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의 왕 예수
Jesus, King of the Jews신약성서에서, 예수는 그의 삶의 시작과 끝 모두에서 유대인의 왕으로 언급된다.신약성서의 코이네 그리스어(예: 요한복음 19장 3절)에는 바실리우스 톤 이우다이온(βααδδδδαδαδαδαδαδ)[1]으로 표기되어 있다.
두 가지 제목 모두 신약성서 설명에서 극적인 결과를 이끌어낸다.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탄생설에서, 동쪽에서 온 성경 마기들은 예수를 "유대인의 왕"이라고 불렀고, 이로 인해 헤롯 대왕은 무고한 사람들의 학살을 명령했다.예수의 열정에 대한 서술에서, 네 개의 모든 정경 복음서의 설명이 끝날 무렵, "유대인의 왕"이라는 호칭은 예수에게 십자가형을 [2][3]초래하는 고발로 이어진다.
이니셜리즘 INRI(라틴어:이스수스 나자르누스(R,x Iudaorum)는 라틴어 비문(요한 19장 19절)을 나타내며, 영어로 번역하면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이며, 요한 19장 20절은 이것이 3개 언어로 쓰여졌다고 말한다.헤브루,[a] 라틴어, 그리스어 - 예수님의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습니다.
"유대인의 왕"이라는 호칭은 신약성서에서 이방인, 즉 마기, 폰티우스 필라토, 로마 병사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유대인 지도자들은 "메시아"[7]를 뜻하는 "그리스도"라는 명칭을 사용한다."유대인의 왕"이라는 문구가 대부분의 영어 [b]번역에서 사용되지만 "유대인의 왕"[8]으로도 번역되었다.
예수 탄생시
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탄생설에서 성경 마기는 예루살렘에 있는 헤롯 왕을 만나러 가서 마태복음 2장 2절에서 "유대인의 왕으로 태어난 이가 어디 있느냐?"고 묻습니다.[9]헤롯은 유대의 베들레헴에서 그에게 말하는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에게 묻는다.
이 질문은 자신의 칭호를 자신의 것으로 여기는 헤롯을 괴롭히고, 마태복음 2장 7~8절에서 그는 마기에게 베들레헴의 별이 나타난 정확한 시간에 대해 질문한다.헤롯은 마기를 베들레헴으로 보내 아이를 찾으면 그에게 알리라고 한다.마기족은 예수를 찾아 선물을 선물한 뒤 꿈에서 헤롯에게 돌아가지 말라는 경고를 받고 다른 방법으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한 천사가 꿈에서 요셉에게 나타나 예수와 마리아를 이집트로 데려가라고 경고합니다(마태복음 2:13).헤롯은 자신이 마기족에게 속았다는 것을 깨닫고 베들레헴과 베들레헴 부근의 두 살 이하의 소년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한다(마태복음 2:16)
Passion 내러티브에서
예수의 열정에 대한 설명에서 유대인의 왕이라는 호칭은 세 차례에 걸쳐 사용된다.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네 개의 복음서는 모두 빌라도가 예수와 인터뷰할 때 그 제목이 사용되었고 마태복음 27장 11절, 마가복음 15장 2절, 누가복음 23장 3절, 요한 [10]18장 33절과 같이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이 그 혐의에 근거했다고 말한다.
예수를 고발하기 위해 왕과 왕국이라는 용어의 사용, 그리고 유대인들이 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예수와 빌라도 사이의 논의의 중심이다.마가 15장 2절에서 예수는 빌라도에게 그가 유대인의 왕임을 확인하고 더 이상 말하지 않는다.요한복음 18장 34절에서 그는 왕의 비난이 빌라도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암시하고 요한복음 18장 36절에서 "내 왕국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그러나 예수는 [11][12]유대인의 왕이 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부인하지는 않는다.
신약성서에서 빌라도는 예수의 십자가에 붙일 표식으로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라고 쓰고 있다.요한복음 19장 21절에서는 유대인들이 빌라도에게 "유대인의 왕을 쓰지 말라"고 말하고 대신 예수가 단지 그 칭호를 주장했을 뿐이라고 썼지만 빌라도는 어쨌든 [13]썼다.빌라도의 항의에 대한 답변은 요한에 의해 기록되었다. "내가 쓴 것은 내가 쓴 것이다."
빌라도에 의한 재판과 그리스도 에피소드가 있은 후, 병사들은 예수를 유대인의 왕으로 조롱하고, 그의 머리에 가시 면류관을 씌우고, 마태복음 27장 29절 30절, 마태복음 15장 17절 19절과 요한복음 19장 2장 [14]3절에서 그를 때리고 학대한다.
유대인들이 예수를 기소하기 위해 왕이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3]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는 최종 결정의 핵심 요소입니다.요한복음 19장 12절에서 빌라도는 예수를 풀어주려 하지만 유대인들은 반대하며 "이 사람을 풀어주면 너는 카이사르의 친구가 아니다. 자신을 왕으로 삼는 모든 사람은 카이사르를 반대한다"고 말하며 카이사르의 힘을 [3]논의의 전면에 내세웠다.요한복음 19장 12절에서 유대인들은 외쳤다. "그를 잔인하게 만들어라!우리에겐 시저 외에는 왕이 없다.
예수님이 돌아가신 후 초기 교회에서 "유대인의 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위험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이 용어가 로마에 [3]대한 반란의 가능성으로 기소된 예수의 추종자로서 그들을 기소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타이틀의 최종 사용은 누가복음 23장 36절~37절에서만 나타난다.여기서 예수가 십자가를 칼바리에 옮기고 십자가에 못박힌 후, 병사들은 십자가에서 그를 올려다보고 조롱하고 그에게 식초를 주며 말한다. "네가 유대인의 왕이라면, 너 자신을 구하라."마태복음 27장 42절에서 유대교 성직자들은 예수를 이스라엘의 왕이라고 조롱하며 "그는 이스라엘의 왕이다. 이제 십자가에서 내려오게 하라. 그러면 우리는 그를 믿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유대인의 왕 vs 이스라엘 왕
신약성서에서 "유대인의 왕" 칭호는 이방인, 마기, 폰티우스 필라토, 로마 병사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반면 유대교 지도자들은 마태복음 27장 42절과 마가복음 15장 32절처럼 이스라엘 왕이라는 호칭을 선호한다.필라투스의 관점에서 보면, 로마 [2]제국에 대한 반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민감한 것은 (유대인이나 이스라엘에 관계없이) "왕"이다.
마가복음에서는 유대인의 왕과 이스라엘의 왕을 의식적으로 구별하여 유대인과 [15]이방인이 사용하는 용어의 두 가지 용법을 구분한다.
INRI 및 βββ
이니셜리즘 INRI는 라틴어 비문 IESVS NAZERENVS REX IVDé를 나타낸다.ORVM(Issus Nazarnnus, Rxx Iudaorum), 영어로 번역하면 "유대인의 왕 예수"(요한 19:19).[16]요한복음 19장 20절에서는 이것이 히브리어,[a] 라틴어, 그리스어 등 3개 언어로 쓰여져 예수의 십자가 위에 올려졌다고 말하고 있다.그리스판 이니셜리즘은 ββ β [17]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β
1492년 페드로 곤살레스 데 멘도사가 콘스탄틴 [18][19]황제의 어머니인 성 헬레나에 의해 로마로 가져온 것으로 알려진 실제 위패가 발견되자, 헌신적인 열정은 환영을 받았다.
서양 기독교
서양 기독교에서, 예수의 십자가에 대한 대부분의 십자가와 많은 묘사들은 그의 머리 위에 놓여진 명패나 양피지를 포함하고, 티툴루스 또는 제목이라고 불리며, 가끔 십자가에 직접 새겨지고 보통 예수의 머리 바로 위에 있다.동방 교회에서는 "영광의 왕"을 [17][20]사용할 수 있다.
동방 기독교
동방 기독교에서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특수 교회 모두 그리스 문자 δβ δβ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β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β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α δ δα δ α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δ 일부 표현은 제목을 βαβ, βα βα β β β β β β β β β α β β β β β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β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μ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ο
루마니아 정교회는 INRI를 사용한다.루마니아어 약어는 라틴어와 똑같기 때문이다(Iisus Nazarineanul Regele Iudeilor).
러시아 정교회는 і(INSI, 교회 슬라브어로는 ιβ에 상당하는 것) 또는 약어를 사용한다.
복음서의 버전
매튜. | 마크. | 루크 | 존. | |
---|---|---|---|---|
운문 | 마태복음 27:37 | 마크 15:26 | 누가복음 23:38 | 요한복음 19:19~20 |
그리스어 비문 | βα βα βα βα βα α α α α 、 βα α α 、 βα α 、 βα α α 、 υ υ 、 βα α υ 、 υ υυυ 、 βα α α α | βα βα βα α α α α υ 、 βα α α 、 βα α α 、 υυ ί ί | βα α βα α α α α α α α ς ς ς 、 β α ς 、 ς 、 ς ς 、 ς ς 、 ςς | βα βα βα βα βα α α α α α 、 α α α 、 α ) |
번역 | 호토이스틴 호바실레 톤 이우다온 | 호바실레 onton Ioudaéon | 호바실레 onton Iudaén hûtos | I's ho Nazoraéos ho basile's ton Iudaéon |
노바 벌가타(라틴어) | 히크 아이수스 렉스 이우다오름 | 렉스 이다오름 | 히크 에스트렉스 이우다오름 | 아이수스 나사레누스 렉스 이우다오름 |
영어 번역 | 유대인의 왕 예수입니다 | 유대인의 왕 | 이분은 유대인의 왕입니다 | 나사렛 사람 예수, 유대인의 왕 |
언어들 | [지정 없음] | [지정 없음] | 히브리어, 라틴어[c], 그리스어 | 히브리어, 라틴어, 그리스어 |
KJV의 풀소절 | '유대인의 왕 예수입니다'라고 쓴 죄상을 머리 위에 세우시고 | 그리고 그의 비난에 대한 설명이 유태인의 왕이라고 쓰여 있었다. | 그리고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로 된 '유대인의 왕'이라는 글귀도 씌어 있었다. | 빌라도는 직함을 써서 십자가에 새겼다.'유대인의 왕 나사렛의 예수'라는 글도 썼고이 제목은 많은 유대인에게 읽혔다.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곳이 이 도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로 쓰여져 있었다. |
INRI의 기타 용도
스페인어로 inri라는 단어는 모욕적이거나 조롱하는 단어나 구절을 의미하며, 보통 고정 표현인 para mas/mayor inri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관용적으로 "상처에 모욕감을 더하다" 또는 "상황을 [25]더 악화시킨다"를 의미한다.그 기원은 때때로 대문자화 파라 마스 INRI에 의해 명확해진다.
INRI라는 이니셜을 다른 확장(백로님)과 함께 재해석했습니다.1825년 프리메이슨학에 관한 책에서 마르첼로 레겔리니 데 시오는 로지크루시아인들이 "INRI"의 연금학적 [26]의미를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 라틴어 Igne Natura Renovatur Integra("불에 타 자연이 스스로 재생됨"); 다른 소스에는 Igne Natura Renovanto Integrat가 있습니다.
- 라틴어 Igne Nitrum Roris Invenitur("이슬의 질소는 불에 의해 발견됨")
- 히브리어 Iamin, Nour, Rouach, Iebeschal; 물, 불, 바람, 땅)
후대의 작가들은 이것들을 프리메이슨주의, 헤르메스주의 또는 신파간주의로 돌렸다.알레이스터 크롤리의 '솔로몬의 신전'에는 A ofA [27]of의 '프레이터 P'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아우고이데스'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Intra Nobis Regnum deI (원제: I.N.R.I.)이래 모든 것은 우리 자신 안에 있으며, 모든 영적 경험은 신의 계시보다 덜 완전한 것에 가깝기 때문입니다.8월]
Latin Intra Nobis Regnum deI는 문자 그대로 "신의 왕국 내부"를 의미합니다.
James Joyce의 율리시스의 인종적 유대인인 명목상 가톨릭 신자인 Leopold Bloom은 INRI를 "Iron Nails Run In"[28][29][30][31]으로 해석합니다.에드 맥베인의 1975년 소설 [32]'도어즈'에 나오는 인물에 의해 같은 의미가 부여된다.대부분의 율리시스 번역본은 INRI를 보존하고 프랑스의 Il Nous Refait Innocents "그는 우리를 다시 [33]결백하게 만든다"와 같은 새로운 해석을 한다.
이솝세피에서 그리스어 용어(βαδδδαδδαδαδ)는 예수의 십자가에 대한 제안된 날짜(33, 4월, 3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 3343의 값을 받는다.
갤러리
성경의 장면
마기는 새로 태어난 유대인의 왕 마태복음 2장 2절을 묻기 위해 헤롯을 방문한다.
빌라도, 유대인의 왕 예수를 넘겨주려다가, 마가 15장 2절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는 칼바리에서 유대인의 왕으로 조롱당한다, 누가복음 23장 36절 37절
INRI의 예
이센하임 알타피스의 INRI
워싱턴 국립미술관 마티아스 그뤼뉴발트, 1510년 작 '작은 십자가의 상세'
사그라다 파밀리아 옆에 있는 아이수스 나자레누스 렉스 아이우데오룸
「 」를 참조해 주세요.
- 그리스도(제목)
- 그리스도 더 킹
- ichthys
- 기독교의 예수
-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
- 신약성서에 나오는 예수의 이름과 직함
- 산헤드린 예수 재판
- 크루시스자리 티툴루스
- 삼국어 이단
- 관련 성경 파트: 매튜 2, 매튜 27, 마크 15, 누가 23, 요한 19
레퍼런스
메모들
- ^ a b 일부 번역본에서는 요한복음 19장 20절에서 사용된 코이네 그리스어 ββαααααϊϊ(헤브라이스티)를 "헤브루"[4][5]가 아니라 "아람어"로 표기하고 있다.히브리어는 쇠퇴하고 있었지만, 기원후 3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었다.)[6]다만, 이 때, 코이네 그리스어는 히브리어, 시리스티는 아람어라는 의미로 일관되게 사용되고 있다.단어 자체 외에 히브리어와 아람어 중 어느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며, ββααϊ를 아람어로 표현한 시의 번역은 본문 [4]자체보다는 본문 밖에서 이루어진 추정에 의존한다.
- ^ BibleGateway.com에서 다양한 번역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 ^ 루카 복음서의 현존하는 초기 그리스어 사본 중 일부만이 23절 [21][22]38절에 나오는 언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이러한 차이는 후세의 카피스트들이 요한복음과 요한복음 19장 [23]20절의 본문을 조화시키기 위해 누가복음을 추가한 결과일 수 있다.New International Version(NIV) 번역본과 BibleGateway.com에 의해 수집된 루카복음 23:38의 63개 번역본 중 43개 번역본에는 언어에 [24]대한 언급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인용문
- ^ Boxall 2007, 페이지 125
- ^ a b 프랑스 2007, 페이지 1048
- ^ a b c d 헹겔 2004, 페이지 46
- ^ a b Buth & Pierce 2014, 페이지 107–109.
- ^ 쾨스텐버거 2009, 350페이지
- ^ Breuer 2006, 페이지 457-458.
- ^ 루카 22:67, 23:1 기타
- ^ 로빈스 1996, 76-77페이지.
- ^ 프랑스 2007, 페이지 43과 83
- ^ 브라운 1994, 페이지 78-79
- ^ Binz 2004, 페이지 81-82.
- ^ 아이언사이드 2006, 페이지 454
- ^ 브라운 1988, 93페이지
- ^ 1985학년, 페이지 124
- ^ Strecker & Horn 2000, 375-376페이지.
- ^ 드블레스 1925, 32페이지
- ^ a b 안드레오풀로스 2005, 페이지 26
- ^ 란치아니 1902, 페이지 89
- ^ 와이스 1969 페이지 102
- ^ Aslanoff 2005, 페이지 124.
- ^ Safrai 2006, 페이지 225
- ^ Cresswell 2013, 5장: "십자에 새겨진 글귀가 3개 언어로 제공되었다는 Luke 23, 38의 노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사 A에 의해 포함되었고, Ca에 의해 [Codex Sinaiticus]에서 삭제되었으며, Codex Vaticanus와 P75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 Wegner 2004, 페이지 226
- ^ "Luke 23:38 (all English translations)". BibleGateway.com. HarperCollins. Retrieved 17 March 2022.
- ^ "inri".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in Spanish). Real Academia Española. Retrieved 16 March 2020.
- ^ De Schio 1825, 페이지 12
- ^ 크롤리 1909 페이지 160
- ^ Bloom 1989, 335페이지
- ^ 엘만 2010, 페이지 164
- ^ Quigley 2015, 페이지 128
- ^ Miharlycsa 2017, 페이지 61
- ^ 맥베인 2017, 페이지 65
- ^ 슈체르보스키 1998, 페이지 221
원천
- Andreopoulos, A. (2005). Metamorphosis: The Transfiguration in Byzantine Theology and Iconograph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ISBN 978-0-88141-295-6.
- Aslanoff, Catherine (2005). The Incarnate God: The Feasts of Jesus Christ. ISBN 0-88141-130-2.
- Binz, Stephen (2004). The names of Jesus. Mystic, CT: Twenty-Third Publications. ISBN 1-58595-315-6. OCLC 56392998.
- Bloom, Harold (1989). Middle twentieth century. The Art of the Critic. Vol. 9. Chelsea House. ISBN 978-0-87754-502-6.
- Boxall, Ian (2007). SCM studyguide to the books of the New Testament. London: SCM Press. ISBN 978-0-334-04047-7. OCLC 171110263.
- Breuer, Yochanan (2006). "Aramaic in Late Antiquity". In Katz, Steven T. (ed.).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 IV: The Late Roman-Rabinic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72488.
- Brown, R.E. (1988). The Gospel and Epistles of John: A Concise Commentary. Concise Commentary. Liturgical Press. ISBN 978-0-8146-1283-5.
- Brown, R.E. (1994).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Christology. Bloomsbury Academic. ISBN 978-0-8264-7190-1.
- Buth, Randall; Pierce, Chad (2014). "Hebraisti in Ancient Texts: Does ἑβραϊστί Ever Mean 'Aramaic'?". In Buth, Randall; Notley, R. Steven (eds.). The Language Environment of 1st Century Judea Vol. 2. BRILL. ISBN 9789004264410.
- Cresswell, Peter (2013). The Invention of Jesus. Watkins. ISBN 9781780286211.
- Crowley, Aleister (March 1909). "The Temple of Solomon the King". The Equinox. London: Simpkin, Marshall, Hamilton, Kent. 1 (1): 160.
- De Bles, A. (1925). How to Distinguish the Saints in Art by Their Costumes, Symbols, and Attributes. New York: Art Culture Publications. ISBN 978-0-8103-4125-8.
- de Schio, Marcello Reghellini (1825). Esprit du dogme de la Franche-Maçonnerie (in French). Brussels: H. Tarlier.
- Ellmann, Maud (2010). The Nets of Modernism: Henry James, Virginia Woolf, James Joyce, and Sigmund Freu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49338-3.
- France, R. T. (2007). The Gospel of Matthew.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 ISBN 978-0-8028-2501-8. OCLC 122701585.
- Hengel, Martin (2004). Studies in Early Christology. A&C Black. ISBN 0-567-04280-4.
- Ironside, H.A. (2006). John. Ironside Expository Commentaries Series. Kregel Publications. ISBN 978-0-8254-9619-6.
- Köstenberger, Andreas J. (2009). "Translating John's Gospe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corgie, Glen G.; Strauss, Mark L.; Voth, Steven M. (eds.). The Challenge of Bible Translation: Communicating God's Word to the World. Zondervan. ISBN 978-0310321859.
- Lanciani, R.A. (1902). Storia degli scavi di Roma e notizie intorno le collezioni romane di antichità (in Italian). Vol. I. E. Loescher.
- McBain, Ed (2017). "Part Two". Doors. Head of Zeus. ISBN 978-1-78854-045-2.
- Mihálycsa, Erika (2017). "'Weighing the point': A Few Points on the Writing of Finitude in Ulysses". Reading Joycean Temporalities. Brill. ISBN 978-90-04-34251-4.
- Quigley, Megan (2015). Modernist Fiction and Vagueness: Philosophy, Form,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316-19566-6.
- Robbins, V.K. (1996). Exploring the Texture of Texts: A Guide to Socio-Rhetorical Interpretations.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56338-183-6.
- Safrai, Shmuel (2006). "Spoken and Literary Languages in the Time of Jesus". In Notley, R. Steven; Turnage, Marc; Becker, Brian (eds.). Jesus' Last Week, Jerusalem Studies in the Synoptic Gospels — Volume One. BRILL. ISBN 978-9004147904.
- Senior, Donald (1985). The Passion of Jesus in the Gospel of Matthew. Vol. 1. M. Glazier. ISBN 0-89453-460-2.
- Szczerbowski, Tadeusz (1998). "Language Games in Translation: Etymological Reinterpretation of Hierograms". In Strässler, Jürg (ed.). Tendenzen Europäischer Linguistik: Akten des 31. Linguistischen Kolloquiums, Bern 1996. Linguistiche Arbeiten. Vol. 381.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913767. ISSN 0344-6727.
- Strecker, G.; Horn, F.W. (2000).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Presbyterian Publishing Corporation. ISBN 978-0-664-22336-6.
- Wegner, Paul D. (2004). The Journey From Texts to Translation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ible. Baker Academic. ISBN 9780801027994.
- Weiss, R. (1969). The Renaissance Discovery of Classical Antiquity. History e-book project. Humanities Press. ISBN 978-80-13-019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