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북미판

1 개요

비영어권 국가의 콘텐츠가 북아메리카미국캐나다에서 영어권 문화에 어울리도록 수정되어 발매되었을 때 "북미판"이라고 부르고 있다.

2 북미판 비디오 게임

일본산 비디오 게임의 경우, 게임상에 등장하는 각종 국적불명의 주문이나 도시, 장비, 사람 이름 등 지저분한 저글리시가 깔끔한 영어로 다듬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언어유희 같은 경우엔 따라선 아예 문맥을 통째로 바꾼다.[1] 대부분 음성도 현지화되는데, 더빙은 꽤 말이 많다. 일어 음성에 익숙한 덕후들은 언제나 불만이 가득하고 게임사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굳이 덕후층만을 노려서 더빙하지 않기 때문.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논란이라고 볼 수도 있다. JRPG가 고쳐야 할 점 10가지의 5번 항목을 보자.

영어가 좀 되고 일본 게임을 하고 싶지만 일본어압박으로 하지 못하는 자들에게 있어서는 언어의 장벽을 낮춰주는 고마운 존재. 한패보단 덜하지만. 이외에도 한글패치가 없는 게임의 경우 양덕후들이 자체제작한 영문패치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고전작 한정으로 북미판만의 특징도 있는데, 게임 패키지가 가끔가다 양키센스로 고쳐졌던 경우가 있다는 점. 양키센스,록맨 클래식 시리즈(이쪽은 어느정도 노림수) 개별 문서에서 확인 가능하지만 나무 위키에서 몇 개 볼 수 있다. 그리고 『록맨 10』의 경우 세상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양키 센스 넘치는 일러를 기어이 그렸다!! 전통입니다 요녀석들아

일본 콘텐츠를 가지고 아예 북미쪽에서 제작한 경우는 북미판으로 쳐주어야할지 다소 미묘. 하지만 양키센스 대폭발이라는점은 변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록맨의 북미지역 TV 애니메이션판인 메가맨 애니메이션.

또한 원래 일본에서 만들어진 게임이 북미에서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서 북미에서 받아들여지기 힘들다고 판단되는 등의 경우 수정이 가해진다. 가장 잦은게 바로 십자가처리 문제인데[2] 이런건 얄짤없이 수정대상이다. 그 외에 서양쪽에 민감한 정치적인 이슈(나치 패러디 같은게 대표적이다.)같은 것도 수정대상. 이게 커지면 게임의 베이스는 같지만 아예 그래픽이 완전히 다른 게임 급으로 바뀌는 거의 현지화 수준의 변화를 겪는 게임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슈퍼 마리오 USA』가 있으며, 이러한 게임에 관한 특집은 1UP닷컴에서 특집기사로 다루어졌다. #(英)

3 캠페인 로고 의무삽입

90년대에 북미지역에 출시되었던 오락실 게임들은 Winners Don't Use Drugs(인생의 승리자는 마약 같은 거 안한다: 마약 금지 공익광고) 표어나 Recycle It, Don't Trash It!(재활용을 하고, 버리지 말자!: 재활용 권장 공익광고) 표어 중 하나를 의무적으로 넣어야 했다. 한국 오락실에서도 해당 게임들이 북미판이면 데모화면에서 표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좌측의 FBI 로고는 당시 미국의 반 마약정책 때문에 들어갔던 로고였는데, 이 링크에서 해당 로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의 로고는 미국 환경 보호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로고.

280px 280px

좌측 표어는 나중에 스콧 필그림 vs 더 월드: 더 게임에서 Winners Don't Eat Meat으로 패러디되었다.

4 북미판 일본 만화책

북미판의 일본 만화책들은 Manga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픽노블이나 다른 코믹스와는 달리 구분된다.

번역의 경우 일본어를 그대로 쓰거나[3] 효과음같은 걸 영어로 바꾸지 않아서[4] 일본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불편했다.

주로 수입하는 회사로는 Viz media, Yen Press, 다크 호스 코믹스[5] 등이 있으며 토쿄팝같은 회사도 있었지만 사업을 접었다.

2014년 2월, 북미로 수출하는 일본 만화들을 무료로 인터넷에 공개할 것이라는 정보가 올라왔다.

5 북미판의 밸런스 조정

한편으론 게임에서의 북미판의 경우 (고전게임에서 그 경향이 짙지만) 난이도가 훨씬 어렵다. 베어 너클이라든지 콘트라 더 하드코어등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경우 일본게이머들이 쉽고 가볍게 하는 게임을 지향하는 성격인데(이 때문에 RPG류가 인기가 높았다.) 서양게이머들은 대체적으로 게임을 클리어하는 성취감을 지향하는 성격이기에 높아지기 때문.

그런데 예외로 록맨 2는 놀랍게도 북미판(일명 메가맨)이 일본판보다 훨씬 쉽다. 그 외에도 파이널 판타지 4 등의 게임은 이지 버젼만 발매된다든지, 난이도를 내려서 발매하는 경우도 잦은 편이다. 그리고 일본발매시에 나왔던 치명적인 버그나 밸런스가 수정되어 나오기 때문에 몇몇 게임에서는 더 쾌적하게 플레이 할수 있다.

6 스포츠 게임류

일본에서는 스포츠게임 장르가 매우 제한적이고 스포츠관련 게임을 내는 회사 자체가 적기 때문에(ex:코나미) 미국 회사들이 매년 발매하는 미국 스포츠게임을 콘솔로 플레이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때문에 불과 몇년전까지 동시발매가 없던 시절 콘솔로 NFL, MLB, NBA, NHL등의 미국 스포츠게임을 정품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북미판을 구입해야 했다.

7 유희왕

유희왕의 경우에는 일본에서도 한정판매하는 카드는 끼워준다든지, 아니면 아예 본토에서도 안 파는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넣어주기도 한다. 그 카드들은 성능이 장난을 넘어서 그야말로 새로운 도전과제를 제공하는 고로 찾는 유저들이 많으나, 아쉽게도 공식 대회에서는 사용 불가. Master of the six samuraivolcanic rocket이 점프 페스타에서 육무중의 사범과 볼캐닉 로켓이라는 이름으로 역으로 넘어오는 등, 이런 카드들을 한/일 등 OCG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록한 엑스트라 팩 등이 나오고 있다.

미국판 카드의 예로는 스테고사이버가 있다.

그 외에도 어린이를 주 대상으로 삼는 4Kids Entertainment 가 북미판 라이선스를 맡기 때문에 카드 일러스트가 수정되는 경우도 잦다. 주 탄압 관점은 노출, 종교, 혐오스러운 것에 대한 제제인데, 이로 인해 불만을 갖고 있는 유저들도 왕왕 있는 편. 근데 유희왕 7세 이용가니까 탄압해야 하는 게 맞잖아.

8 젤다의 전설 시리즈

북미판을 거치다 보면 캐릭터의 이름이라든지 설정이 확 바뀌어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에서 등장하는 주연급 조연인 '버든'이라는 캐릭터가 있는데, 북미판에서 '그루즈 / Groose'라는 개명을 거친 후 캐릭터가 엄청 진화했다.

덕분에 북미 유저들 사이에서 이 게임의 진주인공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4chan에서는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스레드가 나오면 항상 제목을 Legend of Groose라고 바꾸는 불문율이 생겼다.

9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가 북미 기준으로는 너무 짧아서, 그 뒤에 기갑창세기 모스피다초시공기단 서던크로스를 붙여서 로보텍이라는 이름으로 북미에 방영되었다. 그리고 북미 내에서는 로보텍만의 오리지널 스토리도 추가되고 오리지널 OVA인 '로보텍 - 그림자 연대기'마저 나오게 되어서 이미 본가 마크로스와는 전혀 다른 뭔가가 돼버렸다(...)

10 북미판 일본 애니메이션

북미에서 발매되는 일본 애니메이션 DVD & BD들은 영어음성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인 입장에서는 영상매체가 워낙 비싼 일본에 비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저렴하고, 특히 BD는 북미와 한국 코드가 같다는 장점이 있어서 북미판을 기다리고 구입하는 사람들도 있다. 잘 알려진 배급사로는 퍼니메이션, 노조미, 센타이 필름웍스, NIS AMERICA, ANIPLEX USA 등이 있다. 제네온, ADV Films, 반다이 엔터테인먼트처럼 사업을 접은 회사들도 있다.

과거 북미판 애니메이션은 국어책 읽는 듯한 발연기, 원작 캐릭터 해석에 어울리지 않거나 연령대가 맞지 않는 미스캐스팅[6], 성우 부족에 따른 1인 다역 등의 문제로 인해 양덕 사이에서도 악명이 높았던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인식을 단번에 깨뜨린 것이 서양권에서 독보적인 애니메이션 취급받고 있는 카우보이 비밥이라고 한다. 이것만큼은 웬만한 더빙까들 마저 초월더빙이라고 인정하는 작품이며 더빙계에 한 획을 그었다고 인정되는 작품이다.

최근에는 연기경력이 있는 실제 배우 출신의 성우라든가, 동양적 음색을 가진 동양계 미국인 성우[7]을 캐스팅하거나, 일본 쪽 전문가들이나 성우들을 이런저런 이벤트에 초청하는 등 교류도 늘고 있고, 인터넷을 통해 피드백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과거의 괴랄한 더빙은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적어도 평타는 치는 수준.
물론 북미도 한국처럼 무턱대고 더빙을 까거나 성우를 모욕하는 태도를 보이는 자들이 가차없이 까이는데 'weeaboo'라며 불리며 비판받는다.[8] 그리고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일본 성우들의 특유의 목소리 톤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과장된 연기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는지라, 한국에서 진행한 더빙물이 호불호가 갈릴 때 북미인들 사이에서는 합격점이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사실 북미판 더빙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받는 이유는
1) 언어와 문화의 차이
2) 작은 북미 일본 애니메이션 시장
3) 열악한 대우와 수당
4) 배역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음
등의 이유 때문인 경우가 많다. 애당초 일본이나 한국에서도 저정도면 제대로 된 더빙이 나올 수가 없다. 당장 성우/북미 항목의 성우들의 항목을 들어가보면 대부분의 성우분들이 직업 2~3개는 병행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으며, 최근엔 아예 제대로 된 대우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까지 경고했다[9].

혹은 평소에 재밌게 보던 일본 만화가 현지에서 애니화되었을 때 어떤 캐릭터의 성우가 평소 자신이 생각하던 캐릭터의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다, 즉 미스캐스팅이라고 느끼고 애니를 보지 않고 있다가 우연히 북미판 성우의 연기가 자신의 캐릭터 해석에 들어맞는 것을 알게 되어 북미판을 보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애니메이션 영어가 크게 어려운 편이 아니므로 원작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생판 모르는 다른 외국어판에 비해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무리가 없기 때문.

그밖에 북미판 DVD/블루레이가 매우 저렴해서 일본판을 사는 것보다 나을 때도 있다. 대신 북미판 DVD/블루레이에는 일본판에 들어가던 특전들(드라마CD나 OST 등)이 빠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가끔씩은 자막 온오프 불가능 옵션이 붙어있거나 일본판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경우[10]도 있어서 사기 전에 한번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북미판의 경우 일본에서 DVD와 블루레이가 나온 뒤 나오기 때문에 작붕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의 일부 방송사들처럼 동시 상영하는 경우.
  1. 그러나 이는 요즘에서야 이야기고, 과거 북미판 게임들은 대부분 일본어투를 직역한 형편없기 그지없는 번역으로 말이 많았다. 대표적으로 AYBABTU와 같은 사례가 있다.
  2. AVGN 마계촌편을 봤으면 알 아서의 무기 방패가 대표적. 일본판에는 원래 십자가
  3. 예를 들어서 선생님의 일본어인 sensei를 그대로 쓴다던지. 다만 회사에 따라 다르긴 하다.
  4. 물론 이것도 회사에 따라 다르며, 바꾸진 않고 옆에 영어로 작게 써놓는 경우도 있다.
  5. 헬보이를 만든 회사.
  6. 이는 꼭 미스캐스팅이 아니라, 일본과 북미의 문화 차이를 고려한 캐릭터 재해석인 경우도 많다. 일본에서는 부드럽거나 중성적인 남성 이미지가 호평을 받지만 북미 문화에서 그런 남성은 게이나 찌질이라는 오해를 사기 쉽다는 것. 이 때문에 캐릭터 성격과 외양에 비해 낮은 목소리의 성우를 배정하거나 예의 바른 캐릭터의 대사에 비속어를 넣는 등의 호불호 갈리는 재해석을 하곤 한다.
  7. 대표적으로 조니 용 보쉬스테파니 셰이, 트리나 니시무라등. 참고로 나라가 다르면 바로 더빙의 느낌이 달라지는 것이지만 일본 애니 캐릭터들의 생김새가 당연히 동양적으로 생긴 외모인데다가 동양적 음색과 서양적 음색이 따로 구분되어 있기도 하다. 동양쪽은 부드럽고 서양쪽은 약간 오버스럽고 강하게 나가는 그런 느낌. 그래서인지 전세계 더빙들을 비교해보면 유독 한국판이나 대만, 홍콩판이 더 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8. 와패니즈와 비슷한 단어로, 일본 서브컬쳐 문화를 극에 달할 정도로 찬양 및 미화하는 자들을 까는 단어. 한국어로 의역해보면 일빠 씹덕 정도가 된다.
  9. 정확히 말하자면 SAG-AFTRA라는 배우, 성우들의 노동조합 같은 곳이지만, 성우/북미 항목의 성우들이 대부분 여기에 소속되어 있다.
  10. 제조과정상 문제로 인한 화질 저하도 있으나 일본쪽에서 역수입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화질 저하를 부탁하는 경우도 있는 걸로 보인다.