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Hunminjeongeum훈민정음 | |
---|---|
간송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
일명 | 국민의 가르침을 위한 바른 소리 |
날짜. | 1446년 10월 9일 (남한정부) |
원산지 | 서울,조선 |
스크라이브 | 홀 오브 워시즈 |
작성자 |
|
대본 | 중국고전 |
내용물 | 한국 고유 문자 체계 한글 소개 |
한국이름 | |
훈민정음 | 훈〮민져ᇰ〮ᅙᅳᆷ |
한자 | |
한국이름 | |
한글을 | |
한자 | 訓民正音 |
개정 로마자 표기법 | 훈민정음 |
맥쿠네 라이샤워 | 훈민정음 |
훈민정음 (한글: 훈민정음; 한자: 訓民正音; 訓民正音; ))은 한글을 쓰는 한글 문자가 된 문자를 소개한 15세기 역사 문서입니다.이 문서의 원본은 현재 대한민국 [1]서울 간송미술관에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안한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세종대왕의 위임과 감독을 받았습니다.그 제목의 원래 철자는 훈민정음이었습니다.[clarification needed]그것이 소개한 대본은 원래 그 문서의 이름을 따서 "훈민정음"으로 불렸지만, 나중에 그 이름이 현재의 형태로 바뀌었습니다.기존의 중국어 기반 한자에 대한 보다 간단한 대안으로 일반인들의 식자의식을 고취하고자 한 것입니다.그것은 원래 28개의 글자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들 중 4개가 버려져서 현재의 한글 24개의 글자로 이어졌습니다.
그 문서의 발행일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한국 정부는 1446년 10월 9일을 기념일로 간주합니다; 그 날은 지금 한국에서 공휴일인 한글날입니다.그런데 『조선왕조실록』 102권에는 세종 25년(1443~1444)[2]에 해당하는 본문의 간행을 알리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1962년 12월 20일,[1]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1997년, 이 문서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에 등록되었습니다.[3]
역사
한국의 알파벳인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에, 한국인들은 그들의 [4]단어를 기록하기 위해 한자를 사용했습니다.중국어와 한국어는 공통점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자를 빌려 쓰는 것은 구어를 [4]반영하는 데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게다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던 시기에, 중국에서 명나라가 막 권좌에 올랐고, 이것은 한자의 발음을 바꾸어서, 한국인들이 그들의 [5]단어를 기록하기 위해 새로운 표준 발음을 배우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한자를 읽고 배우는 것이 일반인들 사이에서 제한되었기 때문에 문맹도 또한 높았습니다.그것들은 일반적으로 [4][6]지배층의 공식 문서에 사용되었습니다.지배층은 이것을 이용했고 한자를 배우는 것은 권력과 [4]특권의 상징이 되었습니다.세종대왕은 문자 언어를 서민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밀리에 한글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지배층은 그 소식을 듣고 [4]간담이 서늘해 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글은 조선왕조의 4대 왕인 세종대왕에 의해 개인적으로 만들어졌고 1443년 [7][8][1][9]그에 의해 밝혀졌습니다.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라고 명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지만, 세종대왕실록이나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 서문과 같은 동시대 기록들은 그가 한글을 [4]직접 창제했다고 강조합니다.이것은 세종실록(세종실록) 제113권과 세종 28년 9월과 훈민정음 도해본(훈민정음 해례본)[5] 말에 나와 있습니다.그 후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서문을 써서 한글의 유래와 목적을 설명하고 간단한 예문과 해설을 한 다음, 가치관에서 자세한 예문과 [1]해설을 쓰도록 하였습니다.훈민정음을 [9]편찬한 책임자는 정인지 선생님이 계셨습니다.훈민정음은 1446년에 [1]출판되어 대중에게 공표되었습니다.문자 체계는 오늘날 "한글"이라고 불리지만, 원래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훈민"과 "정음"은 각각 "백성을 가르치라"와 "제대로 [5]된 소리"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함께 훈민정음은 [10]"국민의 가르침을 위한 올바른 소리"를 의미합니다.
내용
그 출판물은 고전 중국어로 쓰여지고 서문, 알파벳 글자 (자모),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소리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합니다.그것은 나중에 국보 제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 해례라는 더 긴 문서로 보충됩니다.훈민정음은 이를 보충하는 것과 구별하기 위해 "훈민정음의 표본과 의의판"(훈민정음예의본; 訓民正音例義本)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훈민정음의 고전 중국어(漢語)는 부분적으로 중국어로 번역되었습니다.이 번역본은 월인석보와 함께 발견되며 훈민정음 언해본이라고 불립니다.
문서의 첫 단락은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동기를 보여줍니다.
- 중국어 고전(원문):
-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便於日用耳
- 전사:
- 1. Kwuyk cwuyk cing qum.
- 2. 휘호융꾸익.
- 3. Yěmwunccco poulq syangywong.
- 4. 권우민ǔǒǒwgen kw yk n wóó min swwǔwu ng.
- 5. Zzyung poulq tuk sinkkuycyeng cyǎy.
- 6. Yewuychǒ mǐnzyen.
- 7. 신시에이지프 팔큐코.
- 8. Ywoksǒzinzinisippyen quezilqywongzu.
- 한자(漢字)와 한글(언해본)[11] 혼용:
- 國귁〮之징語ᅌᅥᆼ〯音ᅙᅳᆷ이〮
異잉〮乎ᅘᅩᆼ中듀ᇰ國귁〮ᄒᆞ〮야〮
與영〯文문字ᄍᆞᆼ〮로〮不부ᇙ〮相샤ᇰ流류ᇢ通토ᇰᄒᆞᆯᄊᆡ〮
故공〮로〮愚ᅌᅮᆼ民민이〮有우ᇢ〯所송〯欲욕〮言ᅌᅥᆫᄒᆞ〮야도〮
而ᅀᅵᆼ終쥬ᇰ不부ᇙ〮得득〮伸신其끵情쪄ᇰ者쟝〯ㅣ多당矣ᅌᅴᆼ〯라〮
予영ㅣ爲윙〮此ᄎᆞᆼ〯憫민〯然ᅀᅧᆫᄒᆞ〮야〮
新신制졩〮二ᅀᅵᆼ〮十씹〮八바ᇙ〮字ᄍᆞᆼ〮ᄒᆞ〮노니〮
欲욕〮使ᄉᆞᆼ〯人ᅀᅵᆫ人ᅀᅵᆫᄋᆞ〮로〮易잉〮習씹〮ᄒᆞ〮야〮便뼌於ᅙᅥᆼ日ᅀᅵᇙ〮用요ᇰ〮耳ᅀᅵᆼ〯니라〮
- 전사:
- 1. 쿠익 칭 쿠미.
- 2. 이휘웅 쿠이크호야
- 3. 왕 홀소이와 함께 위문코울크샹량위.
- 4. Kwolwongwu miniǔwǒswǒywokngen hóya dwó.
- 5. Zzyung poulq tuk skuycyeng cyǎy tangǔylla.
- 6. Ye wuychǒ mǐnzyen hóya.
- 7. 신시에이지프 팔큐코원니.
- 8. Ywók sǒ zin zin ó lwó í ssíp hó yá ppyen qe zílq ywóng zǐ ni lá.
- 한글 표기 (언해본):[11]
- 나랏〮말〯ᄊᆞ미〮
中듀ᇰ國귁〮에〮달아〮
文문字ᄍᆞᆼ〮와〮로〮서르ᄉᆞᄆᆞᆺ디〮아니〮ᄒᆞᆯᄊᆡ〮
이〮런젼ᄎᆞ〮로〮어린〮百ᄇᆡᆨ〮姓셔ᇰ〮이〮니르고〮져〮호ᇙ〮배〮이셔〮도〮
ᄆᆞᄎᆞᆷ〮내〯제ᄠᅳ〮들〮시러〮펴디〮몯〯ᄒᆞᇙ노〮미〮하니〮라〮
내〮이〮ᄅᆞᆯ〮爲윙〮ᄒᆞ〮야〮어〯엿비〮너겨〮
새〮로〮스〮믈〮여듧〮字ᄍᆞᆼ〮ᄅᆞᆯ〮ᄆᆡᇰᄀᆞ〮노니〮
사〯ᄅᆞᆷ마〯다〮ᄒᆡ〯ᅇᅧ〮수〯ᄫᅵ〮니겨〮날〮로〮ᄡᅮ〮메〮便뼌安ᅙᅡᆫ킈〮ᄒᆞ고〮져〮ᄒᆞᇙᄯᆞᄅᆞ미〮니라〮
- 전사:
- 1. Nalás mǎl ssmi.
- 2. Tyung kwoykéy tala.
- 3. 음운치카왈왈로스 루소 모스티아니 홀소이.
- 4. 엘렌시엔콜로엘린포이크생지니루쿠우시에볼크파이이시에투.
- 5. Mochómǎyceptu tulsiléphye tiǒmǒholqnwómi hanilla.
- 6. 나이일롤우이호야예스핀케예
- 7. Saylwó sullye tulpccololmoyng konwonni.
- 8. Sǎ lom mǎ tá hǒi GGyé sǔ Wí ni kyé nál lwó pswú méy ppyen qan khúy ho kwó cyé holq sto lo mí ni lá.
- 번역:
이 나라의 말은 중국의 말과 다르기 때문에 [[구어]]는 [[한자]]와 일치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무지한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고 싶어도 결국 많은 사람들이 성공적으로 자신을 표현하지 못합니다.이에 슬퍼서 저는 28통의 편지를 새로 만들었습니다.모든 사람들이 이 편지들을 쉽게 배울 수 있고 일상생활에 [citation needed]편리하기를 바랍니다.
버전
훈민정음 원본의 필사본은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 이 글의 상단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한글이 언급된 곳을 제외한 7페이지가 고전 중국어로 쓰여져 있습니다.3부가 남았습니다.
- 해례복사본의 첫머리에 발견된 것입니다.
- 세종실록(世宗實錄; 世宗實錄; 世宗實錄) 제113권에 수록된 것.
- 36페이지에 달하는 언해본은 한글로 광범위하게 주석을 달았고, 모든 한자는 오른쪽 아래에 작은 한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한글은 수묵화와 기하학적 양식으로 쓰여졌습니다.4부가 남았습니다.
참고문헌
- ^ a b c d e "Hunminjeongeum Manuscrip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trieved February 28, 2019.
- ^ Lee, Iksop; Ramsey, S. Robert (2000). The Korean language. Albany, NY: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pp. 31–32. ISBN 0791448312.
- ^ "Hunminjeongum Manuscript". UNESCO. Retrieved August 2, 2023.
- ^ a b c d e f ":::::::: 알고 싶은 한글 ::::::::". www.korean.go.kr. Retrieved April 28, 2020.
- ^ a b c Lee, Sang Gyu (Autumn 2007). "The World's Preeminent Writing System: Hangeul". Koreana. 21 (3): 8–15.
- ^ Pae, Hye K.; Bae, Sungbong; Yi, Kwangoh (2019). "More than an alphabet". Written Language & Literacy. 22 (2): 223–246. doi:10.1075/wll.00027.pae. S2CID 216548163.
- ^ Kim-Renaud, Young-Key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15. ISBN 9780824817237. Retrieved May 16, 2018.
- ^ "알고 싶은 한글". 국립국어원.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trieved December 4, 2017.
- ^ a b Paik, Syeung-gil. "Preserving Korea's Documents: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Koreana. The Korea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9, 2017. Retrieved February 28, 2019.
- ^ Lee, Lee, Ji-young (December 2013). "Hangeul" (PDF). The Understanding Korea Series (UKS).
{{cite journal}}
: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 ^ a b KTUG.or.kr. "Hunminjeongeum Eonhaebon". Retrieved July 14, 2006. KTUG 한양PUA 테이블 프로젝트 링크21세기 세종프로젝트 자료를 바탕으로 2006년 7월 8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