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2+/calmodulin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II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II 결합 도메인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의 결정구조
식별자
기호.CaMKII_AD
PF08332
팜씨CL0051
인터프로IPR013543
이용 가능한 단백질 구조:
구조물 / ECOD
PDBRCSB PDB; PDBe; PDBj
PDBsum구조 요약
(A) 폐쇄형 및 (B) 개방형 형태의 CaMKII 감마 홀로효소

Ca2+
/calmodulin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II(CaM kinase II 또는 CaMK)
II)는 Ca2+
/칼모듈린 복합체에 의해 조절되는 세린/트레오닌 특이적 단백질 키나제.
CaMKII는 많은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에 관여하며 학습과 기억의 중요한 매개자로 생각됩니다.[1] CaMKII는 또한 Ca2+
항상성 및 심근세포의 재흡수,[2] 상피의 염화물 수송,[3] 양성 T세포 선택 [4]CD8 T세포 활성화에 필요합니다.[5]

CaMK의 잘못된 규제II는 알츠하이머병, 엔젤만 증후군, 심장 부정맥과 관련이 있습니다.[6]

종류들

CaM 키나아제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CaMK의 연관 도메인의 구조PDB 2ux0(왼쪽) 공간 채우기 홀로효소(가운데) 만화 홀로효소(오른쪽) 만화 모노메에서 pymol에 의해 렌더링된 II 감마
PDB 2v7O의 피몰에 의해 렌더링된 CaMKII(gamma)의 키나제 도메인의 구조, 녹색 스틱 = 뉴클레오티드

구조, 기능 및 자동 조절

CaMKII 활성화 및 자동조절

CaMKII는 뇌에 있는 모든 단백질의 1~2%[7][8]를 차지하며, 28개의 다른 동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형은 알파, 베타, 감마 및 델타 유전자에서 파생됩니다.

구조영역

CaMK의 모든 동형II는 촉매 도메인, 자가 억제 도메인, 가변 세그먼트 및 자가 결합 도메인을 갖습니다.[9]

촉매 도메인에는 ATP 및 기타 기질 앵커 단백질에 대한 여러 결합 부위가 있습니다. 인산염이 ATP에서 기질의 Ser 또는 Thr 잔기로 전달되는 역할을 합니다. 자가 억제 도메인은 촉매 도메인에 결합하여 단백질을 인산화하는 능력을 차단하는 유사 기질 부위를 특징으로 합니다.[10]

이 자가 억제를 지배하는 구조적 특징은 트레오닌 286 잔기입니다.부위의 인산화는 CaMK를 영구적으로 활성화시킬 것입니다.II 효소. Threonine 286 잔기가 인산화되면 억제 도메인이 유사 기질 부위로부터 차단됩니다. 이렇게 하면 자동 억제 기능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CaMK가 영구적으로 활성화됩니다.II 효소. 이것은 CamK를 활성화합니다.칼슘과 칼모듈린이 없는 경우에도 활동적이어야 합니다.[11]

CaMK의 다른 두 도메인II는 변수 및 자기 연관 도메인입니다. 이러한 도메인의 차이는 다양한 CaMK의 원인이 됩니다.II 동형입니다.[12]

자기 결합 도메인(CaMKII AD)은 C 말단에서 발견되며, 이 도메인의 기능은 단일 단백질을 큰(8~14개의 서브유닛) 다량체로 조립하는 것입니다.

칼슘 및 칼모듈린 의존성

CaMK의 감도칼슘과 칼모듈린에 대한 II 효소는 가변적이고 자가 연관적인 영역에 의해 지배됩니다. CaMK의 민감도는II는 또한 효소의 다양한 활성화 상태를 조절합니다. 처음에는 효소가 활성화되지만, 인접한 소단위체에 결합하기에 칼슘이나 칼모듈린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가인산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칼슘과 칼모듈린이 축적되면 자가인산화가 일어나 CaMK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됩니다.짧은 시간 동안 II 효소. 그러나 Threonine 286 잔기는 결국 탈인산화되어 CaMKII가 비활성화됩니다.[14][15]

자가인산화

자가인산화는 키나아제가 인산기를 자신에게 붙이는 과정입니다. CaMK일 때II 자가인산화, 지속적으로 활성화됩니다. Threonine 286 부위의 인산화는 촉매 도메인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홀로효소는 두 개의 겹친 고리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가인산화가 구조에 의해 강화됩니다. 인접한 고리들의 근접성은 인접한 CaMK의 인산화 확률을 증가시킵니다.II 효소, 자가인산화를 촉진합니다.[16] 단백질 포스파타제 I(protein phosphatase I)의 억제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인산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 이를 통해 CaM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자가인산화 가능성을 높여 지속적으로 활성화합니다.[17]

장기강화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II는 또한 기억 과정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활성 시냅스를 강화하는 분자 과정인 장기 강화(LTP)에 크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이 과정의 많은 측면에 관여합니다. LTP는 NMDA 수용체가 채널 포어로부터 양전하로 대전된2+ Mg 이온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전압 전위를 갖는 국소 환경에 있을 때 시작됩니다. 채널이 차단되지 않은 결과 Ca2+ 이온은 NMDA 수용체 채널을 통해 시냅스 후 뉴런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 Ca2+ 유입은 CaMKII를 활성화합니다. CaMK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LTP 유도 후 수지상 조직의 시냅스 후 밀도에서 직접 II 활성화는 활성화가 자극의 직접적인 결과임을 시사합니다.[18][19]

LTP에서

알파-CaMK일 때II는 쥐에서 기절하고 LTP는 50% 감소합니다. 이것은 베타-CaMK가CaMK의 약 65%를 II가 담당합니다.II 활동.[20][21] CaMK인 경우 LTP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습니다.II는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없도록 수정됩니다.[2][22] LTP 유도 후 CaMKII는 시냅스 후 밀도(PSD)로 이동합니다. 그러나 자극이 LTP를 유도하지 않으면 전위는 빠르게 가역적입니다. PSD에 바인딩하면 CaMK가 변경됩니다.II는 탈인산화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CaMKII는 CaMKII의 탈인산화를 담당하는 Protein Phosphatase 2A(PP2A)의 기질에서 Protein Phosphatase 1의 기질로 변환됩니다. Strack, S. (1997)[18]은 해마 조각을 화학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이 현상을 입증했습니다. 이 실험은 CaMK가II는 시냅스 강도 향상에 기여합니다. Sanhueza [23]등은 CaMK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발견했습니다.LTP의 유지를 위해서는 II가 필요합니다. 그녀는 해마 조각에서 LTP를 유도하고 CaMK를 예방하기 위해 길항제(CaMKIINtide)를 실험적으로 적용했습니다.II는 활성화되지 않았습니다. CaMK를 적용한 슬라이스는IINTide는 약물 주입 후 Normalized EPSP 기울기의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유도된 LTP가 스스로 역전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표준화된 EPSP 기울기는 제어부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CaMKII는 LTP 구축 후에도 LTP 유지관리 프로세스에 계속 참여합니다. CaMKII는 칼슘/칼모듈린에 의해 활성화되지만 자가인산화에 의해 유지됩니다. CaMKII는 LTP 유도 시 발생하는 NMDA-수용체 매개 칼슘 상승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활성화는 알파 및 베타 서브유닛과 Thr286/287의 인산화를 동반합니다.

독립적인 LTP 유도

인공적으로 CaMKII를 주입하여 LTP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CaMK일 때II는 시냅스 후에 해마 조각과 세포 내 관류 또는 바이러스 발현에 주입되며, 글루타메이트 및 기타 화학적 신호에 대한 시냅스의 반응이 2-3배 증가합니다.[24][25]

LTP에서의 기계적 역할

CaMKII의 활성화 후 CaMKII가 AMPA 수용체를 막으로 이동시킨 다음 덴드라이트의 PSD에 역할을 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습니다. AMPA 수용체의 움직임은 시냅스 강화를 통해 시냅스 전 탈분극에 대한 시냅스 후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이것은 LTP를 생성합니다.

기계적으로 CaMKII는 P2 세린 831 부위에서 AMPA 수용체를 인산화합니다. 이것은 AMPA 수용체의 GluA1 소단위체의 채널 전도도를 증가시키며,[26] 이는 AMPA 수용체가 LTP 동안 정상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합니다. AMPA 수용체 민감도 증가는 시냅스 강도 증가로 이어집니다.

GluA1 소단위체의 채널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것 외에도 CaMKII는 AMPA 수용체 세포외이입 과정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비 AMPA 수용체는 세포 내 엔도솜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CaMKII는 엔도솜이 외막으로 이동하도록 자극하고 내장된 AMPA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27] 엔도솜의 엑소사이토시스는 시냅스에서 AMPA 수용체의 수를 확대하고 증가시킵니다. AMPA 수용체의 수가 많을수록 시냅스의 시냅스 전 탈분극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고 LTP가 생성됩니다.

LTP 유지관리

LTP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과 함께 CaMKII는 LTP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가인산화하는 능력은 이러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정 CaMKII 차단제의 투여는 LTP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시간 의존적으로 이를 역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8]

행동기억

LTP는 학습과 기억의 과정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CaMKII는 기억 형성에도 중요합니다. 유전자 조작 쥐를 포함한 행동 연구는 CaMKII의 중요성을 입증했습니다.

자가인산화 방지

공간학습의 부족

1998년, Giese와 동료들은 CaMK를 예방하기 위해 유전적으로 조작된 녹아웃 마우스를 연구했습니다.II 자가인산화. 그들은 쥐들이 모리스 물 미로 과제에서 숨겨진 플랫폼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모리스 워터 미로 과제는 종종 해마 의존적 공간 학습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쥐가 숨겨진 플랫폼을 찾지 못하는 것은 공간 학습에 결함이 있음을 의미합니다.[17]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전적으로 결정적이지는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기억 형성 결핍은 유전적 변화로 인한 감각 운동 장애와도 연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29]

공포기억의 결핍

어바인과 동료들은 2006년에 CaMK의 자가인산화를 방지하는 것이II는 쥐가 초기 공포 조절 학습을 방해합니다. 그러나, 반복적인 실험 후, 손상된 쥐들은 대조군 쥐들과 유사한 공포 기억 형성을 보였습니다. CaMKII는 빠른 공포 기억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공포 기억을 완전히 막지는 못합니다.[30]

2004년, Rodrigue와 동료들은 공포 조절이 인산화된 CaMK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II는 측면 편도체 시냅스와 수지상 가시에서 공포 조절이 키나제를 조절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들은 또한 CaMKII를 억제하고 공포 조절과 LTP의 획득을 막는 약물인 KN-62를 발견했습니다.[31]

메모리 트레이스 통합 부족

α-CaMKII 이형접합 마우스는 정상 단백질 수준의 절반을 야생형 수준으로 발현합니다. 이 쥐들은 해마에서는 정상적인 기억 저장을 보였으나 피질에서는 기억의 통합에 결함이 있었습니다.[32]

과발현

메이포드와 동료들은 CaMK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조작했습니다.자가인산화를 모방하고 키나제 활성을 증가시키는, Thr-286의 아스파르테이트로의 점 돌연변이를 갖는 II. 이 쥐들은 약한 자극에 대한 LTP 반응을 보이지 못했고, 시각적 또는 후각적 신호에 의존하는 해마 의존적 공간 학습을 수행하지 못했습니다.[33]

연구원들은 이러한 결과가 이 동물들의 안정적인 해마 위치 세포의 부족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합니다.[34]

그러나 유전자 변형은 의도하지 않은 발달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벡터 전달은 특정 발달 단계에서 쥐의 유전 물질을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이미 개발된 동물에서 뇌의 특정 부위에 선택한 특정 유전자를 주입하는 것이 바이러스 벡터 전달로 가능합니다. 사실, 이것은 1990년대 초에 톤가와 그룹에 의해 그리고 2007년에 Poulsen과 동료들에 의해 행해졌습니다. 두 그룹 모두 CaMK를 주입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했습니다.해마 속으로. CaMK의 과발현이II는 새로운 기억의 획득을 약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중독

CaMK의 약물 유발 변화II 기능은 중독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양식

CaMK2A

CaMKIIA는 CamK의 주요 형태 중 하나입니다.II. CamK의 활성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시냅스 후 밀도에서 II. 연구에 따르면 CaMK가 없는 녹아웃 마우스는IIA는 낮은 빈도의 LTP를 보여줍니다. 게다가, 이 쥐들은 해마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위치 세포를 형성하지 않습니다.[37]

CaMK2B

CaMK2B는 Thr287에 자가인산화 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타겟팅 또는 도킹 모듈의 기능을 합니다.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 및 시퀀싱 분석을 통해 뇌에서 베타 CaMKII의 최소 5개의 대체 스플라이싱 변이체(베타, 베타6, 베타'e 및 베타7)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2개(베타6 및 베타7)는 모든 종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습니다.[38]

CaMK2D

CaMK2D는 신경세포형과 비신경세포형 모두에서 나타납니다. 특히 다양한 췌장, 백혈병, 유방 및 기타 종양 세포와 같은 많은 종양 세포에서 특징적입니다.[39] CaMK2D가 인간 종양 세포에서 하향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CaMK2G

CaMK2G는 분화된 평활근 세포에서 중요한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0]

유전자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Yamauchi, Takashi (2005). "Neuronal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Discovery, Progress in a Quarter of a Century, and Perspective: Implication for Learning and Memory".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8 (8): 1342–54. doi:10.1248/bpb.28.1342. PMID 16079472.
  2. ^ a b Anderson, M (2005). "Calmodulin kinase signaling in heart: an intriguing candidate target for therapy of myocardial dysfunction and arrhythmias". Pharmacology & Therapeutics. 106 (1): 39–55. doi:10.1016/j.pharmthera.2004.11.002. PMID 15781121.
  3. ^ Fährmann, Michael; Kaufhold, Marc-André (2006). "Functional partitioning of epithelial protein kinase CaMKII in signal transduc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Cell Research. 1763 (1): 101–9. doi:10.1016/j.bbamcr.2005.11.012. PMID 16406114.
  4. ^ McGargill, Maureen A.; Sharp, Leslie L.; Bui, Jack D.; Hedrick, Stephen M.; Calbo, Sébastien (July 2005). "Active Ca2+
    /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gamma B impairs positive selection of T cells by modulating TCR signaling"
    . The Journal of Immunology. 175 (2): 656–64. doi:10.4049/jimmunol.175.2.656. PMID 16002660. S2CID 35436952.
  5. ^ Lin, Meei Yun; Zal, Tomasz; Ch'en, Irene L.; Gascoigne, Nicholas R. J.; Hedrick, Stephen M. (May 2005). "A pivotal role for the multifunctional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in T cells: from activation to unresponsiveness". The Journal of Immunology. 174 (9): 5583–92. doi:10.4049/jimmunol.174.9.5583. PMID 15843557. S2CID 21614214.
  6. ^ Yamauchi, Takashi (August 2005). "Neuronal Ca2+
    /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discovery, progress in a quarter of a century, and perspective: implication for learning and memory"
    .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8 (8): 1342–54. doi:10.1248/bpb.28.1342. PMID 16079472.
  7. ^ 베넷, M.K., 에론두, 그리고 케네디, M.B. (1983) 뇌에 고농축된 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의 정제 및 특성화 방법 제이비올켐 258, 12735-12744
  8. ^ 에런두, 뉴저지, 케네디, M.B. (1985) 쥐 뇌에서 II형 Ca2+/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의 지역 분포. J Neurosci 5, 3270-3277.
  9. ^ Hudmon, Andy; Schulman, Howard (2002). "Neuronal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The Role of Structure and Autoregulation in Cellular Function". Annual Review of Biochemistry. 71: 473–510. doi:10.1146/annurev.biochem.71.110601.135410. PMID 12045104.
  10. ^ Kanaseki, T; Ikeuchi, Y; Sugiura, H; Yamauchi, T (1991). "Structural features of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reveal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15 (4): 1049–60. doi:10.1083/jcb.115.4.1049. PMC 2289961. PMID 1659571.
  11. ^ Yang, E; Schulman, H (1999). "Structural examination of autoregulation of multifunctional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4 (37): 26199–208. doi:10.1074/jbc.274.37.26199. PMID 10473573. S2CID 16106663.
  12. ^ Giese, K. P. (1998). "Autophosphorylation at Thr286 of the Calcium-Calmodulin Kinase II in LTP and Learning". Science. 279 (5352): 26199–208. doi:10.1126/science.279.5352.870. PMID 9452388.
  13. ^ Griffith LC, Lu CS, Sun XX (October 2003). "CaMKII, an enzyme on the move: regulation of temporospatial localization". Mol. Interv. 3 (7): 386–403. doi:10.1124/mi.3.7.386. PMID 14993460.
  14. ^ Miller, S.G.; Kennedy, M.B. (1986). "Regulation of brain type II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by autophosphorylation: a Ca2+-triggered molecular switch". Cell. 44 (6): 861–870. doi:10.1016/0092-8674(86)90008-5. PMID 3006921. S2CID 491812.
  15. ^ Lisman, J (1994). "The CaM kinase II hypothesis for the storage of synaptic memory". Trends in Neurosciences. 17 (10): 406–12. doi:10.1016/0166-2236(94)90014-0. PMID 7530878. S2CID 33109273.
  16. ^ Blitzer, Robert D.; Wong, Tony; Nouranifar, Rabin; Iyengar, Ravi; Landau, Emmanuel M. (1995). "Postsynaptic CAMP pathway gates early LTP in hippocampal CA1 region". Neuron. 15 (6): 1403–14. doi:10.1016/0896-6273(95)90018-7. PMID 8845163. S2CID 8220445.
  17. ^ a b Giese, K. P.; Fedorov, NB; Filipkowski, RK; Silva, AJ (1998). "Autophosphorylation at Thr286 of the Calcium-Calmodulin Kinase II in LTP and Learning". Science. 279 (5352): 870–3. doi:10.1126/science.279.5352.870. PMID 9452388.
  18. ^ a b Strack, S.; Choi, S; Lovinger, DM; Colbran, RJ (1997). "Translocation of Autophosphorylated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to the Postsynaptic Densit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2 (21): 13467–70. doi:10.1074/jbc.272.21.13467. PMID 9153188. S2CID 37467211.
  19. ^ Gardoni, F; Schrama, LH; Kamal, A; Gispen, WH; Cattabeni, F; Di Luca, M (2001).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involves competition between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and postsynaptic density 95 for binding to the NR2A subunit of the NMDA receptor".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1 (5): 1501–9. doi:10.1523/JNEUROSCI.21-05-01501.2001. hdl:1874/3794. PMC 6762931. PMID 11222640.
  20. ^ Silva, A.; Stevens, C.; Tonegawa, S; Wang, Y (1992). "Deficient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in alpha-calcium-calmodulin kinase II mutant mice". Science. 257 (5067): 201–6. Bibcode:1992Sci...257..201S. doi:10.1126/science.1378648. PMID 1378648.
  21. ^ Hinds H. L.; Tonegawa, S.; Malinow, R. (1998). "CA1 Long-Term Potentiation Is Diminished but Present in Hippocampal Slices from α-CaMKII Mutant Mice". Learning & Memory. 5 (4): 344–354. doi:10.1101/lm.5.4.344. S2CID 9166287.
  22. ^ Hrabetova, S; Sacktor, TC (1996). "Bidirectional regulation of protein kinase M zeta in the maintenance of long-term potentiation and long-term depressio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16 (17): 5324–33. doi:10.1523/JNEUROSCI.16-17-05324.1996. PMC 6578881. PMID 8757245.
  23. ^ Sanhueza, M; McIntyre, CC; Lisman, JE (2007). "Reversal of synaptic memory by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inhibitor".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7 (19): 5190–9. doi:10.1523/JNEUROSCI.5049-06.2007. PMC 6672374. PMID 17494705.
  24. ^ Davies, SN; Lester, RA; Reymann, KG; Collingridge, GL (1989). "Temporally distinct pre- and post-synaptic mechanisms maintain long-term potentiation". Nature. 338 (6215): 500–3. Bibcode:1989Natur.338..500D. doi:10.1038/338500a0. PMID 2564640. S2CID 4339539.
  25. ^ Montgomery, JM; Pavlidis, P; Madison, DV (2001). "Pair recordings reveal all-silent synaptic connections and the postsynaptic expression of long-term potentiation". Neuron. 29 (3): 691–701. doi:10.1016/S0896-6273(01)00244-6. PMID 11301028. S2CID 2441189.
  26. ^ Collingridge, Graham L.; Benke, Tim A.; Lüthi, Andreas; Isaac, John T. R. (1998). "Modulation of AMPA receptor unitary conductance by synaptic activity". Nature. 393 (6687): 793–7. Bibcode:1998Natur.393..793B. doi:10.1038/31709. PMID 9655394. S2CID 47246118.
  27. ^ Lisman, John; Schulman, Howard; Cline, Hollis (2002). "The Molecular Basis of CaMKII Function in Synaptic and Behavioural Memor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3 (3): 175–90. doi:10.1038/nrn753. PMID 11994750. S2CID 5844720.
  28. ^ Yang, H.-W.; Hu, XD; Zhang, HM; Xin, WJ; Li, MT; Zhang, T; Zhou, LJ; Liu, XG (2003). "Roles of CaMKII, PKA, and PKC in the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LTP of C-Fiber-Evoked Field Potentials in Rat Spinal Dorsal Horn". Journal of Neurophysiology. 91 (3): 1122–33. doi:10.1152/jn.00735.2003. PMID 14586032.
  29. ^ Rudy, Jerry W. (2004). The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Snauer. ISBN 978-0-87893-669-4.[페이지 필요]
  30. ^ Irvine, Elaine E.; Von Hertzen, Laura S. J.; Plattner, Florian; Giese, Karl Peter (2006). "αCaMKII autophosphorylation: a fast track to memory". Trends in Neurosciences. 29 (8): 459–65. doi:10.1016/j.tins.2006.06.009. PMID 16806507. S2CID 53151434.
  31. ^ Rodrigues, S. M.; Farb, CR; Bauer, EP; Ledoux, JE; Schafe, GE (2004). "Pavlovian Fear Conditioning Regulates Thr286 Autophosphorylation of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at Lateral Amygdala Synapses". Journal of Neuroscience. 24 (13): 3281–8. doi:10.1523/JNEUROSCI.5303-03.2004. PMC 6730013. PMID 15056707.
  32. ^ Frankland, Paul W.; O'Brien, Cara; Ohno, Masuo; Kirkwood, Alfredo; Silva, Alcino J. (2001). "Alpha-CaMKII-dependent plasticity in the cortex is required for permanent memory". Nature. 411 (6835): 309–13. Bibcode:2001Natur.411..309F. doi:10.1038/35077089. PMID 11357133. S2CID 4384100.
  33. ^ Mayford, Mark; Wang, Jian; Kandel, Eric R; O'Dell, Thomas J (1995). "CaMKII regulates the frequency-response function of hippocampal synapses for the production of both LTD and LTP". Cell. 81 (6): 891–904. doi:10.1016/0092-8674(95)90009-8. PMID 7781066. S2CID 17934142.
  34. ^ Rotenberg, Alexander; Mayford, Mark; Hawkins, Robert D; Kandel, Eric R; Muller, Robert U (1996). "Mice Expressing Activated CaMKII Lack Low Frequency LTP and Do Not Form Stable Place Cells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Cell. 87 (7): 1351–61. doi:10.1016/S0092-8674(00)81829-2. PMID 8980240. S2CID 16704390.
  35. ^ Tonegawa S (1994). "Gene targeting: a new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mammalian memory and learning". Molecular Neurobiology: Mechanisms Common to Brain, Skin and Immune System. Series: Progress in Clinical and Biological Research. Willey-Liss, Inc. 390: 5–18. PMID 7724650.
  36. ^ Poulsen, D.J.; Standing, D.; Bullshields, K.; Spencer, K.; Micevych, P.E.; Babcock, A.M. (2007). "Overexpression of hippocampal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improves spatial memory".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85 (4): 735–9. doi:10.1002/jnr.21163. PMID 17171706. S2CID 45751857.
  37. ^ Soderling, T (2000). "CaM-kinases: modulators of synaptic plasticity".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0 (3): 375–80. doi:10.1016/S0959-4388(00)00090-8. PMID 10851169. S2CID 31122499.
  38. ^ Wang, P; Wu, YL; Zhou, TH; Sun, Y; Pei, G (2000). "Identification of alternative splicing variants of the β subunit of human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with different activities". FEBS Letters. 475 (2): 107–1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