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세아루벤스
Picea rubens붉은 가문비나무 |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플랜태 |
Clade: | 기관지 식물 |
(순위 미지정): | 나체배아목 |
중분류: | 피노피타 |
클래스: | 피놉시다속 |
주문: | 피날레스 |
패밀리: | 피나과 |
속: | 피체아 |
종류: | P. 루벤스 |
이항명 | |
피세아루벤스 | |
동의어[2] | |
|
흔히 붉은 가문비나무로 알려진 피체아 루벤스는 북아메리카 동부에 자생하는 가문비나무의 일종으로, 퀘벡과 노바스코샤, 서쪽은 애팔래치아 산맥, 남쪽은 뉴잉글랜드, 서쪽은 노스캐롤라이나에 [3][4][5]걸쳐 분포한다.이 종은 노란 가문비나무, 웨스트버지니아 가문비나무, 동부 가문비나무, 그리고 [6][7]발삼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묘사
붉은 가문비나무는 [8]여러해살이풀로 그늘에 잘 견디는 늦은 연속 원추나무로[9] 최적의 조건에서 18-40m(59-131ft) 높이와 약 60cm(24인치)의 줄기 지름까지 자라지만, 예외적인 표본은 높이가 46m(151ft)이고 지름이 100cm(39인치)에 이를 수 있다.그것은 좁은 원추형의 왕관을 가지고 있다.잎은 바늘처럼 황록색이고길이 12~15mm(15µ32~19µ32인치)의 4면 곡선으로 뾰족한 끝이 있으며 나뭇가지 모든 측면에서 뻗어 있습니다.그 나무껍질은 표면은 회갈색이고 안은 적갈색이며 얇고 비늘이 있다.나무는 가볍고 부드러우며, 좁은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약간 붉은 [10]색조를 띠고 있다.원추는 원통형으로 길이 3~5cm(1+1⁄4–2인치)이며, 광택이 나는 적갈색이며 비늘이 뻣뻣하다.나뭇가지에 [3][4][5][11]원뿔이 늘어져 있다.
서식지
붉은 가문비나무는 천천히 자라거나 중간 정도의 속도로 자라며 250년에서 450년 이상 살며 어린 [12]시절에는 그늘에 잘 견딘다.그것은 종종 동부 흰 소나무, 발삼나무 또는 검은 가문비나무가 섞인 순수한 가판대나 숲에서 발견됩니다.프레이저 전나무와 함께 붉은 가문비나무는 남부 애팔래치아 [13]산맥의 가장 높은 고도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생태계인 남부 애팔래치아 가문비나무 숲의 두 가지 주요 나무 중 하나입니다.서식지는 습기가 많지만 물이 잘 빠지는 모래땅이며, 종종 고도가 높다.붉은 가문비나무는 바람과 산성비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눈에 띄는 붉은 가문비나무 숲은 웨스트버지니아에 위치한 가우딘어 풍경 지역, 가나안 계곡, 로어링 플레인스 웨스트 와일드니스, 돌리 소즈 와일드니스, 가문비나무 산, 가문비나무 노브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이전의 광범위한 가문비나무 숲의 모든 유적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이 숲의 일부 지역, 특히 로어링 플레인즈 웨스트 와일드니스, 돌리 소즈 와일드니스 그리고 스프루스 산의 지역들이 상당히 회복되고 있습니다.
관련종
검은 가문비나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3][4][5] 이들의 서식지가 만나는 곳에서 잡종이 자주 발생한다.유전자 자료에 따르면 붉은 가문비나무는 플레이스토세 동안 [14][15]빙하로 인해 검은 가문비나무에서 분화되었다고 한다.
사용하다
붉은 가문비나무는 크리스마스 트리에 사용되며 종이 펄프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목재이다.또한 뛰어난 톤우드이며, 많은 고급 어쿠스틱 기타와 바이올린, 그리고 음악 사운드보드에도 사용됩니다.그 수액은 가문비껌을 [11]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잎이 무성한 붉은 가문비나무 가지를 설탕과 향료로 끓여 가문비 [16]맥주를 만든다.또한 가문비 푸딩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건축용 목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앗간이나 [17]나무상자에도 적합합니다.
손상 요인
대부분의 나무와 마찬가지로 붉은 가문비나무도 곤충 기생에 걸리기 쉽다.그들의 곤충의 적은 가문비나무와 전나무에게는 더 큰 문제이지만 [18]가문비나무 싹벌레이다.붉은 가문비 피해를 주고 있는 다른 문제들은 산성비의 증가와 현재의 기후 [19]변화이다.
산성비 퇴적의 결과 중 하나는 토양 교환성 칼슘의 감소와 알루미늄의 증가이다.이것은 산성 침전이 숲 생태계의 양이온과 영양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산성비의 성분인+ H, NO3−, SO는42- 나무의 칼슘 흡수를 제한하고 알루미늄의 [20]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칼슘 농도는 질병 저항성, 신호 변환, 막과 세포벽 합성 및 기능, 기공 조절 등 생리적 과정의 붉은 가문비나무에 중요하다.반대로, 용해된 알루미늄은 독성이 있거나 칼슘과 다른 영양소의 뿌리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생태계와 커뮤니티 수준에서 칼슘 가용성은 커뮤니티 구성, 성숙한 나무 성장 및 생태계의 생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첨가된 알루미늄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한 한 연구는 이러한 조건에서 P. 루벤스 [21]사망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침출된 칼슘과 내한성 [22]감소로 인해 높은 높이의 붉은 가문비나무가 손실되는 원인이 되었다.또한 가문비나무 바늘의 구조는 수분과 입자의 포집력을 향상시켜 토양 산성화, 영양소 침출, 산림 [23]쇠퇴를 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다 최근에는, 산성 퇴적물의 감소가 미국 북동부의 일부 산악 지역에서 붉은 가문비나무의 부활에 기여하고 있다.붉은 가문비나무 성장의 증가는 강우량 pH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부피 산성 침적을 감소시킨다.이는 단풍나무 등 토양 산성화에 민감한 다른 종은 여전히 감소하고 있지만,[22] 이 지역의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보존.
중앙 애팔래치아 가문비나무 복원 이니셔티브(CASRI)[24]는 애팔래치아 중부의 고지대 경관을 가로지르는 역사적인 붉은 가문비나무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파트너를 결속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이 다양한 그룹을 구성하는 파트너는 애팔래치아 산 조인트 벤처, 애팔래치아 지역 산림 재생 이니셔티브, 가나안 밸리 국립 야생동물 보호국, 산악 연구소, 자연 보호, 트라우트 언리미티드, 미국 산림청 북부 연구소입니다.가헬라 국립숲, 웨스트버지니아 자연자원부, 웨스트버지니아 산림부, 웨스트버지니아 고원 보수부, 웨스트버지니아 주립공원, 웨스트버지니아 [25]대학교 등이 있습니다.
1800년대 후반 이전에는 웨스트버지니아에 60만 헥타르의 붉은 가문비나무가 있었다.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 이 주에서 엄청난 양의 벌목이 시작되었고 붉은 가문비나무의 수는 12,000 헥타르 (30,000 에이커)로 줄어들었습니다.실비 재배는 잃어버린 붉은 가문비나무의 [26]개체수를 회복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 서부에서 붉은 가문비나무의 생육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몰리 타트가 미국 독립 혁명의 딸들을 대표해서 쓴 것입니다.브레바드 노스캐롤라이나에 사는 타르트는 미국 독립전쟁 때 희생된 사람들의 기념물로 DAR에 의해 심어진 잃어버린 붉은 가문비나무 피스가 숲을 찾는 임무에 착수했다.50,000그루의 나무로 구성된 이 숲은 1940년에 헌정되었고 타르트가 [citation needed]숲을 찾아 식별할 때까지 최근까지 잊혀졌다.
레퍼런스
- ^ Farjon, A. (2013). "Picea ruben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3: e.T42335A2973542. doi:10.2305/IUCN.UK.2013-1.RLTS.T42335A2973542.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Picea rubens Sarg.".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WCSP). Royal Botanic Gardens, Kew – via The Plant List.
- ^ a b c 파존, A.(1990년)피나과. 도해 및 속 설명콜츠 사이언티픽 북스 ISBN 3-87429-298-3.
- ^ a b c d Taylor, Ronald J. (1993). "Picea rubens".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Vol. 2. New York and Oxford – via eFloras.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 ^ a b c Earle, Christopher J., ed. (2018). "Picea rubens". The Gymnosperm Database.
- ^ Blum, Barton M. (1990). "Picea rubens". In Burns, Russell M.; Honkala, Barbara H. (eds.). Conifers. Silvics of North America. Washington, D.C.: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USF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Vol. 1 – via Southern Research Station.
- ^ Peattie, Donald Culross (1948-01-01). A Natural History of Trees of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Houghton Mifflin Harcourt. p. 51. ISBN 0-395-58174-5.
- ^ "Red Spruce (Rubens)". Garden Guides. Retrieved 27 February 2014.
- ^ Dumais, D; Prevost, M (June 2007). "Management for red spruce conservation in Quebec: The importance of som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review". Forestry Chronicle. 83 (3): 378–392. doi:10.5558/tfc83378-3. ProQuest 294760995.
- ^ "Red Spruce" (PDF). USDA NRCS. Retrieved 26 February 2014.
- ^ a b "Red Spruce". A handbook of Maritime trees. Atlantic Forestry Cent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8-18.
- ^ "Eastern OLDLIST: A database of maximum tree ages for Eastern North America".
- ^ White, Peter (2006). "Boreal Forest". Encyclopedia of Appalachia.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pp. 49–50.
- ^ Juan P. Jaramillo-Correa & Jean Bousquet (2003), "New evidence from mitochondrial DNA of a progenitor-derivative species relationship between black and red spruce (Pin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0 (12): 1801–1806, doi:10.3732/ajb.90.12.1801, PMID 21653356
- ^ Isabelle Gamache, Juan P. Jaramillo-Correa, Sergey Payette, & Jean Bousquet (2003), "Diverging pattern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diversity in subarctic black spruce: imprint of a founder effect associated with postglacial colonization", Molecular Ecology, 12 (4): 891–901, doi:10.1046/j.1365-294x.2003.01800.x, PMID 12753210, S2CID 20234158
{{citation}}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Little, Elbert L. (1980).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Eastern Region. New York: Knopf. p. 285. ISBN 0-394-50760-6.
- ^ "Red Spruce". The Wood Database. Retrieved 27 February 2014.
- ^ 생명 백과사전의 '붉은 가문비나무'
- ^ Houle, Daniel (2012). "Compositional vegetation changes and increased red spruce abundance during the Little Ice Age in a sugar maple forest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Plant Ecology. 213 (6): 1027–1035. doi:10.1007/s11258-012-0062-0. S2CID 15104515.
- ^ Schaberg, P. G.; DeHayes, D. H.; Hawley, G. J.; Strimbeck, G. R.; Cumming, J. R.; Murakami, P. F.; Borer, C. H. (2000-01-01). "Acid mist and soil Ca and Al alter the mineral nutrition and physiology of red spruce". Tree Physiology. 20 (2): 73–85. doi:10.1093/treephys/20.2.73. ISSN 0829-318X. PMID 12651475.
- ^ Kobe, Richard K; Likens, Gene E; Eagar, Christopher (2002-06-01). "Tree seedling growth and mortality responses to manipulations of calcium and aluminum in a northern hardwood forest".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2 (6): 954–966. doi:10.1139/x02-018. ISSN 0045-5067.
- ^ a b Wason, Jay W.; Beier, Colin M.; Battles, John J.; Dovciak, Martin (2019). "Acidic Deposition and Climate Warming as Drivers of Tree Growth in High-Elevation Spruce-Fir Forests of the Northeastern US". Frontiers in Forests and Global Change. 2. doi:10.3389/ffgc.2019.00063. ISSN 2624-893X.
- ^ Pierret, Marie-Claire; Viville, Daniel; Dambrine, Etienne; Cotel, Solenn; Probst, Anne (2019-04-01). "Twenty-five year record of chemicals in open field precipitation and throughfall from a medium-altitude forest catchment (Strengbach - NE France): An obvious response to atmospheric pollution trends". Atmospheric Environment. 202: 296–314. Bibcode:2019AtmEn.202..296P. doi:10.1016/j.atmosenv.2018.12.026. ISSN 1352-2310.
- ^ Burks, Evan (Dec 2010). "Return of the Red Spruce". Wonderful West Virginia. 74 (12): 6–11.
- ^ Bove, Jennifer. "Appalachian Red Spruce Forest". Retrieved 27 February 2014.
- ^ Rentch, James; T. Schuler; M. Ford; G. Nowacki (September 2007). "Red Spruce Stand Dynamics, Simulations, and Restoration Opportunities in the Central Appalachians". Restoration Ecology. 15 (3): 440–452. doi:10.1111/j.1526-100x.2007.00240.x. ProQuest 289371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