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베른하르트 블룸
Anna and Bernhard Blume안나·베른하르트 블룸 | |
---|---|
로 알려져 있다. | 예술사진 |
수상 |
|
안나 블룸(Née Helming; 1936년 4월 21일 ~ 2020년 6월 18일)과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블룸(1937년 9월 8일 ~ 2011년 9월 1일)은 독일의 미술 사진작가였다.그들은 자신들이 직접 등장하는 무대 장면의 흑백 사진들을 대형 사진들로 만들어냈고, 사물들은 그들 자신의 '삶'을 떠맡았다.그들의 작품은 뉴욕 MoMA를 포함한 전시회와 박물관에서 국제적으로 전시되었다.그들은 "단계별 사진술의 선구자 중 하나"로 간주된다.[1]
안나 블룸
1936년 4월 21일 독일 프로이센주 웨스트팔렌주 보르크에서 태어난 안나 헬밍은 이후 자신의 어린 시절을 행복하다고 표현했다.[2][3][a][7]그녀는 1960년부터 1965년까지 뒤셀도르프의 슈타틀리히 쿤스타카데미에서 미래의 남편처럼 예술을 공부했다.[8]1966년 그들이 결혼했을 때, 그녀는 커트 슈비터스의 상상 속의 인물인 안나 블룸과 같은 이름을 갖는 것을 즐겼다.[9]그 부부는 쾰른에서 함께 살고 일했다.그녀는 1967년에 쌍둥이 딸을 낳았다.[10]1985년까지 그녀는 체육관에서 공예 예술 교사로 일했다.[9]
안나 블룸은 생가 보크에서 마지막 몇 달을 딸 헤드위그와 함께 살았다.[7]그녀는 84세의 나이로 오랜 병환 끝에[2][8][11] 2020년 6월 18일 사망했다.[7][2]
베른하르트 블룸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블룸은 1937년 독일 프로이센 주 웨스트팔리아 도르트문트에서 태어났다.그는 1960년부터 1965년까지 뒤셀도르프의 슈타틀리히 쿤스타카데미에서 조셉 비이스와 함께 미술을 공부했다.[9]1967년부터 1970년까지 쾰른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12] 이후 미술과 철학의 교사로 일했다.[9]1984년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본 상형 aus – Zwei Monate neue 도이체 쿤스트 전시회에 참가했다.1987년부터 그는 Hochschule für bildende Künste Hamburg에서 Für Freie Kunst und Visuelle Kommunikation 교수(자유 예술 및 시각 커뮤니케이션 교수)가 되었다.[9]
그는 2011년 9월 1일 쾰른에서 사망했다.[13]
함께 만든 작품
Anna와 Bernhard Blume은 함께 설치물과 대형 사진 장면의 시퀀스, 그리고 대부분 1990년대에 Polaroids를 만들었다.둘 다 그림을 그렸다.그들은 자신이 등장하는 장면들을 무대에 올려 촬영했고, 사물들이 그들 자신의 '삶'을 떠맡았다.[14][15]도이체보르세사진재단에 따르면 이들의 과정은 함께 그림 시퀀스를 만들고 외부의 도움 없이 모든 관련 업무를 완료하는 것이었다.그것은 세트와 의상 디자인, 부정적인 요소 개발, 확대 제작을 포함했다; 각각의 단계에서 예술 작품은 세련되고, 세련되고, 그리고 색칠되었다.안나는 말했다: "Wir malen mit der Kamera, unde dese malerische Arbyte findet auch noch im Labour statt." (우리는 카메라로 그림을 그리고, 이 화가의 작품도 연구실에서 계속된다.)이 사진들은 디지털 조작이나 제작 후 몽타쥬의 도움 없이 제작되었다.'날고, 부서지고, 소용돌이 치는 세상'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예술가들은 밧줄, 그물, 매트리스와 같은 안전 기능을 사용했다.[12]
그들의 순서는 바세넥스타센(Vase Extasy)이 프랑크푸르트 모데른 쿤스트 박물관([16]Für Museumerr Moderne Kunst.1989년 뉴욕의 MoMA는 쿠첸콜러(Kuchen Gravious, 1986년), 반대편 D(1989년), 우주와의 실증적 식별(1971년)을 포함한 단독 쇼에서 그들의 작품을 선보였다.[17][5]
2004년에는 1988년부터 2000년까지 찍은 그들의 폴라로이드가 책으로 출판되었는데, Das Gluck ist ohne Amery / Joy는 자비를 모른다.이들은 '영화의 신화,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의 자율성을 잠재우기 위해' '복걸이나 생활용품 등 사소한 물건으로 얼굴을 왜곡하면서 화가의 자화상이라는 장르를 변혁으로 치부했다.[18]
2005년 쾰른의 루드비히 박물관에 여러 작품이 전시되었는데,[19] 2005년 쾰른에서 열린 2005 세계 청소년의 날과 관련하여 트랜스젠덴탈러 콘스트리트비즘(Transcendental Constructivismus)의 순서인 크루즈벡(Station of the Cross)을 보여주었다.2008년, Reine Vernunft (순수한 이유)는 베를린의 햄버거 반호프에서 발표되었다.그것은 수도에서 그들의 첫 번째 종합적인 출현이었다.미술관에 따르면 작품들은 '이 예술팀의 철학적·철학적 전략 개요'를 제공하고, '자기 실험의 연속적 과정에 대한 집중적인 헌신을 보여준다'고 하는데, 블럼즈 일가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홈 스위트 홈'을 조사함으로써 '독일인의 존재 본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한다.더 넓은 세계로 들어가기 보다는" 비참함"이라고 말했다.[20]
2009년 베를린 그로피우스바우에서 열린 '섹시 해' 전시회에서 이들의 작품이 등장했다.'60개의 작품'은 독일 연방 공화국 건국 60주년을 기념하는 것이다.[21]2010년, 쿤스트뮤지엄 본에서는 「더 웨스트엔 르우치테트/에인 스탠도르트베스트름 데 쿤스트랜즈샤프트 데 라인랜드의 미술 경관에 대한 현장 평가」(The Luminous West/A A 현장 평가)의 여러 작품이 상영되어 라인랜드의 예술가들을 선보였다.[22]
2011년 베를린에서 베른하르트 블룸 사망 후 첫 작품 전시인 '트랜스쿨프튀르'는 친구 바존 브록이 소개한 바 있다.[23]그는 2016년 4월 21일 쾰른 콜럼바에서 열린 두 작가의 '초월적 구성주의' 전시회에서 두 작가의 작품을 여러 방에서 선보이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공연하기도 했다.[1]
작동하다
이 제목과 번역 목록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박물관의 안나·베른하르트 블룸 리스트에 기초하고 있다.[9]
- 1977년 외디팔레 콤플리케이션엔? (오디팔 합병증?)
- 1977년 플라이젠더 테피치 (플라잉 카펫)
- 1984년 Wahnzimmer (Delusion Chamber)
- 1985년 쿠첸콜러 (키첸 광란)
- 1985/86 트라우트 헤임(스위트 홈)[24]
- 1987 Vasenekstasen (Vase Extasy)
- 1986 Mahlzeit (식사)
- 1982-90년 임발트(숲 속)
- 1990년 게겐시틱(Oposites), 폴라로이드
- 1994/95년 트랜스젠덴탈러 콘스트릭티무스 (트랜스첸덴탈루시즘)[25]
- 2003/04년 아브스트락테 쿤스트(추상예술)
- 2004년 다스 글뤼크는 오네 사면 / 조이는 자비를 모른다(책)
전시회
전시회 포함:[26]
- 1977년 문서a 6, Kasel (Bernhard Blume)
- 1984년 폰 상형 aus – 뒤셀도르프의 즈웨이 모나테 네에 도이체 쿤스트
- 1988년 쾰른의 셰익스피어 하우스, Wanzimmer 설치,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블룸과 마틴 에크리히 [
- 1988년 듀몬트 쿤스트할레, 쾰른, 메이드 인 쾰른
- 1989년 뉴욕 현대 미술관
- 1991년 프랑크푸르트 모데른 쿤스트 박물관
- 1992년 데이히토르할렌 함부르크, 안나 und 베른하르트 블루메 – 주 하우세 und im Wald
- 1993년 뮌스터
- 1995년 쿤스트할레 브레멘
- 1996년 밀워키 미술관
- 1997년 하노버 주, 케스트네셀샤프트
- 1997/1998년 파리 국립사진관
- 뒤스부르크 쿠퍼스뮐레 2000 박물관
- 2002년 민광박물관 에센
- 2003년 쿤스트할레 괴핑겐
- 2005년 루드비히 박물관, 쾰른: 크루즈베그
- 2005년 파리 국립미술관
- 2006년 도르트문트 주 오스트월 박물관: 디콘스트릭티브 (재성찰)
- 2007 Haus Konstrictiv, Zürich: de-konstrictiv
- 2008년 베를린 지겐와트 박물관 햄버거 반호프:라인 버넌프트(순수한 이유)
- 2010년 쿤스트무세움 본, 더 웨스트엔 르우치테의 여러 작품
- 2011년 베를린 갤러리 부흐만:아키온스메타펜[27]
- 2015년 콜럼바, 쾰른:초월적 구성주의[1]
- 2015년 파리 퐁피두 센터: 라포테이 초월회
수상
메모들
참조
- ^ a b c "Transcendental Constructivism". Kolumba (in German). Retrieved 22 June 2020.
- ^ a b c "Anna Blume : Traueranzeige". FAZ (in German). 27 June 2020. Retrieved 27 June 2020.
- ^ "Anna Blume : Traueranzeige :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lebenswege.faz.net.
- ^ "Anna and Bernhard Blume". peterfreemaninc.com. Retrieved 27 June 2020.
- ^ a b Lorch, Catrin (22 June 2020). "Anna Blume ist tot". Süddeutsche Zeitung (in German). Retrieved 23 June 2020.
- ^ "Kleinkariert im deutschen Wald". kulturwest.de (in German). 2020. Retrieved 23 June 2020.
- ^ a b c Geschwinder, Sabine (26 June 2020). "Bork, Paris, New York: Borker Künstlerin Anna Blume ist gestorben". Ruhr Nachrichten (in German). Retrieved 26 June 2020.
- ^ a b Langer, Freddy (22 June 2020). "Zum Tod von Anna Blume : Der Suppenteller als Heiligenschein". FAZ (in German). Retrieved 24 June 2020.
- ^ a b c d e f "Anna und Bernhard Blume". nrw-museum.de (in German).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rch 2012. Retrieved 6 September 2011.
- ^ Documenta 6 (Exhibition catalog) (in German). documenta. 1977. ISBN 978-3-920453-00-2.
- ^ "Anna Blume gestorben". kunstforum.de (in German). 22 June 2020. Retrieved 23 June 2020.
- ^ a b "Anna und Bernhard Blume". Deutsche Börse Photography Foundation. 2011. Retrieved 21 June 2020.
- ^ Ingeborg Ruthe (3 September 2011). "Das Aufmucken der Dinge / Der Kölner Neo-Dadaist Bernhard Blume ist nach schwerer Krankheit gestorben". Berliner Zeitung (in German).
- ^ Ingeborg Ruthe (3 September 2011). "Fotograf Bernhard Blume gestorben" (in German). dpa. Retrieved 5 September 2011.
- ^ "Kölner Fotokünstlerin Anna Blume gestorben: In den Fallen der Gewohnheit". theworldnews.net (in German). Kölner Stadt-Anzeiger. 21 June 2010. Retrieved 22 June 2020.
- ^ "Werka aus der Sammlung des MMK". Museum für Moderne Kunst (in German). 2020. Retrieved 23 June 2020.
- ^ "Bernhard Blume". Museum of Modern Art. 2011. Retrieved 6 September 2011.
- ^ Joy Knows No Mercy. Hatje Cantz Publishers Ostfildern-Ruit / New York. 2004. ISBN 3775791531.
- ^ "Künstlerin Anna Blume gestorben" (in German). WDR. Retrieved 21 June 2020.
- ^ "Anna & Bernhard Blume. Reine Vernunft". Staatliche Museen zu Berlin.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2. Retrieved 5 September 2011.
- ^ "Sixty years. Sixty works". e-flux.com. 2009. Retrieved 12 February 2012.
- ^ "Der Westen leuchtet". Kunstmuseum Bonn.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rch 2012. Retrieved 5 September 2011.
- ^ Brock, Bazon (2011). "Vortrag / Rede "Aktionsmetaphern" von Anna und Bernhard Johannes Blume / Vernissage der Ausstellung". bazonbrock.de. Retrieved 21 June 2020.
- ^ "Trautes Heim". nrw-museum.de (in German). 3 August 2011. Retrieved 28 June 2020.
- ^ Blume, Anna & Bernhard (2020). "Transzendentaler Konstruktivismus". Digitale Sammlung Staedelmuseum (in German). Retrieved 28 June 2020.
- ^ "Anna & Bernhard Blume" (in German). Zentrum für Kunst und Medien Karlsruhe. 1997. Retrieved 21 June 2020.
- ^ "Malerei mit der Kamera". Berliner Morgenpost (in German). 6 December 2010. Retrieved 6 September 2011.
- ^ "Konrad-von-Soest-Preis" (in German). LWL-Museum für Kunst und Kultur. Retrieved 21 June 2020.
- ^ "Edwin-Scharff-Preis" (in German). Hamburg. Retrieved 21 June 2020.
- ^ "Kunstpreis Berlin Jubiläumsstiftung 1848/1948" (in German). Akademie der Künste. Retrieved 21 June 2020.
원천
- 문서 목록 6
- 제1권: "말레이, 플라스티크/환경, 성능"
- 제2권: "포토그라피, 필름, 비디오"
- 제3권: "Handzeichnungen, Utopisches Design, Bücher".카셀 1977 ISBN 3-920453-00-X
- 혼네프, 클라우스: 150 야흐레 포토그라피 (Erweitterte Sonderausgabe von Kunstforum International: 150 야흐레 포토그라피 3세 / Fotografie auf der documenta 6, 밴드 22); 마인츠, 프랑크푸르트 암 메인 (Zweitausendeins) 1977).
외부 링크
- Anna & Bernhard Blume 아트팩츠.그물을 치다
- 독일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의 안나·베른하르트 블룸에 관한 문헌
- 위르겐 호흐메이어: 폴터게이스터 게겐 카로스 / 다이하드 포토크위스틀러 안나 und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블룸 베트레이벤 eine "차오티시에룽" 데르 클라인브뤼거-쿠슈1987년 11월 9일 데르 슈피겔
- 마리온 키텔만:힐스-완 und Zeit-Schwindel im Werk von Anna & Bernhard Blume 논문 Wuppertal 2002(독일어)
- Zum Tod des Fotokünstlers Bernhard Blume / Erinnerung an Eine Tartmunder Ausstellung revierpassagen.de. 2011년 9월 3일(독일어)
- 데미안 짐머만:Taumelnd im Wahnzimmer / Nachruf: 데르 쾰너 포토그라프 베른하르트 블루메, 데센 쿤스트 에헤이트르트 에르헬트, 게스토르벤 쾰너 스타드탄자이거, 3세.2011년 9월(독일어)
- Anna und Bernhard Blume Galerie 2010
- 토마스 드레이어: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 안나 마리아 블루메 – 포토세퀴엔젠 인: 아르테팩트움, Nr. 26, Nr. 1988년 11월/12월 – 1989년 1월, 페이지 18–23 (독일어), 페이지 62–64 (프랑스어)
- 15. 2015년 9월 bis 22. 2016년 8월 / Anna & Bernhard Blume. 쾰른 2015년 트랜스젠덴탈러 콘스트루티비무스(독일어)
- 쾰른슬러인 Anna Blume is tott (방송, 독일어로) WDR 2020년 6월 22일
- 베른하르트 요하네스 블룸 findagra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