Perfect Blue)부터 중단된 드리밍 머신(Dreaming Machine)까지 콘의 모든 작품은 히라사와의 가사와 노래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49][50][51][52][53][54] 곤의 장례식에서는 밀레니엄 여배우의 주제곡인 히라사와 스스무의 '회전(LOTUS-2)'이 연주됐습니다.[49]

콘은 글쓰기, 그림, 음악,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연극 등 자신의 삶에서 노출된 모든 것에 영향을 받는다고 말합니다.[47] 그는 만화에서 테즈카 오사무오토모 카츠히로, 애니메이션에서 미야자키 하야오, 구로사와 아키라 그리고 영화에서 많은 위대한 일본인과 국제적인 감독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47]

그는 어린 시절에 Astro Boy, The Jungle Emperor, 그리고 Princess Knight와 같은 테즈카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작품에 익숙했습니다.[55]

그는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 팬들이 열광했던 우주전함 야마토(1974), 하이디, 알프스의 소녀(1974), 퓨처보이 코난(1978), 갤럭시 익스프레스 999(1978), 모빌 슈트 건담(1979)과 같은 애니메이션 타이틀의 열렬한 시청자였습니다.[47][55][56][57]

오토모는 그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고, 그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도무: 아이의 꿈과 AKIRA, 특히 도무였는데, 그는 지금까지 읽은 만화 하나만으로 영화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이 될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좋아했습니다.[10][55][56] 또한 오토모 등에 의해 시작된 만화의 신파동[]운동의 영향을 받아 고등학교 시절에는 독서뿐만 아니라 직접 만화를 그리기로 결심했습니다.[55][58] 그는 결코 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수 없는 인물을 중심으로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 이야기를 압도적으로 묘사하는 뉴웨이브의 방식에 의해 깨달음을 얻었습니다.[55][58] 콘은 또한 만화가였을 때 오토모의 조수로 일했기 때문에 그의 그림 스타일이 오토모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59] 애니메이션 업계에 진출한 후, 그는 만화가 오키우라 히로유키, 이노우에 도시유키, 혼다 타케시, 안도 마사시, 아트 세터 와타베 타카시에게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60]

그는 대학을 시작한 이후로 실사 영화만 보고 있었습니다.[10] 그는 대부분의 영화를 비디오로 보고 장면의 설정, 형식, 방향에 따라 만화를 그리는 것을 일상으로 만들었습니다.[10] 그가 본 영화의 90%가 미국에서 만들어졌으며, 그는 할리우드 영화에서 자신만의 시각적 표현 방식에 대해 많이 배웠다고 말했습니다.[12][61] 그러나, 그는 어떤 특정한 영화나 감독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그가 본 모든 것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10][62] 예를 들어, 밀레니엄 여배우는 구로사와의 '의 왕좌',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 참바라 영화 '구라마 텐구'의 주인공, 또는 일본의 위대한 스타 고질라의 이미지를 차용한 장면들이 있습니다.[62] 밀레니엄 여배우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 영화는 조지 로이 힐도살장-파이브(1972)입니다.[4][10][12][62] 그가 대학에 다닐 때,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한 편의 영화가 아니라, '타임 도적'(1981), '브라질'(1985), '문하우젠 남작모험'(1989)[4][10][12] 등 테리 길리엄의 작품 전반이었습니다. 하지만 그가 가장 많이 읽은 작품과 책을 만든 영화 제작자는 구로사와 아키라.[61]

소설에 관해서는 일본의 역사 소설가 시바 료타로의 작품이 곤 전 총리 자신의 일본과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47] 그는 또한 많은 외국어로 번역된 무라카미 하루키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습니다.[47] 그는 소설을 읽기 전에 영화 블레이드 러너(1982)를 본 적이 있고 그의 모든 작품을 읽지는 않았지만 필립 K.은 그가 읽고 싶었던 작가 중 한 명이었고 그의 영향으로 악몽의 이미지에 매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12][18] 는 파프리카를 연출하기 전부터 쓰쓰이 야스타카의 오랜 팬이었고, 특히 20살 무렵 쓰쓰이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읽는 데 영향을 받았습니다.[63] 쓰쓰이의 작품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어디에 영향을 미쳤는지 자신조차 알 수 없을 정도로 근본적인 영향이었습니다.[63] 콘씨에 의하면, 츠츠이 야스타카의 작품의 매력은 "상식으로부터의 일탈"이라고 합니다. 그가 쓰쓰이에게서 배운 것은 "상식의 틀을 의심하는 것"이었습니다.[47]

레거시

콘 감독은 사후에도 전 세계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64] 예술가와 작품들은 그의 사실적인 시각적 표현과 생생한 편집에 영향을 받았습니다.[65] 대런 아로노프스키, 기예르모 토로 등 감독들이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해외 영화인들에 대한 콘 감독의 영향력은 일본보다 더 두드러졌습니다.[64][65][66]

미국의 영화감독 아로노프스키는 콘, 특히 퍼펙트 블루의 영향을 많이 받은 감독 중 한 명입니다.[59][67][68] 2001년 콘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위한 레퀴엠>에서 퍼펙트 블루의 영향을 받은 것 같은 장면은 그것에 대한 오마주이며, 여전히 퍼펙트 블루의 실사판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습니다.[69] 그의 2010년 영화 블랙 스완 또한 퍼펙트 블루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여러 비평가들로부터 지적을 받았지만 아로노프스키는 어떤 직접적인 영향력도 부인했습니다.[67][70]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10년 영화 인셉션 또한 몇몇 평론가들과 학자들에 의해 콘 감독의 파프리카(2006)와 줄거리 유사성, 그리고 비슷한 장면과 등장인물들을 포함하여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되었습니다.[a]

필모그래피

영화

연도 제목 감독. 작가. 애니메이터 메모들
1991 월드 아파트 호러 아니요. 스토리 아니요. 동명의 만화를 각색했습니다.[77]
1991 루진Z 아니요. 아니요. 네. 배경 디자이너 및 키 애니메이터[11]: 16
1992 해셔 멜로스! 아니요. 아니요. 네. 레이아웃 및 키 애니메이터[77]
1993 패트로버2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레이아웃[77]
1995 기억들 아니요. 네. 아니요. 세그먼트: 마그네틱 로즈
배경 디자이너 및 레이아웃도[77]
1997 퍼펙트 블루 네. 아니요. 아니요. 또한 캐릭터[11]: 122 디자이너
2001 밀레니엄 여배우 네. 네. 아니요. 또한 캐릭터[11]: 122 디자이너
2003 도쿄 대부들 네. 네. 아니요. 또한 캐릭터[11]: 123 디자이너
2006 파프리카 네. 네. 아니요. [11]: 124

텔레비전

연도 제목 감독. 작가. 애니메이터 메모들
1993 죠죠의 기묘한 모험 네. 네. 네. 3개의 에피소드; 또한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에피소드의 핵심 애니메이터: "바보 이기와 GEB 은둘 (2부)"
2004 파라노이아 에이전트 네. 네. 아니요. 13개 에피소드; 또한 4개[11]: 123 에피소드의 크리에이터 및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2008 좋은 아침이에요. 네. 네. 아니요.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1분짜리 단편 영화[77].

서지학

만화

연도 제목 메모들
1984 토리코 () 만화 데뷔와 더진시 작품. 제2회 치바 데쓰야상 '신인상'을 수상했습니다.[11]: 14 드림 화석(Dream Fossil) 컬렉션에 영어로 출판되었습니다. 미츠토시 시마부쿠로 만화 토리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78]
1990 바다의 열대 지방 (海帰線) Kodansha에 의해 영 매거진에 출판되었습니다.[11]: 15 2013년 Vertical Comics에 의해 영어로 출판되었습니다.
1990 아키라 미인증 보조 아티스트[11]: 15
1991 월드 아파트 호러 (ワールド・アパートメントホラー) 노부모토 케이코 각본에서 오토모 카츠히로 감독의 동명 영화를 각색. 본편 이후, 이 책은 콘 원작의 훨씬 더 짧은 만화 세 권을 모았습니다: 방문자, 와이라, 조이풀 벨은 마지막으로 도쿄 대부들을 형상화합니다.
1994 세라핌 266613336 날개 (セラフィム 2億6661万3336の翼) 1994년 5월호부터 1995년 11월호까지 진행된 오시이 마모루와의 미완성 콜라보레이션.[11]: 17 [79] 2010년 월간 코믹 류의 기념 부록에 부분적으로 재인쇄되어 같은 해 12월 토쿠마 쇼텐에 의해 만화 형식으로 출판되었습니다.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2015년에 영어로 출판되었습니다.[80][81][82]
1995–1996 오푸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코믹가이에서 격월로 발매된 미완성 만화.[83] 수집되어 2010년 12월에 재발매되었습니다.[84] 다크호스 코믹스에서 2014년에 영어로 출판되었습니다.[85]

기타문예작품

연도 제목 출판인 ISBN 메모들
2002 콘의 음색: "천년 여배우"로 가는 길 (コンズ·トーン: 「千年女優」への道) 쇼분샤 출판사 978-4794965462 그의 두 번째 영화로의 여정을 기록한 전기 형식의 작품.[86] 2013년 재발행.
2002 Chiyoko: Millennial Actress (千年女優画報―『千年女優』ビジュアルブック) 가와데 쇼보 신샤 978-4309905112 매드하우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인 아트는 물론 출연진과 감독의 인터뷰가 담긴 아트북.[87]
2003 Tokyo Godfathers: Angel Book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エンジェルブック) 타카라지마샤 978-4796636803 출연진과 감독의 인터뷰는 물론 캐릭터와 배경미술까지 담은 아트북.[88]
2011 곤 사토시의 애니메이션 작품 (今 敏アニメ全仕事) 지비 주식회사 978-4901841948 인터뷰, 캐릭터 디자인 시트 등이 담긴 회고록.[89]
2012 콘의 톤 II Kon's Tone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단독 판매. 그의 작별 메시지를 포함한 에세이와 스케치 모음.[90][91]
2015 퍼펙트 블루 스토리보드 컬렉션 (今敏 絵コンテ集 퍼펙트 블루) 후쿠칸 978-4835451411 가정용 비디오에서 2008년 출시된 Perfect Blue 한정판과 함께 원래 번들로 제공된 Perfect Blue용 완전한 스토리보드입니다.[92]
2015 꿈의 화석: 콘 사토시의 전모 버티컬 코믹스 978-1941220245 원래 2011년 일본에서 출판되었습니다. 1984년에서 1989년 사이에 출판된 그의 단편 만화 이야기 모음. 토리코, 와이라, 조이풀 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5 콘 사토시의 예술 다크호스 코믹스 978-1616557416 2014년 일본에서 콘의 작품 1982-2010으로 발매. 전체 경력에 걸친 아트북, 미공개 영화 드림 머신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93]

포상

연도 카테고리 지명작업 결과
1984 치바 데쓰야상 슈페리어 뉴커머 토리코(虜) 2등
1997 판타지아 영화제 최고의 아시아 영화 퍼펙트 블루
1998 판타스포토 최고의 영화 - 애니메이션 퍼펙트 블루
국제판타지영화상 지명했다
2000 팡고리아 체인소 어워드 체인소상 퍼펙트 블루 지명했다
2000 비무비 영화제 B-영화상 퍼펙트 블루
2001 일본 문화청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대상 밀레니엄 여배우
2001 판타지아 영화제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밀레니엄 여배우
2001 판타지아 지상파쇄기
2001 시네 드 싯게스 페스티벌 오리엔트 특급상 밀레니엄 여배우
2002 마이니치 영화상 오후지 노부로상 밀레니엄 여배우
2003 애니메이션 고베 연극영화상 밀레니엄 여배우
2003 일본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우수상 도쿄 대부들
2003 마이니치 영화상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도쿄 대부들
2004 애니어워즈 최고의 애니메이션 기능 밀레니엄 여배우 지명했다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뛰어난 연출 지명했다
애니메이션 기능 프로덕션에서 쓰기 지명했다
2004 도쿄 애니메이션상 국내 장편 영화 도쿄 대부들
2006 몽테랄 뉴 시네마 페스티벌 대중의 선택상 파프리카
2006 제6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영화상) 파프리카 지명했다
2007 판타스포토 크리틱스 초이스상(Prémio da Critica) 파프리카
2007 뉴포트비치 영화제 장편 영화상 애니메이션 부문 파프리카
2007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파프리카 지명했다
2007 애니메이션 고베 연극영화상 파프리카
2019 애니어워즈 윈저 매케이상 해당 없음

메모들

  1. ^ 여러 참조에 기인함:[64][71][72][73][74][75][76]

참고문헌

  1. ^ "Japan's Animator Labor Group Legally Incorporates - Anime News Network". Anime News Network. June 6, 2008. Retrieved May 29, 2009.
  2. ^ "今 敏 永眠のお知らせ". KON'S TONE. 今敏. August 25, 2010. Retrieved August 29, 2021.
  3. ^ a b "さようなら". KON'S TONE. 今敏. August 25, 2010. Retrieved August 29, 2021.
  4. ^ a b c d マッドハウス・公式プロフィール (in Japanese). Madhou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6, 2011. Retrieved August 25, 2010.
  5. ^ a b c d e f g "今 敏 (Kon,Satoshi)". KON'S TONE. 今敏.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 2010. Retrieved August 29, 2021.
  6. ^ ちばてつや公式サイト (in Japanese). Retrieved August 26, 2010.
  7. ^ a b c d e f Sevakis, Justin (August 21, 2008). "Interview: Satoshi Kon".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8, 2016. Retrieved October 24, 2008.
  8. ^ "Interview 06 1998年3月 フランスから「パーフェクトブルー」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今敏. Retrieved August 29, 2021.
  9. ^ DVD 메모리 인터뷰
  10. ^ a b c d e f g h i "Interview with Satoshi Kon, Director of Perfect Bl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 2012. Retrieved August 25, 2010.
  11. ^ a b c d e f g h i j k Osmond, Andrew (2009). Satoshi Kon: The Illusionist. Stonebridge Press. ISBN 978-1933330747.
  12. ^ a b c d e Aguiar, Bill (April 25, 2007). "Interview with Satoshi K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4, 2011. Retrieved August 26, 2010.
  13. ^ a b "Interview 02 2002年12月 イタリアから、主に「千年女優」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rch 16, 2007. Retrieved September 17, 2021.
  14. ^ "今敏監督の未完の遺作「夢みる機械」を丸山プロデューサーと平沢進が語ったインタビュー公開中". GIGAZINE. 株式会社OSA. April 23, 2018. Retrieved August 17, 2021.
  15. ^ a b c d e f Mes, Tom (February 11, 2002). "INTERVIEW Satoshi Kon". Midnight Eye. Retrieved August 26, 2010.
  16. ^ a b c "Interview 07 2004年6月 アメリカから、監督作品全般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今敏. Retrieved August 29, 2021.
  17. ^ Gray, Jason (November 20, 2006). "INTERVIEW Satoshi Kon Part2". Midnight Eye. Retrieved August 26, 2010.
  18. ^ a b c d "Interview de Satoshi Kon sur le site Catsuka" (in French). December 10,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8, 2011. Retrieved August 8, 2016.
  19. ^ "Director Satoshi Kon Interview DVJ2.0". Retrieved August 26, 2010.
  20. ^ "Interview 23 2007年6月 アメリカから「パプリカ」について".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1, 2012.
  21. ^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オフィシャルサイト".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0, 2011. Retrieved August 26, 2010.
  22. ^ "Interview with Satoshi Kon". Game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3, 2010. Retrieved August 26, 2010.
  23. ^ "妄想の二「総監督の謎」 監督不在". KON'S TONE. 今敏. Retrieved August 29, 2021.
  24. ^ "Satoshi Kon-ITW-Inter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8, 2010. Retrieved August 26, 2010.
  25. ^ "NHK Launches Ani-Kuri 15". Anime News Network. May 1, 2007. Retrieved August 29, 2013.
  26. ^ "Japan's Animator Labor Group Legally Incorporates". Anime News Network. June 6, 2008. Retrieved August 29, 2013.
  27. ^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January 5, 2011.
  28. ^ Itoh, Makiko (August 26, 2010). "Satoshi Kon's last words". Makiko Itoh: Not a Nameless Cat. Retrieved November 11, 2010. As far as I know there's no translation of the whole document into English out there, so here it is.
  29. ^ Corliss, Richard (December 15, 2010). "Person Of The Year 2010". Time (published September 13, 2010).
  30. ^ "Satoshi Kon Book Adds Message by Black Swan's Aronofsky (Updated)". Anime News Network. August 14, 2023.
  31. ^ Watzky, Matteo. "Takeshi Honda's The Boy and the Heron - Long Interview". Full Frontal. Retrieved December 29, 2023.
  32. ^ Sevakis, Justin (July 28, 2012). "Masao Maruyama/MAPPA Q&A".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January 29, 2013.
  33. ^ "Masao Maruyama, producteur : " Pour moi, l'âge d'or de l'animation japonaise, c'est tous les jours "". Le Monde.fr (in French). Le Monde. July 7, 2017. Retrieved September 12, 2021.
  34. ^ a b "Exploring anime legend Satoshi Kon's unfinished final film". Dazed. March 1, 2018. Retrieved September 12, 2021.
  35. ^ "アニメ『チェンソーマン』でも話題に ヒット作続出の制作スタジオ「MAPPA」とは? (1/2)". Real Sound (in Japanese). blueprint. July 21, 2021. Retrieved September 12, 2021.
  36. ^ Green, Scott. "Madhouse Founder Comments on Satoshi Kon's "Dreaming Machine"". crunchyroll.com. Retrieved September 23, 2020.
  37. ^ "アニメ業界ウォッチング第24回: 今年75歳、やぶれかぶれのアニメ人生! 丸山正雄インタビュー! (2/2)". アキバ総研 (in Japanese). Kakaku.com. August 20, 2016. Retrieved September 12, 2021.
  38. ^ "故・今敏監督の未完『夢みる機械』凍結の理由 丸山正雄プロデューサー言及". シネマトゥデイ (in Japanese). 株式会社シネマトゥデイ. October 22, 2018. Retrieved August 29, 2021.
  39. ^ "本田雄インタビュー 「千年女優」と今 敏 監督の思い出を語る (後編)". アニメ!アニメ! (in Japanese). 株式会社イード. February 22, 2014. Retrieved August 29, 2020.
  40. ^ 藤津亮太 (December 18, 2020). "「虚構と現実」の狭間で…"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2/5)".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August 29, 2021.
  41. ^ 藤津亮太 (December 18, 2020). "「虚構と現実」の狭間で "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3/5)".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August 29, 2021.
  42. ^ タニグチリウイチ (May 10, 2020). "アニメだから表現できた現実と虚構のミックス――没後10年を迎える今敏監督作品を観よう". IGN Japan (in Japanese). 産経デジタル. Retrieved August 29, 2020.
  43. ^ a b c d e 藤津亮太 (December 18, 2020). "「虚構と現実」の狭間で…"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4/5)".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August 29, 2021.
  44. ^ "押井守と今 敏……世界が称賛するアニメ界の巨匠はいかにして伝説となったのか? 代表作で振り返る2人のキャリア". BANGER!!! (in Japanese). ジュピ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February 15, 2020. Retrieved August 29, 2020.
  45. ^ a b Brown, Steven (September 2008). Cinema Anime - "Excuse Me, Who Are You?": Performance, the Gaze, and the Female in the Works of Kon Satoshi by Susan Napier. Palgrave Macmillan. pp. 23–43. ISBN 978-0-230-60621-0.
  46. ^ Solomon, Charles (August 26, 2010). "Satoshi Kon dies at 46; Japanese anime director". Los Angeles Times.
  47. ^ a b c d e f g h "Interview 23 2007年6月 アメリカから「パプリカ」について".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November 27, 2007. Retrieved September 17, 2021.
  48. ^ "【氷川教授の「アニメに歴史あり」】第29回 今敏監督作品が遺したメッセージ". アニメハック (in Japanese). 株式会社エイガ・ドット・コム. August 29, 2020. Retrieved September 17, 2021.
  49. ^ a b 藤津亮太 (December 18, 2020). "「虚構と現実」の狭間で…"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September 17, 2021.
  50. ^ "Interview 14 2002年3月 国内の雑誌から「千年女優」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rch 16, 2007. Retrieved September 17, 2021.
  51. ^ "パーフェクトブルー戦記 その1●発端".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February 3, 2007. Retrieved September 14, 2021.
  52. ^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雑考 -決算2002より- 05".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y 8, 2003. Retrieved September 14, 2021.
  53. ^ "妄想の十三「終わり無き最終回。」 -その7- 誰がおまえの父さんだ".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rch 25, 2007. Retrieved September 14, 2021.
  54. ^ "『パプリカ』今敏監督、爆弾発言?「白人に認められればいいって考え気持ちが悪い」". シネマトゥデイ (in Japanese). 株式会社シネマトゥデイ. November 24, 2006. Retrieved September 14, 2021.
  55. ^ a b c d e "Q&A? -4-".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August 21, 1999. Retrieved September 17, 2021.
  56. ^ a b "Interview 05 1998年2月 アメリカから「パーフェクトブルー」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今敏. Retrieved August 29, 2021.
  57. ^ Giron, Aimee (December 7, 2005). "HT Talks To . . . FilmMaker Satoshi Kon". Sound & Vision. Retrieved August 25, 2010.
  58. ^ a b "今敏監督をしのんで 平尾隆之監督が今監督に教わったこと (3)". アニメハック. 株式会社エイガ・ドット・コム. August 24, 2020. Retrieved August 29, 2020.
  59. ^ a b のざわよしのり (October 4, 2020). "没後10年、世界中のクリエイターに影響を与えた今敏監督の功績 未発表作はどう決着する? (1/2)". リアルサウンド]publisher=. Retrieved August 29, 2021.
  60. ^ "KONTACT BOARD 4 - Re: 「素敵なお土産」いただきました!". KON'S TONE. March 16, 2008. Retrieved August 29, 2021.
  61. ^ a b "Interview 17 2007年4月アメリカから『パプリカ』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rch 16, 2007. Retrieved September 17, 2021.
  62. ^ a b c "Interview 03 2002年12月 カナダから、主に「千年女優」に関するインタビュー".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March 16, 2007. Retrieved September 16, 2021.
  63. ^ a b "Interview 21 2007年7月 オランダから『パプリカ』について". KON'S TONE (in Japanese). 今敏. January 16, 2007. Retrieved September 16, 2021.
  64. ^ a b c "今 敏監督の想い出:The Memory of Kon Satoshi~世界中の監督に尊敬される監督を偲ぶ". BANGER!!! (in Japanese). ジュピ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May 7, 2020. Retrieved August 29, 2020.
  65. ^ a b "日本アニメのアカデミー賞獲得が困難に? なぜ『天気の子』ではなく『失くした体』がノミネートされたのか". BANGER!!! (in Japanese). ジュピ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March 26, 2020. Retrieved August 29, 2020.
  66. ^ 数土直志 (August 24, 2020). "『千年女優』の今 敏監督作品が世界で「千年生き続ける」理由――没後10年に捧ぐ (1/7)". ITmedia ビジネスオンライン (in Japanese). アイティメディア株式会社. Retrieved August 29, 2020.
  67. ^ a b "米タイム誌で"2010年を代表する人"に選ばれた故・今敏監督の影響を受けた話題作とは?". MOVIE WALKER PRESS (in Japanese). 株式会社ムービーウォーカー. February 1, 2011. Retrieved August 29, 2021.
  68. ^ 藤津亮太 (December 18, 2020). "「虚構と現実」の狭間で…"没後10年"今敏監督はアニメで何を描き続けていたのか? (1/5)". 文春オンライン (in Japanese). 文芸春秋. Retrieved August 17, 2021.
  69. ^ "VSダーレン". KON'S TONE. 今敏. January 23, 2001. Retrieved August 29, 2021.
  70. ^ "The cult Japanese filmmaker that inspired Darren Aronofsky". Dazed. August 27, 2015.
  71. ^ Drazen, Patrick (2014). Anime Explosion!: The What? Why? and Wow! of Japanese Animation, Revised and Updated Edition. Stone Bridge Press. p. 339. ISBN 9781611725506 – via Google Books.
  72. ^ Wardlow, Ciara (March 2, 2017). "The Synergy of 'Inception' and 'Paprika'". Film School Rejects.
  73. ^ Rizzo-Smith, Julian (August 24, 2018). "An Ode to Anime Auteur Satoshi Kon". IGN.
  74. ^ Horner, Joshua (January 26, 2014). "20 Suspiciously Similar Movie Scenes You Never Noticed". WhatCulture. p. 4.
  75. ^ Boone, Steven (July 16, 2010). "'Inception': As eye-catching, and as profound, as an Usher concert". Politico. Retrieved January 24, 2019.
  76. ^ Emerson, Jim (July 17, 2010). "Inception: Has Christopher Nolan forgotten how to dream?". RogerEbert.com. Retrieved January 24, 2019.
  77. ^ a b c d e "A Tribute to Satoshi Kon". Catsuka. Retrieved December 6, 2013.
  78. ^ "Satoshi Kon's Short Manga Stories to be Published (Updated)". Anime News Network. December 22, 2010. Retrieved August 20, 2013.
  79. ^ "UNRELEASED COMIC". KON'S TONE. 今敏. Retrieved August 29, 2021.
  80. ^ "Kon's Tone 月刊COMICリュウ 12月号" [Kon's Tone December issue Monthly Comic Ryū] (in Japanese). October 19, 2010. Retrieved February 14, 2014.
  81. ^ "Satoshi Kon's Seraphim, Opus Manga Reprinted". Anime News Network. December 8, 2010. Retrieved February 14, 2014.
  82. ^ Oshii, Mamoru; Kon, Satoshi (December 4, 2014). セラフィム 2億6661万3336の翼 [Seraphim: 266,613,336 Wings] (in Japanese). Tokyo: Tokuma Shoten. pp. 6, 231. ISBN 978-4-19-95022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7, 2014. Retrieved February 14, 2014.
  83. ^ "Opus – Satoshi Kon Manga Book Review". Halcyon Realms. July 6, 2013. Retrieved December 6, 2013.
  84. ^ "【コミック】OPUS(オーパス) (上) (Opus)". Anime Onlineshop. Retrieved December 6, 2013.
  85. ^ "Satoshi Kon's OPUS TPB :: Profile". Dark Horse Comics. Retrieved February 17, 2014.
  86. ^ "In remembrance of Satoshi Kon". August 24, 2015. Retrieved July 8, 2016.
  87. ^ "The Art of Satoshi Kon's Millennium Actress". Halcyon Realms. May 29,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18. Retrieved July 8, 2016.
  88. ^ "The Art of Tokyo Godfathers - Satoshi Kon". Halcyon Realms. July 8,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18. Retrieved July 8, 2016.
  89. ^ "The Anime Works of Satoshi Kon Book Review". Halcyon Realms. January 9,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18. Retrieved July 29, 2016.
  90. ^ "CATSUKA - KON'S TONE II Satoshi Kon notebook. Collection of..." Tumblr. August 17, 2012. Retrieved July 29, 2016.
  91. ^ "'Kon's Tone II', segundo volumen de materiales de Satoshi Kon". Crunchyroll (in Spanish). August 17,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0, 2018. Retrieved July 29, 2016.
  92. ^ "Perfect Blue Storyboard Collection Art Book Review". Halcyon Realms. April 1,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18. Retrieved July 8, 2016.
  93. ^ "Kon's Work 1982-2010 - Kon Satoshi Art Book Review". Halcyon Realms. January 7,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0, 2018. Retrieved July 8, 2016.

더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