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철도

Korean State Railway
국유철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DPRKRailway -vector.svg
North korea railways.pn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도
개요
본부펑양 시
로캘북한
작업일자1946-현재
전임자
기술
트랙 게이지1,435 mm (4ft 8+12 인치)
762mm(2ft 6인치)
1,520 mm (4 ft 11+2732 in) (듀얼 게이지 투망강에서 나진까지)
전기화3000V DC(1,435mm)
1500V DC(762mm)
길이4,725km(2,936mi)(1,435mm)
523km(325mi)(762mm)
134km(83mi)(1,105mm)
국유철도
조선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한차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鐵道省
수정 로마자 표기법조선민주의인민공화국천도성
매쿠네-라이샤워조선민주항쟁기인민공화국천도성
단축명
조선글
국철
한차
國鐵
수정 로마자 표기법국철
매쿠네-라이샤워국철

The Korean State Railway (Korean: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MR: 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Ch'ŏldosŏng; lit. 흔히 국철( of, MR:국철)이라 불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철(國 railway)은 북한[1] 철도부의 운영 기관으로, 본사가 펑양(平陽)에 있다. 현 철도부 장관은 송창준이다.

역사

1945-1953: 해방과 분열과 한국전쟁

북한의 철도 노선은 원래 한국의 선택된 정부 철도(Sentetsu), 남만주 철도(Mantetsu)과 선택된 철도(Chōtetsu)등 다양한 개인 소유 철도 회사에 의해 일제 강점기에 지어졌다. 태평양 전쟁의 끝, 오늘날의 북한 Sentetsu의 영토에, 그리고 413.2 km(256.8 mi)762위 mm(30.0에)협궤;이와 같은 영토[2]에서, 개인 소유 철도 회사의 678.4 철도 노선의 851.5 km(529.1 mi)를 소유한 철도의 2,879.3 km(1,789.1 mi), 2,466.1 km(1,532.4 mi)은 표준 궤간을 소유했다. km (421.5 mi)는 표준 게이지였고, 173.1 km (167.6 mi)는 좁은 게이지였다.[2] 동시에 북한의 미래 영토인 1945년 9월엔 기관차 678대(증기탱크 124대, 연성 446대, 협궤증기 99대, 전기기관차 8대)와 증기기관차 1대, 동력철도 29대, 승용차 747대, 화물차 6928대가 있었다.[2]

1945년 8월 38선을 따라 한국이 소련과 미국의 점령지역으로 공식 분할되면서 경운선과 경운기선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3] 그러나 8월 26일부터 소련군은 사리원 북쪽의 경지선에서 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했고,[4] 미군 수송단이 철도를 장악한 남쪽에서는 경지선의 운행이 토성(개성 북쪽)에서 남쪽으로 재개되었다.[5][6] 1946년 5월 38선을 무단으로 횡단하는 것이 불법이 되었고,[7] 그 해 8월 9일 한국 북부 지역의 철도 여행에 신분증이 의무화되었다.[4]

독립체로서의 한국 국가철도(국철)가 시작된 은 1946년 8월 10일 임시인민위원회가 소련 점령지 내 모든 철도를 국유화하면서 철도 운영과 관련된 모든 것이 인민위원회의 비호 아래 이뤄졌기 때문이다.[4] 철도 거의 경험이 많은 직원들의 부족에 의해 민족 일본-대부분의 철도 근로자들, 특히 숙련된 노동력, 이동 선원들, 기계, 기술자와 관리자, 일본인의 추방의 결과로,[2]그 상황을 악화시키는 마비 상태였다, 소련 군에서 산업 장비의 많은 약탈했다.n한국, 공장 기계, 수력 발전 댐의 부품, 그리고 많은 수의 기관차와 압연 재고.[6] 승객들은 드문드문 화물열차, 심지어 기관차에도 의존했다.

1948년 평원선 양덕~신창 구간 전기화 준공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정식 수립된 이후인 1948년까지 북한 교통부의 한 부서로서 국철씨의 실제 설립이 시작되었다.[8][9] When Kukch'ŏl was formally established that year, it had 3,767 km (2,341 mi) of railway in functional condition,[10]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the electrification on the YangdŏkSinch'angCh'ŏnsŏng section of the P'yŏngwŏn Line, and the new electrification of the KaegoKoin section of the Manp'o Line.[11][12]

1947년 12월 10일 선택정부 철도의 자산은 공식적으로 남북으로 분할되어 KSR에 617대의 증기기관차(141대,[2] 476대), 8대의 전기기관차,[13][14] 1280대의 객차와 9,154대의 화물차[15](각[2] 747대와 6,928대)가 투입되었다.[2]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있던 일본제 청록(淸 pur)급 기관차.

다른 새로운 건설은 1950년 이전에 일어났지만,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진행을 방해했다. 당초 조선인민군은 부산 주변의 작은 주머니를 제외하고는 한반도 대부분을 점령하는 등 우세한 편이었으나, 이 시기에는 종전 후 일본에 건설되어 배상금으로 한국에 인도된 드로이급 전기기관차와 증기기관차 등 많은 철도차량들이 북한으로 끌려갔다.[6] 동시에 소련, 중국,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등 우호적인 사회주의 국가들로부터 기관차와 화물차 형태의 전쟁 원조가 도착했다.[16] 그러나 같은 해 10월 19일까지 미국 주도의 유엔군은 재빨리 전쟁의 흐름을 역전시켰고,[17] 일주일 후 한국군은 압록강에 도착했다. 한국전쟁 내내 철도 인프라와 기관차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1950년 12월 31일, 한포에서 문산으로 가는 기관차 마테이 10과 25량으로 구성된 열차가 미군으로부터 장단에 정차하라는 명령을 받고 파괴되었고,[16] 선로 또한 파괴되었고, 그 후 50년 넘게 경치선이 단절되었다. 유엔군은 재빨리 38선 이남으로 밀려났고, 그 해 말까지 전쟁은 교착상태에 빠졌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휴전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그 후 2년간의 전투 동안 영토 교환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18]

1953-1959: 무에서 재구축

1976년 창단에서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증기기관차 마테이 10호 유적이 있다.

북한은 전쟁 후 남쪽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입으며 황폐화된 채로 남겨졌다. 공장, 주택, 교량, 도로, 철도는 미국 공군의 집중 폭격으로 파괴되었고, 평양의 전차 체계는 완전히 파괴되어, 그것을 회수하는 것이 비경제적이라고 여겨지고 버려졌다.[16] 그러나 개축은 종전 전에 이미 시작되었고, 중국 인민봉사단의 도움으로 휴전이 조인될 무렵에는 철도 노선 1,382km(859mi)가 복구되었다. 북쪽의 교통 조직망을 너무도 심하게 많은 장소에서 운송 수단이라는 것, 그 목마는 실행 가능한 유일한 수단;[16]결과적으로 초기 재건 노력의 많은 철도는 재건에는-특히 선 중국과 러시아 북한을 연결하는 사람 2로부터 상품의 선적을 완화하기 위해 위주가 손상되어 있었다. couNtries.[19] 하지만, 몇몇 새로운 건축, Tŏkp'al 그 개인 소유 웨스트 조선 중앙 철도 회사에서 초기 1940년대에서 시작되고 있었다. Tŏkch'ŏn P'arwŏn까지 공연될 같은 완전한 프로젝트 일본 통치의 종식은 한국 전쟁으로에 의해 중단되, 주로 하여, 것이지만 차 실장에 겨우 12.3km(7.6mi) 일어났니.ngsangri는 전쟁이 끝날 무렵에 완성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전쟁 이후 부활되어 1954년에 P'arween으로 마무리되었다.[20] 휴전 후 3개월 만에 총 길이 1만5000m(4만9000ft)의 교량 308개를 철도군단 자원봉사자들이 보수하거나 새로 건설했고, 철도망이 점차 전전 상태로 회복되면서 37개 역이 재건됐다.

구소련이 유엔의 비난을 우려해 한국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전후 재건에는 크고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양국 간에 체결된 10억 루블 규모의 경제·기술 지원 협정 문맥에서 북한에 VL19급 전기 기관차를 인도하겠다는 약속을 담은 철도 협력 협정이 체결됐다.[19] 중국은 동유럽, 특히 폴란드 사회주의 국가들의 상당한 지원과 함께 8억 RMB 상당의 지원을 제공했는데,[19] 1954년과 1956년 사이에 폴란드 철도 엔지니어들과 정비사들은 손상된 증기 기관차와 압연 물체의 수리를 통해 북한을 도왔다.[19] 소련과 중국의 광범위한 지원으로 철도가 재건되고 더욱 확장되었다.[10] 1954년 6월 17일 평양 대동강 위에 대체 철교가 개통되었고, 3개월 후인 1954년 9월 25일 고산평강 사이에 강릉선이 개통되었다.[4] 전쟁 중 큰 피해를 입었던 중국 단둥신시주 사이의 압록강 다리는 전쟁이 끝나기 전에 재건되었다.[21]

1954년 2월 5일, 중국과 북한 사이에 체결된 국경 횡단 열차 운행에 관한 협정과, 그해 6월 3일 중국철도 굴리기구를 이용한 베이징-평양 간 열차 운행에 들어갔다.[4] 두만강을 건너는 구소련과의 연계는 한국전쟁 때 1952년 개통된 목선 철도교 형태로 처음 설치되었고,[22] 1950년대 중반까지 이 다리는 노선의 교통에 부족하게 되었고, 구소련 투망강하산 사이의 한-러 친선교는 1959년 8월 9일에 개통되었다.[23]

북한은 센테쓰와 과거 민간 소유 철도로부터 모두 762mm(30.0인치)의 좁은 궤도를 물려받았다. 그 중 하나가 하성에서 해주까지 운행하는 황해선이었다. 그 황해도 지역에서 4월 1944,[24]의 선택된 철도의 협궤 노선 nationalising 후 Sentetsu 그 Sariwŏn과 Hasŏng 사이의 교통 수준으로 가치를 더 짧은 표준 게이지 라인이 기존의 좁은 게이지 라인 교체 건설에는 충분했다;빨리 일을, 그리고 9월 그 해의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결정했다. 새로운, 41.7 km (25.9 mi) "황해 본선"이 개통되었다.[25] 그러나 하성에서 해주까지 남은 노선은 좁은 궤간으로 남아 있었다. 황해본선은 다른 대부분의 노선과 마찬가지로 한국전쟁 때 광범위하게 파손되었고, 1956년 황해본선의 개축이 완료되었고, 그해 6월 김일성이 재건공사를 방문했다.[26] 하성-해주-해주항 구간의 표준궤 전환은 1958년에 이루어졌다. 일은 청년 '자원봉사'팀이 진행했는데, 이들은 일을 시작한 지 75일 만인 1958년 8월 12일 사업을 마쳤다.[19][27] 청소년 봉사단의 노고를 기리기 위해 사리원-해주선에는 현재의 명칭인 황해 충년선-황해청년선이 지정되었다.[28]

1956년에서, 웨스트 P'yŏngyang는 철도 공장(오늘날의 김 Chong-t'ae 전기 기관차 사업;그것은 1969년에 한국 혁명 운동가 김 Chong-t'ae, 혁명당 소속의 통일을 위한 멤버는 한국 정부가 그 해에 처형되었다를 이행하기 위한 현재의 이름을 받았다.[29])과 Wŏnsan에서 자세한 내용은 6월 4일 롤링 S.Tock Works)는 폴란드 지원을 받아 재건 및 확장되었다.[8] 기관차 공장은 1959년 8월 29일에 재개장하였고,[26] 증기기관차와 버스 수리뿐만 아니라 화물차를 제조하는 4년 6월 공사는 1957년 6월 15일에 가동되었다.[10][26] 목재로 주로 만들어져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던 평양역 역세권 건물도 재건되었는데, 현재 웅장한 석조 역세권이 사용되고 있으며, 1957년 총면적 1만3000m2(14만평방피트)가 개통되었다.[8] 신세대 철도기술자와 철도종사자를 양성하기 위해 1959년 9월 평양철도대학이 개교하였다.[30]

이에 따라 1950년대 말까지 북한의 철도망은 일제강점기 때의 모습으로 복원돼 표준궤 3167km(1968mi),좁은 궤간 599km(372mi)가다시 가동됐다.[8]

1960년대: 전기화와 천리마 운동의 발전

센테쓰로부터 물려받은 일본제 전기 기관차는 전기화 계획을 되살리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초기 역할을 했다.

1960년대는 북한에게 획기적인 10년이었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해의 재구성이 거의 완료됨에 따라,[31] 중국의 대약진에 해당하는 북한 천리마 운동 하에서 큰 진전이 이루어졌고, 그 노력은 철도에 집중되었고 도움을 받았다. 개발도 사실은 식민지 시대에, 중공업의 기계 공업뿐만 아니라 철도 개발의 대부분을 포함한 대부분의 일본 건설 그 나라의 북부에,[8]북한 또한 천연 자원이 많고 큰 수력 발전 많은 농작물을 축복 받았다 일어났다의 지원을 받고 있었는데 t.하t는 또한 일본인에 의해 지어졌다. 이 기간 동안 철도에 행해진 대부분의 작업은 간선의 전기화에 초점을 맞추었다.[8] 철도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1965년까지 국철은 교통부에서 신설된 철도부로 이관되었다.[32]

김종태 전기 기관차 설계팀은 1960년에 홍기 1급 기관차를 설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 P'yŏngra은 Line, 당초 1948년 625전쟁 파괴된 전기에 감전되던 것을, Yangdŏk–Ch'ŏnsŏng 조의 Re-electrification 5월 25일 1956,[26]에서 소련의 도움을 받지만 북한의 철도 노선의 대규모 전력화 1958년에서만;1960년대 말, 리의 거의 900km(560mi)에 의해서 완성되었다.nes P'yeongra Line의 전기화가 완료되고 1973년까지 1,300 km(810 mi) 이상의 노선이 전기화되어 모든 주요 간선들을 전기화한다는 목표를 실현했다.[26] 전선의 전기화는 전기 기관차의 제조에 수반되었다. 광산용 소형 전기 기관차의 국내 생산은 1958년부터 시작되었으나,[8] 몇 년이 지나서야 간선 전기 기관차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소련이 소련제 전기 기관차를 북한에 인도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고, 그래서 센테쓰로부터 물려받은 16대의 전기 기관차를 보충하기 위해 1958년 국철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슈코다 공장2 22E형 기관차 10대를 주문하였다.[33] 그러나 국내 생산 전기 기관차 개발이 주요 목표였기 때문에 이는 일시적인 조치일 뿐이다. 이를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기술 이전 등 슈코다형 30E 건설 면허를 구입하고,[8] 공정에 익숙해지도록 원래의 설계에 번호를 붙였지만, 대부분의 노력이 더 크고 토착적인 설계 설계에 투입되었다.[34] 1961년 8월 30일 북한 최초의 국산 간선 전기 기관차인 '붉은 깃발 1호'의 시제품이 '김칭태공사'(당시 '평양전기기관차'로 불리며)에서 완성됐고,[35] 김일성은 이 자리를 위해 공장을 직접 방문해 기관차 이름을 직접 선택했다. 1962년에 연속적인 생산이 시작되었고, 그 해에 20개가 건설되었고, 1963년에 30개가 더 건설되었다.[8] 결국 150개가 넘게 건설되었다.[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11][36][37][38] 철도 전기화
연도 보낸 사람 에게 라인 거리 언급
1944 포켓몬 목록 코산 시 경운 53.9 센테쓰; 한국 전쟁 중에 파괴되었다.
1948 양덕 춘성 평라 50.8 한국 전쟁 중 파괴됨
1948 개구 코인 만포 한국 전쟁 중 파괴됨
1956년 5월 25일 양덕 춘성 평라 50.8
1957-62 미륵 료포 평부 12.0
1957-62 경성 코무산 함북 34.3
1958 춘성 고원 평라 38.0
1958 양덕 신성춘 평라 40.2
1960년 3월 31일 명춘 노동 평라 23.3
1960 초길주 룡반 평라 38.7
1961 김책 초길주 평라 34.3
1962 탄천장 김책 평라 42.5
1962 치하리 평산 춘연 이춘 51.4
1964 훙원 시 탄천장 평라 127.0
1964 펑양 시 신시주 평기 225.1
1968년 11월 1일 고원 훙원 시 평라 144.5
1970년 10월 10일 명춘 장진 시 평라 116.1
1973 나진 장진 시 평라 81.2
1982 해주 하성 황해 충년 80.5

한편 국철에서는 무전기 노선의 현대화를 위해 디젤 기관차에 이들 노선의 증기력 교체를 지시하기 시작했다. 디젤화를 향한 첫걸음은 1964년 헝가리Ganz-MAVAG에서 14대의 DVM-4형 기관차가 도착했는데, [39]이 기관차는 분기점에서 현지 열차를 끄는 데 모두 사용되었다. 디젤 동력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초기 경험 후에, 무거운 간선 열차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더 크고 더 강력한 기관차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졌다. 구 소련의 M62-type 기관차의 첫번째 두 모델이 소비에트 국철에 1964[41]에 시리즈 생산 전에와 헝가리로 운송 1965년에 시작했다;그 시간에 의해[42]Kukch'ŏl은 factory[43]-1967년, M62bec다의 유형-지정된 K62-class의 초도 물량을 받았습니다 출연한 헝가리 requirement,[40]을 만나기 위해 만들었다.그 backbon omecomecon 세계 전역의 디젤 동력 e: 헝가리에 추가하여 1965년과 1966년에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동독에서 대량으로 그 유형이 사용되었다.[44] 1967년에서 1974년 사이에 총 64개가 북한에 전달되어 고성능과 사용 편의성 때문에 급속도로 비전기화 노선의 주역이 되었다.[10][43][32]

간선 전철화와 함께 이 시기에는 새로운 노선 건설도 시작되었다. 그 운봉 선 등은 이 선의 많은 1959년에 운봉 Dam,[45]의 건설과 함께 그 Pinallon 선 1961년에 완전히 새로운 사업 집행을 시작으로를 돕기 위해 만든 평양 화력[ko][47]을 운영하은 2월 8일 비닐론 Complex[46]고 P'yŏngyanghwajŏn 선 같은 해에서 봉사하기 위해 이 사업을 돕기 위해 문을 열었다. 그 constru다양한 대규모 산업 및 발전 사업의 추진 그리고 1962년 포항에서 치하리까지의 춘근선 1구간이 완전 전기화 노선으로 개통된 것과 같은 몇몇은 계획된 새로운 간선들의 초기 단계였다.[48] 그러나, 다른 많은 것들은 전적으로 위대한 지도자의 선동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1945년 이전에 일본의 이익에 의해 시작된 프로젝트의 단순한 보완이었다.[32] 1965년 6월 10일 청진과 나진 사이의 이동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지름길로 개통된 P'연라선 완공은 사실 1945년 센테쓰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일본 통치 말기에 공사가 중단된 천라선 사업의 완공에 불과했다.[32][49] 1940년대의 또 미실현 Sentetsu 프로젝트 이르면 1929,[50], Kŭmgol 라인의 완성 지난 1962년 Kŭmgol에 이르렀다;[51]이었고, 그러나 단지 약 3.7km(2.3mi)연장에 발표됐다 완성되었다고 선을 마찬가지로, Tŏksŏng은 Line, Kukch'ŏl로 610월 1960,[32]에 개통되었다 단순한 구현입니다.complet에e 대부분의 노선(60km(37mi)이 1943년에 개통되는 등 식민지 시대에 민간 철도에 의해 시작된 사업.[52][53] 1963년[54] 개통된 53.7km(33.4mi) 어눌선(1971년[54] 표준궤로 전환) 등 새로 건설된 선로는 762mm(30.0인치)의 좁은 궤간이었고, 1964년 철광석과 소항구를 운행하기 위해 개통된 설해리선도 있었다.[55]

1970년대와 1980년대: 황금시대

1970년대 북한은 과학기술 진흥을 통해 철도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김일성은 1971년 시작된 '인민경제발전 6개년 계획'에서 '자아(子子) 子(子子) 子(子子) 子(自)[32] 子(自) 子) 子(自) 子(自) 子(自) 子(自) ka)'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경제, 과학 발전, 산업기술의 발전 등 모든 것을 국내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국내 노력을 통해 상당한 액수가 달성되었지만, 상당한 양의 진전은 외국 소식통에서 나왔고 단순히 북한이라고 다시 표현되었다.[8]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북한의 '황금시대'[32]였다고 볼 수 있으며, 비록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지만 철도 개발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기의 도시 교통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후 P'yŏngyang 트롤리 버스 제도가 성공 1962,[56]트롤리 버스 서비스에서 Ch'ŏngjin(1970년)에 취임을 하였다, Hamhŭng(1973년), Sinŭiju(1978년), 그리고 Kowŏn(1979년)[32]남포(1982년), P'yŏngsŏng(1983년), 해주(1986년), 안주(1987년)[57]와 다른 이들은 P'yŏngyang 메트로의 1973년에 개막으로 trolleybusse의 대부분이다.sbuil다북한에서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비에트 디자인까지, 이 지하철은 전적으로 국내 생산품이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중국에서 공급되는 장비를 사용했다.[58][59][60] 그러나 당시 서울조차 지하철이 없었던 것처럼, 그 개통도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선언되었다.[32]

국가철도 시스템의 확대와 전기화 역시 계속되었다. 새로운 트렁크 라인, Ch'ŏngnyŏn Ich'ŏn 라인의 완성 등에 열렸다 1010월 1972,[48]완료 Ch'ŏngnyŏn P'arwŏn은 Line, 오프닝의 짧은 선들을 위한 역할을 할 새로운 광산들, 발전소와 공장 등 무산 Kwangsan 선(1971년)[61]은 Ch'ŏnghwaryŏk Line[62]고 Namhŭng에서 1976,[63]월.eSŏhae Kammun1986년 6월 24일 서해 방어선 과 그 밖의 수많은 그러한 선들.[64] 일부 주요 프로젝트, 북부 철길은 country,[45]의 바로 북쪽에 있어 온 새로운 동서 가로 중계선지만 단지 부분적으로 완성되었다;비록 일은 1981년 시작되면, Manp'o 양강도 혜산 첫 무대, 1988,[65]야 사실상 완료되지만 공사 20Y로 연기되었다였다 같은 제소되었고 이것은귀 아무튼 서해감문선과 북푸선 사업은 북한이 전면적으로 독자적으로 진행한 최대 규모의 철도건설 사업이었다.[66] 새로운 라인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여러 좁은 게이지 라인을 표준 게이지로 변환하여 1983년까지 927km(576mi)가 재점화되었다.[12]

평라선의 전기화는 1970년대에 마침내 완성되었다. 이 사업은 1948년에 양덕에서 시작되어 한국전쟁 이후 몇 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완공되었다. 1973년에 나진-춘진 간 최종 구간이 활성화되기 전까지.[67] 1964년[68] 평전선이 개통되고 평라선이 완공되면서 평양과 중국, 구소련을 각각 연결하는 간선 모두 완전 전선이 되었다. 1970년대 말까지, 1차 트렁크 라인에서 증기 발전을 제거할 목표는 모든 철도 이동을 거의 87.5%전기 기관차에 의해 북한의 전기화 표준 궤간 철도 노선 3,940 km(2,450 mi)에 도달하기를 1980s,[12]은 총 길이의 시작이 끌고 되는 것과 achieved,[10] 있었다.;[67]게다가 철도 선로 안에 많은 산업단지들 또한 전기가 공급되었다.[12]

풍양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금강산 전기 철도 전동차.

전기화가 국가차원의 정책이 되자 국철은 새로운 전기동력 개발에 나섰다. 전쟁 전에는 첨강산전철에 의해 전기철도가 사용되어 왔으며,[69] 이것들은 국철에서 한국 전쟁 때 노선이 파괴되기 전까지 사용되어 왔으며,[70]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전기철도가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64년 취역한 일본 고속열차, 1974년 소련 철도가 도입한 ER200고속전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함께 평양 지하철 개통으로 철도부가 북한 고속열차 개발에 직접 나서게 되어 결과적으로 i가 되었다.1976년 북한 최초의 전동차 세트인 주체급 EMU의 공개.[32] 외부적으로는, 4량 세트가 코다마 제한 급행에서 일본 국철도가 사용하는 181계 전동차와 외관상 비슷했다; 내부적으로는, 북한의 모든 전류가 3000V 직류임에도 불구하고, 주체급 EMU는 두 개의 시스템 운영을 위해 건설되었다 - 아마도 향후의 운행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다. AC 전기화가 사용됐던 대한민국.[67] 핑양을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나, 더 이상 세트가 구축되지 않아 실험이 실패로 간주되었음을 시사했다.[67] 1998년 판양~패산점 사이 과학자들의 일일 통근 서비스를 통해 38km(24mi)의 거리를 취재하는 데 1시간이 소요될 때까지 이 세트는 보관되어 있었다.[71]

고속열차 사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전기 기관차 개발은 계속되었다. 특히 산지 노선의 중형 화물열차에 충분한 견인력이 없다는 점이 문제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8축 관절 기관차가 설계되었다.[67] 1981년 레드 플래그 6 클래스의 첫 시제품인 레드 플래그 2 클래스를 기반으로 한 '레드 플래그 6 클래스'가 공개되었고,[72] 1986년에 생산이 시작되어 1987년에 실용화되었다.[35] 기술적 측면에서 볼 때,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두 대의 Red Flag 2급 기관차에 불과했고, 원래의 설계에 비해 거의 혁신을 나타내지 않았다.[67]

1990년대: 현대화 계획, 감소 실현

따라서, 비록 느린 속도였지만, 북한의 철도 개발은 계속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철은 네트워크 전체의 전기화 계획을 계속 추진하였다. 1991년 8월 협궤 팽무선 일부 전기화가 완료된 후 1992년 옹진선 구간처럼 신흥선이 전기화되었고,[66] 같은 해 철도 인프라 개발을 더욱 촉진하기 위한 '철도 현대화 계획'이 발표되었다.[73] 계획이 북부 철길의 건설을 중단하도록 살아납니다. 이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는 기존의 협궤 Samjiyŏn 새로운 철도 선로의 Motka, Samjiyŏn호선 원점, Hŭngam은 백무선에에서 표준 gauge,[45]건설 백무선의 Hŭngam지인 무산에서 regauging로 변환을 상상했던 것처럼 보관되어 있었다..[45] 새 구간에 대한 조사 작업이 시작됐지만 1990년대 북한의 재정위기로 2007년까지 사업이 중단됐다. 함북선 전철화는 회령~남양 구간이 배선되면서 1995년 완료되었고, 금강산첨년선 전철화는 1997년 4월 15일에 완료되었다.[4] 1993년에는 총 337km의 노선을 복선화하는 계획이 시작되었다.[66] 일본 시대에 대부분의 간선 노선은 이중으로 추적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의 광범위한 파괴 이후 신속히 재건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이 선들은 중국행 P'eongŭi 선과 같은 가장 중요한 선로도 단일 선로로 재건되었다. 그해부터 작업이 시작됐다고는 하지만 계획된 이중추적 사업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모든 고상한 계획에도 불구하고, 1990년과 1996년 사이에 67 km(42 mi)의 새로운 노선이 완공되었고,[66] 102 km(63 mi)의 새로운 노선이 완공된 90년대 후반에는 상황이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74]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면서 [75]국가 애도 기간이 수 년으로 이어졌다. 이 원조금의 이전 동맹국들에서 공산주의의 동유럽의 파산과 USSR,[76]의 해체뿐만 아니라 대규모 홍수와 다른 천재지변 재난 이후에 손실 함께과의 경제 위기 시기를 Arduous 3월로 알려진;그 시도는 Sŏngun 제도의 도입을 통해서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77]을 이끌었다. 복무했다 상황을 악화시키기 위해서 [78]말이야 당연히, 이는 철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쳐, 철도 및 기반시설의 심각한 악화를 초래했고, 이는 운영 능력과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렸고,[10] 시간표 운용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었다.[76]

전기 운행으로 전환한 후 운행 중인 소련제 디젤 기관차.

1990년대를 거치면서, 롤링 스톡에 대한 투자도 정지되었다. 비록 새롭게 지어지는 디젤 기관차의 적은 수의 러시아의 상반기에 수입된(그 상황이 너무 1998년 김영삼 정부, 장관 철도로 그해 9월에 박세리 Yŏng-sŏk를 대체했다, 전기 세대의 나라에서 심각한 상태 때문에 선택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끔찍하게 되었다.ric열차 운행에 대해 보장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증기 기관차의 사용은 일부 노선에서 복구될 것이다.[74] 몇 년 전에 군복무 기간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국철은 광복 전에 지어진 일본제 증기 기관차에 다시 한번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74] 그러나 정치적 이유로 인해 불과 20년 전만 해도 롤링 스톡 생산에 자급자족했던 이 나라가 많이 필요한 신형 기관차를 공급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없게 되었다. 에 따라 K62급 디젤 기관차의 가장 노쇠한 부분이 전기 모터로 디젤 엔진을 교체함으로써 전기 기관차로 전환되었고,[43] 이 중 처음 11대가 1998년 전기화된 간선 노선에 투입되었다.[74] 선전용으로, 이것들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새로운 기관차로 발표되었다. 2002년 청진에서 개통된 전차시스템이 국산 전차(실제로 체코에서 중고로 구입)를 사용한다고 발표되고, 중고 승용차를 BL에서 구입한 것으로 발표되는 등, 리퍼브 장비, 즉 장비가 해외에서 중고로 구입한 것을 국내산으로 신고한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었다.같은 해 스위스의 S 뢰츠베르반(S Lötschbergban)은 공장 노동자들이 여가 시간에 건설한 것으로 보고되었다.[74]

21세기: 한국 다시 연결

1998년부터 방안을"강성 대국"을 짓기 위해 경제 운용을 개선하고 북한에서 천천히 상황-한국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 정책 화해 북한과 회담의 결과 특히 향상되기 시작했다 추진되었다. 2000년 7월 회담은 남북 간의 전 Kyŏngŭi하는 서울과 Sinŭiju 사이에 P'yŏngyang을 통해 사람들을 복원 논의하기 위해;[80]이 선 지금 그 P'yŏngŭi 선 사이의 북쪽 Sinŭiju P'yŏngyang고 P'yŏngbu 선 P'yŏngyang에서에서 Kaesŏng 한국 비무장 지대에, 그리고 Kora을 통해 달리기로 쪼개지기 시작했다.il의DMZ에서 도라산을 거쳐 서울까지 이어지는 경지선. 남한에서의 작업은 거의 즉시 시작되었고, 2001년 9월 30일 6.1km(3.8mi) 문산-임진강 구간과 3.7km(2.3mi) 임진강 구간에서 서비스가 재개되었다.2002년 2월 12일 토라산 구간.[81] 기공식 의식 2002년 9월 Kaesŏng–Torasan 구간의 비무장 지대의 재건과 전 동해 북부 철길의 현재 북한의 Kŭmgangsan Ch'ŏngnyŏn 선 Anbyŏn 사이의 Kangwŏn에 Kŭmgangsan DMZ를 통해 둘로 쪼개져 있는 동쪽 coast,[80]에 다시 연결에, 그리고 남부 s 일어났다Ect.비무장지대(DMZ)에서 제진까지 옛 통해 퍼프크푸 노선의 [80]이온 이 두 노선에 대한 재건 공사는 2003년 6월 14일에 시작되었다.[81]

많은 기관차들 중 한 대는 2000년대 초 펑양역 여객열차를 타고 중국에서 중고로 구입했다.

남북 철도[fr] 연결을 재개하자는 발상은 오랫동안 바라던 유라시아 육교와 아시아 횡단 철도 사업의 실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에 특히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관심을 끌었다.[82] 그러나 이러한 고상한 비전의 그늘에서 북한의 철도는 여전히 위급한 상태에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2002년 7월 1일 "7.1 경제관리 개선조치"를 발표했는데, 이 조치 하에서 중국은 1980년대에 시행했던 것과 같은 많은 개혁이 기업들에게 더 많은 독립성을 부여하는 등 도입되었다.외국인 투자자(대부분 중국인이지만 일부 한국인)와의 합작법인의 설립으로 환율을 현실에 가깝게 하고 임금을 인상하는 등.[83] 그러나, 그것은 또한 가격 인상을 포함했다 - 20천원이던 버스 티켓이 갑자기 1천원으로 20배 증가했고, 이것은 철도에도 적용되었다: 16원이었던 P'yeongang에서 Cheongjin까지 37배 증가한 590원으로.[82] 비슷한 시기에 일부 신형 기관차를 중국에서 구입하고,[10] 주로 중국에서 중고 기관차와 화물·승용차를 구입했지만 러시아,[84] [85]슬로바키아,[86] 폴란드,[87] 독일,[87] 스위스 등에서도 북한 철도 상황 개선을 돕기 위해 들여왔다.[82] 돈은 기차 역의 재건에서-WiP'yŏngyang의 중앙 철도 역 2005년에 벽의 복원 새로운 대기실 도어의 설치, 그리고 큰 네온사인의 설치 등이 포함된 주요 개혁을 완전히 새로운 역 Kaesŏng에 남한의 돈으로 지어졌다 투자가 있었다.[81]

2004년 룡천역 폭발사고로 시내 역 주변 건물이 크게 파손돼 54명이 사망하고 그 자체로 1245명이 부상한 것으로 북한 최악의 철도 참사가 발생했다고 공식 사상자가 발표했다.[88] 중국 국경을 넘어 일부 공중 파편이 떨어지는 등 넓은 지역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적십자사는 주택과 건물 1850채가 파손되고 6350채가 추가로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89] 이 역의 기본 복원은 일주일 만에 완료되었고, 북-중 국제 열차 운행이 4월 28일에 복권되었다.[81]

2006년 3월까지 남북 철도 건설 공사가 거의 완료되었지만,[81] 이 문제에 대한 남북 협상이 시작된 지 거의 7년이 지난 2007년 5월 17일에야 마침내 재개되었다.[80] 2004년 4월 이미 국철과 코레일 사이에 국경간 운행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이후 세 차례나 열차를 운행하려다 실패하여 마침내 2007년 5월 11일 양측 군 당국이 보안협정을 채택하여 5월 17일 노선의 개통이 허용되었다. 재개봉은 문산에서 개성까지의 서부선(27km(17mi)과 금강산에서 제진까지의 동부선(동부선)에 걸친 2개의 의례열차로 이루어졌다. 서부열차는 코레일 기관차와 5명의 코치가 남쪽에서 북으로 운행했고 동부열차는 한국철도 기관차와 5명의 코치가 각각 150명의 초청객을 태우고 운행했다.[80]

상업용 화물 운행이 마침내 2007년 12월 11일에 재개되었는데, 남측 문산에서 개성공업지구까지 건설자재를 실은 첫 열차와 귀경길에 신발과 의류를 실은 열차가 운행되었다. 코레일이 운영하는 이 서비스는 그동안 남북 간 정치행사로 공단 폐쇄를 초래한 결과 수차례 중단됐다. 공단은 5개월간의 휴업 끝에 2013년 9월 16일 가장 최근에 재개장했다.[90] 동시에, 금강산 관광지까지 승객을 실어 나르기 위해 동쪽 노선에 여객 서비스가 재개되었지만, 2008년 7월 남한 관광객 피격사건 이후 그 서비스는 중단되었다.[91]

2008년에는 국방위원회에서 철도 감사가 진행되어 대규모 비리가 드러났고, 그 결과 김영삼은 보위부서에서 해임되어 국가안전보위부로 넘겨졌다.[92] 그 후 2008년 10월 현 철도부 장관인 전길수(前吉水)로 교체되었다.[93] 조사 결과 철도 노동자들은 전시용으로 전략 비축해 둔 기관차 100여 대를 탈취해 중국에 고철로 팔아넘겼으며,[92] 김 장관은 책임을 지고 직위해제됐으며 2009년 3월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다.[93]

또 2008년에는 북러 접경지역 투망강역나진항 간 노선 재구성에 관한 작업이 시작되었는데,[94] 이 노선은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에서 유럽으로 가는 화물 수송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이 계획되어 있어 해상 운송에 비해 운송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2000년 러시아와 북한이 맺은 협력 합의의 틀에 들어맞으며, 한국에서 유럽까지 철도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한반도 횡단선 재건의 첫 단계로 평가된다.[95] 이 사업에는 총 길이 4.5㎞ 이상의 교량 18개, 암거 12개, 터널 3개 등을 복원하는 한편 [96]4-레일 이중궤도(1,435㎜, 1,520㎜) 선로 54㎞를 설치하는 내용이 포함됐다.[95] 준설과 준설, 창고, 공업 및 사무용 건물 건설과 함께 항구의 환승 터미널이 거의 완공 단계에 있다. 단일 관제 센터가 이 노선의 향후 운항을 관리하게 되며, 항만으로부터 연간 최대 400만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96] 55억 루블(항만 업그레이드 비용 제외)이 넘는 개량노선의 운영 및 관리는 49년간 정식 임대해 온 러시아 철도라손 항만의 합작법인이 맡는다. 업그레이드 작업은 2013년 9월 22일에 공식적으로 완료되었다.[96]

평의선 동림에서 동창선 설해위성발사장까지 이어지는 노선 등 더 많은 신선이 건설되고 있거나 건설되고 있는 가운데 21세기 2차 10년이 첫 번째의 흐름을 이어왔다.[97] 당초 1980년에 계획되었던 신북동서간선 2단계 구간은 혜산에서 무산까지 운행할 예정이었으나,[98] 혜산에서 삼지연, 모트카로 가는 협궤 삼지연선 구간이 마침내 2017년에 부분적으로 완공되었다.[99] 그 노선을 무산까지 연장하고, 결국 회령까지 연장하려던 계획은 아직 포기되지 않았지만, 현재로서는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2013년 12월 8일 북한과 중국 기업 컨소시엄이 개성~평양~신시주를 잇는 고속철도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이 사업은 건설-운영-이전 방식으로, 5년이 걸릴 예정인 공사가 컨소시엄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30년간 노선을 운영하게 되며, 이후 철도부가 운영을 인수해 노선의 완전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 이 철도는 약 400 km(250 mi)의 복선 선으로, 200 km/h (120 mph) 이상의 운행 속도를 가진다.[100]

2014년 10월 21일 남포~평양~평양~평덕선, 평양~체동~평덕선 현대화 사업 착공식이 열렸다. 러시아가 지원하는 이 사업은 북한 철도망 약 3,500km(2,200mi)를 현대화하는 20년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러시아 철도와의 대규모 협력 1단계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P'yeongang주변에 남북간 화물 우회로를 건설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체 사업비는 약 250억 달러로 추산되며, 북한산 석탄, 희토류, 비철금속 등을 러시아로 수출할 경우 사업비가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101]

2017년 1월 러시아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해 국철과 러시아 철도 간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여기에는 하바롭스크에 있는 극동연방대학에 평양철도대학의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북한 철도전문가들이 러시아 대학에서 추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정 등이 포함됐다.[102]

거의 10년 동안 활동을 하지 않다가 2018년 11월 30일, 남북 양측 관계자 30명이 한국 철도망의 재통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남북한에서 18일간의 조사를 시작했다.[103][104][105] 앞서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에 위치한 한국비무장지대(DMZ) 최전방 감시초소와 지뢰 등으로 방해를 받았던 이번 조사는 북한 중부권과 동북해안을 관통하는 개성~신성주 구간 400㎞(250mi) 구간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106] 국철 평부 평부 평부선과 평이선으로 분할된 옛 경의선 철도 조사가 2018년 12월 5일에 마무리되었다.[105]

2018년 12월 8일, 코레일 구간과 국철 금강산 천년선을 연결하기 위한 남북 공동조사가 시작되었다.[107] 12월 13일 2018년 12월 26일 개성에서 남북 도로 및 철도 연결 상징 기공식이 개최된다고 밝혔다.[108][109] 이어 12월 17일 남북 접경지역인 첨강산에서 북-러 접경지역인 두만강까지 800km(500mi) 노선이 투입된 최신 남북 철도조사가 완료됐다.[110] 북한 철도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기공식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 나타났다.[110]

2112월 2018년이면, 미국은 남북한에 의해 더 이상 추상적인 계획과 때 10실무 한국 조사관들 10북한 조사관들과 함께대의 100km(62mi)섹션에 대한 조사에서 일할 북한에 입국하였다, 같은 날에 4일 간의 남북 도로 조사 시작된 획기적인 ceremony,[111]을 갖자고 동의했다.선미 통해선.[112] 후에 한국인 10조사관들의 별도 팀과 Kaesŏng,[113]고 예정대로 26일 12월에 기공식 Kaesŏng에서 열렸다 4km(2.5mi)도로를 검사할 10북한 조사관들에 합류했다 북한에 입국하였다 12월 24일, 4일 간의 결과[114]약 100한국 측 정부 관리에게 북한에 입국하였다 완성되었다.부르에 참석하그의 [114]의식 그러나 열악한 환경인 것으로 판명된 북한의 핵심 철도를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점검과 건설이 필요할 것으로 인정되었다.[114]

조직

국철(國 state)은 북한 철도부의 운영 기관이다. 그것은 5개의 지역 부서로 나뉜다. 평양, 개천, 함흥, 창진, 사리원.[55]

또 철도부 산하 5대 산업분야로는 김종태(P'yeong'tae)전기기관차공사, 운산 4호(June Runling Stock Works), 충진(Changjin)철도공장, 7.6차량부품공장, 평양운수공업 등이 있다. 이 중 김종태 작품과 4년 6월 작품이 단연코 가장 중요하다.[10]

롤링 스톡의 설계 및 생산을 위한 과학 연구, 설계 검토, 신기술 발굴을 위한 철도부 산하 연구기관이 4곳(부속인 P'yeongang Railway University도 디자인 작업 및 설계 검토에 참여), 제품 검사, 검사 등을 하고 있다.공장 생산물의 이온 또한 국가 품질 검사 위원회에 의해 수행된다.[10]

철도부는 또한 축구, 농구, 배구, 테니스, 아이스하키와 같은 스포츠 분야에서 전국에 스포츠 클럽의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기관차 스포츠클럽은 국내 최고 수준의 농구, 배구, 축구 리그의 팀들을 출전시키는 철도부에 속해 있으며, 축구에서는 신시주에 본부를 둔 최고 남자 클럽이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에 DPR 코리아 리그에서 5번의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115] 2017년 AFC 컵에 참가하였다.[116] 철도부의 최고 아이스하키 클럽인 P'Yeongang Cheldo'는 1997년 이후 최소 11번 이상 전국대회 우승을 차지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다.[117]

운영 및 인프라

국철 철도종사자 모자 배지

그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철도성 철도의 5,248 km(3,261 mi), 4,725 km(2,936 mi)은 1,435 mm(4피트 8+1⁄2에)표준 궤간, 1,520 mm(4피트 11+27⁄32에)광궤의 156km(97mi), 약 80%규칙적인 사용에 있는 총 중에서 523km(325mi)은 762mm(2피트 6에)협궤를 운영하고 있다.[118]3,893.5 표준 궤간 lin의 km(2,419.3 mi).es는 1.5 kV DC에서 좁은 게이지의 3 kV DC와 295.5 km(183.6 mi)에서 전기화되며, 강원선에서는 15 km(9.3 mi), 30 km(19 mi) 또는 60 km(37 mi) 간격으로 수동 및 반자동 변전소를 사용한다.[118]

남북한 철도망 비교분석 (km)
카테고리 남쪽[119] 북쪽[118]
경로 길이 3,392 5,248
전기화 1,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