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오신 에센셜 라이트 체인(ELC), 심실/심실 이소폼은 인간에서 MYL3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이다.[5][6][7] 이 심실/저속 골격 ELC 이소형은 빠른 골격근(MYL1)과 심장 심방근(MYL4)으로 표현된 것과 구별된다. 심실 ELC는 미오신 분자의 일부분이며 심장근육수축을 조절하는데 중요하다.
심실 ELC는 21.9 kDa이고 1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여기서 인간 MYL3 시퀀스 특징 참조). Cardiac ELC와 두 번째 라이트 체인인 규제용 라이트 체인(RLC, MYL2)은 모두 알파(MYH6)와 베타(MYH7)의 [8]9nm S1-S2 레버 암에 있는 IQXXXR-XXXR 모티브에 비균등 결합되어 있다. 두 개의 라이트 체인은 모두 EF-핸드 단백질 집단의 일원으로, 알파-헬리컬 링커로 연결된 두 개의 구상 영역에 나선-루프-헬릭스 모티브를 가지고 있다. EF 핸드 모티브는 칼슘과 같은 분열 이온을 결합하는 데 특화되어 있지만 심장 ELC는 생리적 수준에서 칼슘을 결합시키지 않는다.[9] 심장 ELC의 N-단자 영역은 리신 잔류물(아미노산 4-14)이 풍부하고 후속 고유 구조가 프롤라인-앨라닌 반복(아미노산 15-36)에 의해 관리된다는 점에서 기능적으로 독특하다.
함수
연구는 myosin 크로스브리지 운동학의 모듈레이터로서 ELC에 대한 증거를 제공했다. 리신이 풍부한 N-terminal 펩타이드(아미노산 5-14)로 심근균을 치료하면 최소 칼슘 농도 이하에서 심근균 MgATPase 활성도가 극미량 증가했으며,[10] ELC의 이 부위가 작용에 대한 미오신의 친화력을 변조한다는 것이 추가 연구 결과 입증되었다.[11]
임상적 유의성
MYL3의 돌연변이는 가족성 비대성 심근증의 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중좌심실형 비대증과 관련이 있다.[12] 현재까지 MYL3의 5가지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M149V, R154H, E56G, A57G, E143K.[13][14][15][16] 이 모든 클러스터는 4개의 EF-hand 도메인 중 2개 주위에 있으므로 정상 심장 기능을 위해 이러한 영역의 적절한 순응이 필요하다.[12]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hi Q, Li RK, Mickle DA, Jackowski G (November 1992). "Analysis of the upstream regulatory region of human ventricular myosin light chain 1 gene".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24 (11): 1221–9. doi:10.1016/0022-2828(92)93089-3. PMID1479618.
^Cohen-Haguenauer O, Barton PJ, Van Cong N, Cohen A, Masset M, Buckingham M, Frézal J (February 1989). "Chromosomal assignment of two myosin alkali light-chain genes encoding the ventricular/slow skeletal muscle isoform and the atrial/fetal muscle isoform (MYL3, MYL4)". Human Genetics. 81 (3): 278–82. doi:10.1007/bf00279004. PMID2784124. S2CID6703175.
^Stepkowski D, Efimova N, Paczyņska A, Moczarska A, Nieznańska H, Kakol I (June 1997). "The possible role of myosin A1 light chain in the weakening of actin-myosin interac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Protein Structure and Molecular Enzymology. 1340 (1): 105–14. doi:10.1016/s0167-4838(97)00031-9. PMID9217020.
^Poetter K, Jiang H, Hassanzadeh S, Master SR, Chang A, Dalakas MC, Rayment I, Sellers JR, Fananapazir L, Epstein ND (May 1996). "Mutations in either the essential or regulatory light chains of myosin are associated with a rare myopathy in human heart and skeletal muscle". Nature Genetics. 13 (1): 63–9. doi:10.1038/ng0596-63. PMID8673105. S2CID742106.
Henry GD, Trayer IP, Brewer S, Levine BA (April 1985).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alpha-N-trimethylalanine as the N-terminal amino acid of light chains from vertebrate striated muscle myosins".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48 (1): 75–82. doi:10.1111/j.1432-1033.1985.tb08809.x. PMID3979397.
Kovalyov LI, Shishkin SS, Efimochkin AS, Kovalyova MA, Ershova ES, Egorov TA, Musalyamov AK (July 1995). "The major protein expression profile and two-dimensional protein database of human heart". Electrophoresis. 16 (7): 1160–9. doi:10.1002/elps.11501601192. PMID7498159. S2CID32209361.
Poetter K, Jiang H, Hassanzadeh S, Master SR, Chang A, Dalakas MC, Rayment I, Sellers JR, Fananapazir L, Epstein ND (May 1996). "Mutations in either the essential or regulatory light chains of myosin are associated with a rare myopathy in human heart and skeletal muscle". Nature Genetics. 13 (1): 63–9. doi:10.1038/ng0596-63. PMID8673105. S2CID742106.
Takeuchi K, Senba S, Furukawa K, Eto M, Morita F (February 1999). "Localization of 17-kDa myosin light chain isoforms in cultured aortic smooth muscle cells". Journal of Biochemistry. 125 (2): 334–42. doi:10.1093/oxfordjournals.jbchem.a022291. PMID999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