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살라스 라라자발
María Salas Larrazábal마리아 살라스 라라자발 | |
---|---|
2004년 7월 | |
태어난 | 마리아 프리스타시온 살라스 라라자발 22년 11월 22일 부르고스, 스페인 |
죽은 | 2008년 11월 15일 스페인 마드리드 | 85)
기타 이름 | 메리 살라스 |
직업 | 작가, 기자 |
마리아 프리스타시온 살라스 라라자발(1922년 11월 22일~2008년 11월 15일)은 스페인의 작가 겸 언론인으로 성인교육을 전문으로 하며 여성평등의 선구자였다.그녀는 가톨릭 활동과 연계되었고 NGO 마노스 우니다스 es]의 초대 회장이었다 평등을 위한 투쟁의 핵심 [1]인물인 그녀는 1960년 스페인 현대 성 연구의 선구자인 여성사회학 세미나를 공동 창립했고, 1986년 자신이 주재한 여성학 포럼을 추진했다.
경력
마리아 프리스타시온 살라스 라라자발은 1922년 부르고스에서 태어났다.그녀의 아버지는 장군이었다.[2]그녀는 철학과 문학 es 을 공부했고, 여성이 거의 대학에 다니지 않는 시기에 셈어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는 또한 관립학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했다[3]
카톨릭행동 상급여성회의 부의장을 지냈으며, 세계 가톨릭여성단체연합(World Union of Catholic Women's Organization) 성인교육위원회(Union Mundial de Organes Femeninas Catolicas; UMOFC)를 맡아 h 형상을 형성하는 다양한 생활여건을 경험했다.나중에 쓰는 글그녀는 또한 마드리드에서 여학생들을 위한 몇 안 되는 대학 기숙사 중 하나를 감독했다.[3]
평생 동안 그녀는 20년 이상 국가 지도자로 활동했던 가톨릭 행동과 1968년까지 그녀가 주재했던 대중 문화 센터와 연결되었다.
1960년에는 마리아 라피테의 지원과 릴리 알바레스, 엘레나 카테나, 콘수엘로 데 라 간다라의 참여로 여성사회학 세미나를 공동 창립하였다.온건하고 지적인 페미니즘의 핵이 되었고, 스페인 현대 성학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4]
마노스 우니다스 공동창립자
또한 1960년에 살라스는 마노스 우니다스 ]의 창립자 중 한 사람이자 최초의 국가 대통령이었으며 필라르 벨로시요(제2차 바티칸 평의회의 유일한 스페인 여성 감사관)와 함께 세계 가톨릭 여성 단체 연합의 근본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녀는 스페인에서 기아 퇴치 운동을 시작하는데 책임이 있었고, UMOFC의 1955년 기초 선언문에 포함된 아이디어를 퍼뜨린 초기 기사들을 많이 썼다.
1968년, 그녀는 여성 문제를 홍보하는 임무를 띠고 필라르 벨로시요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여행을 갔다.킨샤사에서 회의를 가진 후, 그들은 아이보리 코스트, 카메룬, 세네갈을 방문하여 새로운 독립 시대의 가톨릭 지도자들을 훈련시켰다.앞서 이들은 유네스코가 지급한 지도자 양성을 위한 1개월 과정의 코스로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멕시코를 순회했다.
살라스의 임무 중 그녀에게 가장 깊은 흔적을 남긴 것은 그녀를 인도로 인도한 임무였다.회고록에서 설명했듯이
마지막 기근은 엄청난 기근이었다.로마에서 우리는 카톨릭 행동으로부터 수집품을 만들도록 요구받았다.그것은 고통스러운 상황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었다.우리는 1억 1천만 페세타를 벌어들였다.우리는 인디라 간디에게 그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물어보는 편지를 썼다.그들은 우리에게 봄베이 항에 온 원조를 실어 나르라고 쌀과 차량을 알려주었다.[5]
1977년 호아킨 루이스 기메네스가 이끄는 좌파 민주당 소속 부르고스 하원의원 후보였다.
그녀는 에클레시아와 비다 누에바 ] 잡지에 부지런히 글을 썼고 잡지 시그노의 신간에서 단골 칼럼니스트였다.그녀는 2008년 6월 병으로 글쓰기에서 은퇴했다.
여성 인권에 대한 헌신
1959년 살라스는 결혼하지 않기로 한 여성들을 위해 헌정된 첫 작품인 노소트라스, 라스 솔테라스를 출간했다.그녀의 전기 작가는 그녀가 이 개인적인 선택지를 고상하게 하고 "많은 농담에 등장한 고리타분한 스팽스터들"[3]로부터 멀리하고 싶었다고 설명한다.
1960년, 그녀는 기독교 민주당 사회의 온건한 페미니즘과 보다 비타협적인 페미니즘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던 스페인의 선구적인 성평등 연구 단체인 마리아 라피트(Miaa Lafitte)가 추진한 여성사회학 세미나를 공동 창립했다.[4]
교황 비오 12세는 여성의 권리에 대한 헌신에서 그녀를 격려했다.페드로 미겔 라메는 알란다르에서 그녀에게 바친 헌사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떠올렸다.
1950년대에 우리는 가톨릭 여성들이 모든 공간을 차지하도록 장려했다.그는 레이 페미니즘의 힘을 보았기 때문에 기독교 페미니즘을 제시하고 싶었다.그는 여성들이 야생 세계를 인간으로 바꾸기 위해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나는 로마에서 그것을 듣고 이것이 스페인의 여자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았다. 우리는 권리가 없다.[1][5]
1986년 살라스는 필라 벨로시요, 돌로레스 알레산드레, 마리페 라모스와 함께 기독교 여성들이 유럽 네트워크와 함께 새로운 에큐메니컬 지평을 탐험할 수 있는 공간인 여성학 포럼(Foro de Estudios sobre la Mujer; FEM)의 창설을 추진하였다.[6][7]
수상 및 인정
- 1996년 알란다르 잡지의 상, 여성의 권리를[8] 위해 지칠 줄 모르는 일을 한 공로로
- 2001년 마드리드 지역사회 여성평의회가 주최한 '21세기 길을 연 20세기 여성 100인' 전시회에 그녀의 이름이 포함되었다.
- 2004년 브라보[9]! 스페인 성공회로부터 "사회와 교회에서 여성의 존엄성과 사명을 증진하기 위해 출판과 저널리즘 분야에서 오랫동안 개인적이고 유익한 경력을 쌓은 공로로 상을 받았다.이것은 크나큰 기독교적, 교회적 헌신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말했다.[10]
출판물
- 노소트라, 라스 솔테라스(1959년).후안 플로스, 편집자레만소 컬렉션.
- 데 라 프로모시온 데 라 무헤르 아 라 테로시아 페미니스트: 쿠아렌타 아뇨스 데 역사 (1993)
참조
- ^ a b Lamet, Pedro Miguel (16 November 2008). "Ellacuría y Mary Salas: abrazo en el cielo" [Ellacuría and Mary Salas: Embrace in the Sky]. Revista 21 (in Spanish).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Diario YA se une al dolor por la pérdida de Mary Salas" [Diario YA Feels the Pain For the Loss of Mary Salas]. Ya (in Spanish). Madrid. 24 November 2008.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a b c González, Angélica (7 November 2013). "Mary, católica y feminista" [Mary, Catholic and Feminist]. Diario de Burgos (in Spanish). Burgos.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a b de la Fuente, Inmaculada (24 January 2012). "Elena Catena, impulsora de la literatura femenina" [Elena Catena, Promoter of Women's Literature]. El País (in Spanish).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a b "Mary Salas: 'Nunca tiene nadie toda la razón'" [Mary Salas: 'Nobody is Ever Right']. Alandar (in Spanish). 11 November 2006.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via Redes Cristianas.
- ^ "Teología femenina y feminista en España" [Feminine and Feminist Theology in Spain]. Alandar (in Spanish). No. 279. 1 June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7.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Moleón, P. (20 September 2014). "Entrevista a la teóloga Mª José Arana, RSCJ, premio Alandar 2.014: 'Me duele la lentitud y el inmovilismo eclesial con respecto a la mujer'" [Interview with Theologian Mª José Arana, RSCJ, Alandar 2.014 Award: 'I feel the slowness and ecclesiastical immobility with respect to women']. Alandar (in Spanish).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via Redes Cristianas.
- ^ "Premios alandar". Alandar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7.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Ortega, Joaquín L. (20 November 2008). "Mary Salas, una fémina valiosa y comprometida" [Mary Salas, a Valuable and Committed Woman]. Vida Nueva (in Spanish). No. 2.637. Retrieved 26 September 2017.
- ^ "Acta de la concesión de los 'Premios ¡Bravo!' año 2004" [Act of Granting the 2004 'Bravo! Awards'] (in Spanish). Episcopal Conference of Spain. 23 June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pril 2010. Retrieved 26 September 2017.
추가 읽기
- 암파로 에체베리아에 의한 그녀의 전기와 본문의 편집Mary Salas con sus palabras 1922–2008 [Mary Salas in Her Words 1922–2008] (in Spanish). Salas Larrazábal Famil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