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여단 (호주)
4th Brigade (Australia)4 여단 | |
---|---|
활동적인 | 1912–1919 1921-현재 |
나라 | 호주. |
얼리전스 | HM 여왕 엘리자베스 2세 |
나뭇가지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크기 | 200(활성) 2,100개(상호) 40 (1998년)[1] |
의 일부 | 2사단 |
수비대/HQ | 멜버른 |
계약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지휘관 | |
주목할 만한 지휘관들 | 존 모나시 |
휘장 | |
유닛 컬러 패치 |
제4여단은 호주군의 여단급 편성이다. 원래 1912년 민병대 편성으로 결성된 이 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복무하기 위해 재조명되었고, 여단의 요소들은 갈리폴리(Galipoli)에서 근무하다가 1919년 해체되었다. 1921년 여단은 빅토리아 주에 근거지를 둔 호주 시간제 군대의 부대로 재증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 여단은 뉴기니 및 뉴 브리튼 캠페인에 참가했다. 전쟁 이후 여단은 3사단의 일부를 구성하였으나, 이후 2사단에 재분배되어 장갑·보병·포병·기술자·신호·서번스 등 육군 전 군단의 부대와 인원을 포함하는 예비군 연합군 편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역사
제4여단은 제2군단에 배정된 의무훈련 제도 도입의 일환으로 의병여단으로 결성된 1912년까지 그 기원을 추적한다. 이때 여단의 구성부대는 아르미데일, 인베렐, 탐워스, 메이틀랜드, 뉴캐슬, 아담스타운 등 지역 뉴사우스웨일스 주변에 위치하였다.[2]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9월, 호주 제국군(AIF)의 일부로 여단이 재조성되었는데, 이 여단은 1차 세계 대전 중 복무하기 위해 모금된 모든 자원 봉사 부대였다.[3] 당시 여단은 존 모나시 대령(후위 장군)의 지휘 아래 13대(NSW), 14대(빅), 15대(qld/tas), 16대(SA/WA) 등 모든 호주 주에서 증강된 4개 보병 대대로 구성되었다.[4]
빅토리아주 브로드메데도우스에서 초기 훈련을 받은 데 이어 1914년 12월 출국하는 제2차 호주군 파병에 나섰다.[5] 그들은 1915년 초에 이집트에 도착하여 뉴질랜드와 호주 사단에 배치되었다.[4] 1915년 4월 여단은 갈리폴리에 위치한 ANZAC 상륙작전에 참가하여 사단의 예비역으로 이틀째에 도착한 뒤,[5] 이어진 8개월간의 캠페인에 참가하였다. 8월 공세 때 여단은 힐 971을 공격했고, 이후 힐 60을 공격했다. 1915년 12월 갈리폴리 피난 결정이 내려졌고 이후 여단은 이집트로 다시 이송되었다.[4] 이후 AIF는 재편성과 확장기를 거쳤다.[6] 이 과정의 일환으로 4여단은 새로 창설된 12여단에 경력 사관(私官)[7]을 제공했다. 동시에 여단은 4사단에 재배치되었다.[8]
1916년 6월, 수에즈 운하를 따라 수비를 두어 달 동안 보낸 후, 여단은 나머지 4사단과 함께 유럽으로 이양되어 프랑스와 벨기에의 서부전선 전쟁에 참가하였다.[5] 아멘티에르 주변 최전방에 배치된 이들은 7월 2일 첫 작전을 펼치며 불발된 기습작전에 돌입했다.[5] 이후 2년 동안 여단은 4사단의 나머지 사단과 함께 전열을 오갔다. 1917년 4월, 여단은 불레코트 주변에서 격렬한 전투에 참가했는데, 이들은 4월 11일에 자행된 3,000명 중 2,339명을 잃는 등 큰 인명피해를 입었다.[9] 1918년 4월 제4여단은 빌러스-브레톤뉴스를 중심으로 상당한 전투에 참여했고, 결국 마을을 해방시키는 데 성공했다. 해방은 1918년 4월 25일 ANZAC의 날 3주년이었다. 1926년 호주인들의 희생을 기념하여 마을의 중심가를 "루 드 멜버른"으로 개칭하였고, 또 다른 거리에는 "루 드 빅토리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투 중에 피해를 입은 이 학교는 빅토리아 시대 학교 아이들의 기부금으로 재건되었고, 이후 '빅토리아 학교'[10]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7월에는 제4여단이 르하멜을 둘러싼 전투에 참가했다. 1918년 7월 4일 전투 중에 사용된 전술은 존 모나시 장군이 구상한 것으로, 호주 보병들과 다수의 미군에 의해 주로 수행되었다. 그것은 연합군의 전쟁 중 가장 위대한 군사적 승리 장면이었다.[11] 이 승리가 너무나 대단해서 프랑스의 조르주 클레망소 총리는 "호주인들이 프랑스로 왔을 때, 프랑스 국민들은 당신을 많이 기대했지만, 처음부터 당신이 전 대륙을 놀라게 할 줄은 몰랐다"[12]고 말했다. 1918년 8월 12일 모나쉬는 조지 5세에 의해 들판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다.[5]
제4여단은 1918년 9월 말까지 최전방에 머물면서 [4]8월 8일 전투 등 백일공세에 참여했고, 이후 독일군 사령관 에리히 루덴도르프가 '검은 날'로 묘사했다.[13] 10월 초, 나머지 호주 군단은 추가 작전에 대비하기 위해 휴식과 재조정을 위해 노선에서 철수되었다.[14] 그 결과 여단은 1918년 11월 휴전 전까지 더 이상의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고, 그 후 여단의 부대 보병 대대는 데모빌라이제이션 절차를 시작하였고 결국 1919년 해체되었다.[4][15][16][17]
전쟁 과정에서 여단원 8명이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았다. 다음은 다음과 같다. 알버트 자카, 마틴 오마라, 존 드와이어, 해리 머레이, 헨리 달지엘, 토마스 액스포드, 모리스 버클리, 도미니크 매카시.[18]
전쟁 간 연도
1921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존재했던 AIF 형성의 수치적 지정과 구조를 영구화하기 위해 호주의 시간제 군사력을 재편성하였고,[19] 그 결과 5월에는 시민군의 일부로 제4여단이 재조성되었다.[20] 가능한 한 제1차 세계 대전 부대가 그들의 인원을 끌어모은 곳에서 모집 구역의 새로운 구성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제4여단은 다수의 호주 주에서 끌어온 대대들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본부를 프라한에 두고 빅토리아에 주둔하기로 결정되었을 때 재형성하여, 이전 여단에 배정되었던 4개 구성요소 대대 중 1개 대대만이 이전 여단에 배정되었던 부대의 숫자적 명칭을 가지고 있었다.ly. 이때 배속된 보병 4개 대대는 14, 22, 29, 46개 대대였다.[21] 여단은 이때 3사단에 배속되었다.[20]
당초 호주의 전쟁피곤 수준에도 불구하고 자발적 모집과 의무훈련 제도를 통해 시민군 내 숫자가 유지되었고, 태평양 내 일본 해군력 확충에 대한 전략적 우려 때문에 강력한 시간제 군사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여단 내 각 보병대대는 4개 대대에 각각 1천 명 이상의 병력이 배치되는 등 전력에 만전을 기할 수 있었다.[22] 그러나 이론적으로 호주의 안보 우려를 해소한 워싱턴해군조약 체결에 따라 1922년 육군의 예산을 줄이고 각 대대의 인가된 전력을 409명으로 감축하는 결정이 내려졌다.[22]
인력 상황은 1929년 스컬린 노동 정부가 강제 연수를 중단하고 자발적인 '밀리아'로 대체하면서 더욱 첨예해졌다.[23] 이 결정은 대공황의 경제 침체와 맞물려 여단 보병대대의 신병 부족이 더욱 심화되었고, 그 결과 제22·29 대대 중 2개 대대,[24] 즉 제29·22대대를 합병하여 제29·22대대를 결성하기로 결정하였다.[25] 1930년대 내내, 그 상황은 낮은 출석률과 제한된 훈련 기회들로 특징지어졌다.[26] 이로 인해 여단 구성에 더 많은 변화가 생겼고, 1934년까지 제14대대를 제2여단에 재배치하였다.[27] 그러나 인력 상황은 1936년부터 개선되기 시작했고, 1938년 유럽의 긴장이 또 다른 전쟁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키면서 다시 개선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는 연합된 모집 운동과 훈련 과정과 캠프에 대한 더 많은 자금 지원이었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입대들을 낳았다.[28] 제4여단 내에서의 출석이 개선된 결과, 1939년 8월 제29/22대대는 분할되었고, 제22·29대대는 자체적인 권리로 재편성되었다.[29]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여단은 빅토리아에 본부를 둔 민병대의 시간제 편성이었다.[30] 국방법(1903년) 조항으로 호주 영토 외 지역에 민병대를 배치해 싸울 수 없게 되자 호주 정부는 유럽과 중동 파병을 위한 별도의 병력을 증강하기로 했다. 이 부대는 제2호주 제국군으로 알려져 있었다.[31] 그 결과, 1940년 1월 의무 훈련 계획의 재확립에 따라, 민병대는 지속적인 훈련 기간, 방어 임무 수행, 신병 훈련 관리를 통해 국가의 전반적인 전쟁 대비 태세를 향상시키는데 사용하기로 결정했다.[31]
1939년 9월 여단은 22, 29, 46대대의[32] 3개 보병 대대로 구성되었고, 처음에는 3사단에 배속되었다.[33] 그러나 1941년 12월 일본의 참전 이후 제4여단은 참전 용사로 동원되어 빅토리아주 본길라에서 고등훈련 상태로 격상되었다.[34] 이때 여단에는 예비대응군 역할이 할당되었고, 1942년 3월 여단은 퀸즐랜드주 워릭으로, 거기서 체르시데드로 옮겨 브리즈번 북쪽을 중심으로 방어 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 해 말에 여단은 브리즈번으로 가는 남쪽 접근을 방어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었다. 그 해 말에 여단은 선샤인 코스트에 있는 퀸즐랜드의 포레스트 글렌으로 이동했다.[35] 1943년 3월 여단을 5사단으로 이양하고 뉴기니에 배치하여 밀른만에 파견하여 7사단을 구제하였다.[36] 이후 여단은 후온반도 캠페인에 참여했고, 기스카에서 일본인에 대한 행동을 본 것은 민병대 최초의 여단 중 하나였다. 당시 여단은 22, 29/46, 37/52 보병 대대로 구성되었다.[37] 1943년과 1944년에 걸쳐 여단은 뉴기니 캠페인에 참가하면서 5사단과 9사단 사이에 여러 차례 이송되었다.[33]
1944년 9월 여단은 재편성과 훈련을 위해 호주로 돌아와 뉴브리튼 캠페인에 참가하였다. 선박의 부족으로 여단의 배치가 지연되었고 그들은 1945년 1월까지 상륙하지 않았다.[38] 이에 따라 여단은 11사단의 지휘를 [39]받아 1945년 8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섬에서 일본군에 대한 격납작전을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나 37/[40]52 1개 대대만이 에아에아로 전진 배치되었고 나머지는 우릉에 남아 있었다. 전쟁 후, 여단은 점령 임무를 보좌했고 라바울 주변에서 일본인들의 항복을 감독했다.[41]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8년, 탈권위화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호주의 파트타임 군대는 시민군이라는 미명하에 재조직되었다.[42] 제4여단은 재편성에 따라 3사단에 배속되어 제5·6·8·7 보병 3개 대대로 구성되었다.[43] 이어진 냉전 기간 내내 시간제 군대의 역할이 진화하면서 여단의 구성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초기에는, 전쟁 후의 군대는 자발적이었지만, 1951년에 국가적인 군대는 설립되었고, 이것은 CMF 부대의 규모를 증가시켰다.[44] 이 시기 동안 인력과 자원 증가로 인해 여단은 완전한 마닝과 장비 규모를 달성할 수 있었고, 그 결과 1959년 푸카푸닐에서 실시된 3,500명의 연합 무기 훈련의 기초를 형성했다.[45]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에 국가 복무 계획은 그것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많은 자원으로 인해 중단되었다.[46][47] 이와 동시에 펜티방성 사단 창설의 도입으로 지역 기반 대대가 다병상 국가 기반 연대로 형성됨에 따라 많은 보병 대대가 해체되거나 합병되었다.[48] 이로써 5개 대대 사단이 채택되어 구 3개 대대 병력이 해체되었다.[49]
그러나 1964년 말, 부분적으로 동맹의 상호운용성과 함께 발생한 어려움 때문에, 옥티방스 설립과의 실험을 끝내기로 결정되었다.[50][48] 여단 편성은 여단 대신 '태스크 부대'로 지정됐지만 이듬해 초 다시 창설됐다.[51][52] 1976년까지 제한된 자원과 인력으로 인해 여단의 모태인 3사단은 대체로 텅 빈 구조물이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3사단이 '3사단 야전군단'으로 재설계되고 4사단의 존립이 중단되면서 사단 본부는 4기동대 사령부와 통합됐다.[53]
1981년 7월 1일 편성은 "4기동대"로 재조명되었으나, 1982년 "4기동대"로 개칭되었다.[18] 1981년 여단의 보병 대대는 1·2대대대인 로열 빅토리아 연대(RVR)였다. 1982년 12월, 5/6 대대는 새로운 BHQ를 설립하고 1개의 RVR 기업 중 일부를 활용하여 육성되었다. 1987년까지 여단은 3개 보병대대, 1개 RVR, 2개 RVR, 5/6 RVR을 보유했다. 이 기간 동안 2 RVR의 이름이 8/7 RVR로 변경되었다. 1987년 여단은 5/6 RVR과 8/7 RVR과 지원 무기 등 2개 보병 대대로만 축소되었다.[46] 1990년대 초 여단은 2사단에 배속되었다.[46] 1991년, 병력 구조 검토에 따라 3사단은 해체되고 그 부대는 4여단의 지휘 아래 배치되었다. 그 결과 1990년대 후반에는 북방영토 틴달 지역에서 "보호군"의 일부로서 중요한 자산 보호 동원 역할이 있었다.[54]
현재 구조 및 최근 작업
현재 제4여단은 멜버른의 심슨 막사에 본부를 두고 있다. 약 2,4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멜버른과 지역 빅토리아에 본부를 두고 있다.[55] 여단은 현재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56]
- 본부 4 여단
- 제4/19대 웨일스 왕세자 경마,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기갑부대
- 5/6 대대, 로열 빅토리아 연대
- 8/7 대대, 로열 빅토리아 연대
- 22기병연대, 로얄오스트레일리아 공병대
- 제108신호대대대대대
- 제4전투지원대대대.
앞서 여단에 배속됐던 모나시 대학 연대(Monur)와 제2·10중대 연대는 2012년 호주군 전투훈장에서 해제됐다. MUR의 장교 사관학교는 모나시 대학회사로 개칭되었고, 포병대는 제2/10 경전지로 5/6 RVR을 통합하여 야전 포병보다는 박격포를 채용하였다. 제4전투기사 연대(4 CER)는 2013년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전투훈장(Australian Army Order of Battle)에서 제4전투기사 연대(4 CER), 제22전투연대(22 Const Regt)가 2013년 통합되어 제22전투기사 연대(22ER)를 결성하였다.[57] 멜버른대 연대는 앞서 여단에 배속됐다가 2017~2018년 훈련 편성으로 전환되면서 8여단으로 전환됐다.[58][59]
이 여단은 2001년부터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등에 병력을 배치하는 데 기여해 왔다.[55] 그것은 또한 소총 회사 버터워스에 대한 호주의 약속을 지지해왔다. 호주 내에서 여단은 2003년 알프스 부시파이어, 2006년 지프스랜드 화재, 2009년 빅토리아 산불, 2011년 홍수 및 2012년 홍수 때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과 함께 엔지니어와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60][61] 여단은 또한 2019-20 호주 산불 시즌 동안 구호 활동을 지원했다.[62]
플랜 브엘세바에 따라 4여단은 예비군 9여단과 짝을 이뤄 정규 1여단을 보강한다. 1여단이 배치될 경우 예비역 2개 여단은 '전투집단 자카'로 지정된 대대 규모의 전투단을 창설하는 임무를 맡는다.[63]
참조
인용구
- ^ The Australian Army. Modernisation from Beersheba and Beyond (PDF). Commonwealth of Australia. p. 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March 2015. Retrieved 4 December 2014.
- ^ 1912년 오스트레일리아 군사력, 페이지 18.
- ^ 그레이 2008, 페이지 80.
- ^ a b c d e "13th Battalion, First World War". Australian War Memori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09. Retrieved 6 June 2009.
- ^ a b c d e Serle, Geoffrey (1986). "Monash, Sir John (1865–1931)".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Melbourne University Press. ISSN 1833-7538. Retrieved 12 March 2011 – via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 그레이 2008, 페이지 99–100.
- ^ 그레이 2008, 페이지 100.
- ^ 빈 1941 페이지 42.
- ^ 그레이 2008, 페이지 104.
- ^ Wilson, Peter; Wilson, Lauren (25 April 2009). "Bound by history, French children honour their debt". The Australian. Retrieved 6 March 2011.
- ^ 오소리 1988, 페이지 100.
- ^ 오거스 1994, 페이지 121-122에서 인용.
- ^ 오소리 1994 페이지 122.
- ^ 오소리 1994, 페이지 127.
- ^ "14th Battalion, First World War". Australian War Memori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6. Retrieved 10 October 2011.
- ^ "15th Battalion, First World War". Australian War Memori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6. Retrieved 10 October 2011.
- ^ "16th Battalion, First World War". Australian War Memori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6. Retrieved 10 October 2011.
- ^ a b "History – HQ 4th Brigade – Forces Command". Australian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1. Retrieved 11 October 2011.
- ^ 그레이 2008, 페이지 125.
- ^ a b 2002 페이지 63.
- ^ "Australian Infantry Unit Colour Patches 1921–1949". Digger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07. Retrieved 6 March 2011.
- ^ a b 2002년 페이지 65-67.
- ^ 2001 페이지 110에 팔라초
- ^ 1965년, 페이지 44.
- ^ 2002년, 페이지 69.
- ^ 2002년, 페이지 76.
- ^ 쿠링 2004, 페이지 111.
- ^ 2002 페이지 72-86에 팔라초
- ^ "29/22 Battalion". Orders of Batt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16. Retrieved 10 October 2011.
- ^ "4 Australian Infantry Brigade: Locations". Orders of Batt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6. Retrieved 6 March 2011.
- ^ a b 그레이 2008, 페이지 146.
- ^ "4 Australian Infantry Brigade: Subordinates". Orders of Batt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6. Retrieved 6 March 2011.
- ^ a b "4 Australian Infantry Brigade: Superiors". Orders of Batt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6. Retrieved 6 March 2011.
- ^ 맥켄지 스미스 2018, 페이지 2061.
- ^ 맥켄지 스미스 2018, 페이지 2061–2062.
- ^ 1963년 긴 페이지 577.
- ^ "29th/46th Battalion". Australian War Memori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6. Retrieved 28 July 2010.
- ^ 1963년, 페이지 251.
- ^ 맥켄지 스미스 2018, 페이지 2051.
- ^ 1963년, 페이지 261.
- ^ 맥켄지 스미스 2018, 페이지 2063.
- ^ 그레이 2008, 페이지 200.
- ^ 2002 페이지 163.
- ^ 그레이 2008, 페이지 205.
- ^ 2002 페이지 167–168.
- ^ a b c "Brief History of the 2nd Division" (PDF). Army History Un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November 2012. Retrieved 7 September 2009.
- ^ 그레이 2008, 페이지 207.
- ^ a b 그레이 2008 페이지 228.
- ^ 쿠링 2004, 262페이지.
- ^ 맥닐 1993, 22페이지.
- ^ 매카시 2003, 페이지 131.
- ^ 블랙스랜드 1989, 페이지 108.
- ^ 2002년 페이지 190–191.
- ^ 2002년, 페이지 194.
- ^ a b Mike Kelly, Parliamentary Secretary for Defence Support. "Press Release: Benefits of Employing Reservists Highlighted on Boss Lift to Solomon Islands" (PDF). Department of Def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 June 2011. Retrieved 11 October 2011.
- ^ "Australian Army Structure as at January 2018". Australian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20. Retrieved 19 March 2020.
- ^ "Minister for Defence and Parliamentary Secretary for Defence – Ministerial visit for Ringwood Army Reserves". Media Release. Department of Defence. 17 April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14. Retrieved 3 May 2014.
- ^ "Home – HQ 4th Brigade – Forces Command". Australian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ugust 2007. Retrieved 11 October 2011.
- ^ Whitwell, Julia (17 May 2018). "Small base, big mission" (PDF). Army News (1,419 ed.). p. 23.
- ^ Toohill, Ian. "Operation Vic Fires Assist". Australian Infantry Magazine (Oct 2009 – April 2010): 16–20.
- ^ Toohill, Ian (April 2011). "ADF Reservists Assist SES During Flood Crisis". The Australian Reservist (16): 12–15.
- ^ "4th Brigade". Our people: units. Australian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20. Retrieved 15 March 2020.
- ^ "Integrating Capability on Predators Gallop". Army: The Soldiers' Newspaper (1371 ed.). 21 April 2016. pp. 6–7.
원천
- Australian Military Forces (1912). The Military Forces List of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1 January 1912. Melbourne, Victoria: Government Printer. OCLC 221429471.
- Bean, Charles (1941). The Australian Imperial Force in France, 1916. Official History of Australia in the War of 1914–1918. III (12th ed.).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n War Memorial. OCLC 220623454.
- Blaxland, J.C. (1989). Organising an Army: The Australian Experience, 1957–1965. Canberra: Strategic and Defence Studies Centre, the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BN 0-7315-0530-1.
- Grey, Jeffrey (2008). A Military History of Australia (3rd ed.). Melbourne, Victor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9791-0.
- Keogh, Eustace (1965). South West Pacific 1941–45. Melbourne, Victoria: Grayflower Publications. OCLC 7185705.
- Kuring, Ian (2004). Redcoats to Cams: A History of Australian Infantry 1788–2001. Loftus, New South Wales: Australian Military History Publications. ISBN 1-876439-99-8.
- Long, Gavin (1963). The Final Campaigns. Australia in the War of 1939–1945, Series 1—Army. Volume VII (1st ed.). Canberra: Australian War Memorial. OCLC 1297619.
- McCarthy, Dayton (2003). The Once and Future Army: A History of the Citizen Military Forces, 1947–74. South Melbourn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51569-2.
- McKenzie-Smith, Graham (2018). The Unit Guide: The Australian Army 1939–1945, Volume 2. Warriewood, New South Wales: Big Sky Publishing. ISBN 978-1-925675-146.
- McNeill, Ian (1993). To Long Tan: The Australian Army and the Vietnam War 1950–1966. The Official History of Australia's Involvement in Southeast Asian Conflicts 1948–1975. St Leonards, New South Wales: Allen and Unwin. ISBN 1-86373-282-9.
- Odgers, George (1988). Army Australia: An Illustrated History. Frenchs Forest, New South Wales: Child & Associates. ISBN 0-86777-061-9.
- Odgers, George (1994). Diggers: The Australian Army, Navy and Air Force in Eleven Wars. 1. London: Lansdowne. ISBN 978-1-86302-385-6. OCLC 31743147.
- Palazzo, Albert (2001). The Australian Army. A History of its Organisation 1901–2001. South Melbourne, Victor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51507-2.
- Palazzo, Albert (2002). Defenders of Australia: The 3rd Australian Division 1916–1991. Loftus, New South Wales: Australian Military Historical Publications. ISBN 1-876439-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