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의 군주

Lordship of Argos and Nauplia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
아차아 공국(사실상 자치)[1]의 도독에 있는 영주권
1212–1388
Arms of the House of Brienne, rulers of the lordship from 1309 to 1356 of Argos and Nauplia
1309년부터 1356년까지 영주의 통치자인 브리엔 가문의 무기
자본나우플리아
면적
• 좌표37°36°N 동경 22도46도/37.600°N 22.767°E/ 37.600; 22.767좌표: 37°36′N 22°46′E / 37.600°N 22.767°E / 37.600; 22.767°
역사
• 유형봉건 군주국
역사시대중세
• 확립됨
1212
베니스에 판매
1388
선행자
성공자
레오 수로스
모레아 전제군
베네치아 공화국

During the late Middle Ages, the two cities of Argos (Greek: Άργος, French: Argues) and Nauplia (modern Nafplio, Ναύπλιο; in the Middle Ages Ἀνάπλι, in French Naples de Romanie) formed a lordship within the Frankish-ruled Morea in southern Greece.[2]

1211–1212년에 정복한 후에, 그 도시들은 아차아의 왕자 빌레하두인의 제프리 1세로부터 아테네의 공작 오토 로슈에게 피구로 주어졌다.영주는 1311년 카탈루냐 컴퍼니에 의해 아테네의 두키족을 정복한 이후에도 아테네의 드라 로슈와 브리엔느 두키스의 소유로 남아 있었고, 브리엔느 라인은 계속 그곳에서 아테네의 두키족으로 인정받았다.브리엔의 월터 6세는 1331년 아테네를 카탈로니아로부터 되찾으려는 시도가 실패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생애를 유럽 영토에서 보낸 부재자 영주였다.1356년 그가 죽은 후, 영주는 그의 여섯 번째 아들인 Enghien의 Guy에게 상속되었다.가이(Guy)는 그리스에 거주했고, 1370–1371년에 가이(Guy)와 그의 형제들은 카탈로니아 영토에 대한 또 다른 침략을 감행했다.1376년 가이가 죽자, 영주는 그 후 엥히엔의 딸 마리아와 베네치아 남편 피에트로 코르나로에게 전해졌는데, 그는 또한 1388년 그가 죽을 때까지 그곳에 거주할 것이다.영주는 이 기간 동안 사실상의 베네치아 의존이 되었고, 그가 죽은 직후 마리아는 두 도시를 베네치아에 팔아 그곳에서 은퇴했다.베네치아가 점령하기 전에 아르고스는 데스포트 테오도르 1세 팔라이올로고스에게 사로잡혔고, 그의 동맹인 네리오 1세 아키아올리는 나우플리아를 점령했다.후자의 도시는 곧 베네치아에 붙잡혔으나, 아르고스는 1394년까지 비잔틴의 손에 남아 있었는데, 그 때 역시 베네치아에 넘겨졌다.

역사

Topographic map of the Peloponnese peninsula with placenames
중세 말기의 주요 지점이 있는 펠로폰네즈 또는 모레아 반도 지도

이미 비잔틴 제국제4차 십자군이 도착하기 전인 13세기 첫해에 아르고스나우플리아는 그리스 영주 레오 스구로스 휘하의 독립영역의 중심이 되었다.Sgouros는 황실의 권위의 허약함을 이용했고, 다른 많은 지방 거물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공국을 개척하기 시작했다.고향 나우플리아에서 아르고스와 코린트를 점령하고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지는 못했지만 아테네를 공격했다.[3][4]1205년 초, Sgouros는 보에오티아테살리로 진격했으나, 테살로니카에서 남쪽으로 진격하는 몽페라트의 보니파이스 휘하의 십자군들의 면전에서 정복자들을 버릴 수밖에 없었다.보니파이스는 테살리, 보에오티아, 아티카를 지나쳐, 그 곳에서 추종자들을 창살로 설치하였고, 그의 부하들은 모레아를 침공하였다.그러나 소우로스와 그의 부하들은 1207년과 1208년에 각각 보니파이스와 소우로스가 모두 죽은 뒤에도 아르고스, 나우플리아, 코린트의 시타델에서 버텼다.[5][6]이 세 요새는 1210년 아크로코린스가 함락될 때까지 십자군들의 포위망을 받고 있었고, 나우플리아가 그 뒤를 이어 1212년 아르고스가 그 뒤를 이었다.아테네의 군주 오토 데 라 로슈(r.1204–1225/34)는 이들의 포획에 큰 역할을 하였고, 보상으로 빌하두인(1209–1229)r.아차아 제프리 1세 왕자는 코린트로부터 400명의 하이퍼피라와 함께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를 피프로서 주었다.[7][8][9]아르골리드에 있는 다말라(트로젠) 지역도 드 라 로슈에게 주어졌으나 곧 그 가문의 생도 지부로 넘어가 벨리고스티의 바로니를 가정한 것이었다.[10]그러나 남부 아르골리드에 프랑크 영주권이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방에는 결코 프랑크족이 수적으로 많지 않았다.모라의 다른 곳에서도 일어났듯이, 그리스 지역의 거물들은 단순히 그들의 새로운 프랑크 영주들에게 제출했지만, 그 기간 동안 비잔틴식 교회의 지속적인 건설에서 증명되었듯이 그들의 소유물과 정교회는 물론 전형적인 비잔틴 문화도 간직하고 있었다.[11]

드 라 로슈 가문 아래

오토 1세가 죽은 후, 1225년과 1234년 사이에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는 그의 아들 오토 2세 데 라 로슈에게 [fr] 상속되었고, 아테네는 가이 1세 데 라 로슈 (r.1225/34–1263)에게 갔다.1251년 4월, 오토 2세는 그의 그리스 재산을 15,000개의 금 하이퍼피라와 후자의 땅과 프랑스 청구권을 교환하는 대가로 그의 동생 가이 1세에게 팔았다.[12]

1224년 보니파이스의 테살로니카 왕국이 그리스 에피루스 전제국으로 몰락한 후, 아케아 공국은 그리스 남부의 라틴 국가들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선구적인 국가로 떠올랐다.필연적으로 다른 라틴 영주는 아차아의 궤도에 빨려들기 시작했는데, 빌레하두인 윌리엄 2세 (1247년–1278년)r. 초기에는 그 힘과 번영의 절정에 이르렀다.[13]가이 1세 데 라 로슈는 테베[15] 반을 소유한 [14]것뿐만 아니라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에게도 윌리엄의 불화 중 하나였다.그 결과 그는 윌리엄과 함께 모넴바시아(1246–1248)의 요새 도시 모라에서 마지막 그리스 거점을 포위하고 정복하는 데 참여하였다.[14][16]거의 동시에 윌리엄은 라틴 황제로부터 낙소스 두치, 네그로폰테(에우보에아), 그리고 아마 보도니차 후작의 통치권을 받았으며, 세팔로니아 군도 그의 지배권을 인정했다.[14][17]그러나 윌리엄의 패권적 야망은 다른 많은 라틴 통치자들과 귀족들을 걱정시켰고, 로 인해 에우보에테 왕위 계승 전쟁(1256–1258)이 일어났다.기 드 라 로슈는 이 분쟁에서 윌리엄과 싸웠으나, 윌리엄과 가이 왕자가 아차아 왕자에게 복종하는 것에 대해 완승으로 끝났다.[18][19]

펠라고니아 전투(1259년)에서 비잔틴인에 의해 윌리엄 2세를 포로로 잡은 데 이어 1261년 비잔틴 황제 마이클 8세 팔라이올로고스(r.1259년–1282년)는 왕자의 석방을 위한 몸값으로 남동쪽 모레아(모넴바시아, 미스트라스, 그랜드 마그네, 아마도 게라키)에 다수의 요새를 받았다.조지 파키메레스에 따르면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도 팔라이올로고스로부터 요구받았지만, 그 경우에도 라틴어 수중에 남아 있었다.[20][21]1270년대 비잔틴 제독이 된 라틴계 레카리오의 등장으로 아르골리드는 리카리오의 코르시어들의 손에 거듭된 습격을 당했다.[22]

브리엔 가문 아래

Photograph of a ruined fortress on a hilltop
라리사는 13[23]~14세기에 대대적으로 개조된 아르고스의 요새다.

1309년 브리엔의 발터 1세가 아테네의 두키 왕조를 계승하였으나, 1311년 3월 프랑크 그리스의 많은 중요한 영주들이 카탈로니아 회사에 대항하여 할미로스 전투에서 함락되었다.그 여파로 카탈루냐 인들은 아테네의 두키족을 점령하고, 그리스의 남아 있는 라틴 국가의 군사력이 마비된 상태에서 모레아를 침공하고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도 점령하겠다고 위협했다.[24][25]발터의 미망인 샤틸론의 조안나는 잠시 아테네를 카탈로니아에 대항한 후 1312년 11월 22일 자신의 이름으로 바일리(Bailli)를 임명한 그녀의 아버지 고셔 V 데 샤틸론 경감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프랑스로 갔다.[26]

이후 몇 년 동안 나폴리 안젤빈 왕국과 파파시의 지원을 받아 조안나는 아르골리드에 사람과 식량을 파견했는데, 이 아르골리드는 지역 프랑크족 형제인 발터와 푸셰롤레스의 프란시스가 자신의 이름으로 관리했다.[27]브리엔주의자 주장자들에 대한 푸셰롤족의 변함없는 충성심은 이후 10년 동안 영주권을 그들의 지배하에 두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28] 이때 아르골리드가 카탈로니아군의 습격으로 황폐화되었다.[29]그러나 영주권을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비용이 필요했고, 그로 인해 조안나는 큰 빚을 지게 되었다.1321년 1월 브리엔의 아들 월터 2세가 성년이 되었을 때, 그는 처음에는 어머니의 빚을 인수하는 것을 거절했다.프랑스의 필립 5세는 그들 사이에서 판결을 내리고 월터가 7천 리브레스 투르누아스와 그의 어머니의 나머지를 지불해야 한다고 결정했다.[27][30]

브리엔주의자들의 주장은 교황 클레멘스 5세교황 요한 XXII에 의해 지지되었는데, 그는 카탈로니아 회사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는데, 이는 카탈로니아인들이 파문되고, 동료 기독교인들을 공격했으며, 그리스 다른 라틴 강대국들에 의한 공격을 부추겼다는 것이다.클레멘트는 카탈로니아인들이 아테네를 버리도록 하기 위해 아라곤의 제임스 2세 왕의 중재를 도모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왕의 호소는 무시되었다.클레멘트는 더 나아가 호스피스탈러 기사단에게 브리엔 땅을 방어하기 위해 서너 개의 갤리선과 사람을 제공하라고 명령했고, 1314년에는 아테네 두키에 있는 모든 템플러 재산을 고셔 V 데 샤틸론의 지배하에 두고 카탈로니아에 대항하여 사용할 것을 명령했다.[27][31]그러나 베네치아 공화국이 반카탈란 벤처에 대한 지원을 끈질기게 거부함으로써 브리엔니스트의 명분은 훼손되었다.베네치아인들은 종종 에우보에아에 있는 여러 협곡에 대한 자신들의 주장을 놓고 카탈루냐인들과 갈등을 빚었지만, 1319년 이후 수십 년 동안 대체로 평화로운 관계를 맺는 합의가 이루어졌다.[27][32]

1321년 이후 월터 2세는 그리스에서 선거운동을 하고 아테네의 두키족을 되찾겠다는 의사를 거듭 밝혔으나 재정적인 제약과 나폴리 왕에 대한 의무는 그를 이탈리아에서 점령하게 했다.[33]1328년에는 잠시 카탈루냐인들과 휴전까지 맺었다.따라서 1330년이 되어서야 진지한 노력이 진행되었다.1330년 6월 교황 요한 XX2세는 월터를 위해 십자군 소를 발행하고, 이탈리아와 그리스에 있는 원장들에게 카탈루냐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위해 설교할 것을 명령했고, 얼마 후 나폴리 왕 로버트도 십자군에 지지를 보내며, 그의 반목자들이 그 운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반면 베네치아인들은 1331년 4월 카탈루냐인들과 조약을 갱신했다.8월에 브린디시에서 출항한 월터는 먼저 세팔로니아와 자킨토스의 라틴 카운티 팔레틴, 그리고 에피루스의 그리스 데스포테이트를 공격하여 로버트 왕의 오버로드선을 알아볼 수밖에 없었다.거기서부터 그는 북부 보에오티아를 거쳐 아테네의 두키족을 침공하였으나, 카탈루냐인들이 전투를 피하고 테베와 아테네의 성벽 뒤쪽에서 철수하여 그의 선거 운동은 실패하였다.월터는 카탈로니아를 압도할 군대도, 장기간의 시체와 소모전을 지속할 돈도 없었으며, 그리스 토착민들 사이에서 아무런 지원도 찾지 못했다.1332년 여름, 탐험이 실패한 것이 분명했고, 월터는 브린디시로 돌아왔다.그는 자신을 위해 레우카스보니차 섬을 점령하고 서 그리스에 대한 안젤빈 수저레인을 잠시 회복시켰으나, 주된 목표는 그를 피했고, 그는 결국 더 큰 빚을 지게 되었다.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에 대한 탐험의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그는 그리스에 머무는 동안 이 지역을 방문조차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34][30]

월터는 그리스에서 자신의 유산을 되찾기 위한 계획을 포기하지 않았고, 카탈루냐인들의 거듭된 파문으로 구체화된 교황의 지지를 유지했다.그러나 베네치아인들이 어떤 도움도 주지 않는 것에 대해 단호히 반대했기 때문에, 월터의 계획은 실현될 수 없었다.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더 많은 모험과 모험을 한 후, 월터는 1356년 푸아티에스 전투에서 죽었다.[35][36]이 기간 동안 아르골리드는 1332년 우무르 베이 휘하의 아이다니드 투르크족의 습격을 겪었고, 이는 이탈리아에서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기근이 장기화되면서 동시에 일어났다.[29]동시에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는 또한 1320년까지 남동쪽에서 확장되어 아르카디아시누리아 대부분을 포함하게 된 모로아 지방의 확장 비잔틴 지방까지 도달했다.[37]영주권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면서 월터 2세는 두 개의 새로운 성을 건설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1347년 그의 유언에 처음 나타나는데, 그것은 나우플리아에서 동쪽으로 더 떨어진 해안을 따라 히드라건너 아르굴리 만을 가로지르는 키베리(프랑스어로 샤임)와 테르미시(트레미스)에 있다.[1][38]습격으로 인한 퇴폐에도 불구하고 브리엔느강 유역은 비교적 번창했다. 이 지역은 비옥하고 농업, 가축 목초지, 포도밭을 지원했고, 아르골릭 만은 테르미시 근방의 어장과 소금 평면을 제공했다.14세기 후반의 문서에 따르면, 면과 린넨 천뿐만 아니라 캐럽, 건포도, 수지, 도토리 염료 등이 수출되었다.[39]

엔기엔 가문 아래

월터 2세는 그의 외아들이 1331년 선거 운동 중 어린 시절 죽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후계자 없이 죽었다.그는 브리엔의 여동생 이사벨라와 그녀의 남편 월터 엔기엔에 의해 그의 작위와 주장에서 계승되었지만, 이것들은 즉시 그들의 수많은 아이들에게 전해졌다.부부의 둘째(그리고 살아남은 맏아들)인 엥기엔의 소히어가 브리엔 군과 아테네의 권리를 받은 반면,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를 받은 것은 아르고스와 키프로스에 있는 월터의 땅뿐 아니라 어린 아들 엥겔베르트였다.엥겔베르트는 그리스 피파들을 방어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떠맡으려 하지 않고, 원래 프랑스에서 라메루트의 피파를 받은 동생 가이(Guy)와 그것들을 교환했다.[39]Guy는 그래서 새로운 "Argos, Nauplia, Kiveri의 군주"[1]가 되었다.

가이는 발터 왕조 마지막 10년 동안 바일리를 지낸 푸셰롤레스의 니콜라스를 대신하여 그리스에 정착한 메디치 가문의 한 지파의 두 사람을 대신하였다.피에레 탄테네스("아테네")는 1357–1360년에 "야트로"(그리스어로 "의학자"), 1360–1363/4년에는 아라르도 또는 아나르도 드 메디치(Averardo de Medici)로 알려져 있다.[40][41]그러나 그들의 통치는 인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1360년 역사가 타노스 콘딜리스에 따르면, 아마도 푸셰롤 족의 격려로 지역 민중들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때 페르나르도 드 메디치가 무화과와 건포도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고, 가이 군인들을 그들의 성에 가두었다.가이가 직접 와서 영주권에 정착하면서 상황은 해결되었다. 가이는 1364년 12월 나우플리아에서 증언받았고, 그곳에서 그는 자코모, 츠요야 영주, 푸셰롤레스 니콜라스의 사위를 옹호하는 행위를 발표했다.[40][42]가이는 지방 귀족들과 결혼함으로써 영주와의 유대를 강화했다.그의 아내의 신원은 불명확하다: 15세기 초 크로노그래피아는 그녀아르카디아의 남작, 아마도 에라르 3세모레의 딸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는 반면, 17세기 플랑드르 역사학자 브레디우스는 그녀가 본이나 마리아라는 그리스인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43]프랑크푸르트 그리스의 19세기 역사학자홉프는 본이 푸셰롤레스의 니콜라스의 딸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러나 아무런 증거도 없었다.[4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버전은 현대 문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0][45]

가이의 통치는 오스만 투르크족의 위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는데, 크로노그래피아 왕조에 따르면, 그는 용기 있는 지도자로 증명되었다고 한다.[39]자신의 영토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1362년 7월 22일 가이씨는 베네치아 시민이 되었고, 이 지역의 일에 베네치아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예고하는 발전이 있었다.[40][46]그로부터 2년 후 곧 모레아에 도착한 그는 1364년 9월 직접적인 후계자 없이 사망한 필립의 형 로버트의 미망인 타란토의 필립 2세부르봉의 마리아 사이에 아차아 공국 소유를 둘러싼 내전에 휘말렸다.가이는 모라 마누엘 칸타쿠제노스데스토트(1349–1380)r.와 함께 1370년까지 마리아와 루시냥의 아들 휴를 지지했고, 그 때 후자는 필립에게 자신들의 권리를 팔았다.[46]

이제 논쟁의 여지가 없는 아차아의 왕자 필립은 모라로 그의 바일리 가이의 동생 루이스, 콘라노 백작으로서 보냈다.이 무렵 아테네의 카탈루냐인들은 쇠퇴와 내전의 시대로 접어들어 1370년 페랄타의 마태복음(Matthew of Peralta)이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어느 정도 가라앉았을 뿐이었다.엥기엔족은 조상의 유산을 되찾을 절호의 기회를 보았다: 1370년 3월 28일 셋째 형인 엥기엔의 요한, 레체 백작, 나폴리 왕비 조안나 1세로부터 그리스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1,000피트와 500마일을 모을 수 있는 허가를 받고, 이탈리아 남동부 해안을 따라 배를 띄우기 시작했다.가이는 또한 카탈로니아에 대항하여 병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모라의 데스포트와의 휴전을 주선했다.베네치아 시민으로서 엥기엔스도 1370년 4월에, 그리고 1371년 2월에 다시, 정중하지만 단호하게 거절당한 원조를 위해 베네치아에 접근했다.이에 굴하지 않고, 1371년 봄, 엔기엔족은 아티카 침공을 감행했지만, 아크로폴리스가 저항하고 루이스가 병들면서 캠페인은 실패했다.엥기엔스는 후퇴했고, 기는 지난 8월 카탈루냐인들과 휴전을 체결했다; 그의 딸이자 후계자인 마리아와 조안 드 루리아(아마도 전 카탈루냐 총독 로저루리아의 아들)의 결혼이 합의문에 처음 명문화되었지만 실제로 이루어진 적은 없었다.이것은 청구인들의 마지막 노력이 될 것이었는데, 이탈리아의 문제들이 가이 형제를 점령했고, 다가오는 오스만의 위협은 교황직을 카탈로니아인들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하도록 강요했기 때문이다.아테네의 두키족을 되찾을 어떤 전망은 1374년/75년 야심찬 네리오 1세 아치아올리에 의해 메가라가 잡히면서 더욱 장애가 되었고, 이 때문에 아티카로 들어가는 엥기엔으로 가는 육로가 봉쇄되었다.[40][47]Guy of Engien은 1376년 10월 직후 사망했다.그의 딸 마리아는 미성년자였고 미혼이었기 때문에, 영주권은 그녀의 보호자로서 그의 형 루이스의 지배를 받았다.루이는 1377년 5월 마리아와 베네치아 피에트로 코르나로의 결혼을 주선했다.루이는 1377년 카탈로니아에 대해 약간의 습격을 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1379년 아테네의 두키족이 나바레즈 회사에 함락되면서 이 점이 무색해졌다.[48][49]

베니스 인수

코르나로 가문은 얼마 전부터 라틴 그리스에 세워져 베네치아 공화국의 관리로서도, 그들 자신의 책임으로도 활동해 왔으며,피에트로의 아버지 1379년 베네치아에서가장부유한 사람으로 기록되었다 페데리코는.[50]엔기엔의 마리아와 피에트로 코르나로의 결혼은 오토만족의 발흥으로 공화국이 에게에서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직면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베네치아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과 일치했다.나우플리아를 소유하게 되면 모라 해안에 대한 베네치아의 통제가 완성될 것이고, 모라 해안은 아드리아 해에서 지중해 동부까지의 항로를 차례로 통제하게 되는 반면, 나우플리아 자체는 흑해 상업 노선들의 중간 경유지로서도 가치가 있었다.[40]엔기엔의 마리아와 피에트로 코르나로는 둘 다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의 영주가 되었을 때 아직 어렸다.그들은 재위 첫 해에 베네치아에 거주했고, 피에트로의 아버지 페데리코는 그들을 대신하여 베네치아 정부로부터 물자를 보내거나 군주를 방어하기 위해 갤리선을 무장할 수 있는 허가를 확보했다.1382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피에트로는 베네치아 정부에 의해 나우플리아에 직접 갈 수 있는 허가를 얻었고, 이때까지 앤서니 러트렐의 말에 의하면, "[베네티안] 원로원은 이곳을 베네치아 소유지로 여겼다"[51]고 했다.

1388년 피에트로 코르나로가 사망하자, 마리아는 그녀의 소유물을 방어할 수 없게 되자, 매년 700두카트의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12월 12일 베니스에 그것들을 팔았다.그러나 베네치아인들이 두 성읍을 점령하기 위해 도착하기도 전에 모라 테오도르 1세 팔라이올로고스r.비잔틴 데스포트(1383–1407)와 그의 동맹자이자 장인 네리오 1세 아치아올리는 에브레노스 휘하의 오스만 군의 도움으로 그들을 사로잡았다.베네치아인들은 네리오를 나우플리아에서 재빨리 몰아낼 수 있었지만 아르고스, 키베리, 테르미시는 1394년 6월 11일까지 테오도르의 손에 남아 베네치아에 양여했다.[52][53][54]1393년 마리아가 죽은 후, 원래 1356년 영주권을 받은 그녀의 삼촌 엥겔베르트는 그녀의 유산을 주장했으나 베네치아인들이 판매 문서를 제공하자, 성을 기꺼이 양도하고 베네치아가 그들의 구입 비용과 현재 진행중인 포위 공격에 대해 베네치아를 보상할 수 있다면 성들을 양도할 것을 제안했다.아르고스, 그는 자신의 주장을 철회했다.[55]아르고스는 1463년 제1차 오스만-베네티안 전쟁이 발발하면서 오스만군에 정복될 때까지 베네치아 수중에 남아 있었고, 모라에 있는 모든 베네치아 영토 중 나우플리아는 가장 오래 지속되어 제3차 오스만-베네티안 전쟁이 끝난 후 1540년 오스만군에 항복했다.[56]

아르고스와 나우플리아의 군주

참조

  1. ^ a b c 맥레오드 1962 페이지 379.
  2. ^ 1969년 본, 페이지 110, 491–492.
  3. ^ 1976년, 21-23페이지.
  4. ^ 1994년 36~37페이지.
  5. ^ 1969년 본, 페이지 55-56.
  6. ^ 1994년, 페이지 63-64.
  7. ^ 1969년 본, 페이지 58-59, 68, 70, 486.
  8. ^ 1976년, 36~37페이지.
  9. ^ 화창한 1994 페이지 90.
  10. ^ 1969년 본, 페이지 486–488.
  11. ^ 2000, 26페이지, 27페이지의 상위권.
  12. ^ Longnon 1973, 페이지 65-69.
  13. ^ Longnon 1969, 페이지 242–245.
  14. ^ a b c 1976년 세튼, 페이지 68.
  15. ^ 1969년 본, 페이지 68.
  16. ^ Longnon 1973, 페이지 72.
  17. ^ Longnon 1969, 245 페이지.
  18. ^ 1976년 세튼, 페이지 79–80, 420–422, 432ff.
  19. ^ Longnon 1973, 72-73페이지.
  20. ^ 1969년 본 페이지 123.
  21. ^ 1976년, 페이지 98–99, 427.
  22. ^ 1976년, 페이지 427–428.
  23. ^ 1969년 본, 페이지 674–676.
  24. ^ 러트렐 1966, 페이지 34.
  25. ^ 1975a, 페이지 107–108.
  26. ^ 러트렐 1966, 34-35페이지
  27. ^ a b c d 러트렐 1966, 페이지 35.
  28. ^ 맥레오드 1962 페이지 378.
  29. ^ a b 러트렐 1966, 페이지 37.
  30. ^ a b 1976년, 페이지 452.
  31. ^ 1976년, 페이지 447–448, 449.
  32. ^ 1976년, 페이지 448–451.
  33. ^ 러트렐 1966, 페이지 35–36.
  34. ^ 러트렐 1966, 페이지 36.
  35. ^ 러트렐 1966페이지 36~37페이지
  36. ^ 1976년, 페이지 452–453.
  37. ^ 1976년, 페이지 154.
  38. ^ 1969년 본 페이지 494–495.
  39. ^ a b c 러트렐 1966, 페이지 38.
  40. ^ a b c d e f 콘딜리스 2010.
  41. ^ 러트렐 1966, 페이지 50-51.
  42. ^ 러트렐 1966, 페이지 38–39, 40, 52–53.
  43. ^ Luttrell 1966, 페이지 38 (주 39).
  44. ^ Luttrell 1966, 페이지 55 (주 109).
  45. ^ 1969년 본 236쪽 702쪽
  46. ^ a b 러트렐 1966, 페이지 40.
  47. ^ 러트렐 1966, 페이지 41-42.
  48. ^ 1969년 본 236쪽 263쪽
  49. ^ 러트렐 1966쪽 42-43쪽
  50. ^ 러트렐 1966쪽 43-44쪽
  51. ^ 러트렐 1966, 페이지 43–45.
  52. ^ 1969년 본 페이지 263-269.
  53. ^ Luttrell 1966, 페이지 47ff..
  54. ^ 1975b 위, 페이지 153–155.
  55. ^ Luttrell 1966, 페이지 46–47.
  56. ^ 1994년 567쪽 568쪽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