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기능

Utricularia
심실 기능
Utricularia vulgaris Sturm63.jpg
야콥 스투름의 '아빌둥겐의 도이칠란스 플로라'(1796년)의 우심실증 삽화
과학적 분류 e
왕국: 플랜태
Clade: 기관지 식물
Clade: 혈관배양액
Clade: 유디코트
Clade: 별자리
주문: 라미알레스
패밀리: 렌티불라리아과
속: 심실 기능
l.
하위속

이발바리아
폴리폼폴릭스
심실 기능

다양성
233종
Utricularia distribution.svg
방광 분포

일반적으로 그리고 집합적으로 방광우리로 불리는 우심실은 약 233종으로 구성된 육식성 식물의 한 속이다. (정확한 숫자는 분류 의견에 따라 다르다; 2001년 출판물 목록 215종).[1]그들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육생 또는 수생 종으로 민물과 습한 토양에서 발생한다.심실증은 특히 육식성 식물 애호가들 사이에서 스냅드래곤이나 난초와 종종 비교되는 을 위해 재배된다.일반적으로 식충성 식물과 혼동되지만, 실제로는 육식성 식물이다.

모든 심실증은 육식성으로 방광과 같은 덫으로 작은 유기체를 포획한다.육생 생물은 원생동물이나 로티퍼와 같은 미세한 먹이를 먹고 사는 작은 덫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트랩의 사이즈는 0.02~1.2cm(0.008~0.5인치)[2]입니다.물벼룩, 선충, 심지어 물고기 튀김, 모기 유충, 어린 올챙이같은 더 큰 먹잇감을 먹을 수 있는 방광을 가지고 있다.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덫은 매우 정교합니다.수생종의 활성 덫에서 먹잇감은 덫 문에 연결된 방아쇠 털을 스친다.방광은 "설정"될 때 환경에 대해 음의 압력을 받기 때문에 트랩도어가 기계적으로 작동될 때 먹잇감은 주변의 물과 함께 방광으로 빨려 들어갑니다.방광에 물이 차면 문은 다시 닫히는데, 전체 과정은 10~[3][4]15밀리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방광엽은 특이하고 고도로 특화된 식물이고, 식물 기관은 대부분의 다른 [5]혈관배엽처럼 뿌리, , 줄기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습니다.심실에는 [6][7][8]근원계가 없다.방광 덫은 식물계에서 [2]가장 정교한 구조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묘사

영국 속성의 한 사례에서 나온 돌의 끝부분은 돌기, 가지 모양의 잎새, 투명한 방광 트랩을 보여줍니다.

방광엽 식물의 주요 부분은 항상 기질 표면 아래에 있습니다.육생 종은 때때로 광합성 잎싹을 몇 개 생산한다.수생 종은 연못과 개울의 수면 아래에서 관찰될 수 있다.

플랜트 구조

대부분의 종들은 연못물이나 열대 우림의 캐노피에서 떨어지는 이끼가 되든 간에 기질 표면 아래에 길고 가늘고 때로는 가지치는 줄기나 돌기를 형성한다.이 돌멩이에는 방광 트랩과 광합성 잎 송이가 모두 부착되어 있으며, 육생종에서는 새싹이 흙을 통해 공중이나 지표면을 따라 위로 밀어 올려진다.

블래더워트라는 이름은 방광과 같은 덫을 말합니다.이 속의 수생 구성원들은 가장 크고 가장 명백한 방광을 가지고 있으며, 처음에는 그들의 육식성이 [9]발견되기 전에 부유 장치로 생각되었다.

어원학

일반명 Utrichillia는 라틴어 Utriculus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많은 관련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와인 플라스크, 가죽 병 또는 [10]백파이프의미합니다.

꽃과 재생산

꽃은 식물의 유일한 부분으로 기초가 되는 흙이나 물이 없는 곳입니다.그것들은 대개 얇고 종종 수직인 꽃차례의 끝에서 생산된다.크기는 0.2~10cm(0.08~4인치) 정도이며, 2개의 비대칭(불균일한 입술 모양)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꽃잎은 보통 위쪽보다 상당히 크다.그것들은 어떤 색깔이든 여러 가지 색깔일 수 있으며, 구조가 관련된 육식성속인 핑구이쿨라[2]꽃과 유사하다.

U. gulris와 같은 수생 품종의 꽃들은 종종 작은 노란색 스냅드래곤과 비슷하다고 묘사되며, 호주 종 U. dichotoma제비꽃으로 가득 찬 들판의 효과를 줄기에 줄기를 잘라낼 수 있다.그러나 남아메리카의 착생종은 일반적으로 가장 화려한 꽃과 가장 큰 꽃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종들은 난초와 자주 비교된다.

특정 계절의 식물들은 폐쇄적이고, 스스로 수분시키는 (깨끗한) 꽃을 피울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식물이나 종은 일년 중 다른 시기 또는 다른 시기에 뚜렷한 패턴 없이 곤충이 수분하는 꽃을 피울 수 있다.때때로, 개별 식물들은 동시에 두 종류의 꽃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U. 디모르판타와 U. geminiscapa같은 수생 생물들은 보통 물 밖으로 달리는 열린 꽃들과 물 아래에서 하나 이상의 닫힌, 자기 수분 꽃을 가지고 있다.씨앗은 많고 작으며,[2][4] 대부분의 종은 길이가 0.2~1mm(0.008~0.04인치)이다.

분포 및 서식

태국 논에서 자라는 심실 황색.

심실증은 적어도 일 년 중 일부만 민물이 있는 곳이라면 거의 어디에서나 살아남을 수 있다. 남극 대륙과 일부 해양 섬들만이 토착종이 없다.이 속의 가장 다양한 종은 남아메리카에서 볼 수 있으며, 호주가 [1]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대부분의 육식 식물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녹은 광물이 부족한 습한 토양에서 자라며, 그들의 육식 본성은 그들에게 경쟁 우위를 제공합니다; 육식성 속 - 사라세니아, 드로세라 그리고 다른 것들의 대표자들과 함께 종종 육식성 속들의 대표들과 함께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연속적인 습한 지역에서움직이는 물은 토양에서 대부분의 용해성 미네랄을 제거한다.

우심실은 다양한 형태의 생명체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육생,[11] 암생, 수생, 착생, 그리고 레오피스가 모두 그들의 환경에 매우 잘 적응되어 있다.

종의 약 80%가 육생이고, 대부분은 물에 잠기거나 젖은 토양에서 서식하며, 작은 방광은 기질 속의 물에 영구적으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그들은 종종 수면과 매우 가까운 습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대부분의 육생 종은 열대성 동물이지만,[2] 전 세계적으로 발생합니다.

그 종의 약 20%가 [2]수생이다.이들 중 대부분은 연못과 진흙 바닥의 다른 물 표면 위를 자유롭게 떠다니며 비록 몇몇 종은 암석이고 빠르게 움직이는 시냇물이나 [12]폭포에 적응되어 있지만, 꽃이 필 때만 수면 위로 돌출된다.식물은 보통 산성 물에서 발견되지만, 알칼리성 물에서 자랄 수 있고, 그러한 지역에서 [12]다른 식물과의 높은 수준의 경쟁이 없다면 그렇게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수심실증은 종종 부유층과 부착층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부유 수역은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자유롭게 떠다니는 종으로 영양소가 부족한 곳에서 종종 발견됩니다.반대로, 고정 수심은 최소한 일부 새싹이 땅속에 뿌리를 내린 종이다.이 식물들은 종종 잎이 무성하고, 녹색이며, 종종 물에 떠다니는 방광이 없는 새싹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들은 하얗고 식물을 땅에 [11]붙이는 방광으로 덮인 새싹을 가지고 있다.우심실속은 수생종으로 [2]유라시아 전역의 연못과 도랑에서 최대 1m 이상의 개개의 돌기를 가진 가지 모양의 뗏목으로 자란다.

일부 남미 열대 종은 착생식물로, 열대 우림의 나무 위에 있는 젖은 이끼와 스폰지 같은 나무껍질, 또는 다양한 틸란디아([3]브로멜리아드의 일종) 종과 같은 다른 착생식물의 물기 많은 잎사귀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착생성 심실증은 종종 난초와 같은 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장식적으로 인기가 있다.U. nelumbifolia같은 장미꽃을 형성하는 착생식물은 군락을 [4]형성하기 위해 근처의 다른 브로멜리아드를 찾아다니며 주자를 내보냈습니다.

절벽과 이끼 낀 바위의 젖은 표면에 사는 몇몇 암석종과 얕은 강과 [11]개울에 사는 유생종도 있다.

식물들은 구조나 먹이 습성만큼이나 계절적 악조건에서 살아남는 방법에 매우 적응되어 있다.온대 다년생 식물들은 매년 다시 죽는 겨울 기간을 필요로 할 수 있고, 만약 그들이 그것을 주지 않는다면 재배가 약해질 것이다; 반면에 열대성이나 온대성 생물들은 휴면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영국과 시베리아와 같은 추운 온대 지역에 떠 있는 방광고래는 줄기 끝에 튜리온이라고 불리는 겨울 싹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을 빛이 실패하고 성장이 느려지면, 주요 식물은 썩어 없어지거나 얼어붙은 조건에 의해 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튜리온은 분리되고 연못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c 아래에 휴식을 취할 것입니다.그들이 표면으로 돌아와 성장을 재개하는 봄까지 얼음을 만든다.많은 호주 종들은 건기가 끝나기를 기다리기 위해 겨우 10mm(0.4인치) 길이의 덩이줄기로 줄어들면서 우기 동안만 자란다.다른 종들은 매년 [2]씨앗에서 돌아오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분산과 생명체의 진화

우심실의 조상 계통은 육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육지 형태에서 착생 형태는 독립적으로 세 번[13], 수중 생물 형태는 우티실리아에서 [11]네 번 발생했다.

한랭성 가설과[11] 관련된 생물 지리학적 패턴은 온대 유라시아 또는 열대 [13]아메리카에서 렌티불라리아과의 기원을 열거한다.화석화된 꽃가루와 섬 분리에 기초하여, 겐리세아-우심실 분지의 마지막 공통 조상은 39mya에서 생겨난 남미 혈통인 것으로 밝혀졌다.심실증은 아마도 자매속인 30mya에서 갈라져 호주, 그리고 아프리카로 퍼져 나갔을 것이다.다른 대륙 횡단 분산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았고, 그 중 하나는 종파로 대표된다. 넬푸스.우심실의 북미 식민지화는 아마도 남미에서 12mya로 일어났을 것이다.유라시아에 대한 우심실의 분산은 4.7mya의 장거리 분산으로 [11]베링 해협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다.

육식동물

트랩의 물리적인 설명

식물학자 피터 테일러와 프란시스 어니스트 로이드와 같은 이 속 당국은 진공으로 움직이는 우티실리아의 방광은 식물계에서 [2][3][4][12][14][15]발견된 가장 정교한 육식성 포획 메커니즘이라고 입을 모은다.방광은 보통 넓은 콩과 비슷하게 생겼고(다양한 모양으로 나오지만), 가느다란 줄기에 의해 물에 잠긴 에 붙는다.

방광의 벽은 매우 얇고 투명하지만, 내부가 진공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방광의 형태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유연하지 않다.트랩의 입구, 즉 '입'은 매우 유연하고 효과적인 힌지를 형성하는 세포를 생산하는 트랩의 몸체에 상반부가 접합된 원형 또는 타원형 플랩입니다.문은 바로 밑의 방광벽이 두꺼워지면서 형성된 플랫폼 위에 놓여 있다.벨룸이라고 불리는 부드럽고 튼튼한 막이 이 플랫폼의 중앙을 중심으로 곡선으로 뻗어 문을 닫는 것을 돕는다.두 번째 스프링 셀 밴드가 문 아래쪽 가장자리 바로 위에 교차하여 문 바닥이 구부러질 수 있는 '립'이 되도록 유연성을 제공하며 벨룸으로 완벽한 씰링을 할 수 있다.

전체 트랩의 외부 세포는 점액을 배출하고 문 아래에서 더 많은 양이 생성되며 당을 포함합니다.점액은 확실히 바다표범에 기여하고 설탕은 먹이를 유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U. Sandersonii같은 육생 종은 입구에 넓게 뻗어 구부러진 부리 같은 구조를 가진 작은 덫(때로는 0.2mm; 1/100인치)[2]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덫문으로 가는 통로를 형성하고 무기 입자의 포획과 섭취를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미국 인플레타같은 수생 종은 최대 1.2cm(0.47인치)[2]의 더 큰 방광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덫의 입구는 보통 부리가 아니라 가지 모양의 더듬이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더듬이는 먹이 동물을 덫 입구로 안내하고, 덫의 입구를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는 더 큰 몸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착생하는 종은 입 앞에서 구부러지는 가지 없는 더듬이를 가지고 있고 아마도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비록 그들이 모세관 작용에 의해 입 앞에서 물주머니를 잡을 수 있고, 이것은 포획 [4]작용을 돕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트랩 메커니즘

물떼새 덫: 길고, 보통 가지를 치고, 더듬이는 다프니아를 물떼새의 덫 문으로 안내합니다.
방광 트랩 기구: 아래에서 보면 물 배설에 의해 압착된 방광이 갑자기 부풀어 오른다프니아에 의해 트랩 도어가 해제됩니다.방광은 덫을 촉발시킨 불운한 동물을 포함하여 근처의 물을 빨아들인다.

우심실의 포획 메커니즘은 순전히 기계적인 것으로, 비너스 파리잡이(디오네아), 물레방아(알드로반다), 그리고 많은 일몰(드로세라)에 의해 사용되는 트리거 메커니즘과는 대조적으로, 먹이가 있는 곳에서는 식물의 반응(분열성)이 필요하지 않다.관련된 유일한 활성 메커니즘은 능동적[4]수송에 의해 방광 벽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을 퍼내는 것입니다.

물이 퍼지면서 방광의 벽은 만들어진 음압에 의해 안쪽으로 빨려들어가 방광 안에 녹아있는 물질이 더 농축된다.방광의 측면은 안쪽으로 구부러져 스프링처럼 잠재적인 에너지를 저장합니다.결국 더 이상 물을 추출할 수 없게 되고, 방광 트랩은 '완전 설정'된다(기술적으로는 물리적 압력보다는 삼투압이 제한 요인이다).[4]

트랩도어 바닥에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몇 개의 긴 강모 돌기들은 때때로 방아쇠 털 또는 더듬이로 언급되지만 디오네아와 알드로반다에서 발견되는 민감한 방아쇠와는 유사하지 않습니다.사실, 이 털들은 단순한 지렛대입니다.프라이밍된 블래더가 도어에 가하는 흡입력은 유연한 바닥이 부드러운 씰링 벨룸에 부착되어 저항합니다.균형은 말 그대로 모발 방아쇠에 달려 있으며 레버 털 중 하나를 살짝 만지면 유연한 문 입술이 변형되어 작은 틈을 만들어 [4]봉인이 깨집니다.

일단 봉인이 흐트러지면, 방광 벽은 즉시 더 둥근 모양으로 되돌아갑니다; 문은 날아가고 물기둥은 방광으로 빨려 들어갑니다.레버에 닿은 동물은, 충분히 작다면, 불가피하게 끌려들어가게 되고, 트랩이 채워지면 문이 닫히는 위치로 돌아옵니다. 전체 작업은 불과 100분의 1초 [4]만에 완료됩니다.

일단 안으로 들어가면, 먹잇감은 소화 분비물에 의해 용해된다.이것은 보통 몇 시간 안에 발생하지만, 일부 원생동물은 내성이 매우 강하고 덫 안에서 며칠 동안 사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항상, 트랩 벽은 물을 계속 퍼내고, 방광은 15분에서 30분 [4]안에 다음 포획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 관계

우심실의 방광은 종종 상생의 미생물 집단을 배양하는데, 이것은 우심실 내 먹이의 소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습니다.박테리아는 더 큰 유기체가 직접 섭취할 수 없는 용해된 유기물을 소비한다.박테리아가 용해된 유기물을 흡수하면 영양분도 방출돼 광자영양성장을 촉진한다.우심실의 덫이 봉인되어 미생물 먹이의 거미줄에 필요한 모든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우심실의 덫 액체에 있는 많은 효소 활성과 이용 가능한 영양소가 이러한 미생물 [16]군집으로부터 파생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또한, 심실내 트랩은 종종 다양한 미세 플랭크톤과 이물질을 수집한다.이 페리피톤이 방광 환경 내의 기본 영양소로 용해될 때, 박테리아 효소는 소화를 돕는다.따라서 우트리클에서의 탄소분비와 주변피톤 이용은 상대적으로 경쟁 없이 심실내를 살 수 있게 한다.

이 미생물들이 이 식물들이 인을 얻는 데 문제가 있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미생물들이 그들의 뿌리를 잃었을 때 필요한 영양분을 얻도록 허락했을 수 있기 때문에, 상호주의는 수생 우심실 함정 진화에 있어 중요한 연관성이었을 수 있다.인은 우심실 영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왜 우심실 방광은 인의 [16]소화를 돕기 위해 다양한 박테리아와 함께 발견되는지를 설명해준다.

호흡 강화

심실증은 복잡한 에너지 의존적 트랩 때문에 대부분의 식물 조직보다 호흡 속도가 상당히 높다.트리거 시, 먹잇감은 2단계 ATP 구동 이온 펌핑 과정을 통해 포획됩니다. 이 과정에서 유기체는 트랩에서 물을 펌핑하여 외부 환경으로 유입되는 내부 음압에 의해 흡수됩니다.최근의 연구는 ATP의 합성과 관련된 세포 호흡 경로의 속도 제한 효소인 COX 서브유닛 I(COx1)가 우티실리아-겐리세아 분지에서 양성 다윈 선택 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COX1 나선 3과 시토크롬 c의 도킹 포인트에서 두 개의 연속된 시스테인(C-C 모티브)의 적응 치환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데이터베이스화된 진핵생물, 고세균의 약 99.9%에는 없는 C-C 모티브는 양성자 펌프에서 전자 전달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 변화를 시사한다.그렇게 함으로써, 막을 분리할 수 있는 양자는 ATP가 [17]필요할 때까지 저장된다.이러한 디커플링을 통해 에너지 [18]효율에 20%의 비용이 들지만 Utrichilia는 필요할 때 전력 출력(에너지 × 속도)을 최적화할 수 있다.

ROS 돌연변이 가설에 따르면, 이러한 양성자의 고립은 세포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뉴클레오티드 치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산화적 인산화 과정은 불완전한 과정으로 전자가 내강으로 새어나가도록 하고 산소를 부분적으로만 감소시킨다.이 부분적으로 환원된 산소는 완전히 환원된 산소 분자와 달리 매우 유해할 수 있는 활성 산소 종(ROS)입니다.내강과 막간 공간 사이에 더 큰 잠재적 변화가 있을 때, 전자전달계의 누출도 증가하여 우티실리아 미토콘드리아에서 더 높은 ROS를 생성한다.ROS는 뉴클레오티드와 나선형 DNA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세포에 해롭다.따라서, 양성자의 독특한 격리와 결합된 우심실 방광의 세포 호흡 증가는 그것의 높은 뉴클레오티드 치환율, 따라서 그것의 광범위한 [17]다양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진화는 우연만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아 보인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심실내에서의 이러한 주요 적응이 매우 복잡하고 효율적인 올가미로 비교적 단순한 트랩 구조의 급진적인 형태학적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고 제안한다.이러한 적응은 먹이의 범위, 포획 속도, 그리고 먹이가 [18]분해되는 동안 영양소의 보유량을 늘림으로써 그 속의 적합성을 향상시켰을지도 모른다.

로이드 실험

1940년대에 프란시스 어니스트 로이드(Francis Ernest Lloyd)는 우티실리아(Utrichilia)를 포함한 육식성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했고, 이전에는 추측의 대상이었던 많은 점들을 해결했다.그는 요오드로 방아쇠 털을 죽이고 그 후에 반응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그리고 방광의 물의 배설이 온화한 도움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면 트랩이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시간 후에 바로 튀어오를 준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트랩의 메커니즘이 순수하게 기계적이라는 것을 증명했다.즉, 트랩 스프링 사이에 적어도 15분의 지연은 물을 배출하는 데 필요한 시간 때문이며 트리거는 과민성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4]Venus Flytraps의 반응형 트리거 털과는 다릅니다).

그는 작은 칼집을 만들면 트랩이 절대 굳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벨룸의 역할을 시험하였고, 자연환경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조건에서 물의 배설을 계속할 수 있지만, 글리세린 [4]도입으로 트랩 내의 삼투압을 정상 한계 이상으로 구동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 큰 먹잇감의 섭취

로이드는 종종 언급되었지만 이전에는 전혀 설명되지 않았던 우심실이 꼬리를 잡고 [4][12]조금씩 잡아먹음으로써 어린 올챙이와 모기 유충과 같은 더 큰 먹이를 먹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몇 가지 연구를 했다.

로이드 이전에, 몇몇 저자들은 이 현상을 보고했고 꼬리에 잡힌 생물들이 탈출을 위해 몸부림칠 때 덫을 반복적으로 터트린다고 가정함으로써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심지어 그들의 꼬리는 식물에 의해 활발하게 소화된다.그러나 Lloyd는 식물이 여러 [4]자극 없이 단계별로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수생 우심실 인플라타의 꽃줄기는 로제트의 부유물에 의해 높이 떠 있다.

그는 알부민(계란 흰자)을 뜨거운 물에 저어 적당한 길이와 두께의 조각을 골라 실험에 적합한 인공 사료를 만들었다.한쪽 끝에 걸렸을 때, 가닥이 서서히 빨려들어갔고, 때로는 갑자기 뛰었고, 다른 때는 느리고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빨려 들어가기도 했다.알부민 가닥은 종종 20분 [4]안에 완전히 섭취된다.

꼬리에 잡힌 모기 유충은 조금씩 삼켜질 것이다.Lloyd가 제시한 전형적인 예는 덫이 관리할 수 있는 것의 상한에 있는 유충은 약 24시간 동안 단계별로 섭취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머리가 단단하기 때문에 종종 덫 입구에 비해 너무 크고 문을 닫은 채 밖에 남아 있을 것입니다.이 일이 일어났을 때, 이 덫은 유충의 머리와 함께 효과적인 봉인을 형성했는데, 유충은 여전히 물을 배출하고 납작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히 과잉 [4]먹이로 인해" 약 10일 안에 죽을 것이다.

작은 올챙이와 같이 몸집이 부드러운 먹잇감은 단단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섭취할 수 있고, 머리는 잠시 문을 닫을 수 있지만 부드러워지고 굴복하여 마침내 [4]빨려 들어갈 수 있다.

매우 얇은 알부민 가닥은 트랩도어가 완전히 닫힐 정도로 부드럽고 미세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 털이 실제로 다시 자극되지 않는 한 이러한 가닥은 더 이상 빨려 들어가지 않습니다.반면, 사람의 머리카락은 가늘고 단단하며 굴곡이 없는 것이 씰 형성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물이 [4]새어 트랩이 리셋되는 것을 전혀 막을 수 있다.

Lloyd는 방광에서 나오는 물의 배설에 의한 흡인 작용이 방아쇠 레버에 두 번째 또는 더 이상 접촉할 필요 없이 더 큰 부드러운 몸의 먹이를 덫으로 끌어들이기에 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처음 덫에 완전히 휩싸이지 않을 만큼 충분히 길지만 문이 완전히 제자리에 돌아갈 수 있을 만큼 얇고 부드러운 동물은 실제로 그 또는 다른 몸이 다시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때까지 덫 밖에 부분적으로 남겨질 것이다.그러나 트랩에 완전히 흡입되지 않은 단단한 물체의 포획은 더 이상의 [4]작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유전학

Chris Whitewoods는 어떻게 유전자가 평평한 잎의 윗면과 아랫면의 형성을 조절하고 컵 모양의 덫이 평평한 잎에서 어떻게 진화했는지 보여주기 위해 Utrichilia gibba에서 가능한 유전자 조절의 컴퓨터 모델을 개발했다.심실의 유전자 발현 변화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U. Gibba 잎은 발달 초기에 비슷하게 보이지만 나중에 [19]구면 트랩 또는 원통형 리플릿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잎의 방향적 팽창은 트랩의 형태 형성의 중요한 동인으로 제시된다.잎의 윗면과 아랫면은 유전자 표지와 다르게 관련되어 있다.마커 UgPHV1은 상엽면과 [20]관련되어 있습니다.UgPHV1/PAVOLUTA(PHV)가 제한되면 트랩 프리미오디아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성장에 의해 구형이 된다.UgPHV1의 발현은 트랩의 발달을 억제하고 [19][20][21][6]리플릿의 형성을 일으킨다.유전자 [20]발현 공간 조절 측면에서 피처형 사라세니아 트랩을 포함한 다른 잎 모양의 형태 발달을 설명하는 데 동일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돌연변이 COXI에 의해 야기된 호흡 속도 증가는 우심실-겐리세아 분지군에 두 가지 추가 특성을 야기했을 수 있다. i) 뉴클레오티드 치환 속도가 크게 증가했고 ii) 알려진 가장 작은 반수체 안지오스페름 게놈 중 일부를 가진 우심실종을 포함한 게놈 크기의 동적 감소이다.최근 연구는 대규모 Utrichillia 핵 게놈 염기서열 분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U. gibba(80Mb)의 서로 다른 장기에서 세 개의 cDNA 라이브러리를 수행했다.그들은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세포 게놈에서 증가한 뉴클레오티드 치환율을 기록했다.그들은 또한 DNA 복구 관련 단백질과 활성산소종(ROS)-디톡스의 증가된 수치를 기록했다.ROS는 세포대사의 산물로 대량으로 축적되면 세포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그들은 DNA 수복의 발현과 ROS 해독이 트랩 특이적이라기보다는 어디에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이러한 유비쿼터스 발현으로 인해 트랩 활성화에 의한 높은 호흡률로 인해 트랩 구조에서 상대적인 ROS 해독이 낮아져 결과적으로 더 높은 독성 효과와 돌연변이 유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향상된 ROS 생산의 돌연변이 유발 작용은 뉴클레오티드 치환의 높은 속도와 게놈 크기의 동적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이중 가닥 절단을 통해).

게놈 크기의 극적인 변화와 높은 돌연변이율은 우심실 방광 크기, 뿌리 구조, 그리고 이완된 신체 형성의 변화를 허용했을 수 있다.전반적으로 돌연변이 COXI의 도입과 높은 돌연변이율은 우심실종에서 발견되는 변동성에 대한 강력한 진화 가설을 제공한다.

종.

심실증육식성 식물의 가장 큰 속이다.뽕나무과(Lentibulariaceae)는 뽕나무과(Pinguicula), 코르크따개과(Genlisea)와 함께 뽕나무과를 구성하는 3개의 속 중 하나이다.

이 속은 피터 테일러가 1989년 영국 여왕의 문방구 사무소에 의해 출판된 분류학 논문인 '우티실리아속'에서 214종으로 숫자를 줄이기 전까지 250종으로 여겨졌다.테일러의 분류는 현재 일반적으로 계통발생학적 연구에 기초한 수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아래 참조).

분홍색 페티코트인 폴리폼폴릭스속은 2종의 육식성 식물인 폴리폼폴릭스 테넬라와 폴리폼폴릭스 멀티다를 포함했는데, 이전에는 2종이 아닌 4개의 꽃받침 잎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비슷한 우티실리아속과 구별되었다.그 속은 이제 우심실에 편입되었다.

Biovularia속은 Biovularia ollivacea(B. brasiliensis 또는 B. minima로도 알려져 있음)와 Biovularia 심반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그 속은 우심실에 편입되었다.

계통학

다음 분지도는 다양한 하위 속과 섹션 간의 관계를 보여 줍니다.두 가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Jobson 등 2003; Muller 등).2004년)에 이어 뮐러 등 2006년.[22]아라넬라베시쿨리나 단면은 다계통이기 때문에 분해도(*)에 여러 번 나타난다.일부 단형 섹션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스템에서 해당 섹션의 위치가 불분명합니다.아래에 포함되지 않은 섹션은 Candollea, Chelidon, Choristotecae, Kamienskia, Martinia, Meionula, Mirabiles, Oliveria, Setiscapella, Sprucea, Steyermarkia, Styermarkia, Styermarkia, Bivalus Subgenerus UtivaliaMinutae이다.

심실아속

아베시카리아

*섹션 베시쿨리나

감람실

*섹션 베시쿨리나

섹션 넬푸스

섹션 렉티큘라

절개 심실

섹션 오키오이데스

섹션 폴리오사

비발바리아아속

섹션 올리고키스타

섹션 아베시카리오이데스

섹션 베냐민

스토모이시아

섹션 Enskide

* 단면 아라넬라

섹션 칼피디스카

섹션 로이드리아

섹션 오스트레일리아

섹션 니그레센테스

단면 박엽

* 단면 아라넬라

폴립폼폴릭스아속

단면적 늑골

단면 폴리폼폴릭스

레퍼런스

  1. ^ a b 연어, 브루스(2001년).뉴질랜드의 육식 식물.에코스피어 출판물 ISBN978-0-473-08032-7
  2. ^ a b c d e f g h i j k 테일러, 피터 (1989)Utrichillia - 분류학 논문.큐 게시판 추가 시리즈 XIV: 런던.ISBN 978-0-947643-72-0
  3. ^ a b c 다마토, 피터 1998년산새비지 가든: 육식성 식물 재배.Ten Speed Press: 캘리포니아 버클리.ISBN 978-0-89815-915-8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로이드, F.E. 1942년육식 식물.Ronald Press Company:뉴욕.ISBN 978-1-4437-2891-1
  5. ^ Rutishauser, Rolf; Isler, B. "Developmental Genetics and Morphological Evolution of Flowering Plants, Especially Bladderworts (Utricularia): Fuzzy Arberian Morphology Complements Classical Morphology". Annals of Botany. 88: 1173–1202. doi:10.1006/anbo.2001.1498.
  6. ^ a b Hedrich, Rainer; Fukushima, Kenji (17 June 2021). "On the Origin of Carnivory: Molecular Physiology and Evolution of Plants on an Animal Diet". Annual Review of Plant Biology. 72 (1): 133–153. doi:10.1146/annurev-arplant-080620-010429. ISSN 1543-5008. PMID 33434053. S2CID 231595236. Retrieved 11 March 2022.
  7. ^ Adlassnig, Wolfram; Peroutka, Marianne; Lambers, Hans; Lichtscheidl, Irene K. (1 July 2005). "The Roots of Carnivorous Plants". Plant and Soil. 274 (1): 127–140. doi:10.1007/s11104-004-2754-2. ISSN 1573-5036. S2CID 5038696. Retrieved 17 March 2022.
  8. ^ Miranda, Vitor F. O.; Silva, Saura R.; Reut, Markus S.; Dolsan, Hugo; Stolarczyk, Piotr; Rutishauser, Rolf; Płachno, Bartosz J. (3 December 2021). "A Historical Perspective of Bladderworts (Utricularia): Traps, Carnivory and Body Architecture" (PDF). Plants. 10 (12): 2656. doi:10.3390/plants10122656. PMC 8707321. PMID 34961127. Retrieved 17 March 2022.
  9. ^ 대접해, 메리 1875년 3월 6일동물을 잡아먹는 식물들.정원사 연대기, 303-304페이지
  10. ^ "Bagpipe in Latin - English-Latin Dictionary Glosbe".
  11. ^ a b c d e f Silva S.R., Gibson R., Adamec L., 도밍게즈 Y., 미란다 V.F.O... (2018) 방광근의 분자 계통학:6개의 플라스티달 및 핵 DNA 배열, 분자 계통학 및 진화, Volume 118, Pages 244-264, ISSN 1055-7903에 기초한 우심실(Lentibulariaceae) 종 관계의 광범위한 접근.
  12. ^ a b c d 천천히, 에이드리언.2000년 식육식물 개정판MIT 프레스: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ISBN 978-0-262-69089-8
  13. ^ a b Jobson, R. W., Playford, J., Cameron, K. M. 및 Albert, V. A. (2003)플라스티드 rps16 Intron 및 trnL-F DNA 배열에서 추론된 렌티불라리아과의 분자 계통학:성격 진화와 생물 지리학에 대한 시사점.계통식물학, 28(1), 157~171.
  14. ^ 다윈, 찰스 1875년식충 식물뉴욕.
  15. ^ 건배, G. 1983육식 식물.멜버른.ISBN 978-0-9591937-0-1
  16. ^ a b 시로바 D., 보로벡, 자쿠브 B.Rejmankova E., Adamec L., Vrba J. (2009) 수생 우심실종 함정의 미생물 군집 발달, 수생식물학, 제90권, 제2호, 129-136페이지, ISSN 0304-3770.
  17. ^ a b Albert VA, Jobson RW, Michael TP, Taylor DJ. (2010년) 육식성 방광아목(Uticilia, Lentibulariaceae): 시스템이 부풀어 오른다, 실험 식물학 저널, 제6권, 제1, 페이지 5-9.
  18. ^ a b Laakkonen, L., Jobson, R. W. 및 Albert, V. A. (2006)방광엽식물(심실)의 육식 진화를 위한 새로운 모델: 시토크롬C산화효소(COx)의 적응적 변화가 호흡력을 제공한다.식물생물학(독일 슈투트가르트), 8(6), 758–764.
  19. ^ a b Agrawal, Arpita; Pareek, Ashwani; Dkhar, Jeremy (2022). "Genetic Basis of Carnivorous Leaf Development". Frontiers in Plant Science. 12: 825289. doi:10.3389/fpls.2021.825289. ISSN 1664-462X. PMC 8792892. PMID 35095989.
  20. ^ a b c Geitmann, Anja (5 March 2020). "Form Follows Function: How to Build a Deadly Trap". Cell. 180 (5): 826–828. doi:10.1016/j.cell.2020.02.023. ISSN 0092-8674. PMID 32142675. S2CID 212408711. Retrieved 17 March 2022.
  21. ^ Whitewoods, Christopher D.; Gonçalves, Beatriz; Cheng, Jie; Cui, Minlong; Kennaway, Richard; Lee, Karen; Bushell, Claire; Yu, Man; Piao, Chunlan; Coen, Enrico (3 January 2020). "Evolution of carnivorous traps from planar leaves through simple shifts in gene expression". Science. 367 (6473): 91–96. Bibcode:2020Sci...367...91W. doi:10.1126/science.aay5433. ISSN 1095-9203. PMID 31753850. S2CID 208229594. Retrieved 17 March 2022.
  22. ^ K. F. Muller, T. Borsch, L. L. Legendre, S. Porembski, W. Barthlott: 육식 렌티불라리아과(Lamiales), 식물생물학, 2006; 8: 748-75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